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세하지 말라 마 5:33 - 37우리들의 생활 속에서도 보면 맹세를 많이 하게 되는 것을 봅니다.국가간에 맺어지는 조약, 개인적으로 맺어지는 맹세, 서약 . . .하나님에게 하는 서원, 맹세, 약속 . . .1. 맹세란 무엇인가 ?맹세란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이나 말에 대한 사실을 확증하고 증명하기 위해서 특별한 대상을 보증인으로 해서 하는 굳은 약속이 맹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사람들이 하나님을 증인으로 하여 무엇을 선언하거나 엄숙하게 약속하는 행위를 맹세라 합니다.또는 돈을 걸고 하기도 하고, 자기 목숨을 걸고 하기도 합니다.성경에 보면 맹세에 관해서 많은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1) 하나님께서 하신 맹세가 있습니다. 맹세 혹은 언약이라 합니다.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이삭을 모리아산에서 제물로 드릴려고 할.. 2024. 11. 19.
애통하는 자의 복 마 5 :4사람이 사람의 순수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면 감정의 동물이라 눈물을 잘 흘립니다.그러나 사람이 인간성을 잃어버리면 마음이 강팍해져서 눈물이 말라 버립니다.하나님의 은혜에 감격해서 울고, 주님의 사랑에 감동해서 울고, 구원의 은혜에 감사해서 울고,하나님의 무한한 위로에 울고,  멸망의 길로 가는 자들을 보니까 불쌍해서 울고....때로는 자신의 죄를 인하여 회개의 눈물을 흘리고,  무능하고 속상해서 울고...우리들의 생활 속에 늘 즐거움만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고통도 있다는 것을 우리들은 잘알고 있습니다.그런데 오늘 말씀을 보면 애통하는 자가 복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예수님께서 왜 매우 슬퍼하는 자가 복있다 하셨는가 ?통한히 여기는 자가 왜 복이 있는 사람인가 ? 주님께서 말씀하신 의도를 .. 2024. 11. 19.
핍박 받은 자의 복 마 5:10 - 12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그 행복의 기준에 있어서 차이는 있지만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행복을 찾아 떠나서 행복을 만나 이것이 참 행복이구나 하면서 살았는데 시간이 지내고 나니까 그것도 참 행복이 아니 였습니다. 이 세상이 말하는 행복은 무지개와 같고 손에 잡힌 미꾸라지 같습니다. 잡았다 싶으면 어느새 빠져나가고 빈 손만 있는 것입니다.성도는 행복을 잡으려고 쫒아다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이루어 놓으신 행복의 세계에 들어가기만 하면 됩니다. 그 세계 안에는 우리들이 이루기 위해서 쫓아다니던 모든 행복을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위하여서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준비해 놓으셨습니다.오늘도 하나님을 사랑하고, 주님을 사랑함으로 이 시간에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분들은 하나님이 준비 해.. 2024. 11. 19.
의를 갈망하는 자의 복 마태복음 5:6"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배부를 것이요."먼저 두 가지 예비적 소견을 말하겠습니다. 이 두 소견은 본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어떤 관점을 제공해 줄 것입니다.첫째로 앞의 강해에서 우리가 지적했듯이 이른 바 8복이라는 이 그리스도교적 삶 의 파라독스는 하나의 연결된 사슬, 혹은 한 공동 뿌리에서 자라 나온 싹입니다. 각각의 인격은 모두 선행하는 인격을 전제로 합니다. 물론 인격을 쌓아가는 과정에 서 어떤 단계적 획일성을 기대한다는 것은 잘못입니다.그리고 우리의 생각으로는 상호 구분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단계 들입니다. 실제로는 동시에 발생하거나 혼합적 양상을 띨 수도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은 여기에서 진정한 그리스도교적 삶의 성장 단계들을 낮 .. 2024. 11. 19.
핍박을 받는 자의 복* 마태복음 5:10-12"의를 위히여 핍박을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요""핍박을 받는 자"에 해당하는 헬라어 원형은 디오코(1377)입니다. 이 단어는 문자 적으로 '추적하다, 추구하디, 뒤쫓다, 쫓아내다(몰아내다)'라는 뜻이며, 비유적으 로 '열심히 추구하다, 성취하려고 노력하다, 얻으려고 애쓰다, 박해(핍박)하다' 등을 뜻합니다.핍박받는 자들에게 주는 하나님의 선물 신약성경에서 가장 보편적인 의미는 '박 해하다' 흑은 '핍박하다'이며, 이 구절에서도 이런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핍박 ' 보다는 '박해'라고 하는 것이 더 강한 표현입니다. 박해를 받는 것은 그 사람이 하나님 편에 있다는 표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의를 위하여 핍 박을 받는 자가 복이 있다'고 말씀하십.. 2024. 11. 19.
【기독교-209 :일반-258】 방문 【기독교 -209개    일반-258개  총467개】 기독교 209개 일반258개 1.성경 A. 기독교1. 성경http://www.holybible.or.kr/ : HolyBible, 개역한글 검색 읽기 듣기http://www.bskorea.or.kr/ : 대한성서공회, 개역한글 검색http://kcm.co.kr/bible/korea.html : 인터넷 성경, 개역한글 검색 읽기http://www.bible4u.pe.kr : 바이블포유, 다국어지원 검색 읽기 듣기http://bible.godpia.com/ : 갓피아 성경, 개역한글 검색 읽기 듣기http://www.audio-bible.com/bible/bible.html : 영어성경 듣기http://bible.crosswalk.com/ : Cro.. 2023. 1. 22.
새 찬송가 645 곡 출처 : YERAM.ORG새찬송가 목록(리스트) 645장 1. 만복의 근원 하나님2. 찬양 성부 성자 성령3. 성부 성자와 성령4. 성부 성자와 성령5. 이 천지간 만물들아6. 목소리 높여서7. 성부 성자 성령8.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님9.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10. 전능왕 오셔서11. 홀로 한 분 하나님께12. 다 함께 주를 경배하세13. 영원한 하늘나라14. 주 우리 하나님15. 하나님의 크신 사랑16. 은혜로신 하나님 우리 주 하나님17. 사랑의 하나님18. 성도들아 찬양하자19. 찬양하는 소리 있어20. 큰 영광 중에 계신 주21. 다 찬양하여라22. 만유의 주 앞에23. 만 입이 내게 있으면24. 왕 되신 주25. 면류관 벗어서 26. 구세주를 아는 이들27. 빛나고 높은 보좌와.. 2022. 11. 19.
성경 바른 번역 성경 바른번역 (겔16:26) '물건(성기)이 크다고 해서 (겔32장2절) '사자로 생각하였더니'  (겔46;21) '집'을 '뜰'로 번역해야  (고후 7:6) '낙심한 자들이'아니고  (단3장17절) '하나님이 계시다면' 은 (대상14장11절) '물을 쪼갬'을 '물을  (대하1장6절) '일천번제는 천번제사 (레21;7) '부정한 창녀'를 '창기나 부 (렘14장8절) '거류'[居留]를 ' 나그네 (렘30;18) '보루' 를 '궁궐'로 번역해    (렘31장19절) '볼기' 를 '넓적다리'로 (렘33장24절) '두 가계'를 '두 족속'  (렘49;17) '탄식하리로다'를 '비웃을  (롬 8:38) '내가 확신하노니' 아니고 ' (마 19장24절) '낙타가' 아니고 '밧 (마13장4.. 2022. 8. 19.
신약자료 및 사도행전 생터성경사역원’ 에게 있습니다.     신약 읽기에는 커다란 두 가지 난제가 있는데하나는 사복음서 상에서 예수님 행적을 시간 순서대로 따라가며 읽는 것이고요또 하나는 사도행전 상황에 맞추어 시간순서 대로 바울서신을 끼워 읽는 것입니다.두 가지 난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입니다.1) 한눈에 보는 예수님 행적 표사복음서를 하나로 통합해서예수님 행적을 시간 순서대로 한 줄로 세워 한눈에 볼 수 있는 큰 그림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생터성경일독학교(성경방)’를 통해서 배우시거나 ‘내비게이션’ 책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올려드리는 이미지는 ‘(사)생터성경사역원’ 본부에서 말씀을 사모하시는 여러분을 배려하여 음원방에만 올려 드리도록 특별히 허락받은 것이오니 참고하시고 절대 재배포 하시는 일이 없길 부탁드.. 2022. 5. 19.
성경 성립역사(전체목록) 성경 성립역사   개역개정판」 성경의 의의 교회 교육 연구소 편 구약 성경 본문 전래 과정에 대한  구약 성립 과정 구약성경 장별정리 구약성서 사본과 번역본-참조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서문 기존 번역의 개정을 위한 본문비평 서로 다른 정경 - 구약성서 : 천주 성경 번역의 문화적 과제    성경 성립과 번역 역사 성경 성문과정 이해 성경연대기 성경원문연구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성서의 사본과 역본들의 문제.장절 신약 성경의 원전(原典) 신약성경 장별정리 신약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양피지의 제작과정      위경과 외경의 종류 쿰란 사본들은 무엇을 뜻하는가 텍스투스 레셉투스의 정체(正體) 한국의 성경 번역 역사 히브리어 구약 본문 프로젝트의 중간 2022. 4. 10.
홈피(495교회)(가나다순) 각 교회 탐방 말씀 은혜받기( 자료출처 : 극동방속국 홈페이지에서 발췌 )(계속 이어집니다)          ipssen@daum.net각 교회 홈페이지(495 교회)가야교회가음정교회갈릴리교회갈보리교회갈보리채풀교회강남교회강남등대교회강남중앙침례교회강릉강동교회강릉성결교회강릉제일감리교회강릉중앙감리교회강변교회개봉교회거룩한빛광성교회경기중앙교회경남광교회경동교회경산아름다운교회경산중앙교회경신교회경주제일침례교회경주중부교회경향교회고척교회   공주중앙교회과천교회과천소망교회광림교회광명교회광명순복음교회광명오병이어교회광양금호교회광주동명교회광주서광교회광주성지교회광주소망교회광주순복음교회광주안디옥교회광주양림교회광주영천교회광주은광교회광주중앙교회광주청사교회광주포도원교회광진교회괴정중앙교회구미교회구미사랑의교회군포영광교회   군포제일교회금당남.. 2022. 3. 5.
반틸(C. van Til;1895- ) 코르넬리우스 반틸  - 개혁주의(칼빈주의)입장에서 볼 때 다 옳은 것은 아니지만 기독교 변증에 있어서 아주 큰 일을 감당해 낸 사람.목사,신학박사,1895년 화란 태생. 1927-1928년 사이에 미시간 주 스프링 레이크에서 목회하였고, 1929년 이 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변증학 교수를 역임했다.반틸의 변증학은 흔히 전제주의 (presuppositionalism)라고 불리운다.  =================================반틸은 말하기를, "성경의 내용을 연구하여 체계적 총전을 조직하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우리의 의무이다"고 했다.=================================="중립(neutrality)은 없다" 유명한 기독교 변증학자 '코르넬리우스 반틸'이 한 말입.. 2022. 3. 5.
상담학 (289편) 상담학  289편    가정(家庭)에서는 주부(主婦)로서의 개척교회 목회자가 지불해야 할 것 개척교회(開拓敎會)목회자 사모의 개척하면서 하지 말아야 할 것들 개척하여 잘 모였다 쉽게 흩어지는  건방진 아마추어 목사 실패 사례 고급차 타는 세분 목사님들의 처신법 교역자에게 기쁨이 있어야 교회가 부 교직(목사직)은 왜 동등한가? / 장대 교회 주인이 장로인가 목사인가? /장   교회가 시험(敎會試驗)들었을 때의  교회는 지도자로 인하여 교인들이 교회 교회를 위한다고 물리적으로 원로  교회에 부임하여 맨 처음 할일과  교회의 목사들과 그들의 권한 (존  교회의 핵심부 당회 권위주의 Head sihp 목사의 15가 권위주의 반대편목사 훌륭한 리더십 목 기성교회 초임 목회자의 위험한.. 2022. 2. 24.
혁신{349편) 교회는 구제와 더불어교회는 죽어야 산다교회다운 교회가 되려면교회라는 우상 허물기교회란교회론연구교회바보교회부동산80조원,연간헌금4조8천교회부흥과 교육적 방향교회부흥운동과 역사적 개혁주의교회성장 10대 지침 11교회성장 기초개념교회성장 -피터 바그너 -교회성장과 새신자목회교회성장세미나  교회성장-신동우 목사교회성장에 관한 연구-충신교회를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교회성장을 위한 7대 투자교회성장을 위한 창조적 변화 III교회성장학] 도날드 맥가브란, 피교회성장형 리더십교회양질적성장학론목회교회에 다니기 두려운 이유들교회에 다닌 연조가 오래되거니교회에서의 목사와 장로교회에서의 영적 지도력 개발교회와 예배당교회와 주일성수교회와 카운터    교회음악(회중찬송)의 역사 (요약)교회의 가정사역교회의 정치교회정치와 계파형성의.. 2022. 2. 24.
심리학 이론 73가지 심리학 이론 73가지  심리학 이론 73가지1.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배탈이 났다고 하더라도 닭고기와 배탈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특정한 먹거리의 미각과 뒤에 따르는 결과(질병) 사이의 관련성을 학습하는 놀랄 만한 재능을 '가르시아 효과'라고 한다.가르시아 효과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유기체들이 가지고 있는 생존 본능이다. 사람과 동물은 자기의 생명을 위협하는 먹거리를 한번의 경험만으로도 터득하는 놀라운 재능을 가지고 있다.2. 가짜약 효과(Placebo Effect)약효가 전혀 없는 약.. 2022. 2. 22.
기독교강요 해설 1. 서론, 생애 및 주요 사상2. 기독교강요의 발전과정 및 주요내용- 최종판을 중심으로 강의를 함  1. 라틴어 직역 기독교강요 / 존 칼빈. 문병호 역 / 생명의 말씀사2. 기독교강요 요약(최종판) / 존 칼빈, 이형기 / 크리스찬 다이제스트3. 기독교강요 / 제임스보이스. 지상우 역 / 크리스찬 다이제스트4. 칼빈, 생애와 사상 / 이양호 / 한국신학연구소5. 하나님의 절대 주권 / 김봉환 / 다사랑6. 존 칼빈의 생애와 업적 / 파커, 김지찬 / 생명의 말씀사7. 종교개혁과 칼빈의 영성 / 정승훈 / 대한기독교서회8. 교회의 개혁자 요한 칼빈 / 정성구 / 하늘기획9. 칼뱅신학 / 최윤배 /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10. 칼빈의 생애와 저서들 / 불페르트 더 흐레이프, 황대우, 김미정 역 / SFC.. 2021. 11. 7.
1536년 판 기독교강요가 나오기까지(1) 서 론Ⅰ. 1536년 판 강요가 나오기까지(1532-35)A. 기독교 강요 초판의 전주곡1. 프랑스 복음주의자들의 딜레마기독교 강요가 쓰이게 된 이면에는 프란시르 1세라는 수수께끼 같은 인물이 버티고 서 있다. 존 칼빈이 프란시스1세의 진노에 처음으로 직접 맞닥뜨리게 된 것은 1533년11월 1일 ‘모든 성자들의 날’(All Saint' Day)이후였다. 그 날 파리에서는 니콜라스 콥(Nicolas Cop)의 파리대학 총장 취임이 있었다. 그때 그가 행한 연설은 사실상 마태복음 5:1-12에 관한 강해 설교였다. 칼빈이 그 설교를 작성했는가 혹은 최소한 그것에 일익을 담당했는가 하는 것은 아직도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이다. 칼빈이 당국자들에 의해 그 설교문 작성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았다는.. 2021. 11. 7.
칼빈의 기독교 강요 요약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지식  제 1 장하나님에 관한 지식과 우리 자신에 관한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이 둘은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있는가? 1. 자신을 알지 못하고는 하나님을 알지 못한다. 모든 지혜 두 부분하나는 하나님에 관한 지식, 다른 하나는 우리 자신에 관한 지식.이 두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먼저이며, 어느 쪽의 지식이 다른 쪽의 지식을 만들어 내는가를 구별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인간은 먼저, 자기 생각을 돌려, 자기가 "힘입어 살며 기동"(행 17 : 28) 하고 있는 바, 하나님을 생각하지 않고는 아무도 자신을 살펴볼 수가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받은 은사들 중 그 어느 하나도 우리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 없으며, 심지어는 우리의 존재.. 2021. 11. 6.
0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1) 헤겔 (Georg W.F.Hegel,1770-1831).(1) 생애a. 시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출생하여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했다.b. 가정교사,예나 대학 강사, 신문기자,고교 교장 등을 거쳐서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교수가되었다가 베를린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2) 사상a. 관념론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범신론을 주장했다.b. 셀링(Schelling)의 세계관을 근거하여 체계화 하려고 시도하였고,논리와 형이상학을 동일시하였으며,실재를 활동과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c. 라이프니쯔의 주지설을 발전시켜 이성과 절대자를 동일시하고 이성은 논리적과정 그 자체라고 했다.d. 변증법적 과정에 있어서 3가지 요소를 제시했.. 2021. 11. 3.
<기독교 강요> 산책-칼빈의 생애와 사상(고 광 필 교수) Ⅱ. 칼빈의 생애와 사상사람을 이해하는 데에는 두 가지 중요한 방법이 있다. 첫째는 알고자 하는 그 사람과 친밀하게 사귐(κοινωνια: fellowship)을 갖는 것이고, 둘째는 알고자 하는 사람의 작품이나 살아온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자는 어떤 관계성 속에서 한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며, 후자는 개인의 역사를 통해 한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란 과거에 일어난 그 사람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칼빈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이 모두 필요하다. 그러나 현대를 사는 우리가 종교개혁시대의 칼빈과 사귐을 갖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그가 더 이상 이 세상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칼빈을 이해할 수 있는 길은 오로지 그의 생애와 사상, 즉 그의 .. 2021. 11. 2.
1)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생애 1)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생애하르낙은 1851년 5월 7일 리보니아(Livonia)에 있는 도르팟(Dorpat)에서 출생하였다. 선조때 독일에서 러시아로 이거(移居)했으며 외조부는 도르팟대학의 교수와 도르팟 교구의 목사였었다. 부친도 동대학에서 실천신학과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다가 독일 에어랑겐 대학으로 옮겨 13년동안 교수로 봉직하다가 다시 도르팟으로 돌아와 1889년에 별세하였다.이런 훌륭한 가문에서 성장한 하르낙은 에어랑겐과 도르팟에서 공부하다가 1872년 10월에 집을 떠나 라이프찌히(Leipzig) 대학으로 갔다. 그는 그 곳에서 1874년부터 교리사(敎理史) 강사 생활을 시작하여 1876년에는 시간강사로 강의하였다.그는 1879년에는 기센(Giesen) 대학의 교수로 임.. 2021. 10. 30.
아돌프 폰 하르나크 아돌프 폰 하르나크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아돌프 폰 하르나크아돌프 폰 하르나크(독일어: Adolf von Harnack, 1851년 5월 7일~1930년 6월 10일)은 독일의 개신교회 신학자로. 자유주의 신학자이자, 교회사 연구가이다.목차1경력2신학2.1신학적인 업적2.2교리사 연구2.3그리스도론2.4사도신조 수용논쟁 참여3분류경력[편집]1851년 리보니아의 도르파트(독일어: Dorpat,현재 에스토니아의 '타르투')에서 독일인 신학교수 '테오도시우스 하르나크'(Theodosius Harnack)의 아들로 태어나, '아돌프 하르나크'로 이름을 지었다. 라이프치히(1876년),기센(1879년),마르부르크 대학교(1886년)를 거쳐 베를린 대학교(1888년-1921년)에서 가르쳤다. 1914년 독.. 2021. 10. 30.
사도신경 강해 사도신경 강해Ⅰ. 서론1. 사도 신경의 기원사도신경은 8세기에 이르러서야 오늘날의 형태와 똑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400년 경 루피누스는 그의 저서 [사도신경 주석]에서 사도들이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여 세계로 흩어지기 전에 한 자리에 모여서 그들이 서로 다른 메시지를 전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짧은 요강을 만들었다고 했다.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는 마태복음 28:19를 확장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에 관한 교회의 신앙을 이 신조는 정의하고 있으며, 사도 신경은 모든 선교를 위한 설교의 기초가 되는 신앙의 근본적인 사항에 관한 교회의 신념을 선포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 틀림없다. 이 사도신경은 3세.. 2021. 10. 7.
들소리 신문 64편 들소리 신문 64편   4차 산업혁명과 교회의 미래 가장 중요한 문제 가짜 열심에 빠진 교인들 개혁의 본질이 이것인 것을!! 거짓 능력과 참 능력을 분별하라 거짓말 유통 시대에 가장 위험한 거짓말 공로패를 받고도 호되게 책망 받은 목사님 교인이 교회를 떠날 때, 예절은 불필요한가? 교회 지도자의 도덕성 검증, 필요하다 교회가 걸림돌인가, 세상이 걸림돌인가?   교회가 커지면 건강한 공동체일까? 교회안의 호가호위(狐假虎威) 교회에도 꼰대가 많다 교회의 임직, 축하할 일인가? 권사 직분 값을 깎아주겠다며 흥정한 목사님 나는 가짜 목사였다 뇌물이 된 헌금 담임 목사 청빙인가, 모집인가? 담임목사 신임투표 하는 교회 대형교회가 교회의 스승인가?     막말하는 목사님들 목사님, 갈만한 교회가 없어요 목회자의 노.. 2013. 10. 21.
아브라함 카이퍼- 사상과 삶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아브라함 카이퍼네덜란드의 개혁주의 목사이자 신학자, 교육가, 언론인, 그리고 정치인이었던 아브라함 카이퍼는 마슬루이스에서 개혁교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이후 레이든 대학에서 학부를 마치고 신학 박사학위를 받은 카이퍼는 개신교회 목사가 되었습니다. 카이퍼는 당시 교회가 직면한 핵심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교회는 두 세계관이 벌이는 치열한 싸움에 휘말려 있었습니다. 즉 인간과 인간의 지식, 인간의 능력에 입각한 세계관과 오직 그리스도 한 분께만 복종해야 한다는 세계관이 치열하게 대립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세속주의와 기독교, 이 두 체제가 모든 문제에 대해 주도권을 주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타협은 불가능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카이퍼가 주장했던 논리는 반론.. 2011. 4. 15.
아브라함 카이퍼-실제 생활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 3) 실제 생활by 아브라함 카이퍼'칼빈주의의 신앙고백(특히, 성도의 견인과 예정 교리)은 필연적으로 너무 쉬운 양심과 위험천만한 도덕적 방종을 만들어내고 있지는 않은가?' 이것은 실제 생활에서 맺는 종교의 열매로서 칼빈주의를 생각할 때 줄곧 지적되는 것이다. 칼빈주의 교리가 부주의하고 불경건한 생활을 낳고 있다는 이러한 비난에 대하여, 칼빈주의는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뇨'하고 간단하게 답한다.반율법주의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불경건한 탐욕으로 칼빈주의 신앙고백이 남용되기도 하지만, 그것은 칼빈주의적 진지함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그 영혼으로부터 전능자의 위엄에 놀라고 영원한 사랑의 강력한 능력에 복종하여 하나님께 선택받았고 하나님께만 감.. 2011. 4. 14.
아브라함 카이퍼 - 칼빈주의와 종교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빈주의와 종교 > - 1) 종교 자체by 아브라함 카이퍼첫번째 강연에서 칼빈주의가 기독교의 완성된 모습으로서, 그리고 삶의 체계로서 높고 풍성한 인류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던 아브라함 카이퍼는, 그의 두번째 강연에서 하나님을 경배하는 종교 영역에서 칼빈주의가 차지하는 위치를 설명한다. 매우 빠르게 지어진 미숙련자의 솜씨처럼 지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세계를 하나님께로 이끄는 칼빈주의의 놀라운 힘의 비밀은 무엇인가? 카이퍼는 이 문제에 대하여 종교 자체, 교회 생활, 실제 생활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차례로 답한다. 종교는 다음 네 문제에 대하여 대답하여야 한다. 1. 종교는 하나님을 위하여 존재하는가 아니면 사람을 위하여 존재하는가? 2. 종교는 직접적.. 2011. 4. 12.
아브라함 카이퍼 - 생애와 사상]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아브라함 카이퍼의 생애와 사상] 1987년은 아브라함 카이퍼 탄생 150주년이었다. 화란에서는 작년에 신문과 잡지들에서 카이퍼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재평가를 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화란에서는 카이퍼의 출생지인 마슬부이스에서 카이퍼의 특별 전시회를 갖는 한편 다방면의 글들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일본 칼빈 학회에서는 아브라함 카이퍼 세미나를 가졌으며 금번에는 R. E. S.의 Theologrcal Forisn에서 아브라함 카이퍼 특집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한국 칼빈주의 연구원'이 주최가 되어 카이퍼 전시화와 세미나를 열게 된 것이다. 19세기에 있어서 아브라함 카이퍼 만큼 개혁신학의 장을 크게 발전시키고 영향을 미친 인물은 없다. 그는 조국 화란에서 삶.. 2011. 4. 10.
아브라함 카이퍼는 -우리에겐 어떤 의미인가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우리에게 아브라함 카이퍼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1)   기독교 세계관 학술 동역회 소식지 2011년 7월호에 실린 글을 다시 소개합니다. 우리에게 아브라함 카이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1)기본 전제와 일반 은총에 대한 강조를 중심으로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가 다시 한 번 더 소개된 것을 계기로 해서 (Cf. 정성구, 『아브라함 카이퍼의 사상과 삶』 [서울: 킹덤북스, 2010].) 카이퍼에 대한 논의를 좀 더 하면 좋겠다는 김승욱 교수님의 말씀에 따라서 몇 차례에 걸쳐 간단한 논의를 하려고 합니다. 기본적인 이야기는 한국 기독교인인 우리들에게 있어서 카이퍼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이 논의를 위한 기본적 전제를 먼저 밝히고.. 2011. 4. 7.
C.S.루이스 - 정체성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C.S.루이스 정체성  우리가 위대하게 생각하며 독서하는 수 많은 신앙의 위인들 중에영적 간첩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 한 사람을 예로 든다면,C.S 루이스(Clive Staples Lewis, 1898-1963) 입니다.  그는 문학이라는 장르와 친해서인지 성경의 역사성을 거부하며 결과적으로 성경을 허구로 만드는데 탁훨한 솜씨를 나타냅니다.  그의 약력을 조금 살펴보자면, 1931년 기독교로 개종했습니다. 그 해 9월, 반지의 제왕을 쓴 J.R.R. 톨킨과 H.V.D. 다이슨과 함께 기독교에 관하여 논하게 됩니다. 사탄을 숭배하는 일루미나티 회원이며, 프리메이슨 조직에 하나인 황금여명회 회원이었던 톨킨의 제자이자 친구가 됩니다. 1933년, 가을 학기에 "인클링스.. 2011.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