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르트교의학개요 17장 발제 제17장 십자가에 못박히고, 죽으시고, 묻히시고, 음부에 내려가셨다 발제범위: 칼 바르트, 전경연 역, 바르트교의학개요, 제17장 바르트는 본 장의 해설을 시작하면서 기독론의 큰 개념인 그리스도의 겸비와 높임을 언급한다. 그에 의하면, 그리스도의 겸비(성육신과 수난)만 얘기해서도 안 되고(서방교회의 십자가 신학), 그렇다고 높임(부활)만 강조해서도 안 된다(동방교회의 영광의 신학). 오히려 수난에서 부활을 보고, 부활에서 고난을 보아야 한다. ‘십자가에 못박히고, 죽으시고, 묻히시고, 음부에 내려가셨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겸비에 속하는 사도신조의 단락인데, 바르트는 이것을 한 종교 창시자의 순교사나 그것을 신화화한 것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고 한다: “사도의 증언이 의미하는 바는, 예수 그리스도가 받은 십.. 2021. 12. 17.
[바르트교의학개요]제5장 높은데 계신 하나님 발제 제 5장 높은데 계신 하나님 우리의 신조에서 “나는 하나님을 믿습니다”라는 말에서 바르트는 하나님에 대한 바른 정의를 원한다. 하나님은 신앙의 대상이다. 바르트는 우리가 기독교 신앙에서 하나님을 말할 때, 하나님이라 일컬어진 분은 종교적 사고가 보편적으로 만들어 낸 개념과 이념을 지속하고 보충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또한 하나님은 모든 신들의 계열에 속하지도 않는다. 그리스도인이 하나님이라고 말할 때 이 말은 선험적으로 근본적으로 타존재이며 사람의 탐구, 노력, 공상, 사변의 세계에 구속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다른 신들처럼 사람에 의해 발견 탐구되어 맨 나중에 발견해 놓은 신이 아니며, 인간이 개념적으로 추구하여 발견한 것의 완성, 최종, 최고, 최선의 완성도 아니다. 그리스도인이 말하는 하나님.. 2021. 12. 17.
K. Barth2009.09.11 09:34 [바르트교의학개요] 제1장 발제 제1장 교회의 선포 내용을 시대에 따라 성찰(선포)하는 학문으로서 교의학 범위: 칼 바르트, 전경연 역, [바르트교의학개요], 제1장 연구과제 본 장에서 바르트는 교의학의 개요를 다루기 전에 교의학의 학문성을 다룬다. 바르트는 교의학도 학문의 한 분야라고 한다. 그는 학문을 정의하기를, “학문이란 것은 일정한 대상과 사실의 범위에 관하여 이해하고 설명하고 탐색하고 가르치려는 한 시도”라고 한다(15). 따라서 교의학도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그 대상과 사실의 범위가 있는 학문이며, 그래서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이며 오류에 쌓인 사고요 연구며 비판적인 기술이다(18). 그런데 바르트는 교의학의 대상과 그 범위를 논하기 전에 교의학의 장(field)을 먼저 규정한다. 바르트에 의하면 교의학의.. 2021. 12. 17.
바르트교의학개요] 제2장 신앙은 신뢰이다 바르트敎義學槪要 (2009.9.10.목 김경주) 제2장 신앙은 신뢰이다 사도신조가 시작하는 “내가 믿습니다”(Credo)를 통해 우리는 신앙인의 삶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게 된다. 또한 그리스도 신앙과 교회의 선교가 문제로 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은 무엇을 믿고 어떻게 믿는가와 맞물린다. 이는 신앙의 주체적 형식과 근원에 대한에 관한 질문이다(23쪽). 특별히 기독교의 선교에서 문제되는 것은 본원적인 그리스도인이 믿는 대상(무엇), 곧 신앙의 내용과 대상으로 입증되는 것, 즉 사도신경에서 고백하는 대상(삼위일체 하나님)이다(24쪽). 그리스도교 신앙에서는 한 만남이 문제가 되는데, 즉 “크레도”라고 고백할 때의 대상이 그 대상이 되는 그“을”을 설명하고 그것에 의하여 우리의 주체적 신앙이 성립하게 되는 것이.. 2021. 12. 17.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68 성령과 그리스도교적 사랑 (서울신대 오성현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67 성령과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세우심 (숭실대 이용주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64 인자의 오르심 4. 아들의 인도 (정지련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64 인자의 고양 1, 2 (최영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53. 하나님 앞에서 자유 (오영석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50 하나님과 무 (황덕형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49 피조물의 주님이신 아버지 하나님 #1 (한신대 윤응진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명제 세미나를 격려글 (전 한신대 총장 오영석 교수) 내가 바젤에서 6년동안 바르트신학을 공부하는 동안 교의학교수이고 윤리학교수인 로호만( J. M. Lochman) 교수와 교회사 교수(종교개혁사) 가이거(M. Geiger) 두 분이 한 학기에 교의학 1권씩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저녁 6시에서 9시까지 3시간 동안 교의학을 읽고 발표하고 토론하고 교의학을 쓰면서 일어난 여러가지 에피소드를 가이거 교수가 감칠 맛나게 하였습니다. 상당히 많은 학생들이 그 세미나에 참석하였습니다. 그 세미나를 회고하면 나의 신학세계를 풍성하게 만들고 심화시킨 기회였습니다. 그 후 어느 젊은 교수가 로마서 2판을 2시간씩 강의하였습니다. 바르트의 인간학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면서 바르트를 꿈에 여러 번 만났습니다. 바르트 교수가 1968년에 소천하였고 나는 1977년에 유학하였..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72 성령과 그리스도 공동체의 파송 2 (고은철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72 성령과 그리스도 공동체의 파송 1 (손태식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71 인간의 소명 3 (이장섭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6 신론의 과제로서 윤리학(이상은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5 개인의 선택 3, 4(이신건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4. 공동체의 선택(김민호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3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장신대 임희국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2 올바른 하나님의 은혜의 선택교리의 과제(황돈형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1. 하나님의 자유의 완전성(이상은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30. 하나님의 사랑의 완전성들(최영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28. 자유롭게 사랑하시는 분으로서 하나님의 존재(이형기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제26강. 명제 24. 가르치는 교회의 역할로서 교의학(이신건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22 교회의 사명 (신준호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21 교회 안의 자유 (오성현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20 교회의 권위 (임희국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56. 제한 속의 자유 (백충현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55. 생명(삶)을 위한 자유 #1 (오성현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K. Barth KD] 명제 54. 공동체 내의 자유 #2 (황돈형 교수) 2021.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