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그리스도의 의로운 통치 사 11:1-9 성도 여러분 주님의 나라가 도래하게 되면 어떻게 되리라고 생각해 보셨습니까? 우리는 참으로 좋은 나라가 임하게 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경은 하나님의 나라는 예비하고 준비하는 자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또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가 이 땅에 임하시면서 주님의 통치는 시작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땅에 사는 성도들에게 주님의 나라가 임하게 됩을 구약 성경은 예언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선지자들이 말하고 있는 것같이 참으로 주님이 다스리시는 평화의 나라가 우리에게 이루어 졌는가를 물어 보아야 합니다. 아니면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이사야 선지자는 주전 6세기경의 사람입니다. 이사야는 남조 유다 사람으로 웃시야 왕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시대에 활동했던 선지자입니다. 당시 앗수.. 2022. 10. 3. 열방을 통치하시는 하나님 (대하 20:6) 열방을 통치하시는 하나님 (대하 20:6) "가로되 '우리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는 하늘에서 하나님이 아니시니이까? 이방 사람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지 아니하시나이까? 주의 손에 권세와 능력이 있사오니 능히 막을 사람이 없나이다"(대하 20:6)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선택하신 후 그의 후손으로 이뤄진 이스라엘 민족을 사랑하셨고 나라와 제사장으로 삼으셨습니다. 지금도 하나님은 택한 백성을 여전히 사랑하십니다. 그렇다고 삼위일체 하나님은 기독교인의 세계만을 사랑하고 다스리시며 이방인의 세계는 방치하여 두시거나 형벌만 내리시지는 않으십니다. 햇빛과 비를 의인과 악인에게 똑같이 내리시고 비 기독교인들도 번성하고 번창하게 하시는 사랑과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1. 북핵 협상과 하나님의 섭리는 무엇입니까? 요즘 .. 2022. 9. 17. 하나님설교 : 통치하시는 하나님 (계19:3-8) 전체 목록가기 하나님 목록 돌아가기 통치하시는 하나님 (계19:3-8) 두번째 가로되 할렐루야 하더니 그 연기가 세세토록 올라가더라 또 이십 사 장로와 네 생물이 엎드려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께 경배하여 가로되 아멘 할렐루야 하니 보좌에서 음성이 나서 가로되 하나님의 종들 곧 그를 경외하는 너희들아 무론 대소하고 다 우리 하나님께 찬송하라 하더라 또 내가 들으니 허다한 무리의 음성도 같고 많은 물 소리도 같고 큰 뇌성도 같아서 가로되 할렐루야 주 우리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가 통치하시도다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 야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 아내가 예비하였으니 그에게 허락하사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를 입게 하셨은즉 이 세마포는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요한계시록 19 : .. 2022. 8. 10. 마카비 혁명에서 로마제국 통치까지 구약시대와 신약시대를 잇는 중간시대 400여 년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을까? 알렉산더가 B.C. 323년에 갑자기 죽자 거대한 헬라제국은 그의 부하 4명에 의해 분할됐다. 이때부터 이스라엘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연이어 셀레우코스 왕조에 약 250년간 지배를 받았다. 지난 호에서는 헬라제국에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까지 살펴보았다. 3)셀루우코스 왕조의 통치시대 셀루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커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정권을 인수받은 후 시리아의 안디옥에서 팔레스타인을 직접 통치했다. 문제는 안티오커스 4세(B.C. 175~163)가 통치하던 때에 일어났다. 안티오커스 4세는 교만하기 그지없었다. 자신을 신으로 착각하여 ‘신의 현현(顯現)’을 뜻하는 ‘에피파네스’라고 개명하였다. B.C. 168년에 .. 2022. 5. 12. 성서지도/사사들의 통치 목록가기 출처 : https://blog.daum.net/oxhill0215/6625 출처 : https://www.wcts.kr/board/bbs/board.php?bo_table=educational4&wr_id=30&sst=wr_datetime&sod=desc&sop=and&page=24 출처 : https://file.godpeople.com/?GO=file_info&info_code=C2444 출처 : http://gyusikjung.blogspot.com/2019/07/3.html 출처 : http://gyusikjung.blogspot.com/ 2022. 5. 10. (25)로마 제국의 유대 통치 - 신구약 중간사 https://youtu.be/5gt7uYaTJ1A 2022. 4. 1. [신구약 중간사 특강3] 로마의 통치와 헤롯 왕가 - 김재구 교수 https://youtu.be/-_1ppwFxa_E 2022. 3. 9. 하늘 권세로 통치권을 회복하라 시 2:8~9 하늘 권세로 통치권을 회복하라 시 2:8~9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은 통치권입니다. ▲원래 하나님은 인간으로 하여금 온 세상을 다스리고 통제하고 통치하도록 만드셨습니다.창세기 1장 28절이죠.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하나님이 자기 형상으로 사람을 창조하시고, 피조물들에 대한 통치권을 주셨습니다.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것은 놀라운 것입니다.이것은 신적인 삶을 사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과 거의 동등된 삶을 살도록 지으셨다는 겁니다.에덴동산에서 아담과 하와에게 주어진 그 권세는, 거의 신적인 거예요.그러니 하늘의 권세를 이어 받은 존재입니다. 하나님의 대리자로.거의 하나님과 같.. 2022. 2. 24. 로마 교황의 통치 로마 교황의 통치와 그 본색 목차 - 시작하면서 - I. 로마 카톨릭 교회 및 교황의 명칭 이해Ⅱ. 로마 카톨릭 교회의 기원과 본질Ⅲ. 로마 교황의 통치Ⅳ. 로마 교황의 본색 - 맺는 말 - 김장진 (고려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시작하면서- 기독교의 범주에는 참 기독교(Biblical Christinity), 유사 기독교(Pseudo Christianity) 및 기독교적 이단(Heresies)이 포함된다.기독교는 팔레스타인으로부터 로마를 거쳐 전 세계에 편만한 세계적 종교이며, 수 천년동안 생명을 가지고 있는 전 세기적인 역사 종교이다.종교개혁 이후 기독교는 ① 로마 카톨릭 교회(The Roman Catholic Church) ② 헬라 정 교회(The Orthodox Eastern Church) 및 ③ .. 2022. 1. 11. 로마 교황의 통치와 그 본색(로마교단의 실체) /김장진 교수 로마 교황의 통치와 그 본색 목 차 - 시작하면서 - I. 로마 카톨릭 교회 및 교황의 명칭 이해 Ⅱ. 로마 카톨릭 교회의 기원과 본질 Ⅲ. 로마 교황의 통치 Ⅳ. 로마 교황의 본색 - 맺는 말 - 김장진 (고려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시작하면서- 기독교의 범주에는 참 기독교(Biblical Christinity), 유사 기독교(Pseudo Christianity) 및 기독교적 이단(Heresies)이 포함된다. 기독교는 팔레스타인으로부터 로마를 거쳐 전 세계에 편만한 세계적 종교이며, 수 천년동안 생명을 가지고 있는 전 세기적인 역사 종교이다. 종교개혁 이후 기독교는 ① 로마 카톨릭 교회(The Roman Catholic Church) ② 헬라 정 교회(The Orthodox Eastern Church.. 2021. 11. 17. 제임스 1세의 통치 청교도 전성기 1603년과 1662년 사이의 기간은 격동기였다. 왕권과 의회가 갈라져서 급기야는 심니전쟁으로 비화되었다. 1640년대에는 종교적인 다원화 현상이 고개를 쳐들었다. 청교도 운동은 이 시기에 절정에 이르렀는데 특히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두드러지게 부각되었다. 이제 서술하려는 다음 다섯 가지 단계의 역사는 청교도 이해에 매우 중요한 것들이다. 첫 단계는 제임스 1세 통치, 둘째 단계는 찰스 1세와 로드 대주교, 셋째 단계는 시민 전쟁과 올리버 크롬웰의 활약 넷째 단계는 청교도 상위 시대 다섯째 단계는 군주제의 회복과 청교도의 쇠퇴이다. 6. 제임스 1세의 통치 엘리자베스 1세는 1603년 사망했다. 그녀는 잉글랜드를 대국으로 만들려고 힘썼는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년는 성격이 고르지 못한.. 2021. 11. 16. 제임스 1세의 통치 엘리자베스 1세는 1603년 사망했다. 그녀는 잉글랜드를 대국으로 만들려고 힘썼는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년는 성격이 고르지 못한 편이었다. 때때로 역정을 부리고 기분이 언짢으면 말을 하지 않으며 사리에 맞지 않은 행동을 하였다. 그럼에도 그녀의 통치는 정치적으로 안정을 가져왔다. 이것은 곧 이어지는 17세기 후반의 상황에 비추어 보면 적지 않은 업적이다. 앞에서 살폈듯이 17세기 초반의 청교도는 잉글랜드 국효회 목회자들의 약 10퍼센트에 불과했다 청교도들은 새왕(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6세라고 부르고, 잉글랜드에서는 제임스 1세라 칭함) 이 장로교가 국교인 스코틀랜드에서 왔기 때문에 교회 개혁에 동조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매우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청교도들은 1천명의 청교도들이.. 2021. 11. 12. 하나님 나라의 정의와 이스라엘 역사에서 하나님의 통치-서철원 하나님 나라의 정의와 이스라엘 역사에서 하나님의 통치 하나님 나라에 관한 처음 제기될 수 있는 질문은 ‘하나님 나라’가 무었을 뜻하는가 하는 질문일 것이다. 하나님의 나라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 것인가? 우리가 하나님 나라에 대하여 수 없이 들어왔고 또 사용하여 왔는데, 도대체 하나님 나라가 무었이냐고 질문을 받을 때 곧장 대답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하나님 나라를 그 선포의 중심주제로 삼는 신약도 하나님 나라의 정의를 재공하지 않으며, 또 구약은 “하나님의 나라’도 잘 언급하지 않는데서 그 이유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구약이 하나님 나라를 언급하지 않해도 신약은 구약의 가르침에 뿌리밖고 있다. 구약은 하나님의 사역의 목표를 하나님의 통치의 확립과 인류의 구원이다고 가르친다. 그리고 하.. 2009. 5.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