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 개혁의 의미(갈라디아서 2:17-21) 목차로 돌아가기 자기 개혁의 의미(갈라디아서 2:17-21)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되려 하다가 죄 인으로 나타나면 그리스도께서 죄를 짓게 하는 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만일 내가 헐었던 것을 다시 세우 면 내가 나를 범법(犯法)한 자로 만드는 것이라 내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향하여 죽었나니 이는 하나님을 향하여 살려 함이니라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내가 하나님의 은혜를 폐(廢)하지 아니하노니 만일 의롭게 되는 것이 율법으로 말미암으면 그리스도께서 헛되이 죽으셨느니라.. 2024. 10. 6.
개혁자의 힘(사도행전 4장 13~22절)110 처음 목차로 돌아가기 개혁자의 힘(사도행전 4장 13~22절) 저희가 베드로와 요한이 기탄 없이 말함을 보고 그 본래 학문 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이상히 여기며 또 그전에 예수와 함께 있던 줄도 알고 또 병 나은 사람이 그들과 함께 섰는 것을 보고 힐난할 말이 없는지라 명하여 공회에서 나가라 하고 서로 의논하여 가로되 이 사람들을 어떻게 할꼬 저희로 인하여 유명한 표적 나타난 것이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알려졌으니 우리도 부인할 수 없는지라 이것이 민간에 더 퍼지지 못하게 저희를 위협하여 이 후에는 이름으로 아무 사람에게도 말하지 말게 하자하고 그들을 불러 경계하여 도무지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지도 말고 가르치지도 말라 하니 베드로와 요한이 대답하여 가로되 하나님 앞에서 너희 말 듣는 것이 하나님 .. 2024. 3. 28.
개혁자의 힘(사도행전 4장 13~22절) 목차개혁자의 힘(사도행전 4장 13~22절) 저희가 베드로와 요한이 기탄 없이 말함을 보고 그 본래 학문 없는 범인으로 알았다가 이상히 여기며 또 그전에 예수와 함께 있던 줄도 알고 또 병 나은 사람이 그들과 함께 섰는 것을 보고 힐난할 말이 없는지라 명하여 공회에서 나가라 하고 서로 의논하여 가로되 이 사람들을 어떻게 할꼬 저희로 인하여 유명한 표적 나타난 것이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알려졌으니 우리도 부인할 수 없는지라 이것이 민간에 더 퍼지지 못하게 저희를 위협하여 이 후에는 이름으로 아무 사람에게도 말하지 말게 하자하고 그들을 불러 경계하여 도무지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지도 말고 가르치지도 말라 하니 베드로와 요한이 대답하여 가로되 하나님 앞에서 너희 말 듣는 것이 하나님 말씀 듣는 것보다 .. 2023. 2. 5.
개혁의 기치를 높이 들자 (시 37:1-13) 개혁의 기치를 높이 들자 (시 37:1-13) 중국의 어느 지방에 싸움닭을 잘 훈련시키는 조련사가 있었답니다. 하루는 그 지방의 영주가 이 조련사를 찾아가서 아주 내 닭을 싸움을 잘 하는 훌륭한 닭으로 잘 훈련시켜 달라고 당부를 했습니다. 그 닭은 몸집도 크고 벼슬도 아주 붉고 큼직한 닭이었지만 다른 닭을 보기만 하면 비실비실 도망가고 한구석에 가서 쭈그리고 앉아 있었습니다. 이게 영주에게 기분을 상하게 했어요. 그래서 이 닭을 잘 훈련시키려고 전문적인 조련사에게 부탁을 한 것입니다. 한 달 후에 가보았더니 닭의 눈매가 또릿또릿해졌어요. ‘아, 이게 되가는구나.' 또 한달 후에 가 보았더니 아주 싸움을 잘해요. ‘그래서 이만하면 됐구나.' 또 한달 후에 가 보았더니 닥치는 대로 싸워요. ‘아, 이거 훈련.. 2022. 9. 1.
개혁운동의 모델 (열왕기하 23:1~23) 개혁운동의 모델 (열왕기하 23:1~23) 위대한 사상가요 신학자인 칼빈(J. Calvin)은 「교회는 날마다 개혁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개혁」(Reform)이라는 말은 기존의 체제를 무너뜨리고 새로 판을 짜는 혁명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변질되고 탈선된 것을 본래의 길로 돌려놓고 그 원형을 되찾게 하는 것으로 그 개념을 정립할 수 있습니다. 성경적으로는 하나님의 백성이 그 가야될 본래의 바른 길을 이탈하고 죄악된 길로 달리며 멸망을 재촉할 때 이를 깨우쳐주고 그 길에서 돌이켜 생명의 길로 가게 하는 것입니다. 예레미야 6:16에 보면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는 길에 서서 보며 옛적 길 곧 선한 길이 어디인지 알아보고 그리로 행하라 너희 심령이 평강을 얻으리라”고 하였습니다. .. 2022. 8. 31.
【개혁 】 예화모음 37편 [처음 목차 돌아가기] 1.말씀으로 돌아가자 얼마 전 신문에 재미있는 글이 실렸습니다. 부동산 투자에 관한 글이었는데 제목이 '망하는 길 10가지'였습니다. 그 첫째가 "전문가나 컨설팅업체의 말을 100% 믿는다. " 그러면 반드시 망한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이런 사례가 실려 있었습니다. "투자론을 강의하는 유명대학 K교수, 그의 강의는 늘 인기가 있다. 사람을 몰고 다닐 정도다. 그런 그가 한 초청 강연장에서 그 잘하던 강의를 망친 적이 있다. 왜냐하면 자신이 세들어 살고 있는 집 주인이 청중 속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프란시스 쉐퍼는 그의 책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히 인간적인.. 2022. 6. 9.
종교 개혁사 1) 전통적인 견해16세기 종교개혁은 당시 오래 전부터 교회 안에 만연해 있던 악습들 때문이었다고 보는 것이 전통적인 입장이다. 이것은 일종의 도덕적 설명으로서 루터나 에라스무스의 글 속에서 발견되어진다.면죄부 판매가 가져온 스캔들은 1517년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고, 1520년부터 루터는 교황을 적 그리스도라고 공격하였다. 종교개혁은 교회에 대한 불만이 건전하고 거룩한 반동을 야기한데서 비롯되었다.2) 사상적 설명역사적인 것보다는 철학적인 선입 개념에서 출발한 결과, 헤겔은 개신교의 폭발 속에서 세계정신의 해방을 향한 운동으로 보았으며, 프랑스의 역사가 Michelet도 종교개혁과 르네상스를 연결시키고 루터의 반란 속에서 정신 해방의 시작으로 보았다. 범 게르만주의 시기에 국가지상주의자들은 루터의 .. 2022. 2. 19.
복음주의와 개혁주의 복음주의와 개혁주의 09.12.12. 박영선 목사님 수련회 강의안 녹취 이 강의 녹취록은 ‘복음주의’를 무시하고, ‘개혁주의’를 앞세우자.. 라기 보다는 둘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현실은 ‘복음주의’만 너무 강조되고, ‘개혁주의’가 거의 없어져 버렸다고 주장하면서, 둘의 건강한 균형과 조화를 강조합니다. ※강의안으로 이해 안 되는 부분은, 인터넷(남포교회 홈페이지)에서 직접 들어보세요. 아래 내용은, 당장 현실에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멀리 미래를 내다보며, 내 신앙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는 필요한 부분입니다. ※제/편집자가 보기에는, '조나단 에드워즈 식 극단적 회심론'과 '개혁주의 신앙은' 구원론에 있어서 가장 서로 멀리 떨어진 대척점에 놓여 있는 것 같습니다. 서로 거리를 점점 좁혀가야 하.. 2021. 12. 12.
느헤미야의 마지막 개혁(느 13:1-3) / 이종윤 목사 “느헤미야의 마지막 개혁”(Nehemiah’s Final Reforms) 느헤미야 13:1-3, 28-31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이스라엘을 통치할 때 가장 먼저 한 일이 무너진 성벽을 수축하는 일이었습니다. 분명히 그 일을 이룸에 있어서 많은 적대자나 훼방꾼이 있었을 텐데도 52일만에 완성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그가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께서 때가 되면 반드시 이루어주실 것을 믿으며 끝까지 인내하고 견뎠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포기하고 싶고 힘든 일이 닥치는 가운데서도 믿음을 주시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느헤미야는 어떻게 그런 일을 감당할 수 있었을까요? Ⅰ. 느헤미야가 감당할 수 있었던 이유 1. 그는 늙었음에도 불구하고 초지를 놓치지 않았다.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2021. 11. 28.
개혁주의(改革主義)란 / 신복윤 박사 특강 改革主義란/ 신복윤 박사 특강 개혁이라는 말은 본래 16세기 로마 카톨릭교회의 오류와 폐단에 대항하여 일어난 교회들의 성격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그러므로 개혁이라는 말은 더 넓은 의미에서 종교개혁의 모든 교회에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모두가 교회생활과 개인생활에서 한결같이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 것을 고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말은 매우 제한된 의미를 갖는다. 이 말 루터의 사상에서 그 자체를 구별짓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개혁주의라는 용어는 또한 칼빈주의라는 말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1. 개혁주의의 사상적 특징 개혁주의는 칼빈으로부터 전해진 사상체계이다. 창시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 사상 체계의 중요한 해설가이다. 칼빈의 신학사상은 개혁운동에 이바지한 다른 위대한 지도자.. 2021. 11. 10.
개혁주의론 / 합신대 김성수 교수 개혁주의에 대한 비판에 대해 냉랭함, 교만, 독선 등, 이런 문제는 개혁주의 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장로교만을 가리켜 "저것은 분열주의자다!"라고 말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라고 하겠다. 왜 분열을 하게 되었는가? 교만과 독선, 그리고 편협한 성격 때문에 그런 일들이 일어났다고 말하나, 이것은 옳고 그름의 문제이며, 이를 사람의 기질(mentality) 문제로 환원시켜서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는 평가라고 말할 수 있다. 뒤집어 말해서, 장로교 내지 개혁주의자들이 직면했던 문제들, 경건주의가 드러낸 여러 가지 교리 상의 오류들을 가만히 덮어두고, 교회가 그냥 싸안고 있어야만 하겠는가, 특별히 성경의 권위 자체를 거부하고 그리스도의 속죄로 말미암은 구원 자체를 부정하는 자유주의를 교회가 관용과 일치라는 명.. 2021. 11. 10.
개혁주의의 기본자세(행 17:11) / 존 라일 | 개혁주의의 기본자세(행 17:11) “베뢰아 사람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보다 더 고상하여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 (사도행전 17:11). 존 라일(1816-1900, 영국 국교회의 개혁주의 목사) 목사도 틀릴 수 있다! 안디옥 사건이 주는 교훈 이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갈라디아 2장에 나타난 한 장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러나 베드로가 안디옥에 왔을 때, 그에게 책망할 것이 있기에 내(바울)가 그를 면박하였으니 이는 몇몇 사람이 야고보에게서 오기 전에 그가 이방인과 함께 먹다가 그들이 오니 할례자들을 두려워하여 뒤로 물러나 혼자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 다른 유대인들도 마찬가지로 그와 함께 위선을 행하니 심지어는 바나바까지도 그들의 위선에 끌려가더.. 2021. 11. 10.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개혁주의 기본정신 /고경태 교수 span>칼빈의 기독교강요와 개혁주의 기본정신 초판이 1536년 세상에 나왔을 때, 기독교계를 뒤흔들고 역사를 움직였다. 당시의 로마교회는 를 두려워했다. 또한 개혁교회는 이 책으로 말미암아 체계가 잡히고, 당당하게 참 교회를 향한 길을 갈 수 있었다. 이 책으로 죤 칼빈은 일류 신학자로 인정받았다. 1559년의 최종판에서 칼빈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내가 이 책의 초판을 내놓았을 때, 주님께서 무한한 은혜로 그와같은 성공을 거두게하실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따라서 나는, 내가 더 분발하도록 격려해주신 여러분들의 열렬한 평가에 대하여 최선을 다하여 미력이나마 보답하도록 노력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가장 큰 배은망덕이라고 생각한다..."('독자에게 드리는 글' 중에서). 종교개혁에 있어서 는 포.. 2021. 11. 6.
[기독교세계관반 필독권고]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신복윤 교수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비교 이 글에서는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등 몇몇 운동들의 용어, 역사적 배경, 사상적 특징들을 돌아보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활동한 상황, 평가, 그리고 한국 교회와의 관계 등을 차레로 살펴보고자 한다. Ⅰ. 복음주의 1. 복음주의의 발단 근본주의가 20세기초 미국에서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생긴 신학이라고 한다면, 복음주의(福音主義, Evangelicalism)는 17세기 이후 독일 루터교회의 죽은 전통에 불만을 품은 경건주의(敬虔主義)운 동에서 파생된 운동이다. 종교개혁 이후 독일교회에는 점점 신앙의 고정화 현상이 나타나 교리적 정통주의가 만연케 되자, 슈페너(P.Spener 1635~1705)와 후랑케(Francke, 1663~1727)를 중심으로 종교.. 2021. 11. 5.
개혁자 칼빈(1509-1564) 개혁자 칼빈(1509-1564) - 무엇이 칼빈을 여전히 그토록 대중적이게 하는가? By J. Visscher trans. by SeokJun Yun J. Visscher 박사는 브리티쉬 콜럼비아(British Columbia)주 랭글리(Langley)에 있는 캐나다 개혁교회의 동사목사입니다. 이 글은 클라리온 Volume 58, No. 14 (July 3, 2009)에 실렸던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2009년 7월 10일은 특별히 축하해야 할 날이다. 그 날에 전 세계의 교회와 개인들이 위대한 프랑스인 개혁자 존 칼빈의 탄생 500주년을 기념할 것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아무도 5세기 전에 태어난 사람을 주목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주검과 망각에게로 넘겨주게 된다. 그러나 존 칼빈의 경우.. 2021. 10. 20.
개혁의 밀알 독일 정부에서 5년 전에 설문조사를 했다. “세계사의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독일인은 누구인가”를 물었다. 1위에 오른 인물은 괴테도, 베토벤도, 헤겔도, 히틀러도 아니었다. 마르틴 루터(1483~1546)였다. 중세 때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주인공이다. 2017년 ‘루터의 종교개혁’이 500주년이다. ‘개신교’가 등장한 지 반(半) 1000년이 된다. 3~10일 500년 전의 종교개혁지를 순례했다. 그들이 전하는 개혁의 메시지는 지금도 유효했다. 요즘 한국 교회를 향한 외침이기도 했다. 체코의 프라하는 1968년 민주화 시위 ‘프라하의 봄’으로 유명한 도시다. 종교개혁사에서도 프라하는 빼놓을 수 없다. 600년 전 이곳에서 미완의 종교개혁인 ‘중세의 봄’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건 실패한 봄이었다. .. 2021. 7. 23.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코넬리우스 반틸 평전 小考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코넬리우스 반틸 평전 小考 1. 코넬리우스 반틸은 누구인가? 코넬리우스 반틸은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로서, 20세기에 가장 철저한 개혁주의 신학자이며 평생을 철저한 변증학자로서 활동하면서 ‘개혁파 변증학’을 제시하였고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섬기는자로 듣길 좋아했던 전제주의적 변증신학자이다. 진정한 ‘개혁파 변증학(Reformed Apologetics)'을 제시하는데 전 생애를 바친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코넬리우스 반틸은 1895년 5월 3일 네덜란드 흐로닝겐 지역의 흐로우테가스트에서 태어났다. 칼빈대학(Calvin College)의 전신인 기독교 개혁파 대학(Christian Reformed College)을 졸업 후, 칼빈신학교(Calvin Theological Seminar.. 2017. 12. 31.
【개혁 】예화모음 37편 click 【 감동 설교 예화 】 1.말씀으로 돌아가자 얼마 전 신문에 재미있는 글이 실렸습니다. 부동산 투자에 관한 글이었는데 제목이 '망하는 길 10가지'였습니다. 그 첫째가 "전문가나 컨설팅업체의 말을 100% 믿는다. " 그러면 반드시 망한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이런 사례가 실려 있었습니다. "투자론을 강의하는 유명대학 K교수, 그의 강의는 늘 인기가 있다. 사람을 몰고 다닐 정도다. 그런 그가 한 초청 강연장에서 그 잘하던 강의를 망친 적이 있다. 왜냐하면 자신이 세들어 살고 있는 집 주인이 청중 속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프란시스 쉐퍼는 그의 책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 2017. 12. 28.
개혁주의 인간론 / 안토니 후크마 목록가기 우리가 죄의 행위는 죄의 의지를 그 동기로 삼는다고 할 수 있겠으나 무엇이 죄의 의지의 근원이었나? 어떻게 무죄한 의지가 죄있는 자처럼 생각하기 시작할 수 있었겠는가? 어거스틴은 이점에 대해 잘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무도 악한 의지의 충종한 동인을 찾으려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동인은 그 자체가 충족한 것이 아니라 결함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결함들의 원인들, 다시 말하거니와 충족한 것이 아니라 결함되어 있는 원인들을 찾는 것은 마치 어두움을 보려는 것이나 침묵을 들으려는 것과 같은 것이다.” …… 간단하게 말하자면 죄는 설명되어질 수 없으며 따라서 우리는 그것을 이런 정도에 내어버려야 하는 것이다. 물론 우리 첫 조상이 죄를 범한 것이 하나님의 섭리적인 허용바깥에서 일.. 2017. 12. 16.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반틸 책 소개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반틸 “첫째, 우리는 장로교의 신앙 고백이 설명하는 것처럼 기독교가 참되다는 것을 믿습니다. 둘째, 우리는 기독교가 학적인 변증을 환영하며, 그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셋째, 우리는 두려움이나 편애 없이 그리고 교회 내에서든지 교회 밖에서든지 기독교가 죽음 가운데 있는 인류를 구원하는 유일한 길임을 반대하는 것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에 분명히 반대하여 기독교를 선포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1929년 5월 25일, 구(舊)-프린스턴 신학교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설립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개교 예배를 드리는 가운데 메이천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신앙에 대해 위와 같이 선언했다. 이러한 신앙 고백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평생 철저한 개혁파 변증학을 수립하고자 힘썼던.. 2014. 7. 25.
아브라함 카이퍼 - 개혁주의 세계관 운동의 흐름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개혁주의 세계관 운동의 흐름   신국원 교수(총신대학교)    세계관(Weltanschauung, worldview)은 세계와 인생을 보는 안목(view of the world)이다1). 세계관의 시야는 이성이나 감성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학문이나 예술의 조망보다 훨씬 깊고 넓은 전인격적(全人格的)인 것이다. 물론 사람은 세상과 삶을 주어진 그대로 그냥 바라만 보지 않는다. 사람의 안목은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관점(view for the world) 또는 반퍼슨의 표현에 따르면 세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2) 또 세계관은 브라이언 월쉬와 리처드 미들톤의 책제목처럼 세상을 바꾸는 비전(transforming vision)이기도 하다.3) 실제로 우리가 사.. 2011. 4. 16.
C.S. 루이스-루이스는 과연 개혁주의인가에 대해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씨 에스 루이스는 과연 개혁주의인가에 대해--폐친이신 박종열 목사님의 질문에 대해 간단하게 답변하면서.1. 사실 이 문제는 학계에서 이미 많이 지적하는 내용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루이스는 '리폼드신학'과는 좀 다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것은 리폼드신학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위험한 인물'이라 매도할 수는 없습니다. ...2. 한마디로, 개혁주의적이지는 않지만, 복음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그는 근본주의와 리버럴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반대했습니다. 나아가 어떤 교단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음의 핵심, 본질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습니다.3. 우리가 루이스와 그의 신학적 위치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제가 강조하고 싶은 핵심은 , 그는 신학자와 목회자로서.. 2011.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