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칭의’가 기형적으로 너무 강조되다---달라스 월라드 목록가기 칭의’가 기형적으로 너무 강조되다 도서요약 *칭의 : Justification, 예수를 믿으면 의롭게 된다는 신학 개념 「잊혀진 제자도」The Great Omission 달라스 윌라드, 윤종석 역, pp.224~232 ▲1. 현대 복음주의의 표지 (20세기 후반) 현대 복음주의Evangelical의 한 대변자는 현대 복음주의의 근본적 표지를 다음 3가지로 설명했다. *예수의 고유한 신성 (다른 말로, 예수의 신성을 믿지 않는 자유주의에 대한 반응)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 (성경이 인간의 저작이라는 데 대한 반응) *중생의 필요성 (칭의?) 이런 복음주의의 특징은 2차대전 이후에 생겨난 것이다. ▲2. 그 이전 복음주의의 표지 (종교개혁~20세기 초반) 저자 달라스 윌라드 박사의 주장에 의하면, .. 2023. 1. 16.
제32과 칭의(稱義) 제32과 칭의(稱義) 1.칭의(稱義)의 정의 1) 칭의의 관념을 나타내기 위하여 성경에서 사용된 말들 히브리어 {히츠띠크}와 헬라어 {디카이오( )}이다. 이 두 말은 다 법적 재판적 의의(意義)를 가진 용어들로서 사람을 의롭다고 선언하는 것, 즉 법정적 결정에 의해 의로운 자로 선고하는 것을 가리킨다. ① [히츠띠크=의롭다함]는 대다수의 경우에서 사람의 신분이 율법의 요구에 조화된다는 것을 재판적으로 선고함을 의미한다.(출23:7, 신25:1, 잠17:15, 사5:23) ② 신약의 [디카이오=의롭다 한다]는 구약의 [히츠띠크]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사람을 의롭다고 선언함}이라는 뜻이다. 2) 신학적 용어인 칭의(稱義, justification), 정의(定義), 득의(得意), 의인(義認)은 다 .. 2022. 4. 22.
칭의와 성화 롬5:1~10 칭의와 성화         롬5:1~10      박영선 목사 구원의 완성 시리즈 7 of 20강 ◑칭의도 은혜로, 성화도 은혜로 이룬다. ※아래 설교문은 '성화도 은혜로 이룬다'는 명제는, 소위 '개혁주의 성화론'입니다.그런데 이에 대비되는 개념이 '웨슬리적 성화론'(성화의 자기 노력)입니다. 참고로, A는 맞고, B는 틀리다는 식이 아니라, 서로가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해 준다.서로 모순된 A와 B를, 상호 보완적으로 둘 다 받아들인다.. 는 것이, 제 입장입니다. 다만 '성화가 은혜다'는 측면을, 인간 상식으로는 쉽게 깨닫지 못하는데,개혁주의 신학이, 이 간과하기 쉬운 내용을, 잘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 편집자 주.  ▲로마서 5:10절, “곧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그의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 2022. 2. 20.
목회자는 칭의(稱義)를 설교하라! 목회자는 칭의(稱義)를 설교하라! 저자 필립 H. 입슨(영국 런던 신학교 학장) 역자 신호섭(고려신학교 연수원 연구원) I. 서론 내가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는 이 칭의 교리에 대해 강의할 수 있게 된 것을 매우 큰 특권으로 생각합니다. 이 주제를 고찰하면서 우리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우리가 목회하고 있는 목양지의 회중들이 당연히 참된 신자들이며 복음 진리에 정통해 있다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회중들에게 반드시 복음적으로 설교해야 하며 주 예수를 믿으라고 설교해야 합니다. 참된 신자라면 누구든지 복음의 소식을 듣는 일에 대해 감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참된 삶을 살라고 촉구하며 요구해야 하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하나님의 .. 2022. 2. 15.
본문: 로마서 4:1-8 /제목: 이신칭의의 산 증인:아브라함과 다윗 본문: 로마서 4:1-8 제목: 이신칭의의 산 증인:아브라함과 다윗 굉장히 압축적인 본문입니다. 왜냐하면 오늘 본문을 읽어보면 ‘율법을 지키려고 애쓰는 것이 필요 없다는 말인가?’ 이런 생각을 하기 쉽습니다. 이수원 형제님께서 창세기 26장을 좀 읽어주십시오. 아브라함이 어떤 사람인가를 보려면 창세기 26장을 읽어야 됩니다. 창세기 26장 5절을 한 번 읽어주십시오. 아브라함이 결코 율법을 행한 사람이 아닌가? 아브라함은 아무래도 율법대로 살지 않고 엉망으로 살았는가? 그런 말 아닙니다. 지금, 오늘 본문에 나온 율법의 행위란 말은 정확하게 할례를 가리킵니다. 할례. 자, 26장 5절 읽어주십시오. 5 이는 아브라함이 내 말을 순종하고 내 명령과 내 계명과 내 율례와 내 법도를 지켰음이라 하시니라 아브라.. 2022. 1. 15.
본문: 로마서 3:24-26 /제목: 이신칭의의 핵심 본문: 로마서 3:24-26 제목: 이신칭의의 핵심 3장 24절부터 26절을 만일에 우리가 단숨에 깨달을 수 있다면은 신구약 모두를 다 깨달았다고 할 수 있죠. 자, 로마서 3장 24절부터 26절에는 언약사상,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는 언약관계가 존재하며 하나님과 이스라엘 민족 사이에는 언약관계가 존재한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갑자기 죄를 묻는 이유는 우리가 동의 한 게 아니고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언약관계가 존재한다는 걸 전제합니다. 그런데 성경은 오늘날 논문식으로 설명하지 않습니다. 논문식으로 설명하지 않고 언약사상을 전제합니다. 논문형식으로 글을 쓰지 않기 때문에 신구약 성경 전부다가 전제를 하고 있는 것, 알고 있는 것을 서론 없이 바로 시작하는 겁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우리에게 언약을 맺었다는 말뜻.. 2022. 1. 15.
본문: 로마서 3:1-8 /제목: 이신칭의 교리 오해 논박 본문: 로마서 3:1-8 제목: 이신칭의 교리 오해 논박 오늘 본문에서 인용부호가 좀 길게 있다고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인용부호 중에서 가장 처음 인용부호는 “그런즉 유대인의 나음이 무엇이며 할례의 유익이 무엇이냐” 여기가 인용부호라고 봐야 됩니다. 그 인용부호의 첫 대답이 “범사에 많으니”가 이제 사도 바울의 대답입니다. 자 그런데 “어떤 자들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어찌하리요” 이것도 인용부호입니다. 그 다음에 또 5절입니다. “그러나 우리 불의가 하나님의 의를 드러나게 하면 무슨 말 하리요” 이거 인용부호입니다. 그 다음에 7절 “그러나 나의 거짓말로 하나님의 참되심이 더 풍성하여 그의 영광이 되었다면 어찌 내가 죄인처럼 심판을 받으리요” 이거 인용부호입니다. 그 다음에 “또는 그러면 선을 이루기 위하.. 2022. 1. 15.
필립입슨목사 특강 -칭의를 설교하라 필립입슨목사 특강 -칭의를 설교하라 칭의를 설교하라! 저자 필립 H. 입슨(영국 런던 신학교 학장) 역자 신호섭(고려신학교 연수원 연구원) I. 서론 내가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는 이 칭의 교리에 대해 강의할 수 있게 된 것을 매우 큰 특권으로 생각합니다. 이 주제를 고찰하면서 우리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우리가 목회하고 있는 목양지의 회중들이 당연히 참된 신자들이며 복음 진리에 정통해 있다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회중들에게 반드시 복음적으로 설교해야 하며 주 예수를 믿으라고 설교해야 합니다. 참된 신자라면 누구든지 복음의 소식을 듣는 일에 대해 감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참된 삶을 살라고 촉구하며 요구해야 하는데 그것은 .. 2022. 1. 11.
칭의와 성화 (박영선 7강) ◑칭의도 은혜로, 성화도 은혜로 이룬다. ※아래 설교문은 '성화도 은혜로 이룬다'는 명제는, 소위 '개혁주의 성화론'입니다. 그런데 이에 대비되는 개념이 '웨슬리적 성화론'(성화의 자기 노력)입니다. 참고로, A는 맞고, B는 틀리다는 식이 아니라, 서로가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해 준다. 서로 모순된 A와 B를, 상호 보완적으로 둘 다 받아들인다.. 는 것이, 제 입장입니다. 다만 '성화가 은혜다'는 측면을, 인간 상식으로는 쉽게 깨닫지 못하는데, 개혁주의 신학이, 이 간과하기 쉬운 내용을, 잘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 편집자 주. ▲로마서 5:10절, “곧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 그의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은즉 화목하게 된 자로서는 더욱 그의 살아나심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 2021. 12. 6.
칭의와 성화 롬5:1~10 구원의 완성 시리즈 모두 보기 ◑칭의도 은혜로, 성화도 은혜로 이룬다. ※아래 설교문은 '성화도 은혜로 이룬다'는 명제는, 소위 '개혁주의 성화론'입니다. 그런데 이에 대비되는 개념이 '웨슬리적 성화론'(성화의 자기 노력)입니다. 참고로, A는 맞고, B는 틀리다는 식이 아니라, 서로가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해 준다. 서로 모순된 A와 B를, 상호 보완적으로 둘 다 받아들인다.. 는 것이, 제 입장입니다. 다만 '성화가 은혜다'는 측면을, 인간 상식으로는 쉽게 깨닫지 못하는데, 개혁주의 신학이, 이 간과하기 쉬운 내용을, 잘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 편집자 주. ▲로마서 5:10절, “곧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 그의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은즉 화목하게 된 자로서는 더욱 그의 .. 2021. 11. 30.
복음과 칭의 (로마서 3:24, 28) 전체 목록가기 복음 목록 돌아가기 복음과 칭의 (로마서 3:24, 28) 로마서 3장 24, 28절 지난 WMC대회에 또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 또 있었는데, 2006년 7월 24일 오후 2시 반에 금란교회에서 칭의(Justification)의 교리에 대한 공동선언문 발표가 있었던 일입니다. 이 사건은 기독교 2,000년 역사에 길이 남을 또 하나의 역사적인 사건입니다. 이 공동선언문 조인식에는 천주교에서 교황 다음 위치인 월터 카스퍼(Walter Casper, 교황청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 의장) 추기경과 한국 가톨릭 교회의 대표 김수환 추기경과 루터교 세계연맹의 이스마엘 노코 사무총장(Ismail Noko)과 세계감리교협의회 회장인 음방 감독(Sunday Mbang)과 총무인 조지 프리맨 박사(Dr. .. 2021. 11. 23.
천주교회와 루터파와 감리교회가 동의하는 칭의에 대한 질문 천주교회와 루터파와 감리교회가 동의하는 칭의에 대한 질문 2006년 7월에 한국에서 열린 ‘제19차 세계감리교대회’(WMC)에서 7월 23일에 열린 에큐메니칼 예배에서 감리교, 루터교, 가톨릭의 대표들이 ‘칭의 교리에 대한 교리적 합의 선언문’에 서명했다. 그날 세계감리교협의회가 ‘루터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칭의에 대한 공동 선언문’에 동참한 것이다. 이 일은 루터교세계연맹과 로마 가톨릭이 지난 1999년 10월 31일에 ‘루터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칭의에 대한 공동 선언문’(JDDJ)에 서명하면서 시작되었다. 양측은 1986년에 ‘루터교-로마 가톨릭 합동위원회’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몇 차례의 모임 끝에 1993년에 칭의 교리에 관한 문헌의 초안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4년에 합동 선언문 초안을 작성해.. 2021. 11. 17.
개혁주의 칭의교리와 성화교리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중에서) 개혁주의 칭의교리와 성화교리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중에서 대70. 칭의란 무엇인가? ☞ 칭의는 하나님께서 죄인들에게 값없이 주시는 은혜의 행위로서, 그가 그들의 모든 죄를 용서하시고 그들의 인격을 의롭다고 보아 받아주시는 것인데, 이는 결코 그들의 노력이나 성취가 아니라, 오로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전가시키고 믿음만으로 받아들인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과 전적인 만족 때문이다. (롬3:22, 24, 25, 3:22, 24, 25, 27, 28, 5:17-19; 고후5:19, 21; 딛3:5, 7; 엡1:7; 행10:43; 갈2:16; 빌3:9) 대71. 칭의가 어떻게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의 행위인가? ☞ 비록 그리스도께서 그의 순종과 죽음으로 칭의된 자들을 대신하여 하나님의 공의에 정당하고 실질적이며 완.. 2021. 11. 10.
김재성 교수의 '칼빈의 경건, 그리고 칭의와 성화' 김재성 교수의 '칼빈의 경건, 그리고 칭의와 성화'27일, 총신대 종교개혁 기념 세미나에서 발표 ▲김재성 교수(합동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기독교 신앙을 가진 사람에게는 두 가지 분명한 성취동기가 발생한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이요, 새로운 생명이 자라나면서 거룩하고 경건하게 살아가려는 열망으로 넘치는 것이다. 일부 한국 기독교 교회에서는 신령하고 거룩한 삶에의 모든 노력과 수고를 과소평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칼빈에게서 찾아보고자 한다. 기독교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놀라운 특권과 의무가 따른다. 성경이 가르치는 지혜와 지식을 가지게 되고, 분명히 세속과는 다른 가치관과 인생관을 따라서 생활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거역하면서 율법을 거부하던 자들과는 다른 것이다. .. 2021. 11. 7.
개혁주의 칭의교리와 성화교리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중에서) 개혁주의 칭의교리와 성화교리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중에서 대70. 칭의란 무엇인가? ☞ 칭의는 하나님께서 죄인들에게 값없이 주시는 은혜의 행위로서, 그가 그들의 모든 죄를 용서하시고 그들의 인격을 의롭다고 보아 받아주시는 것인데, 이는 결코 그들의 노력이나 성취가 아니라, 오로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전가시키고 믿음만으로 받아들인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과 전적인 만족 때문이다. (롬3:22, 24, 25, 3:22, 24, 25, 27, 28, 5:17-19; 고후5:19, 21; 딛3:5, 7; 엡1:7; 행10:43; 갈2:16; 빌3:9) 대71. 칭의가 어떻게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의 행위인가? ☞ 비록 그리스도께서 그의 순종과 죽음으로 칭의된 자들을 대신하여 하나님의 공의에 정당하고 실질적이며 완.. 2021. 11. 4.
본회퍼 윤리학] 제2강 유산과 몰락, 죄책, 칭의, 갱신, 궁극적인 것과 궁극 이전의 것(정지련 교수) 2021. 10. 10.
[본회퍼 윤리학] 제2강 유산과 몰락, 죄책, 칭의, 갱신, 궁극적인 것과 궁극 이전의 것(인천신학교 정지련 교수) 2021. 10. 9.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 [K. Barth KD] 명제 61 인간의 칭의(2) (김재진 교수) 2021. 10. 8.
찰스 핫지의 칭의론 찰스 핫지의 칭의론 강웅산 교수 (총신신대원, 조직신학) I. 들어가는 말 문헌상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의 칭의론은 몇 편의 대표적인 저서를 통해 정리할 수 있다. 1841년 미국 주일학교 연합회의 요청으로 『삶의 길』 (The Way of Life: A Handbook of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이라는 성경, 죄, 칭의, 믿음, 성례, 신앙생활, 등을 다루는 일종의 초보적인 조직신학 저서를 출간하였다. 젊은 지성인들이 흔히 갖는 신앙상의 질문들을 답하기 위한 목적과 거룩의 삶을 지도하기 위한 목적의 저서이다. 이 책에서 핫지는 제5장에서 칭의를 제6장에서 믿음을 다루었다. 불과 50페이지 정도의 분량을 통해 핫지는 칭의에 대한 기초적이지.. 2009. 4. 25.
로이드 죤스-칭의와 성화 . 칭의와 성화 / 로이드존스 너희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고 예수는 하나님꼐로서 나와서 우리에게 지혜와 의로움과 거룩함과 구속함에 되셨으니 (고전1:30) 칭의와 성화가 본질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봅시다.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십시오. 칭의는 성부 하나님이 행하시는 일이고, 성화는 본질적으로 성령 하나님이 하시는 일입니다. 복되신 삼위일체 안에서 이렇게 일을 분담하고 계십니다. 의롭다 하며 옳다고 선언하는 분은 성부 하나님이십니다. 거룩하게 하는 분은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둘째로, 칭의는 법정에서 일이 그러하듯이 우리 밖에서 일어나는 일인 반면, 성화는 우리 안에서, 내면의 삶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법정에 선 나에게 재판장이 의롭다는 판결을 내리고 자유를 선포합니다. 그 판결은 .. 2008.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