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절대 주권(롬9:19~29) 로마서 강해로 돌아가기목차로 돌아가기하나님의 절대 주권(롬9:19~29) 오늘도 귀한 말씀을 보게 됩니다. 우리가 성경말씀을 볼 때에 그 말씀이 조금 옅은 말씀이어서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말씀도 있습니다. 그런데 대체로 이해하기 어려운 말씀이 오히려 더 귀한 말씀이고 그것을 깨닫게 될 때에 더 확실한 믿음에 들어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어도 그렇습니다. 치아가 좋지 않아서 늘 무른 음식만 술술 넘기는 것이면 음식 먹는 재미가 있겠어요? 입맛을 반도 채우지 못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치아만 좋으면 굳은 음식이 좋아요. 와작와작 씹어먹어야 맛이 나고 씹을수록 맛이 나는 법이지요. 소화도 그래야 잘됩니다. 진리도 그와 같습니다. 쉽게.. 2024. 3. 19. 하나님의 구원의 주권(롬9:1~18) 로마서 강해로 돌아가기목차로 돌아가기 하나님의 구원의 주권(롬9:1~18) 오늘의 본문은 여러분이 읽어보셔서 아신 바와 같이, 비교적 어렵게 기록되어 있어서 좀 이해하기가 힘든 대목입니다. 그러나 깊은 신앙 가운데서 긍정적으로, 혹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자세로 이 말씀을 대하면 쉽게 이해할 수가 있고, 또 우리의 깊은 신앙 간증에서 대하면 더욱 잘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것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혹은 추상적, 철학적 이론으로 받아들이려고 하지 말고, 신앙으로 받고, 우리의 신앙간증과 함께 실제적으로 생활 속에서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하나님의 선택의 교리에 대하여 생각했습니다. 하나님의 선택에는 먼저 선교적 선택이 있습.. 2024. 3. 19. 주권신앙 부활신앙 (시편 23:1-6) 주권신앙 부활신앙 (시편 23:1-6) 할렐루야! 사망 권세를 이기시고, 모든 어두움의 세력을 결박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생명이 여러분 모두에게 충만히 임하시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옆 사람과 함께 인사 나누겠습니다. “주권신앙으로 순종합시다! 부활신앙으로 승리합시다!” 여러분 “세계는 나의 교실, 인류 최후의 혁명은 사랑의 혁명” 이라는 표어를 들어보셨습니까? 모든 인간은 사랑 받아야 할 고귀한 존재라는 성경 진리에 입각해 고통받는 세계의 이웃들을 사랑으로 섬기며 필요를 채워주는 “국제 사랑의봉사단”의 표어입니다. 이제 우리 교회 성도님 중에 한분이 이 “국제 사랑의 봉사단”에 평신도 자비량 선교사로 1년동안 파송되어 아프리카 수단에 있는 고아원에서 1년 동안 영어선생님으로 봉사하시기 위해.. 2022. 9. 11. 하나님설교 : 하나님의 주권 (벧후 2:9-22) 전체 목록가기 하나님 목록 돌아가기 하나님의 주권 (벧후 2:9-22) 오늘 우리가 생각하게 되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것입니다. 이미 생각한 바 있는 베드로후서 2장 4절 말씀에 “범죄한 천사들을 용서치 아니하시고 지옥에 던져 어두운 구덩이에 두어 심판 때까지 지키게 하셨다”고 했는데 그 말씀에 대한 결론이 9절 말씀입니다. 그 다음에 사도 베드로는 계속해서 홍수와 소돔 고모라의 경우를 다루고 있는데 결국에는 “주께서 경건한 자는 시험에서 건지시고 불의한 자는 형벌 아래 두어 심판날까지 지키신다”고 했습니다. 사도 베드로가 이 편지를 쓰면서 마음속에 가진 목적은, 말로 다 할 수 없는 어려운 지경에서 신앙에 대한 위협을 받으면서 배교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데, 어떻게 해서라도 그리스도인들을 도와.. 2022. 8. 7.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주권/롬 11:1-6, 25-36 롬 11:1-6, 25-36 /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주권 세상에 많은 나라들이 존재하지만 아마도 이스라엘 처럼 독특한 역사를 지닌 민족은 다시 없을 것입니다. 이스라엘 수상을 지냈던 데빗 벤 규이엄이라는 사람은 “이스라엘 나라 처럼 세계 역사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한 나라가 또 있겠는가?”라는 말을 했습니다. 유명한 역사가인 아놀드 토인비교수는 “이스라엘 역사를 연구하면 할수록 신의 섭리를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고백했습니다. 과거 프러시아 제국의 한 황제가 황실에서 일하고 있었던 황실목사에게 말하기를, “나는 신을 믿고 싶지만 신이 살아있다는 증거가 없어서 못 믿겠다”는 고백을 했다고 합니다. 이 때 황실목사는 “폐하시여, 제가 폐하에게 하늘과 땅을 창조한 신이 살아있다는 단순하고도 명백한 증거를 .. 2022. 3. 8. 주권신앙 부활신앙 (시편 23:1-6) 전체 목록가기 부활 목록 돌아가기 주권신앙 부활신앙 (시편 23:1-6) 할렐루야! 사망 권세를 이기시고, 모든 어두움의 세력을 결박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생명이 여러분 모두에게 충만히 임하시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옆 사람과 함께 인사 나누겠습니다. “주권신앙으로 순종합시다! 부활신앙으로 승리합시다!” 여러분 “세계는 나의 교실, 인류 최후의 혁명은 사랑의 혁명” 이라는 표어를 들어보셨습니까? 모든 인간은 사랑 받아야 할 고귀한 존재라는 성경 진리에 입각해 고통받는 세계의 이웃들을 사랑으로 섬기며 필요를 채워주는 “국제 사랑의봉사단”의 표어입니다. 이제 우리 교회 성도님 중에 한분이 이 “국제 사랑의 봉사단”에 평신도 자비량 선교사로 1년동안 파송되어 아프리카 수단에 있는 고아원에서 1년 .. 2021. 11. 23. 하나님의 주권 사상이 캘빈 신학의 핵심 하나님의 주권 사상이 캘빈 신학의 핵심 특집 캘빈과 로잔 이종윤 목사 인터뷰 서울교회를 담임하는 이종윤 목사는 한국장로교신학학회 회장, 한기총신학위원장, 아시아 로잔위원회 의장 등으로 섬기면서 개혁교회 전통과 복음주의 전통이 한국 교회에 더욱 뿌리 내리도록 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캘빈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면서 한국 교회와 목회자들이 되찾아야 할 캘빈의 삶과 신학은 무엇인지, 제3차 로잔 대회를 위한 국제지도자대회를 한국에서 유치하게 된 의의는 무엇인지를 들어보았다. 일시 2009년 5월 28일 장소 서울교회 당회장실 진행 최원준 편집장 정리 이한진 기자 캘빈의 삶과 목회 사역이 한국 교회 목회자들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저는 주로 캘빈의 호칭을 목사님이라고 합니다. 캘빈은 아주 신실한 목회자.. 2021. 11. 11. 하나님의 주권 사상이 캘빈 신학의 핵심 span>하나님의 주권 사상이 캘빈 신학의 핵심입니다 특집 캘빈과 로잔 이종윤 목사 인터뷰 서울교회를 담임하는 이종윤 목사는 한국장로교신학학회 회장, 한기총신학위원장, 아시아 로잔위원회 의장 등으로 섬기면서 개혁교회 전통과 복음주의 전통이 한국 교회에 더욱 뿌리 내리도록 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캘빈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면서 한국 교회와 목회자들이 되찾아야 할 캘빈의 삶과 신학은 무엇인지, 제3차 로잔 대회를 위한 국제지도자대회를 한국에서 유치하게 된 의의는 무엇인지를 들어보았다. 일시 2009년 5월 28일 장소 서울교회 당회장실 진행 최원준 편집장 정리 이한진 기자 캘빈의 삶과 목회 사역이 한국 교회 목회자들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저는 주로 캘빈의 호칭을 목사님이라고 합니다. 캘빈은 아주.. 2021. 11. 6.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69 중재자의 주권 3 (장신대 백충현 교수) 2021. 10. 25.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69 중재자의 주권 2 (김민호 교수) 2021. 10. 2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69 중재자의 주권 1 (김재진 교수) 2021. 10. 12.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 명제 69 중재자의 주권 4 (김재진 교수) 2021. 10. 11.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 명제 69 중재자의 주권 1 (김재진 교수) 2021. 10. 8. ‘하나님 절대주권’ 영역 확대·발전 ‘하나님 절대주권’ 영역 확대·발전 칼빈 장로회 정치체계서 큰 영향 … 민주적 장로제도 마련 2014년은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가 존 낙스(John Knox) 탄생 400주년이 되는 해다. 개혁교회에서 기억해야 할 종교개혁가가 많지만, 장로교회에 낙스는 보다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제네바에서 칼빈에게 개혁주의를 배운 낙스는 1561년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총회를 조직하며, 세계 장로교회를 태동시킨 인물이기 때문이다. 낙스 탄생 400주년을 맞아 낙스의 스코틀랜드 종교개혁과 장로교회 태동의 의미를 고찰하고, 낙스를 통해 오늘의 한국 장로교회를 점검하는 연속기획을 3회에 걸쳐 진행한다. 존 낙스의 출생연도는 이견이 있다. 1503~4년에 출생했다는 주장부터 1515년이라는 의견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 2014. 11. 8. 아브라함 카이퍼-신복음주의의 주권주의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아브라함 카이퍼와 신복음주의의 주권주의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류호준 원장은 "개혁신학 전통 안에 공존하는 세 가지 유형의 신앙 형태"라는 글에서 개혁신앙의 세가지 전통을 말한다. 교리를 강조하는 전통, 경건을 강조하는 전통, 그리고 (사회)변혁을 강조하는 전통이 그 세가지이다. 그 중 마지막 개혁주의의 전통, 즉 아브라함 카이퍼로 대표되는 '변혁주의'에 대해 잠시 살펴 보려고 한다. "개혁주의신학"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지만, 주권주의(왕권신학 Dominionism)와 신복음주의에 대해서는 할 말이 조금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고신 교단의 이광호 목사의 [칼빈주의와 한국교회]라는 글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내용이 매우 유익하니 조금 길더라도 (원문도 포함해서.. 2011. 4. 9. 조나단 에드워드-하나님의 주권에 있는 구원 하나님의 주권에 있는 구원(조나단 에드워드) (God's Sovereignty in the Salvation of Men) “그런즉 하나님께서 하고자 하시는 자를 긍휼히 여기시고 하고자 하시는 자를 강팍케하시느니라”(롬 9 :18). 사도 바울은 로마서 9장을 시작하면서 하나님을 부인한 유대 민족을 생각하고 자기 마음이 심히 걱정되고 슬프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마음으로 바울은 하나님이 택한 유대인과 그렇지 않은 유대인의 차이 그리고 유대인과 이방 기독교인 사이의 차이를 언급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성경의 다른 어떤 장에서보다 택함 받아 영생에 이르는지, 그렇지 않은지의 문제, 곧 그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세세하게 다루고 있다. 선택의 교리를 확실히 제시하기 위해 구약에서도 여러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 2007. 6.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