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참고 도서 목록
조직신학 참고 도서 목록 * 김홍전.『중생자의 생활』 서울: 성약, 1985. 김홍전. ?교회에 대하여“ I, II, III, IV 서울: 도서출판 성약, 1997. 그 외에 김홍전 박사님의 글들을 모두 읽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Bavinck. Herman. ?하나님의 큰 일“ 원광연 옮김. 일산: 크리스챤다이제스트사. 원광연 옮김. 일산: 크리스챤다이제스트사, 2004. * Berkhof, L. 조직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사, 1991. * Ferguson, Sinclair. 『성령』 서울: IVP, 1999. Heppe, Heinrich. I, II. 이정석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2004. * Klooster, Fred. A Mighty Comfort. 이승구 역...
2022. 1. 28.
칼빈, 어디로 가고 있는가? (Quo vadis, Calvine?) / 문병호(총신대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 칼빈, 어디로 가고 있는가?(Quo vadis, Calvine?) 돌아감, 극복, 혹은 돌아감으로 극복하기 문병호(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1. 들음으로써 필자는 기독교 강요를 가르치면서 칼빈의 신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얼마나 지대한가를 실감한다. 가득한 강의실의 후미진 곳에서 몇 몇 학생들이 청강임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듣고 있다. 그들은 진정 칼빈을 듣기를 원한다. 칼빈이 대안인지, 근본인지, 돌아갈 곳인지, 아니면 그곳을 이미 우리가 거쳐 나온 것인지, 묻지 않는다. 그들은 칼빈을 극복하고자 하는가? 돌아감으로, 아니면 그냥 넘어섬으로? 우리는 한 번이라도 칼빈을 진지하게 바라본 적이 있는가? 그의 신학을 서너 개의 진술로 우리의 작은 메모장에 가두지는 않았는가? 그냥 우리가 정의..
2021. 11. 11.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목록가기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현대 신학자들의 관심은 객관성보다 주관성, 성경 자체의 권위보다 성경의 기능 곧 인간에게 주어지는 의미로 옮겨왔다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등에서 정통신앙을 떠나온 현대신학 현대신학은 더욱 다양해졌고 여러 갈래이며 파편도 많다. 몇 가지 틀에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은 벅차다. 한 가지 말한다면 현대신학의 흐름이란 성경의 권위를 내던짐과 동시에 정통교리를 처음엔 조심스럽게, 조금 후엔 서슴없이 대범하게 떠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과거에도 있었다. 이미 오래전에 소치니(Faustus Sozzini, 1539-1604)가 합리주의적 성경 해석학을 들여왔고, 삼위일체를 부정했으며, 아리우스주의와 펠라기우스를 불러들였다. 그는 윤리를 중심에 두고, 관용, ..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