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에 노예된 사람(사도행전 17:1~9) 목차로 돌아가기시기에 노예된 사람(사도행전 17:1~9) 저희가 암비볼리와 아볼로니아로 다녀가 데살로니가에 이르니 거기 유대인의 회당이 있는지라 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뜻을 풀어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야 할 것을 증명하고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 하니 그 중에 어떤 사람 곧 경건한 헬라인의큰 무리와 적지 않은 귀부인도 권함을 받고 바울과 실라를 좇으나 그러나 유대인들은 시기하여 저자의 어떤 괴악한 사람들을 데리고 떼를 지어 성을 소동케 하여 야손의 집에 달려들어 저희를 백성에게 끌어내려고 찾았으나 발견치 못하매 야손과 및 형제를 끌고 읍장들 앞에 가서 소리질러 가로되 천하를 어지럽게 하던 이 .. 2024. 3. 19. 히브리 노예제도 규례 (신명기 15장 12-18절) 히브리 노예제도 규례 (신명기 15장 12-18절) 1. 7년째 놓아주십시오 히브리인은 하나님의 백성이기에 원래는 종으로 삼지 못했지만 현실에서는 히브리인도 동족이나 이방인의 종이 되기도 했습니다. 빚이나 가난 때문에 스스로를 종으로 팔거나 부모에 의해 종으로 팔렸고 범죄로 인해 종으로 전락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동족인 히브리인을 종으로 삼으면 남녀를 불문하고 7년째에는 해방시켜주어야 했습니다(12절). 종을 안식년이 되는 7년째에 놓아주게 한 것은 현실적으로는 종 제도를 용납했지만 원칙적으로 사람을 종으로 삼으면 안 된다는 암시입니다. 또한 사람을 종이나 물건처럼 취급하지 말고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존재로서 존중해야 한다는 뜻이고 사람에게 자유만큼 소중한 가치는 없다는 뜻입니다. 그처럼 7년째에 종을.. 2022. 12. 27.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과 바벨론 포로 생활 | 시편 137편 되돌아가기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텍스트와 콘텍스트를 연결하는 방법 | 카라바조의 "성 마태오의 소명" [인문학으로 보는 서양 미술사] #12 세잔, 고흐, 고갱 [일상 & 인문학] 인문학으로 성경 읽기-하나님나라와 종말론(2): 성도는 죽어서 어디로 가는가:?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마크 트웨인의 '전쟁을 위한 기도' | 예수님 시대의 유대 사회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산헤드린 앞의 "테스(Tess)" | 사회의 강자가 약자를 대하는 자세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도메니코 페티의 걸작과 습작의 기막힌 운명 | 하나님이 인생을 주관하시는 방법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베니스의 상인으로 본 음행 중에 잡혀온 여인 인문학으로 보는 성경 | 아브라함의 부르심, 나에게 이런 의미다 | 아브라함 이해 인문학.. 2022. 6. 4. 자유의 노예(30편) 목록가기 2022. 3. 8. 로마제국의 노예제도(주후 1세기) 고대의 노예제도에 대한 전문 연구가인 모시스 핀리에 따르면, (로마서가 기록되던 당시의 경우에 해당될 수 있는) 네로 치하 로마시의 행정장관인 루키우스 페다니우스 세쿤두스는 그의 시내 저택에서만 400명의 노예들을 소유하였다. 거의 같은 시기에 로마시는 그 수도의 관리를 위해 을 포함하여 700여 명의 노예들을 상비 직원으로서 보유하였다[각각 Demosthenes 27.9-11, Lysias 12.19, Tacitus, Annals 14.43, Frontinus 96-118]. 타키투스가 얼마간 상세하게 전하고 있는 한 사건(Annals 14.42-5)은 당시 도시들의 혼란스런 사회적 상황에 의해서 야기된 갈등은 물론 그 모호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기원후 61년에 로마시 행정장관인 페다니우스 세쿤두스 .. 2021. 10.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