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사 1.
제1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한국 선교
경교:
431년 에베소 네스토리우스가 마리아를 '그리스도의 어머니'라 하여
이단으로 정죄 선교사를 양성, 인도, 아라비아, 중국, 타타리까지 전도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주후 635년 알로펜 일행이 당에 도착, 선교.
9세기 중엽 도교신자인 무종의 종교탄압으로 자연히 소멸
루부룩 :
로마교황청에 보낸 편지에서 한국을 '까울레(Caule;고려)라고 기록.
로마 가톨릭의 중국선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코르비노 신부가 도착한 1294년 이후 1305년 황제의 후원으로
선교가 크게 성공하여 수세자가 6천명(1307년 중국교구가 창설)
원나라가 1368년에 멸망함으로 소멸.
세스페데스 :
예수회의 선교사가 일본에 도착(1541년 프란시스 사비에르)
임진왜란 당시 소서행장이 독실한 가톨릭 신자
세스페데스를 종군신부로 한국에 옴.
노예로 끌려간 한국인들에게 선교하여
2천여명의 기독교 신자들을 배출,순교자들도 21명
소현세자 :
청에 볼모로 잡혀간 소현세자는 예수회 신부 아담샬과
친분을 맺다가 귀환시 서적, 교리서를 가지고 신앙이 돈독한 환관,
궁녀와 함께 귀국, 70일만에 세상을 떠남.
유학자들의 서학 접촉 :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천주실의를 소개하고
천주교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남인 계열의 지식인들로
권철신, 권일신, 정약용, 정약전, 이가환, 이벽, 이승훈 등이다.
이들은 강학회를 열어 교리를 연구하고 계율을 지켰다.
이 승훈 :
정약용의 매제인 이승훈은 동지사일행에 딸려 중국에 가서 천주교
신부들과 교제하며 교리강습을 받고 영세를 받은 후 1784년에 돌아왔다.
이는 한국에 기독교가 시작된 분기점이라 할 수 있다.
개신교는 이로부터 100년 후인 알렌의 입국으로 시작되었다.
을사추조적발사건 :
1785년(정조9년) 서울 명동의 김범우 집에서 모였다가
형리에게 발견되어 김범우는 유배당했다.
그는 유배중 고문의 휴유증으로 그 곳에서 순교하였다.
배 교자들 :
사학에 대한 탄핵의 소리에 유생들의 규탄의 소리가
높아가는 가운데 이승훈은 1791년 배교하였고 1801년 신유교난시
배교한 상태에서 목숨을 잃었으나 순교자는 아니었다.
정약용도 1797년 배교했고 이벽도 배교후 33세로 급사했다.
신해교난 :
무군무부의 종교로 오인된 것은 진산사건이다.
윤지충은 1791년 모친의 사망에 사복을 입고 호곡은 하였지만
시신에 절하거나 위폐를 모시지 않았고 후에 제사도 지내지 않았다.
공서파는 천주교에 동정적이었던 채제공의 세력을 꺽을 목적으로
윤지충과 권상연의 제사 폐지문제를 트집잡아
결국 1791년 11월,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제사문제 :
예수회 마테오 리치는 제사를 단순한 정치적 의식으로 간주하여
제재를 가하지 않았고 기독교도 유교의 발전된 형태라고 선전하여
유교의 상제가 기독교의 하나님과 같다는
보유론(補儒論)입장에서 선교하였다.
그러나 프란시스코 선교사들의 보고에 의해 교황청은
조상 제사의 금지를 명했고 한국 천주교회는 1790년 윤유일이
신부파송을 청원하기 위해 북경에 돌아오면서 비롯되었다.
신유교난 :
1795년 초에 중국인 신부 주문모가 서울에 잠입했다.
정조는 천주교에 호의적인 시파를 등용하였으나
순종의 섭정이 된 정순황후는 서교를 박멸하려 함으로
많은 천주교도들이 처형되기에 이르렀다.
권철신, 정약종, 최필공, 홍교만, 홍낙민이 순교했고
정약전, 정약용이 배교하였다.
주문모는 6년간 숨어 포교활동을 하다가 중국으로 되돌아가다가
자수하여 1801년 32세의 나이로 효수되었다.
황사영의 백서사건 :
천주교를 사학이요 무군무부의 종교로 확인해 준 사건
신유박해로 배론에 숨어있던 황사영과 황심이 조선 조정의
천주교에 대한 극심한 핍박을 북경의 주교에게 보고하여
이 박해를 면해 보고자 하는 심정에서 쓰여짐.
선교는 물리적인 힘을 동원한 제국주의적인 선교방법이 아닌
오직 복음적 방법이어야 함을 가르쳐 준 사건.
조선교구의 설정:
1790년 조선의 천주교회가 알려졌고 1816년 정하상에 의해
추진되어 1827년에 교황 레오12세에게 편지가 전달되었고
1831년 9월 조선의 천주교회는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독자적인 교구로 확정되었다.
1836년 최초의 서양인 신부 모방이 입국
기해교난(1839):
친 천주교 세력이던 시파의 김조순이 죽고
풍양 조씨는 천주교의 박멸을 요구하여 1839년에
사학토치령이 반포되었고 오가작통법이 시행되었다.
특히 김순성 이라는 배교자의 밀교로 정하상, 유진길, 조신철,
앙베르 주교까지 체포되었다.
이때 순교자가 54명, 옥사한 이들이 60여명,
배교한 자들이 50여명 된다.
정하상의 상재상서(최초의 호교문):
정하상이 우의정 이지연에게 천주교의 원리를 설명하며
올바른 이해를 구하는 한국인이 쓴 최초의 호교문이다.
병오교난(1846;김대건 신부의 순교) :
한국인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은 1845년 신부서품을 받고
입국하다가 체포되어 참수형 당했다.
병 인교난:
철종때 천주교는 발전하여 1857년에 신도수가 1만3천에 이르렀고
서양선교사도 12명이나 되었다.
철종 승하후 대원군이 섭정하였는데 대원군은 자신의 입지를
강화할 목적으로 천주교 탄압(1866년부터 1873년)에 나섰다.
1866년, 프랑스의 신부 9명이 체포되어 참수형을 당했고 이에
프랑스의 로즈함대가 침입하는 병인양요를 일으켰다.
1868년에 순교자수는 이천명을 넘었고
굶주림을 죽은 사람도 팔천명에 이르렀다.
남연군 도굴사건(1868) :
대원군 부친의 유골을 담보로 대원군과 협상하려고
오페르트는 묘를 도굴하였고
1871년 6월에는 미국의 제너럴셔먼호가 불탄 책임을 묻고자
로저스가 침입한 신미양요가 일어나
척화비가 세워지고 더욱 쇄국정책을 썼다
'◑ 설교자료 18,185편 ◑ > 설교및자료 16,73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회사 3 (0) | 2022.06.22 |
---|---|
한국 교회사 2 (0) | 2022.06.22 |
초대 교회사(수도주의 운동과 도나티즘) (0) | 2022.06.22 |
공부에 유용한 사이트4 (0) | 2022.06.18 |
사진 잘찍는법 <네셔널지오그라픽 사진기자들의 이야기...> (0) | 2022.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