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정론에 내포된 3대 메시지 (에베소서 1장 11-12절) 예정론에 내포된 3대 메시지 (에베소서 1장 11-12절) 하나님은 인생의 집을 다 지어서 주시는 하나님이라기보다 인생의 집을 지을 수 있는 여건과 자재를 주시는 하나님이시다. 그 여건과 자재를 잘 활용하면 누구나 멋진 인생의 집을 지을 수 있다. 거지로 예정된 사람은 없다. 꼴찌로 예정된 사람이나 실패하기로 예정된 사람도 없다. 하나님의 약속을 붙들고 나아가면 누구나 복된 인생을 살 수 있다. 개인의 운명은 생각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현실은 대개 과거에 가졌던 생각의 결과다. 생각이 고상하면 고상해지고 생각이 비천하면 비천해진다. 성공 위주로 생각하면 성공 가능성이 커지고 실패 위주로 생각하면 실패 가능성이 커진다. 현실을 바꾸려면 생각부터 바꾸라. 큰 꿈을 품고 .. 2023. 1. 2.
제14과 하나님의 목적과 예정 제14과 하나님의 목적과 예정 1.하나님의 목적(目的) 1) 영원 자존하신 하나님의 사역의 제일 첫 순서는 그의 영원한 목적을 정하신 것이다. 2) 이 목적 성취를 위해 모든 것을 예정하신 것이다. 3) 이 예정 안에 창조와, 섭리와, 구속 등... 하나님의 영원한 사역 전 과정이 하나도 빠지지 않고 다 포함되어 있다. 4) 모든 피조물의 선악간 모든 행동과 그것의 영원한 결과까지 다 예정되었다.(엡1:11, 행17:26, 잠 16:33, 엡2:10, 벧전2:8). 2.목적과 예정의 불변(不變) 하나님의 완전한 속성에 의해 선정된 그의 영원하신 목적, 곧 기쁘신 뜻과 계획은 하나님의 완전한 사랑과, 불변하신 뜻과, 전지의 지능(知能)으로, 예정하신 것이기 때문에 수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2022. 4. 22.
선택과 예정 - 성기호 선택과 예정 - 성기호 총장 하나님께서 나를 구원으로 예정하셨을까? 신자들이 교회에 다니면서 갖게 되는 의문 중 하나이다. 지금 교회에 다니고 있으니까 당신은 구원받은 것이라고, 즉 구원으로 예정된 것이라고 가르치는 교사들이 있다. 그러나 성경은 마지막 날의 형편을 기록하면서 예수님께서 오실 때에 모든 민족을 모으고 목자가 양과 염소를 나누는 것같이 분별하시리라 했다(마 25:32). 세상 끝날, 즉 추수 때에 주인은 알곡과 가라지를 나누는 것같이 하나님의 밭에서 구분하실 것을 말씀하고 있다(마 13:30). 즉 한 목장에 있는 양과 염소, 같은 밭에서 자라고 있는 알곡과 가라지가 나누일 날이 있음같이 한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마지막 운명이 갈리는 날이 온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 2022. 3. 19.
기독교 예정론과 숙명론(1)/김규욱 목사 기독교 예정론과 숙명론(1)/김규욱 목사 * 기독교 예정론이 숙명론인가? *흔히 오해되고 있는 것처럼 기독교 예정론이 이방 종교의 숙명론과 유사한 것인가? 단적으로 말해서 기독교 예정론과 숙명론은 그 성격이나 의미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이것을 밝혀가기 위해서 먼저 숙명론의 발생적 기원과 성격을 살펴보기로 한다.1. 숙명론의 발생적 기원과 성격숙명론이란 인간의 생사화복이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냉혹한 필연적인 법칙으로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거의 대부분의 종교는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숙명론적이다. 또한 뚜렷한 종교를 갖고 있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숙명론적 사고 방식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씬 널리 펴져 있고, 사람들의 의식 속에 깊숙이 뿌리 박혀 있다. 자유를 .. 2022. 1. 11.
영화로운 예정/로마서 8:29 영화로운 예정/로마서 8:29 우리가 동남아에 여행을 가면 가난한 사람들이 많이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왜 이렇게 가난한 사람들이 많을까? 거기에 대해서 많은 회의를 느낍니다.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빈부격차가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어떤 사람은 수많은 경비원을 두고, 식모를 두고, 많은 종을 거느리고 살지만 어떤 사람은 날마다 길거리에서 거지마냥 구걸하고 삽니다. 엄청나게 큰 대궐같은 집을 보면서도 아무렇지도 않게 거지같이 움막집에서 살아갑니다. 만약에 한국 땅에 그런 사람들이 있다면 아마도 혁명이 날 것입니다. 한국 사람들은 그런 것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어떤 때는 목사인 저 자신도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같은 나라 안에서 이렇게 빈부의 격차가 심한데도 용납하고 살아갈까' 그곳에.. 2022. 1. 3.
예정에서 영화까지 자료원 예정에서 영화까지 자료원 : 박종순 목사 충신교회 예장통합 구 절 : 롬 8:26-30 하나님께서 구원받을 사람들이 미리 정하셨다는 교리를 [예정론] 이라고 합니다. 로마서 8:26-30과 에베소 1:3-14은 예정교리를 성경적으로 증언하 고 있습니다. 흔히 예정교리를 신학적으로 어렵게 해석하려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러나 예정교리란 하나님의 인격적 행위인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격을 가진 모든 사람들은 자신이 할 일과 앞으로의 계획을 미리 정합니다. 10년, 5년, 1년 그리고 하루동안 할 일을 계획하고 준비합니다. 예를들어 갑자기 자고난 다음날 러시아를 가겠다든지, 사무실에서 일하다 가 갑자기 일어나 미국을 갈 수는 없습니다. 미리 여행계획을 세우고 비행 기편을 예약해야 합니다. 결혼을 예로 들어보겠습.. 2022. 1. 1.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예정론에 관하여 처음 목록가기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예정론에 관하여 행13:46~48 10.06.20.설교일부녹취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다 믿더라. 행13:48b ▲예정론 위 구절에서 ‘작정되다’로 번역된 헬라어 동사 ‘타쏘’는 ‘지정하다. 지명하다’ 라는 의미다. 하나님께서 영생을 지정하고, 지정한 자는 다 믿더라는 뜻이다. 바꾸어 말하면, 하나님께서 개별적으로 하나님을 믿도록 지명하지 않은 사람은, 하나님을 믿지 않더라는 뜻이 된다. 이런 여러 구절들에서 신학적 개념인 ‘예정론’이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예정론을 잘못 이해하면, 도리어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예정론은 성경적 진리임에도 불구하고, 잘못 오해할 소지가 매우 크다. 그 오해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만약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영생.. 2021. 12. 29.
타락전 선택설 / 타락후 선택설 논쟁` 과 칼빈의 예정론 - (이승구 교수) 개혁주의를 규정하는 준거점에 있어서 베자(타락전 선택설)와 불링거(타락후 선택설)에 평가가 연구되어야 한다. 베자(Theodor Beza.1519-1605)는 칼빈을 계승한 그의 참된 제자이며 제네바 대학의 지도자이고, 칼빈의 교의에 관한 해석으로 유럽 전역의 칼빈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성경의 단순성을 유지하고자 하였고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총을 강조하며 예정에 있어서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으로서 창조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믿었다. 예정과 유기에 대한 작정도 하나님의 의지이외에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으며 그 목적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데 두었다. 섭리에 있어서도 하나님은 일반섭리와 특별섭리에 의해서 다스리신다고 고백하였다. 그리스도인들은 구약성도와 같은 약속과 같은 은혜에 기초하여 택함을 받은 .. 2021. 11. 7.
칼빈의 예정론고찰/이승구교수 칼빈의 예정론에 대한 한 고찰 --'타락전선택설/타락후선택설 논쟁'과 칼빈의 예정론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조직신학 분과 논문 발표 2002. 9. 7 ] 이승구 박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일반적으로 죤 칼빈(John Calvin)하면 예정론을 떠올리는 것이 신학계는 물론 비신학계에서 의 상례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신학계에서는 물론, 신학계에서도 칼빈의 예정론 에 대한 무수한 오해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오해들 중에는 예정론이 칼빈 신학의 출발점인 가, 아니면 그의 신학의 논리적 결과의 하나인가에 대한 그의 신학 전체에 대한 해석의 문 제와 관련된 것도 있고, 이중 예정을 말하는 성경을 따르려는 칼빈의 심정에 대한 심리적 오해도 있으며, 칼빈이 제시하는 예정론의 정확한 성격에 .. 2021. 10. 28.
칼 바르트와 관계신학: 삼위일체, 예정 그리고 종말론: 북미에서 바르트 논쟁에 대한 비판적 보충(정승훈 박사) 2021. 10. 25.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특별 강의: 칼 바르트의 칼빈 수용: 예정론(선택론) (크리스티안 링크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칼 바르트와 관계신학: 삼위일체, 예정 그리고 종말론(정승훈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기독론 및 예정론 비판 제 5 강 칼 바르트 기독론 및 예정론 비판 칼 바르트 기독론 비판(서재주 교수) 1) 서론 일반적으로 바르트(K. Barth)의 신학을 기독론(Christology)적 신학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 기독론은 하나로서 전체를 함의하는 기독론적 일원론(Christomonism)이다. 왜냐하면 그의 모 든 신학의 중심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계시된 예수 그리스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르트 신학을 기독론적 집중신학(Christological -centric theology)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스 도 중심의 기독론적 집중은 그의 신학의 장점임과 동시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독론적 집중이라는 말은 기독론이 삼위일체론, 계시론, 창조론, 선택론, 화해론과의 밀접한 .. 2021. 10. 14.
칼빈- 예정의 논리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빈의 예정의 논리  칼빈의 예정론에 대한 여러가지 우려와 비판이 칼빈 당시뿐만 아니라 그의 후계자들 가운데도 많은 논란이 되어 왔음을 역사를 통해서 우리는 읽을 수 있다. 카톨릭에서 장로교회로 개종했다가 칼빈과 예정론에 대해서 싸운 후 다시 카톨릭으로 개종한 제롬 볼섹은 강력하게 칼빈의 예정론에 대해서 반대했다. 그 이유는 칼빈의 예정론은 하나님을 폭군으로 만들고 죄의 조성자로 만든다고 했다. 그러나 칼빈은 말하기를 볼섹이 진정한 의미에서는 예정론 에 반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정면으로 반대한 것이기 때문에 신성 모독이 된다고 했다.  칼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은 생명을 걸고서라도 지켜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는 더치(Duchess)의 페라라 공.. 2010.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