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교회사에서 본 금주 단연 운동 이상규교수 (고신대학교 신학과) 한국교회는 한 때 금주, 단연의 아름다운 전통을 지니고 있었지만, 오늘날 그리스도인에게 술과 담배는 어정쩡한 위치에 있다. 음주나 흡연이 그 어느 측면에서도 이롭지 못하다는 점을 알면서도 사회적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우리 시대의 문화로부터 완전한 자유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한국교회의 전통인 금주 단연이 약화되고 있고, 그것은 교회가 지도할 사안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개인의 선택적 사안이라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술과 담배에 대해 한국교회가 어떤 입장을 취해왔는지를 뒤돌아보는 일은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에게 교훈이 되리라고 본다. 이 글에서는 초기 한국교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금주 단연 운동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음주, 흡연문제에.. 2022. 10. 18.
한국 교회사 7 한국 교회사 7 제12편 일본 군국주의 통치하에서의 교회의 시련 황국식민화정책 : 신사참배, 동방요배, 황국신민서사, 창씨개명, 일본어상용등의 한민족말살정책을 통해 전 국민의 일치성과 한민족을 정신적으로 완전히 일본화하려는 정책이다. 기 독교학교에 대한 억압 : 일제는 신사참배는 종교적의식이 아니고 국민 한 사람으로서 국가에 대한 의무로 수행하는 종교성이 없는 행위라고 역설하였다. 각급학교에 신사참배를 강요함으로 기독교학교를 굴복시키려 하였다. 결국, 숭의중, 숭의여중 교장인 매쿤과 스눅크는 미국으로 추방되었고 1937년 이들 학교는 폐교신청을 하였다. 북장로교회, 남장로교회의 학교들은 모두 신사참배 절대 불가라는 입장을 가졌으므로 각급학교를 폐쇄하였다. 교회교회지도자들의 굴복 : 로마 가톨릭은 1936.. 2022. 7. 1.
한국 교회사 6 한국 교회사 6 제12편 1920-30년대의 교회상황 길 선주목사의 사경회 : 민족 대표 33인 중 한사람인 길선주목사는 2년의 옥고를 치렀는데 감옥에 있으면서 요한계시록을 거의 외웠고 이라는 계시록 강해집을 만들었다. 그의 종말사상은 한국교회로 하여금 내세지향적으로 이끌고 간 것이 아니라 말세학에서 지상의 낙원이 이 땅에서 이루어진다는 독특한 신앙을 가졌다. 김익두목사의 이적집회 : 스왈른 선교사를 통해 예수를 믿고 성례를 받기전에 신약을 백번이나 읽었고 '기도선생'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평양장로회신학교 3회 졸업생인데 1926년 남대문교회에서 지식층청년들이 기독교신앙을 미신적으로 이끌어간다고 반대하기도 하였다. 그는 억압속에 있는 대중들에게 초자연적 성령의 역사를 통하여 한국 교회에 생명력을.. 2022. 7. 1.
한국 교회사 5 한국 교회사 5 제9편 한국교회의 조직과 수난 장로교회의 조직 : 1901년 마펫은 김종섭, 방기창을 데리고 신학교육울 시작하여 장로회신학대학교의 효시가 되었다. 1915년에는 등록학생수가 250명을 넘었다. 1 907년 길선주, 방기창, 송인서, 한석진, 이기풍, 양전백, 서 경조 등 7명이 첫 졸업했다. 1907년 9월 평양 장대현교회에서창립노회를 개최하여 목사7명, 장로 53명, 교회988개, 세례교인 70,000명의 교회로 출발하였다. 1912년에 7노회로 총회가 창립되었는데 총회장은 언더우드, 부회장은 길선주 목사가 선출되어 한국장로교회는 세계교회의 일원이 되었다. 총회 창립후 중국 산동성에 김영훈, 사병순, 박태로 목사를 파송하였는데 크게 성공했다. 감리교회의 조직 : 1908년 정동교회에서 .. 2022. 6. 26.
한국 교회사 4 한국 교회사 4 제8편 교회의 애국과 사회개혁활동 을 미사변(1895)과 선교사들 : 청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끝나자 일본은 한국의 국모인 명성황후를 살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켰다. 이때 선교사들은 국왕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을 하여 국왕, 대신들, 백성들에게 기독교를 애국충군의 종교로 이해하도록 인식되게 되었다. 춘생문 사건 : 을미사변후 연금된 고종을 춘생문울 통해 고종을 출궐하려던 사건인데 변절자의 신고로 실패했다. 우연챦게 선교사들이 연루되었지만 국민들의 눈에는 국왕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으로 비쳤음에 틀림없다. 을미사변이 나고 4개월 후 고종은 러시아 대사관으로 피신하는 아관파천을 하였고 고종은 1년후 경운궁으로 환궁하였다. 고종의 탄신 기념행사 : 1896년 9월 2일 국왕 탄신일에 기념예배를 드리.. 2022. 6. 22.
한국 교회사 3 한국 교회사 3 제5편 선교부의 선교정책과 한국교회의 성장 네비 우스 선교정책 : 선교방법론에 탁월한 네비우스 선교사에 의해 세워진 원칙으로 선교사는 폭넓은 순회선교를 통해 전도하며, 성경이 모든 사역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모든 예배단은 신자들 자신들의 힘으로 건축되어야 한다. 모든 신자들은 조직적인 성경공부를 해야 하며, 엄중한 훈련과 치리를 해야 한다. 적어도 지역을 분할하여 일한다. 보통 3자정책으로 부르는데 자치(自治), 자립(自立), 자전(自傳)이다. 선교지 분할 정책은 예양협정으로 북장로교회는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경북을, 남장로교회는 전라도, 충청도를, 캐나다장로교회는 함경도지역을 담당하여 선교하기로 합의하였다. 초기 한국 교회 급성장의 원인 : 한국에는 강력한 국교가 없었고, 기독교.. 2022. 6. 22.
한국 교회사 2 한국 교회사 2 제2편 선교사 이전의 개신교와의 접촉 칼 귀츨라프의 선교여행: 한국에 첫발을 디딘 성직자(1832년) 성경,의약품,주기도문 번역 알렉산더 윌리엄슨: 중국에서 한국의 천주교 신자들로부터 한국의 천주교 박해상황을 접한 그는 토마스 목사를 도와 1865년에 한문성경을 가지고 셔먼호를 타게 했으나 화재로 한국에서 순교한 최초의 개신교 성직자가 되었다. 만주에서 입교한 의주 청년들: 고려문에서 백홍준, 이성하, 김진기와 교제하였고 3년후 매캔타이어 선교사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로스는 의주청년들과 성경변역을 시작하여 1882년 봄에 를 시작으로 1887년 신약 전체 번역이 완료되었다. 권서, 매서인의 활동: 서상륜은 최초의 권서로 임명되어 전도함으로 최초의 예배를 드렸다. 1.. 2022. 6. 22.
한국 교회사 1. 한국 교회사 1. 제1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한국 선교 경교: 431년 에베소 네스토리우스가 마리아를 '그리스도의 어머니'라 하여 이단으로 정죄 선교사를 양성, 인도, 아라비아, 중국, 타타리까지 전도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주후 635년 알로펜 일행이 당에 도착, 선교. 9세기 중엽 도교신자인 무종의 종교탄압으로 자연히 소멸 루부룩 : 로마교황청에 보낸 편지에서 한국을 '까울레(Caule;고려)라고 기록. 로마 가톨릭의 중국선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코르비노 신부가 도착한 1294년 이후 1305년 황제의 후원으로 선교가 크게 성공하여 수세자가 6천명(1307년 중국교구가 창설) 원나라가 1368년에 멸망함으로 소멸. 세스페데스 : 예수회의 선교사가 일본에 도착(1541년 프란시스 사비에르) 임진왜란.. 2022. 6. 22.
초대 교회사(수도주의 운동과 도나티즘) 1.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 - 알렉산드리아의 피에리우스 문하에서 수학한 가이사랴의 팜필루스에게 깊은 인상을 받음. 피에리우스는 오리겐의 사역을 계승했던 유명한 인물.- 막시미우스 다이어의 박해 때, 스승 팜필루스와 함께 5권의 오리겐의 변호>를 공저. 스승의 순교 후 제 6 권을 완성- 혼란 속에서도 유세비우스는가 남긴 가장 중요한 업적 : (Church History)를 저술 → 유세비우스의 교회사가 없었으면 고대 교회사 자료의 대부분이 멸실 가능- 가이사랴의 감독직에 오른 지 수년 후 교회의 평화를 위협하고 내부의 분열을 야기시킬 위험성이 있는 신학 논쟁 : 아리우스 논쟁 → 그에게 있어서 교회의 평화와 통일성이야말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었다. [찬성 - 반대 - 찬성으로 선회]- 콘스탄틴의 존재와 .. 2022. 6. 22.
교회사 교회사 ( kcm.co.kr) 기독교의 기원 및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서술하는 것.예수님의 십자가 대속과 부활, 오순절의 역사에 기점을 두고 있음.평이한 구분은 초대교회사, 중세교회사, 종교개혁사, 근세교회사, 현대교회사 등 5 단계임.현대교회사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교회 역사을 다룸         ○ 초대교회사        ○ 중세교회사        ○ 종교개혁사 / 청교도         ○ 근대교회사        ○ 현대교회사       ○ 한국교회사 / 한국기독교약사 /   세계 기독교 약사   /성경 연대기       ○ 숨겨진한국교회사       ○ 세계 장로교회*        ○ 한국천주교약사        ○ 일반교회사          ○ 교회사에 나타난 이단성     .. 2022. 2. 28.
중세 교회사 중세 교회사 Ⅰ. 서론중세는 크게 세 시대로 나눌수 있다.초기시대는 592년 교황 그레고리 1세로 시작하는 교황권의 확대로부터 800년 신성 로마 제국의 설립에 이르기까지 중세교회의 선교와  수도원제도가 확립되었다. 이기간 동안에는 어거스틴 신학을 정리하는 데 힘을 쏟았으며, 반-어거스틴 신학의 정립으로 중세 전반에 걸쳐서 어거스틴을 이해하는 구체적인 기반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는 중세교회가 외부적인 침입을 받아서 기독교권의 침체와 축소를 맞이하였던 기간이다.중기 시대는 교황권의 확립을 이루었다. 교회의 세력확보는 내부적인 부패를 의미한다. 중세교회는 정치적인 결탁에서 오는 재력의 확보를 인한 시몬주의, 교황권을 둘러싼 음란주의가 부패하는 개혁으로서 정치적인 면에서는 오토 대제의 개혁운동, .. 2022. 2. 20.
한국 교회사 한국 교회사 한국 교회의 역사는 세계 기독교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매우 독특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 기독교가 전래된 과정을 보아도 그렇고, 교회의 놀랄 만한 급성장과 극심한 고난 등이 그렇다. 이 모든 것들은 하나님께서 한국 교회를 향하여 분명한 뜻을 가지고서 역사하셨음을 깨닫게 한다. ○ 한국의 샤머니즘 한국에 기독교가 전래된 과정에는 편의상 그 이전의 경교와의 접촉 및 카톨릭의 전래 과정이 포함된다. 431년 에베소 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된 네스토리우스파(Nestorius)는 경교(景敎)라는 이름으로 중국에 전파되었다. 당시 중국은 당나라가 지배하고 있었고, 당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던 신라에 경교가 전파된 흔적이 발견된다. 카톨릭은 일본과 중국을 통해서 접촉되었는데, 일본.. 2022. 2. 17.
일반 교회사 일반 교회사 기독교의 일반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지리적 배경과, 정치적 배경, 사상적 배경, 종교적 배경으로 볼 수있다.먼저 지리적 배경으로는 기독교가 발생한 팔레스틴은 길이가 150마일, 넓이가 60마일로 우리 나라 강원도보다 작은 땅이다. 동쪽으로는 넓은 아라비아 사막이 있고, 서쪽은 푸른 지중해 물이 출렁대며, 북쪽에는 해발 900피트가 되는 헤르몬 산에 항상 흰눈이 쌓여 있어, 거기서 흐르는 물은 갈릴리 호수와 요단강이 되어 남쪽 사해에 이른다.정치적 배경에 있어서는 팔레스틴은 지정학적으로 볼 때 고대 세계에 있어서 근동에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독교가 탄생하던 당시 지중해 연안은 정치적인 통일을 이룩한 시기였다. 이 통일은 로마 황제 케사르의 공적이었다. 포에니 전쟁 이후로 귀.. 2022. 1. 17.
콘스탄틴 시대의 교회사 콘스탄틴 시대의 교회사 [순례하는 교회] Andrew Miller 소위 콘스탄틴이 회심하기 전까지의 종교생활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바는 그가 열심이지는 않았지만 외견상 이교도였다는 것이 전부이다. 유세비우스도 콘스탄틴이 회심하기 전에 어떤 종교를 택할지를 주저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의 장래의 종교적 경력을 결정하게 한 주된 요소는 정치, 미신, 위선, 신성한 영감 등이었다. 그러나 콘스탄틴의 신앙고백과 공개적인 선언이 단지 고의적이고 의도적인 위선에 불과하다고 추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그의 신앙적 노선과 교회적 노선에는 보다 더 높은 수준의 타당한 설명이 필요하다. 우리는 그의 정오의 환상이나 한밤중의 꿈에 신성한 영감에 가까운 무언가가 있다고 믿을 수 없다. 어쩌면 그의 상상이 태양이나.. 2022. 1. 12.
숨겨진한국교회사 1. 씨뿌린 흔적        머리 말    1. 첫 번째 파종자 구츨라프    2. 두 번째 파종자 토마스 2. 요람지 소래    1. 요람지 소래  3. 언제부터였을까?    1. 1885년 설    2. 1884년 설      3. 기타의 주장들      4. 1883년 설    4. 소래 예배당    1. 초가집은 과연    2. 기와 집 예배당 (1)    3. 기와 집 예배당 (2)    4. 희년 기념 예배당 5. 여명의 머릿돌    1~11. 서상륜의 생애   6. 개화의 꿈    1. 교육활동        1~3. 교육활동    2. 사회 개혁         1. 미신타파 운동          2. 단발령            3. 유색옷 장려           4. 양력문화 정착     .. 2021. 12. 30.
현대 교회사 목차[목차] [교회사] [현대교회사] [교회] 현대 교회사는 1648년 웨스트팔리아 宗敎平和(the Peace of Westphalia)이후 지금까지의 기독교회의 역사로 급변하는 세계문명ㆍ정치ㆍ사회의 노정에 교회가 어떻게 대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주안점이 있다. 이 시기 프로테스탄트파 교회에 등장하기 시작한 과제는 에큐메니칼(Ecumenical)과 복음주의(Evangelical) 운동이다. 에큐메니칼 진영은 마침내 로마 가톨릭과 동방정교회까지도 동참하고 있다.  한국교회는 세계교회협의회(WCC)에 참여하는 에큐메니칼 진영과 복음주의가 심하게 갈등하여 세계교회협의회에 가입하는 문제를 장로교회의 경우 통합 등(참여), 합동, 고신 등(불참)하여 분열하였다. 미국의 경우도 보수교단으로 알려진 남침례교회는 가입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20세기.. 2021. 12. 7.
현대 교회사 영국 종교개혁(제16,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역사적, 지리적 배경.    독일 교회{제 17세기 대륙의 교회들} 제 18세기의 교회사적 특성.[교회    현대사 교회 서론 현대 교회사 목차[목차] [교회사] [현 2021. 11. 28.
고대교회사 고대교회사- 헬레니즘과 로마문명에서의 교회역사 -V. 1.1 독일에서는 교회사를 5 시대로 구분한다:고대 교회사 – 중세사 – 종교 개혁사 – 근대사 – 현대사 (혹은 근대사와 현대사를 하나로 묶이도 한다)참고문헌:독일어 문화권의 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교회사에 교리사와 기독교 사상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회사 책을 읽으려면 철학적 기본지식이 요구된다. 교리와 철학을 많이 다루므로 책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별도로 집필된 교리사 교과서도 있다. 독일의 교회사가들은 대체로 철학이나 문화사에 정통한 사람들이다.Armin Sierszyn(아민 저진): 2000 Jahre Kirchengeschichte. 1권 고대 교회사가 1995년에 나옴으로서 독일어권 복음주의권에서는 처음으로 대학 교과서로 사용될 수.. 2021. 11. 4.
한국교회사 강의노트 (박용규 교수) 한국교회사 강의노트 (박용규 교수) 글쓴이: 비율빈-필그림 http://cafe.daum.net/chongshin39/4IKG/14 한국교회사 강의노트 (박용규 교수) 본 자료는 2007년 2학기 한국교회사(박용규 교수) 강의를 적은 필기노트입니다. 본 강의안의 지적 재산권은 박용규 교수님께 귀속되어 있으며, 문서에 첨부된 각종 사진자료는 인터넷, 직접촬영 등의 방법으로 첨부된 것입니다. 본 자료는 신대원 내에서 연구를 위한 자료로만 유통․사용될 수 있으며, 이 한도 내에서의 자유로운 배포와 복사를 허락하나, 내용의 위․변조는 금합니다(역사적 사실이기에 위․변조 자체가 불가능). 강의 내용은 대부분 “한국 기독교회사 Ⅰ․Ⅱ(박용규 저, 생명의 말씀사 刊)”에 들어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주교재를 참고하시기.. 2021. 11. 3.
[[세계교회사]] 영국교회 부흥과 쇠퇴의 원인 한국 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제 11주년 기념 세미나 김현배 목사 목차 1. 청교도와 부흥(Revival) 2. 청교도들이 끼친 영향력 3. 영국교회 부흥의 역사 4. 영국교회 현황 5. 영국교회 부흥의 원인 6. 부흥의 결과 7. 영국교회 쇠퇴의 원인 8. 결론 1. 청교도와 부흥(Revival) 부흥이란 성령께서 비상하게 역사하실 때 교회 생활에서 체험되어 활기없이 잠들어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내적인 삶을 다시 새롭게 하시는 역사이다. 즉 성도들이 영적으로 침체되었고 힘이 빠진 상태로 거의 죽어 가는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을 활기있게 하고 깨어 소생하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부흥 가운데 옛것들을 새롭게 하시고, 율법과 복음에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시고, 마음과 양심이 눈 멀고 딱딱하고 차가운 자들에게 새로.. 2021. 11. 3.
중세교회사 1 (과도기 & 이슬람 발흥) 중 세 교 회 사 1 중세 교회의 과도기(590-800) ▶중세시대 시대 구분 (1) 과도기(590 - 800) : 고레고리우스 1세 ~ 샤를마뉴 대제 (2) 성장기(800 - 1073) : 샤를마뉴 대제 ~ 그레고리 7세 (3) 전성기(1073 - 1303) : 그레고리 7세(힐데브란트) ~ 보니페이스 8세 (4) 쇠퇴기(1303 - 1517) : 보니페이스 8세 사망 ~ 루터의 종교개혁 ▶ 6세기 초반의 유럽 역사 이해(*그림 1) Ⅰ. 중세 교회의 과도기(590 - 800) 1. 카톨릭 교회란? (1) 명칭 1) 원래 명칭은 ‘신성 공동 사도적 로마교회’(Holy Catholic Apostlic and Rome Church) 2) 보편, 세계 교회가 하나의 단일 교회라는 의미로 사용함 3) 최초 사.. 2021. 11. 2.
중세 교회사 (내용 요약) / 조셉 린치 지음 중 세 교 회 사 조셉 린치 지음 / 심창섭· 채천석 옮김 1. 내용 요약 고대기독교: 기독교는 역사적 사건을 중요시 하는 종교이다. 이 신념의 원천은 구약성경-하나님과 인류, 그 택한 백성 유대인과의 관계를 이야기-이며, 동정녀 마리아 탄생, 인간으로 사심, 십자가에 죽으시고 3일 만에 부활하셨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오순절 사건, 즉 마가요한 다락방의 120명 모임에서 성령 충만을 받고(행 2: 42-47, 행 4:32-35), 믿는 무리가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유무상통하며, 사도들은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의 증거를 가르치는 역사적 사건을 경험한다. 그러나 상이한 집단들의 이해의 상이성으로 격렬한 격론을 경험하나 베드로를 비롯한 12 제자 , 예루살렘 공회 지도자 야고보, 바울, 바.. 2021. 11. 2.
초대교회사 초대교회사 1 (사도시대-니케아 전시대) 초대교회사는 예수그리스도의 탄생을 시작으로 AD 590년 그레고리 1세가 교황이되어 로마 제국의 박해에서 공식적으로 기독교를 인정하게된 시기까지를 말한다. 이러한 연대 구분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수 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죽음 AD 430년까지, 정치적으로는 AD 476년 로마의 멸망까지, 종교적으로는 AD 590년 그레고리 대제의 등장까지를 초대교회사 시대로 본다.     ○ 사도후 시대의 교회    ○ 바울이후의 초기 기독교     ○ 초대교회    ○ 초기 단계 : 예수의 종교    ○ 신약성경과 초대교회의 예배    ○ 로마의 기독교 10대 박해    ○ 초대교회의 확장가운데 박해 원인 및 과정, 그 결과에 관한 연구     ○ 초대 교회사(수도주의..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