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론 / 합신대 김성수 교수
개혁주의에 대한 비판에 대해 냉랭함, 교만, 독선 등, 이런 문제는 개혁주의 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장로교만을 가리켜 "저것은 분열주의자다!"라고 말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라고 하겠다. 왜 분열을 하게 되었는가? 교만과 독선, 그리고 편협한 성격 때문에 그런 일들이 일어났다고 말하나, 이것은 옳고 그름의 문제이며, 이를 사람의 기질(mentality) 문제로 환원시켜서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는 평가라고 말할 수 있다. 뒤집어 말해서, 장로교 내지 개혁주의자들이 직면했던 문제들, 경건주의가 드러낸 여러 가지 교리 상의 오류들을 가만히 덮어두고, 교회가 그냥 싸안고 있어야만 하겠는가, 특별히 성경의 권위 자체를 거부하고 그리스도의 속죄로 말미암은 구원 자체를 부정하는 자유주의를 교회가 관용과 일치라는 명..
2021. 11. 10.
[기독교세계관반 필독권고]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신복윤 교수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비교 이 글에서는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등 몇몇 운동들의 용어, 역사적 배경, 사상적 특징들을 돌아보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활동한 상황, 평가, 그리고 한국 교회와의 관계 등을 차레로 살펴보고자 한다. Ⅰ. 복음주의 1. 복음주의의 발단 근본주의가 20세기초 미국에서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생긴 신학이라고 한다면, 복음주의(福音主義, Evangelicalism)는 17세기 이후 독일 루터교회의 죽은 전통에 불만을 품은 경건주의(敬虔主義)운 동에서 파생된 운동이다. 종교개혁 이후 독일교회에는 점점 신앙의 고정화 현상이 나타나 교리적 정통주의가 만연케 되자, 슈페너(P.Spener 1635~1705)와 후랑케(Francke, 1663~1727)를 중심으로 종교..
2021.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