본문 바로가기
조나단 에드워즈의-계몽주의에 대항한 사상 계몽주의에 대항한 에드워즈의 사상 리차드 로베라체 조나단 에드워즈는 가장 위대한 신학자이며 철학자라고 할 수 있다. 아마도 미국이 배출한 가장 뛰어난 사상가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에드워즈의 신학적 천재성은 개혁신학과 청교도주의의 중요한 사상들을 효과적으로 진술하면서도 이것들을 단순하게 반복한 것이 아니라 당대의 중요한 문제들에 그것들을 적용시키는 그의 능력에 있다. 에드워즈의 신학은 칼빈주의에 그 뿌리를 둔다. 그의 많은 저서들이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에 관한 칼빈의 가르침을 쉽고도 일관되게 적용한 것들이다. 의심할 바 없이 20세기 이전의 개혁신학 전통에 근거해서 글을 쓴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이다. 그러나 그의 사고의 출처들은 칼빈주의를 넘어서서 넓은 범위에 걸쳐 있다. 그는 17세기의 다양한 .. 2007. 7. 3.
조나단 에드워즈- 과학기술시대를 향한 외침 과학기술시대를 향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외침 조지 M.마든 조나단 에드워즈는 오늘날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는 우리가 오직 멀리서 경외할 수 있는 과거의 영웅이고, 복음 전도자이고, 신학자이고, 성인인가? 시대와 종교적 형식의 변화들이 그와 우리 사이에 넘을 수 없는 장벽을 놓았는가? 우리는 그의 예리한 통찰력을 단지 역사적 골동품 이상으로 접근할 수는 없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에드워즈는 오늘의 이 시대를 향하여 많은 것들을 말하고 있다. 그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역사적 교리들뿐 아니라 현대의 주요한 몇 가지 경향들에 관한 통찰력을 가지고 그것들을 제시하고 있다. 에드워즈는 현대가 시작되는 시기에 살았다. 그는 오늘날의 기독교와 문화 양자의 형태를 형성지었던 두 가지 주요한 경향들, 즉 부흥운동과 과학.. 2007. 7. 2.
조나단 에드워즈 -70조 결심문 조나단 에드워드(Jonathan Edwards, 1703~1758)는 청교도 1세 목사인 아버지와 역시 목사의 딸인 어머니 사이의 11명의 자녀중 귀한(?) 외아들이었다. 하지만 그의 진가는 신학자이며 저술가이며 영적 부흥을 주도한 목회자로서 더욱 나타난다. 조나단 에드워드가 목회했던 노스 햄프턴은 대각성 운동의 진원지였다. 하지만 250년이 지난 오늘날 노스 햄프턴은 타임지에서 '레즈비언의 수도'로 손꼽혔으며, 매사추세츠는 미국 최초로 동성애자의 결혼을 합법화하기도 했다. 이것은 한인 목회자들이 가서 기도할 제목이다. 1. 조나단 에드워드 기념교회 조나단 에드워드는 미국의 1차 영적대각성 운동의 주역이었으며, 1차운동은 2차 운동에도 영향을 미쳐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였던 언더우드 선교사가 조선을 가게되.. 2007. 6. 29.
교회 인물사 교회 인물사 1. 교부들과 로마의 핍박 하에서의 순교자들 1) 로마의 클레멘트(Clement of Rome ; 주후 약 30-96) 로마의 감독. 삼위 일체성과, 그리스도의 신성과, 은혜에 의한 의롭게 됨과, 교회의 합일에 관한 분명한 신학적 토대를 놓았다. 2) 이그나티우스(Ignatius 35-107) 안디옥의 감독. 그의 일곱 서신은 초기 교회에 많은 영향을 줌. 결국 로마의 군병들에 의해 호송되어 순교 당함. 그는 순교 시에 핍박 자들에게 "나를 짐승들에게 던져주시오. 그것들에 의해 나로 하나님의 동참자가 되게 해 주시오"라고 간청함. 3) 폴리캅(Polycarp 약 69-155) 사도 요한의 가르침을 받아, 후에 서머나의 감독이 됨. 그의 저작들에는 성경적 구절들이 자주 인용됨. 이단적인 그노시.. 2007. 3. 18.
(요 1장1절) '하나님은 남성신이 아닌 절대 유일신'이다 [요한복음1장1절]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בְּרֵאשִׁית הָיָה הַדָּבָר וְהַדָּבָר הָיָה אֶת־הָאֱלֹהִים וְהוּא הַדָּבָר הָיָה אֱלֹהִים 하나님은 (남성신이) 아닌 (절대 유일신)' 이다 1 εν αρχη ην ο λογος και ο λογος ην προς τον θεον και θεος ην ο λογος 엔 아카페 엔 호 로고스 카이 호 로고스 엔 프로스 톤 데온 카이 데오스 엔 호 로고스 in[the]begii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 God Word and God was the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2007. 2. 16.
*초대교회때 왜 박해를 받았는가? 기독교는 왜 박해를 받아야 했나?최초의 박해는 64년에 있었던 로마시의 대화재에 대한 누명 때문이었다.황제 네로는 기독교인들을 희생양으로 삼아서 대대적인 박해를 가했다. 네로는 제국차원의 어떤 정치적인 이유가 아니라 개인적인 이유로 박해를 했고, 박해지역도 로마시내에 국한되었고 또 일시적이었다.그러나 곧 이어서 박해는 제국전체로 확산되었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기독교가 박해를 받은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유대인들의 질투 사도행전과 사도바울의 서신을 보면 바울이 당하는 시련은 대부분 유대인의 훼방 때문이었던 것을 알수 있다.유대인들은 바울이 복음을 이방인에게 전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결사적으로 방해했다.유대인들은 기독교를 이단이라고 생각하여 박멸하려고 했다. 예루살렘교회에 대한 박해는 앞에서.. 2007. 2. 13.
성경연대기 성경연대기 창조 노아시대 바벨탑 사건 (창 11:1-9) B.C 2166 아브라함의 출생 (창 11:27) 2166 우르에서 하란까지 (창 12:4) 2091 아브라함의 가나안 도착 (창 12:56) 2067 할례 제정(창 17:9-14) 2066 이삭의 출생 (창21:23) ? 욥이 고난 받음 (욥 1:12-19, 2:7-11) 욥이 축복받음 (욥 42:10-15) 욥의 죽음 (욥 42:17) 2006 에서와 야곱의 출생 (창 25:26) 1991 아브라함의 사망 (창 25:8) 1929 야곱의 하란도피 (창 28:10) 1918 유다의 출생 (창 29:35) 1915 요셉의 출생 (창 30:24) 1898 애굽으로 팔려감 (창 37:36) 1886 이삭의 죽음 (창 35:29) 1885 애굽의 총리가.. 2007. 2. 4.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초기의 히브리 구약성경은 BC 1450년에서 BC 400년까지 무려 1050년에 걸쳐 기록되었다. 모세의 성경 기록이 BC 1450-1400년경에 오경을 기록했다. 구약의 말라기는 BC 400년경에 기록했다. 처음 구약성경은 고대 히브리어로 가죽이나 파피루스로 기록되었다. 정경이 되는 과정에서 율법서는 BC 444년에, 예언서는 BC 400-200년, 성문서는 대략 BC 165-100년경에 이루어졌다. 예언서는 BC 300년이 지나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제2이사야와 제3이사야(대체로 40∼66장)는 그 기록자들을 전혀 알 수 없으므로, 이사야서의 뒤에 부착시켰다. 다니엘서는 BC 167년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에스더와 역대상.하 그리고 에스라.느헤미야도 너무 늦게 .. 2007. 2. 4.
(출19장1절) '삼개월'를 '석달째'로 번역해야 바르다 (출애굽기 19장 1절 본문)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을 떠난 지 삼개월이 되던 날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 (바른 번역) 이스라엘 자손이 이집트 땅에서 나온지 석 달째 되는 바로 그 날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בַּחֹדֶשׁ הַשְּׁלִישִׁי לְצֵאת בְּנֵי־יִשְׂרָאֵל מֵאֶרֶץ מִצְרָיִם בַּיֹּום הַזֶּה בָּאוּ מִדְבַּר סִינָי׃ '(삼개월)'를 '(석달째)'로 번역해야 옳다 히브리어 원문 성경에는 '핫셜이쉬''השלישי'(정관사가 있슴)로서 셋째 달(the third month)서수 이어야 하는데 위 본문에는 기수로(three months) 잘못 번역했다. 즉 셋째달과 삼개월은 1개월의 차이가 난다 제 삼 월 - 이스.. 2007. 1. 23.
(출30장 12절)'그것'을 '그들'로 번역해야 옳다 (출 30장 12절) 네가 이스라엘 자손의 수효를 조사할 때에 조사 받은 각 사람은 그들을 계수할 때에 자기의 생명의 속전을 여호와께 드릴지니 이는 그것을 계수할 때에 그들 중에 질병이 없게 하려 함이라 ' (바른번역)"네가 이스라엘 자손의 수를 세어 인구를 조사할 때에, 조사를 받은 자들은 각자 자기 생명의 속전을 나 여호와께 바쳐야 한다. 그러면 조사받은 사람들 수를 셀때에 그들 가운데 재앙이 없을 것이다. כִּי תִשָּׂא אֶת־רֹאשׁ בְּנֵי־יִשְׂרָאֵל לִפְקֻדֵיהֶם וְנָתְנוּ אִישׁ כֹּפֶר נַפְשֹׁו לַיהוָה בִּפְקֹד אֹתָם וְלֹא־יִהְיֶה בָהֶם נֶגֶף בִּפְקֹד אֹתָם׃ '(그것)'을 '(그들)'로.. 2007. 1. 20.
성서의 사본과 역본들의 문제.장절 성서의 사본과 역본들의 문제 성서의 원본은 없다. 다만 5,000개가 넘는 필사본들이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필사본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문제, 수많은 사본들의 취사선택의 문제 등등...... 1) 필사과정에서의 문제 이 필사본들은 만드는 방법은 흔히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한 개인이 한 자 한 자 옮겨 써서 만드는 것으로 히브리어나 헬라어의 알파벳에는 유사한 글자들이 여럿 있어서 종종 혼동을 일으켜 잘못 옮겨 쓰는 일이 있었고 더구나 옛날에는 원어 성서에서도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필사할 때 여러 가지 종류의 과오를 일으켰다. 또 한가지 방법은 한 사람은 읽어 주고 여러 서사들이 받아쓰기하는 방식으로 서사들이 그 문서내용에 대한 지식이 없을 때 자연히 잘못 듣고 쓰게.. 2006. 11. 18.
유대 역사가들 1. 유대 역사가들 출처-antiyesu.org/티모시 프리크, 피터 갠디 저, 승영조 역(자료제공회원:전동주) 필론(BC 15?-AD45?)은 예수가 살았다는 시대에 활동한 유명한유대인 작가이다. 그의 저술은 오늘날까지도 약 50권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그는 역사와 철학, 종교를 다루었고, 본디오 빌라도에 대해서도 우리에게 많은 것을 전해 준다--- 그러나 메시아 예수의 도래에 대해서는 언급한 것이 전혀 없다. 필론과 같은 시대에 살았던 티베리아스(이스라엘 북부 도시)의 유스투스는 가버나움(Capernaum : 가파르나움, 갈릴리 바닷가의 마을) 인근에 살았던 유대인인데, 가버나움은 예수가 머물렀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그는 모세부터 시작해서 자신의 당대까지 이르는 역사를 기술했지만, 역시 예수에 대해.. 2006. 11. 14.
율법과 복음바른이해 율법과 복음 바른이해 - 바울이 개신교회의 신학자로 인정받고 주장되는 것은 그의 서신들 특히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믿음으로 구원얻는다"는 가르침이었고, 이 칭의 교리는 종교개혁의 출발점이요, 원리였다. 바울 신학의 중심점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에서 전개한 복음과 율법과의 관계는 구원의 서정으로 이해한 것이 아니고 구원사적 관점에서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종말론적 구원을 성취하는데 집중했다. 바울은 1.[롬1:29-32] " 곧 모든 불의, 추악, 탐욕, 악의가 가득한 자요 시기, 살인, 분쟁, 사기, 등등(32) 저희가 이같은 일을 행하는 자는 사형에 해당하다고 하나님의 정하심을 알고도 자기들만 행할 뿐 아니라 또한 그 일을 행하는 자를 옳다 하느니라 "에서는 이방인의 죄는 사형에 해당하고...[.. 2006. 10. 21.
한국 교회의 예배 형성사 I. 들어가는 말 이글의 목적은 한국 장로교 예배의 형성과정을 서술함으로써 한국 장로교 예배의 개혁을 위한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별히 이 글은 한국 교회 초기에 나타나는 여러 예배의 형태들을 서술하고 그것들이 오늘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관심을 가진다. 이렇게 우리의 지나온 예배를 살펴보는 것은 이후 우리들이 예배를 갱신할 수 잇는 중요한 기초가 될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이글을 통하여 어떻게 한국 교회의 초기 예배가 진정한 예배라기 보다는 집회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는 이글을 통하여 어떻게 한국 교회의 초기 예배가 집회의 성격을 가질 수 밖에 없었는지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II. 초기 한국인들이 경험한 만주교회의 예배 교회는 어디에 존재하는가? 칼빈과 루터에 의하.. 2006. 10. 14.
초대교회의 10대 박해 1). 네로 황제의 박해(Nero A.D 54-68년) 2). 도미시얀 황제의 박해(Domitianus 81-96년) 3). 트라야누스황제의 박해(Trajanus 97-117년) 4). 하드리얀 황제의 박해(Hadrianus 117-138년) 5).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박해(Marcus Aurelius 161-180년) 6). 쎌티미우스 세베누스 황제의 박해(Septimius Serverus 191-211년) 7). 막시미누스 황제의 박해(Maximinus 235-238년) 8). 데시우스 황제의 박해(Dicius 249-251년) 9).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Vareianus 257-259년) 10). 디오크레 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Dioclecyianus284-303년) 1. 네로 황제.. 2006. 8. 24.
구원과 믿음에 대하여 1 2021년 4월 11일 · 구원과 믿음에 대하여 1 (칭의와 언약) 이명박 장로님은(존대했슴) 뇌물죄로 감옥에 가면서 측근들에게 믿음으로 이기겠다 라고 말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우리는 그가 무슨 생각으로 그렇게 말하는지 2 가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하나님께 기도하면 용서해 준다. 2. 나는 구원받은 사람으로 그동안 신앙생활(종교생활)을 열심히 해 왔으니 문제될 게 없다. 1. 죄용서 문제는 다음에 살펴 보기로 하고 오늘은 2. 구원의 확신 문제를 논구 하겠습니다. 이에 관해 칭의와 언약 그리고 그에 따른 믿음이 무엇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그리스도인 특히 개신교인들에게 행위와 상관없이 구원받았다고 하는 인식은 '하나님이 믿음으로 우리를 의롭다' 하셨다는 개신교 중심교리인 '칭의'로 인해서 입니다... 2006. 8. 15.
개역개정판」 성경의 의의 I.  우리말 성경의 번역과 개정 문제 II. 「개역한글판」 성경의 형성과정   1. 「개역한글판」 성경   2. 성경 개정의 필요성--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및 외래어 표기법의 변화 Ⅲ.  「개역한글판」 성경의 개정과 감수   1. 개정 원칙   2. 개정 감수 원칙   3. 부수적 원칙(대표적인 것) IV.     「개역개정판」 성경의 탄생   1. 원문을 번역 수정한 곳   2. 장애인 관련 어휘의 개정   3. 그 밖에 수정한 곳 V. 결론:남은 과제   1. 어휘와 음역 표기 통일의 문제   2. “가라사대,” “할쌔,” “하신대” 등의 고어체 개정문제   3. 단수와 복수의 문제   4. 문장부호 사용 문제   5. 고유명사의 음역(音譯) 문제  대한성서공회는 1997년에, 거의 한 세기 가까이.. 2006. 7. 30.
구약성서 사본과 번역본-참조 구약성서 사본과 번역본 A. 구약성서 1. 구약(Old Testament) 성서란 무엇인가? 1.1 구약성서의 정의 구약 성경은 예수님과 사도들이 소유했던 유일한 성경으로서, 예수님과 사도들로부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인정을 받은 책이었다. 이러한 배경을 두고 있는 구약성서는 복음의 등장으로 그 효력이나 권위가 사라진 것이 아님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구약이라는 말은 고후 3장 14절에서 바울이 히브리 성서에 대해 언급한 “옛 언약”에서 온 것으로 기독교에서는 이를 신약(New Testament)성서와 구분하여 이해한다. 또는 계약이라는 의미의 "Testament"는 라틴어 “테스타 멘툼”에서 온 것으로 히브리어 “베리트”와 헬라어 “디아테케”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계약, 또는 언약의.. 2006. 7. 29.
기독교는 왜 도덕과 경건이 아닌 사랑인가 1 2021년 3월 14일 · 기독교는 왜 도덕과 경건이 아닌 사랑인가 1 그리스도인 천 백만 명 중에, 교회가 싫어서 안나가는 가나안 성도가 2 백만 명, 기성교회가 타락했다고 하며, 보다 도덕적으로 성별된 신앙을 하겠다는 유사 기독교가 3 백만 명, 기성교회가 율법적 신앙을 한다고, 보다 자유로운 신앙을 하겠다는 구원파가 2 백만 명 입니다.(거친 통계이므로 잘 아시는 분은 바로 잡아 주세요) 실은 기성교인 4 백만 명도 이 가운데 어느 하나로 경도 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관심은 보다 도덕적인 경건한 신앙을 하겠다는 신천지 류의 유사 기독교 입니다. 이들은 세속화와 세속주의를 구분하지 못해서 별도의 신앙집단을 이루는 거 고요, 기성교회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도 이것을 구분하지 못 합니다. 구분하지 못하는 이.. 2006. 7. 22.
구원이란 무엇인가 3 2021년 3월 7일 · 구원이란 무엇인가 3 (처음 읽는 분은 필자의 계정에서 같은 제목 1, 2 를 먼저 읽으세요) 우리는 이제까지 기독교신학이 관념이 중요시 되고 땅의 삶은 경시되는 플라톤 철학위에 세워진 것과 신플라톤주의 자인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삶의 구원이 아니라 개인영혼 구원으로 신학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 보았습니다. 원시 기독교는 복음서가 증언하는 예수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기쁨과 평화 그리고 희망찬 삶의 역동성이 아니라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한 예수가 어떻게 신인가를 플라톤철학으로 알리는데 집중했습니다. 원시 기독교에서 구원이란 1. 용서의 구원 2. 새창조를 통해서 실현되는 악마의 지배로부터의 구원 3. 죄와 죽음으로부터의 구원 입니다.(하르낙, 기독교 신학과 교회 교리의 형성). 오늘.. 2006. 7. 21.
'여호와'인가, '야훼'인가? ●'여호와'인가, '야훼'인가? 하나님을 가리키는 이 히브리 낱말의 발음을 놓고 논란이 많습니다.신구교가 함께 만든 공동번역성서는 '야훼'로, 신교가 만든 개역판 성경은 '여호와'로, 표준 새번역성경은 '주님'으로 각각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이처럼 다른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신학자들은 '야훼'가 맞다고 하는데, 어쨌든 빨리 용어 통일이 돼야겠습니다. ●'하나님'인가, '하느님'인가? 애국가를 부를 때 기독교인들은 '하느님'을 '하나님'으로 고쳐 부릅니다.이 말은 초창기 성경에서는 하 님으로 표기됐으나, 아래 ?가 없어지면서 '하나님'과 '하느님'으로 구분되었습니다. 문법적으로는 '하느님'이 맞지만, 신교는 유일신을 강조하기 위해 문법을 초우러하여 수사에 존칭접미사를 붙여 '하.. 2006. 7. 18.
서로 다른 정경 - 구약성서 : 천주교(46권), 개신교(39권) 서로 다른 정경 구약성서는 몇 권일까? 천주교(46권)와 개신교(39권) 사이에 차이가 있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이주해 살던 유대인들은 히브리어보다도 당시 국제어인 그리스(희랍)어가 더 익숙했다. 그래서 기원 전 3세기 중엽에 그리스어에 정통한 72인 유대인 학자들이 히브리어 성서를 그리스어로 번역하였는데, 100여 년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를 '칠십인역'(셉튜어진트 희랍어판)이라 하며, '알렉산드리아 정경'(Alexandrian Canon)이라고도 부른다. 여기에는 유대인들의 '히브리어 구약성서'의 정경 39권(제1경전) 외에도 토비트서, 유딧서,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마카베오 상,하권 일곱권과 다니엘서 일부(3,24~90;13~14장), 에스델서 일부(10,4~16,24)가 포함되어 있으.. 2006. 7. 18.
변방 예루살렘 느헤미야11:1~2 술맡은 관원장이 아닌, 나라를 지킨 애국자 느헤미야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왕 때 왕의 술을 맡은 아주 높은 관원장이었습니다.그러나 그는 궁궐에서 예루살렘 성전이 훼파되었다는 소식을 듣습니다.그리고 그것을 몹시 괴로워합니다. 결국 그는 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 귀한 기회와 자리를 버리고예루살렘으로 돌아와 훼파된 성전을 다시 수축하게 됩니다.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에 굴하지 아니하고그는 그 귀한 사명을 끝까지 잘 감당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하나님의 성전을 다시 수축한 사람으로성경에 기록되는 놀라운 축복을 받게 되었습니다. 당시에 왕의 술을 맡은 관원장이라면날아가는 새를 떨어트릴 수 있는 권세를 가진 자리이었지만느헤미야가 그것에 연연하여 성전 수축의 일을 감당치 아니하고자기 자리 만 지키고 있었다면 우리.. 2006. 7. 16.
변화산을 넘어 다시 세상으로 눅9:28~36 변화산을 넘어 다시 세상으로        눅9:28~36          28 이 말씀을 하신 후 일 쯤 되어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과 야고보를 데리고기도 하러 산에 올라가사29 기도하실 때에 용모가 변화되고그 옷이 희어져 광채가 나더라 30 문득 두 사람이 예수와 함께 말하니이는 모세와 엘리야라31 영광중에 나타나서 장차 예수께서예루살렘에서 별세하실 것을 말할새...  예수님이 사랑하는 세 제자를 데리고변화산 올라가셨습니다.그래서 거기서 신비한 체험을 했습니다. 모세 엘리야가 나와서예수님과 대화하고하늘에서 예수님에 대해서 증거하는 음성을 듣는그런 신비한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하늘을 보았죠.그 황홀한 하나님의 나라하나님의 세상을 봤을 때베드로는 얘기를 해요. ‘여기가 좋사오니.. 2006. 7. 14.
신약 성경의 원전(原典) 목록 성경은 모두 필사본 성경의 원전(原典)은 없다. 모두가 기원 4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생겨난, 5천 5백 종류 복사본이다. 이유는 손으로 베껴 쓸 때마다, 내용이 고쳐지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원전인 이 역시 바티칸 사본과 마찬가지로 기원후 4세기경에 씌어졌는데 1844년에 시나이의 수도원에서 발견되었다. 그런데 이 에는 수정된 곳이 1만 6천 군데나 된다. 초기 기독교는 2백여년 동안 구약성서 이외에는 성경을 갖고 있지 못했다. 모두 필사본일 뿐이다. 사도 바울의 편지도 모두 필사본입니다. 예를들어 「에베소서」가 생긴것은 바울이 전도여행 중 에베소 동네 가서 교회를 개척한후 그 동네 사람들에게 맡기고 그곳을 떠났다. 그런데 바울이 거기에 있을 당시에는 교회가 잘 운영되었지만, 바울이 떠나고 한참.. 2006. 7. 14.
성경 성립과 번역 역사 목록 성경은 모두 필사본 성경의 원전(原典)은 없다. 모두가 기원 4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생겨난, 5천 5백 종류 복사본이다. 이유는 손으로 베껴 쓸 때마다, 내용이 고쳐지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원전인 이 역시 바티칸 사본과 마찬가지로 기원후 4세기경에 씌어졌는데 1844년에 시나이의 수도원에서 발견되었다. 그런데 이 에는 수정된 곳이 1만 6천 군데나 된다. 초기 기독교는 2백여년 동안 구약성서 이외에는 성경을 갖고 있지 못했다. 모두 필사본일 뿐이다 사도 바울의 편지도 모두 필사본이다. 예를들어 「에베소서」가 생긴것은 바울이 전도여행 중 에베소 동네 가서 교회를 개척한후 그 동네 사람들에게 맡기고 그곳을 떠났다. 그런데 바울이 거기에 있을 당시에는 교회가 잘 운영되었지만, 바울이 떠나고 한참 지.. 2006. 7. 7.
종교회의-콘스탄티누스는 예수님의 가르침에는 전혀 아는 바 없었다 제1차 종교회의-(318주교선발.아타나시우스손들어-예수하나님동등) 니케아에서의 제1차 범 종교회의. 콘스탄티누스황제가 소집. 소집의 목적은 지금 한창 번영중에 있는 그리스도교를 업고 로마제국을 굳혀놓기 위해서였다. 콘스탄티누스가 318명의 주교들을 선발, 소집했던 배후에는 파워폴리틱스(Power Politics)가 있었고, 종교야 어찌되건 관심밖의 일이었다. 이 점에 대해 카리스마를 지니고 있던 주교들도 짐작 못한 바는 아니었다. 왜냐하면 황제는 ①회의를 사회했고 ②내 뜻은 바로 교회의 법률이라는 성명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주교들은 세례도 받지 않은 황제를 격으로 영입시켜 속세의 왕으로서 교리에 관한 투표에 참가시켰던 것이다. 콘스탄티누스는 예수님의 가르침에는 전혀 아는 바 없었다. 그는 미트라의 태.. 2006. 6. 24.
신약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신약성서의 형성사 구약성서와 마찬가지로 신약성서도 여러 저자에 의해서 오랜 기간에 걸쳐 기록된 책들이 오래고 또 복잡한 역사를 통해서 집성되어 이루어졌다. 교회는 신약성서의 어느 부분도 가지지 않은 채 오랫동안 발전하여 나갔다.신약 정경이 곧 나타나지 않은 것은 여러 원인이 있는데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는 사도 교회가 종말적 기대를 강하게 가졌다는 데 있다.그들은 그리스도가 곧 다시 오셔서 심판하시고 새 세계를 완성하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회는 긴 앞날을 계획할 필요가 없었다. 다만 그리스도를 영접할 준비가 요구될 뿐이었다. 문서로 된 정경이 있어야겠다는 욕구가 생기게 된 것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그들이 기대가 수정되고, 급박한 하나님 나라 실현의 희망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처지.. 2006. 6. 21.
구약 성립 과정 구약 성립 과정 유대인들은 구약성서(히브리어)를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율법서 5권(창세기,출애굽기,레위기,민수기,신명기), 예언서 8권(전기예언서 - 여호수아,사사기,사무엘,열왕기 후기예언서 - 이사야,예레미야,에스겔,12소선지), 성문서 11권(시편, 잠언, 욥기, 전도서, 솔로몬의 아가, 룻기, 예레미야의 애가, 에스더, 에스라-느헤미야, 역대기, 다니엘)의 도합 2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개신교도들이 사용하는 성서(39권)의 구약 부분은, '70인역'(LXX, 헬라어로 번역된 구약성서)과 거기에 근거한 라틴어역 불가타(Vulgata)의 배열순서를 그대로 따온 것이다. 기원후 90년에 얌니아(Jamnia)회의에서 유대인학자들이 39권으로 된 구약성서를 정경으로 결정하고 선포했을 때, 이집트의 .. 2006. 6. 21.
복음에만 집중한 세례요한의 소리 눅3:18~20 복음에만 집중한 세례요한의 소리         눅3:18~20        오늘 말씀은 눅3:18~20절입니다. ‘또 그밖에 여러 가지로 권하여 백성에게 좋은 소식을 전하였으나분봉 왕 헤롯은 그의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과 또 자기가 행한 모든 악한 일로 말미암아 요한에게 책망을 받고그 위에 한 가지 악을 더하여 요한을 옥에 가두니라'   세례요한은 하나님이 참 사랑하는 좋은 소리였습니다.하나님이 그를 참 마음에 들어하시고기뻐하시고 좋아하셨습니다. 왜 예수님이 하나님이 세례요한의 소리를 좋아하셨을까요?왜 세례요한의 메시지를 좋아하셨을까를좀 묵상해 보았어요. 그랬더니 세례요한의 소리에는군더더기가 없더라고요. 인간적이고 인위적이고 뭐 그런 것이 없고‘복음을 순수하게아주.. 2006.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