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 1. 명칭조직신학은 교의신학 혹은 이론신학이라고도 한다.개혁주의 신학자들이 모두 조직신학의 배경으로 성경을 앞세우는 것은 교회의 교리들이 성경에서 비롯되었고 따라서 조직신학도 성경이 가르치는 진리의 체계를 설명하는데 있기 때문이다.2. 조직신학의 정의조직신학은 성경이 가르치는 하나님에 대하여 조직된 제시를 시도하는 학문이다. 하나님은 학적 연구의 직접 대상이 아니고 하나님은 자기 말씀 중에 계시하신 한에서만 신학의 대상이다. 즉 신학의 궁극적 대상이시나 직접 대상은 아니다. 그래서 조직신학은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의 진리와 사실들에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우주에 대한 관계, 인간창조, 섭리, 구속, 구원의 과정, 교회, 종말에 관한 일들을 논하는 학문이다. 3. 조직신학의 신학상의 위치1) 조직신학과 윤리학 .. 2023. 1. 18.
조직 신학자 ○ 고가르텐(Fridrich Gogarten)       ○ 바빙크(Herman Bavinck)       ○ 칼 바르트(Karl Barth)       ○ 틸리케(Helmut Thielieke)       ○ 폴 틸리히(Tillich, Paul Johannes)       ○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 에밀 브루너(Emil Brunner)       ○ 떼이야르 드 샤르뎅(Teilhard de Chardin)       ○ 불트만(Rudolf Bultmann)       ○ 리츨(Albrecht Ritschl)        ○ 판넨베르그(Wolfhart Pannenberg)       ○ 몰트만(Jurgen Moltmann) 2023. 1. 18.
조직체의 리더가 되는 사람 어떤 책을 보니까 조직체의 리더가 되어 조직을 장악하고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8종류의 사람이 소개되어 있었습니다. 1) 어딜 가든지 항상 시간을 맞춰서 오는 사람 2) 군중 속에서 뒷자리보다 제일 앞자리에 앉기를 즐겨하는 사람 3) 자기 기분과 처지보다는 다른 사람을 따뜻하게 볼 줄 아는 사람 4) 남의 뒤만 슬슬 따라다니기보다는 앞서서 행하기를 즐겨하는 사람 5) 언제나 말을 하면 말에 힘이 들어가 있는 사람 6) 악수할 때 손을 꽉 쥐고, 발걸음에도 활기가 있는 사람 7) 언제 봐도 밝은 얼굴과 따뜻한 미소가 있는 사람 8) 남의 허점이나 잘못을 보면 덮어주려고 애를 쓰는 사람 이런 분들은 역사를 만들어내고 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역사를 만들겠다는 꿈을 꾸면 그런 사람들이 될 수 있.. 2022. 12. 15.
77. 조직신학과 교회사의 발전구조 ~ 84. 대표적인 프로테스탄트 교회사가 77. 조직신학과 교회사의 발전구조  ~84. 대표적인 프로테스탄트 교회사가    77. 조직신학과 교회사의 발전구조                                                 조직신학 개요교회사발전 대조표Ⅰ.성서학-성서의 교리영지주의와 신약성서 정경화작업(2~4세기)Ⅱ.신학정론-하나님에 대하여Ⅲ.기독론-그리스도에 대하여Ⅳ.성령론-성령에 대하여삼위일체 논쟁(4세기)기독론 전쟁(5세기)Ⅴ.인간론-인간에 대하여펠라기우스 논쟁(5~7세기)Ⅵ.구원론-구원에 대하여종교개혁 : 프로테스탄트 대 가톨릭(16세기)                개혁파(칼빈주의) 대 알미니안파(17세기)Ⅶ.교회론-교회에 대하여종교개혁 : 프로테스탄트 대 가톨릭(16세기)                루터파와 개혁파.. 2022. 8. 30.
조직신학(46편) 조직신학(46편)   신론 기독론 구원론 인간론 성령론 교회론 창조론 종말론 신앙론 현대신학 해방신학 조직신학      개혁 신학자들 개혁신학의 독특성 개혁신학의 정체성 (서철원 신학 서 개혁주의 교회론 / 서철원교수 개혁주의 교회이해-서철원 개혁주의 문화혁명 교회론 구속사적 전통신학과 언약성취사적  구약 성경 해석이해-서철원 근세 철학사-서철원교수    기독론-서철원 교수 니케아신조와 니케아-콘스탄티노플 마이스트 엑크하르트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맘몬 신소고 (서철원) 메이천 정통주의 신학자 바른신학 탐구 발트 신학의 문제점들 복음적 설교 부활절설교(서철원 교수)      서양 고대철학사 서철원교수와 김세윤교수의 신학여정 성경 계시의 충족.. 2022. 8. 16.
조직신학 1강(케일라 편) 되돌아가기 제1강 : https://youtu.be/lLH49d4cwh8 [조직신학 2강] + 이단도 우리와 똑같은 성경을 + 삼위일체 + 신론 + 기독론 + 왜 조직신학이 필요한가 + 성경일독 [조직신학 3강 신론] + 하나님론 + 계시란? + 하나님은 정말 있는가? + 하나님이 자신을 우리에게 드러내시는 것 + 자연신학 [조직신학 4강 신론] + 하나님론 + 일반계시 + 자연신학 [조직신학 5강] + 신론 #3 + 성경 속 일반계시 + 세종대왕은 지옥에 갔을까? + 깨성도교회 + 케일라 [조직신학 6강] + 신론 #4 + 일반계시를 거절한 인간들의 최후 + 일반계시의 의미 + 깨성도 교회 + 케일라 [조직신학 7강] + 특별계시 + 일반계시와 뭐가 다른가 + 특별계시의 목적 + 깨성도 교회 + 케일라 2022. 5. 29.
평신도 조직신학(케일라) 되돌아가기 https://youtu.be/lLH49d4cwh8 제1강 평신도 조직신학 신학이 뭐야? + 어떤 목사님을 만나야하나 + 신학의 현실 + 신학을 하게 된 케일라쌤 이야기 + 성경일독 https://youtu.be/fhZw0gizEGs?list=PLJG5XUFGccw75k3HNGDMdQV8hsIypjebP 제2강 평신도 조직신학 : 이단도 우리와 똑같은 성경을 + 삼위일체 + 신론 + 기독론 + 왜 조직신학이 필요한가 + 성경일독 https://youtu.be/szB_Se9o0Ow?list=PLJG5XUFGccw75k3HNGDMdQV8hsIypjebP 제3강 평신도 조직신학 : 신론] + 하나님론 + 계시란? + 하나님은 정말 있는가? + 하나님이 자신을 우리에게 드러내시는 것 + 자연신학 ht.. 2022. 3. 30.
조직신학 참고 도서 목록 조직신학 참고 도서 목록 * 김홍전.『중생자의 생활』 서울: 성약, 1985. 김홍전. ?교회에 대하여“ I, II, III, IV 서울: 도서출판 성약, 1997. 그 외에 김홍전 박사님의 글들을 모두 읽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Bavinck. Herman. ?하나님의 큰 일“ 원광연 옮김. 일산: 크리스챤다이제스트사. 원광연 옮김. 일산: 크리스챤다이제스트사, 2004. * Berkhof, L. 조직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사, 1991. * Ferguson, Sinclair. 『성령』 서울: IVP, 1999. Heppe, Heinrich. I, II. 이정석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2004. * Klooster, Fred. A Mighty Comfort. 이승구 역... 2022. 1. 28.
하나님의 나의 조직 /눅 12:22-31 하나님의 나의 조직 눅 12:22-31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무엇을 마실까 하여 구하지 말며 근심도 하지 말라 이 모든 것은 세 상 백성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아버지께서는 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아시느니라. 지난 몇 주간 동안 오늘 시대의 특성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미래가 불투명해서 모두 불안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이 불확실하고 내일이 불확실하고 우리의 종말이 불확실합니다. 그래서 오늘 사람들이 기쁨과 행복함을 빼앗기고 살아갑니다. 그런가 하면 또 오늘은 자신을 위해서 바벨탑을 쌓는 일에는 너무 확신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불필요한 일에 목숨을 걸고 살아갑니다. 정말 생각하고 되새겨야 할 일에는 자신감이 없고 불필요한 일에는 너무나 큰 확.. 2022. 1. 12.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이드보라교수) ,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1) : 서론 및 강의안내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2) : 서론 - 왜 교리를 배워야 하는가?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3) : 성경론 - “어떻게 하나님을 찾을 수 있을까?”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4) : 성경론 - 하나님의 자기 계시-일반 계시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5) : 성경론 - 하나님의 자기 계시-특별 계시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6) : 성경론 - 특별 계시의 목적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7) : 성경론 -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경 영감(1)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8) : 성경론 -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경 영감(2)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9) 성경론 - 어디서 교리를 찾을 수 있을까?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10) 성경론 - 교리를 찾는 일반적인 방법 쉽게 배우는 조직신학(1.. 2021. 11. 26.
칼빈, 어디로 가고 있는가? (Quo vadis, Calvine?) / 문병호(총신대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 칼빈, 어디로 가고 있는가?(Quo vadis, Calvine?) 돌아감, 극복, 혹은 돌아감으로 극복하기 문병호(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1. 들음으로써 필자는 기독교 강요를 가르치면서 칼빈의 신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얼마나 지대한가를 실감한다. 가득한 강의실의 후미진 곳에서 몇 몇 학생들이 청강임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듣고 있다. 그들은 진정 칼빈을 듣기를 원한다. 칼빈이 대안인지, 근본인지, 돌아갈 곳인지, 아니면 그곳을 이미 우리가 거쳐 나온 것인지, 묻지 않는다. 그들은 칼빈을 극복하고자 하는가? 돌아감으로, 아니면 그냥 넘어섬으로? 우리는 한 번이라도 칼빈을 진지하게 바라본 적이 있는가? 그의 신학을 서너 개의 진술로 우리의 작은 메모장에 가두지는 않았는가? 그냥 우리가 정의.. 2021. 11. 11.
조직신학의 7가지 주제들 ★ 조직신학의 7가지 주제들조직신학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들에 대한 체계적 지식이며, 기독교 복음의 자세한 해설이다. 조직신학의 7주제들은 다음과 같다.1. 서 론--기독교 교리의 기초가 되는 성경에 관하여(신학의 개념, 역사, 방법)1. 신학의 개념과 분야들1-1. 신학의 개념신학(神學, theology)은 말 그대로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학(學) 혹은 학문(science, 과학)이란 "체계적 연구에 의해 얻어진 사실들이나 원리들에 대한 지식" 즉 어떤 주제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학이란 하나님과 그의 진리들에 관한 체계적 지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을 다른 말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엄격한 의미에서 신학은 조.. 2021. 11. 10.
자유대학교 신학부 조직신학분과 자유대학교는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의 동남부 외곽에 있는 불러란(Boelelaan)에 소재하고 있다. 1105번지에 있는 본관 건물은 지상,지하를 합쳐서 15층이 넘는 회색빛 콘크리트 건물로 되어 있고, 이 본관 건물에 대다수의 학부들이 밀집해 있다. 겉에서 보자면 건물은 전혀 매력이 없게 지어져 있다. 원래 신칼빈주의자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가 대학을 설립할 때에는 시내 중심가에 흐르고 있는 케이저스흐라흐트(Keizersgracht) 운하가에 소재하고 있었지만 35년 전 쯤에 현위치로 확장 이전하였다. 좁은 터 위에 많은 공간을 창출하려고 하다 보니 현재처럼 멋없는 맘모스 건물을 만들어 내고 말았다. 중심가에 가면 수 백년 된 건물들이 즐비하게 있는데, 자유.. 2021. 11. 10.
개혁파 목사와 개혁파 신학 / 이승구 교수(국제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개혁파 목사와 개혁파 신학 이승구 교수(국제신학대학원 조직신학) 1. 들어가는 말 개혁파 목사(reformed pastor, presbyterian pastor)란 무엇이고, 무엇이 어떤 이를 개혁파 목사가 되게 하는가? 특별히 신학을 처음 하는 이들은 대개 어떤 동기로 신학교와 교단을 선택하는가? 현실적으로는 특별히 개혁파 목사가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신학교에 오는 이들을 드물다고도 할 수 있다. 상당히 많은 경우에는 어릴 때부터 다닌 교회가 장로교회이므로 장로교회의 목사가 되겠다고 하고서, 자신이 속해 있는 교회의 신학교를 찾거나, 그런 여러 신학교들 가운데서 그중 나은 신학교가 어딘가를 물어 찾아 온 것일 것이다. 이는 마치 어릴 때 출석한 교회가 침례 교회이기 때문에 침례교 목사가 되겠다고 침례.. 2021. 11. 10.
개혁주의 구원론 (박일민 칼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개혁주의 구원론 박일민(칼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 목적은 죄인의 구원에 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이유도 구원을 받는 데 있다. 그러면 이 구원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그리고 이 구원은 누구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인가. 또 이 구원이 우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근거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이제 이 문제들을 차례로 살펴보기로 하자. 구원의 의미 구원이라는 용어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는 매우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성경이 말하는 구원의 의미는 오직 하나 뿐이다. 그 의미는 예수님의 이름에서 잘 나타난다. 가리브엘 천사는 요셉에게 나타나서 장차 태어날 아이의 이름을 예수라 하라고 했다(마 1:21). 그리고 그 예수는 자기 백성을 저희의 죄에서 구원할 자일.. 2021. 11. 10.
리쳐드 개핀의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요약 리쳐드 개핀의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요약 작성자: 소리나라 (http://sorinara.new21.org) 리쳐드 개핀의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요약 * 머래이 교수는 조직신학의 임무와 과제를 논하기 위해서 성경신학간의 차이점을 적었다. 이와 더불어 개혁주의 입장의 학자들과 다른 신학적 배경의 사람들을 다룬다. 1.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문제는 최근의 문제이다. * 조직신학은 오래되었으나 성경신학은 18세기 독일 경건주의로부터 출발해서 18세기 후반에 독일의 합리주의의 영향아래 독자성을 가지다가(역사성 무시에 대한 반발), 개블러에 의해서 독자적이며 역사적 학문으로 천착 그러나 역사 비평적 문제와 역사주의의 위기가 존재 * 성경신학은 합리주의의 한 부분으로 성경의 역사성을 무시하는 정통주의의 반동으로 생.. 2021. 11. 8.
삼위일체 하나님은 기독교인의 삶과 교회의 주체” / 김용준 교수(대신대, 조직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 ‘보편구원론’ 야기함으로써 속죄 구원론 약화시켜 하나님과 세상 구분 않고 교회를 사회적 공동체로 이해하기도 교회는 삼위일체 교리를 정통교리로 인정했다. 하지만 슐라이에르마허(Schleiermacher) 이후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삼위일체 교리를 비이성적이고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무시했다. 그러나 20세기를 선도한 신학자들, 즉 바르트, 몰트만, 융엘, 판넨베르그는 삼위일체 교리를 재생시켰다. 그렇다면 이들이 재생시킨 삼위일체 교리는 문제가 없을까. 최근 한국복음주의신학회(회장:최갑종 교수, 백석대)가 개최한 ‘제62차 신학포럼’에 발제자로 나선 김용준 교수(대신대, 조직신학)가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이를 분석했다.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 자신이 죄로부터 인간을 구원하신다는 것.. 2021. 11. 6.
한국 장로교 보수주의 조직신학의 계보 본인은 장로교 목사로서 신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론신학(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과 실천신학' 전반에 관한 기본적인 소양이 있어야 한다고 확신,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기초로한 칼빈주의 장로교 가운데 성경의 축자영감과 절대무오를 토대로한 보수주의 장로교의 정통사상을 사수하고 보급하기 위해서라도 이 일에 생명을 걸어야 합니다. 이러한 신학가운데 초석이 되는 것이 이론신학이요, 이론신학 가운데 조직신학은 신학의 뼈대를 이루기에 매우 중요한 분야의 신학입니다. 이와같은 사상을 토대로한 조직신학의 계보에 대해 나름대로 정리,설명합니다.1. 유럽의 정통 조직신학(1)초대교회의 조직신학사도적 정통신학에 입각한 조직신학의 체계를 세운분중 대표적인 사람이 '동방교회의 아타나.. 2021. 11. 5.
성경신학 제2부 2장5-9장(선민국가의 조직과 관련된 계시 / 박윤선목사) 성경 신학 제2장5-9장 선민 국가의 조직과 관련된 계시 1. 출애굽 운동의 의의 출애굽 운동은 원칙상으로 하나님께서 그의 택하신 백성을 죄에서 구속하심이다. 그것은 신약 시대에 성취될 그리스도의 구속 역사의 예표적 의의를 가진다. 2. 출애굽 운동과 관련된 하나님의 이름(모세의 신관) 출애굽과 관련된 하나님의 이름은 “여호와”[hw:hy_]로서 “‘여호와’는 영원 자존하사 그의 약속하신 것을 반드시 이루시는 자”라는 의미이다.(출6:2~3) 또한 그는 영원 불변자시니 시작하신 구속 운동을 끝까지 완성하시며 그 분은 예수 그리스도이신데 구약의 여호와가 곧바로 메시야 자신이란 것은 말4:5의 말씀으로 알려진다. 3. 신정국 이스라엘이 출애굽 때부터 이룬 단체 생활은 하나님을 임금으로 모신 신정국이었는데 신.. 2021. 11. 4.
교리와 교리사 / 서철원. 총신대신대원 조직신학 교수 교리와 교리사1. 교리와 교리사1.1. 교리와 교리사“교리란?”교리는 “기독교의 기본진리”다. 기독교는 특별계시에 근거한 구원종교이기 때문에 근본진리를 갖게 되는데, 이 근본진리를 인정하면 기독교가 되고 부정하면 기독교가 되지 못한다. 기독교의 교리는 계시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권위를 갖는다. 교리는 교회의 근본 신앙 조목(articuli fidei)이며 하나님의 구원진리를 신적 권위에 근거하여 신앙고백 형식으로 표현한 명제가 교리가 된다. 교리 중에서 교회 존립에 필수적인 것을 교회가 신앙고백 형식으로 채택한 신앙 조항들이 교리로 공식화되었다. 교리는 성경 계시에서 유래하므로 교리는 반드시 믿고 순종해야 할 문장들이다. (sententiae quibus credi aut obtemperari necess.. 2021. 11. 3.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 이승구교수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 이승구 교수 http://blog.daum.net/holylife2/17208201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이승구 교수(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한국성경신학회 제 5 차 논문 발표 (2000. 2. 14.) 1. 들어가는 말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은 과연 어떤 관계성을 가지고 있고, 어떤 관계성을 가져야만 하는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고찰해 보는 것은 성경신학을 하는 분들에게나, 조직신학을 하는 분들에게나, 또 그 모두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서 목회와 설교에 반영해 보려고 하는 목회자들에게 다 유익할 것이다. 이 두 분야의 관계는 성경신학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게 이해될 것이다. 흔히 성경신학이라는 용어와 학문 분과의 창시자로 인정되는 가블러(Johann Phi.. 2021. 11. 2.
반(反)유신론적 이론 / 찰스 하지의 조직신학에서 부분 발췌 | 목록가기 제3장 반(反)유신론적 이론 찰스 하지의 조직신학에서 부분 발췌 (307~412p) 1. 반유신론이란 무엇인가 유신론은 만물의 창조주, 보존자, 그리고 통치자이신 우주 밖에 계시는 인격적 하나님에 관한 교리이기 때문에, 이런 존재의 실재를 부정하는 교리는 모두 반 유신론이다. 그러므로 공인된 무신론뿐아니라 다신론, 물활론, 유물론, 그리고 범신론도 반 유신론적 이론의 부류에 속한다. 2. 다신론(생략) 3. 물활론(생략) 4. 유물론 유물론은 물질과 정신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고, 물리적이거나 생명적이거나 또는 정신적인 세상의 모든 현상들을 물질의 기능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중략.... F. 논박 현대적 형태의 유물론은 그 이론에 본질적인 모든 것을 보면, 1천년 전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2021. 11. 2.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목록가기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현대 신학자들의 관심은 객관성보다 주관성, 성경 자체의 권위보다 성경의 기능 곧 인간에게 주어지는 의미로 옮겨왔다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등에서 정통신앙을 떠나온 현대신학 현대신학은 더욱 다양해졌고 여러 갈래이며 파편도 많다. 몇 가지 틀에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은 벅차다. 한 가지 말한다면 현대신학의 흐름이란 성경의 권위를 내던짐과 동시에 정통교리를 처음엔 조심스럽게, 조금 후엔 서슴없이 대범하게 떠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과거에도 있었다. 이미 오래전에 소치니(Faustus Sozzini, 1539-1604)가 합리주의적 성경 해석학을 들여왔고, 삼위일체를 부정했으며, 아리우스주의와 펠라기우스를 불러들였다. 그는 윤리를 중심에 두고, 관용, .. 2021. 11. 2.
칼빈의 신앙론/박해경 교수(ACTS, 조직신학) -목차- 1. 서론 2. 칼빈의 기독교의 본질 이해 3. 신앙의 정의 4. 신앙의 본질적 특성과 목표 5. 신앙의 지식과 확신 6. 신앙과 경건 7. 결론 1. 서론 워필드(B. B. Warfield)는 칼빈을 가리켜 "성령의 신학자"(the theologian of the Holy Spirit)라고 하였다. 기독교교리사에 있어서 교회가 죄와 은총론은 어거스틴(Augustine)에게, 속죄론은 안셀름(Anselm)에게, 이신칭의론은 루터(Luther)에게 은혜를 받고 있으나 성령의 역사(役事)에 관한 교리는 특히 칼빈에게 빚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칼빈의 기독교강요 3권을 자세히 검토한다면 워필드의 이 말은 극히 타당한 것으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칼빈은 강요 3권에서 실상 구원론을 논하고 있는데,.. 2021. 11. 2.
교회의 조직과 임무 교회의 조직과 임무 (The Church - Its Organization and Work) 조 직 초대교회는 민주주의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그리스도를 왕으로 모신 군주주의 였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전서 6:15에서 "하나님은 복되시고 홀로 한 분이신 능하신 자시며 만왕의 왕이시며 만주의 주"시라고 묘사합니다. 그가 자신이 교회의 왕되심 을 말씀하셨습니다. 마태복음 28:18에서는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 으니" 라고 말씀하셨고, 골로새서 1:18을 통해서 "그는 몸인 교회의 머리라. 그가 근본이요. 죽은 자들 가운데서 먼저 나신 자니"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교회의 머리되시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 계시기 때문에 그분이 함께 계시는 하늘나라가 교회의 본부라고 결론 내릴 .. 2021. 10. 22.
제네바 교회의 조직과 예배에 관하여 제네바 교회의 조직과 예배에 관하여 존 칼빈 저 (January 16, 1537) 지형기 譯 개 요 1537년 1월 칼빈에 의해 사역자회(Council of Minister)에 제출된 본 논문은 격렬한 논쟁을 낳으며 그 온전한 형태로나 제출되어진 형태로 채택되지 않았다. 성찬식에 있어서, 일상적으로 준수되었던 분기별 시행을 지지하면서, 월별 시행에 대한 요구는 거부되었다. 권징(discipline)의 소개와 출교(excommunication)나 권징 회의(disciplinary council)의 설립 모두 동의를 얻지 못하였다. 비록 신앙 고백이 이전에도 채택되어 왔지만, 의회는 시민들에 의해 추종되는 행정관들 자신들이 그것을 고수한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권고를 용납하지 않았다. 결혼 문제들을 다룰 .. 2021. 10. 20.
하나님의 나의 조직 하나님의 나의 조직                                                   눅 12:22-31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무엇을 마실까                              하여 구하지 말며 근심도 하지 말라 이 모든 것은 세                              상 백성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아버지께서는 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아시느니라.                              지난 몇 주간 동안 오늘 시대의 특성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미래가 불투명해서 모두 불안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말씀.. 2021. 10. 12.
문병호박사의 칼빈의 교회론/조직신학회 칼빈의 교회론: 기독론·삼위일체론적 관점에서 문병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1. Sola Scriptura: 칼빈 신학에 대한 관점적 접근 소위 칼빈 신학의 중심 주제(the so-called central dogmaof Calvin’s theology)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을 단순히 현학적인 것으로만 치부(置簿)할 수 없음은 제네바의 성경 교사요 말씀의 수호자인 그는 신학적이거나 철학적인 전제나 논리보다 성경의 가르침 자체에 충실해서 그곳에 기록된 다양하며 역동적인 신학 주제들(loci)을 이성적으로 첨삭하지 않고 모두 다루었으므로 그 정수를 논구하는 것이 그의 신학을 조직적이며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일부 학자들은 칼빈 신학을 온전히 이해하기 .. 2021. 10. 12.
[본회퍼 윤리학] 제3강 자연적 생명(조직신학회장 김재진 교수) 2021. 10. 10.
메이쳔에 있어서 조직신학적 관심 한국성경신학회 논문 발표회 2002. 2. 18. 메이쳔에 있어서 조직신학적 관심 김성봉(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I. 시작 말 1. 연구의 계기 2. 연구의 의의 3. 지금까지의 연구 4. 연구의 방식 II. 메이쳔의 생애와 그의 저술 1. 메이쳔의 생애 2. 그의 저술 III. 메이쳔의 저술을 통하여 본 그의 조직신학적 관심 1. 아쉬움 2. 그의 저술들에서 보이는 조직신학적 주제들 3. 그의 사상적 배경 IV. 주제별로 본 그의 조직신학적 관심 1. 성경론 2. 신론 3. 인간론 4. 기독론 5. 구원론 6. 교회론 7. 종말론 V. 이 같은 서술 방식의 공헌과 한계 1. 공헌 2. 한계 VI. 맺는 말 메이쳔에 있어서 조직신학적 관심 I. 시작 말 1. 연구의 계기 성경신학회가 신학자들을 발굴하여 .. 2014.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