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룩의 철학* 마 13:33「누룩」이라는 말은 성경에서 일반적으로 죄, 잘못된 교훈, 이단사설, 부패성 등을 말할 때 사용된 단어 입니다. 그런데 본문에서는 좋은 의미로 주님께서 하나님의 나라를 비유하여 말씀하셨습니다.누룩은 세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1. 적은 양으로 많은 것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2. 내면에서부터 소리없이 변화되기 시작합니다.3. 전체가 변화된 모습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이런 세 가지 특성을 우리의 신앙생활에 적용해 보면,첫째,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인격을 변화시킵니다.마치 가루 3말 속에 들어가 전부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인간의 본성으로는 하나님을 기쁘게도 못하며, 하나님의 법에 굴복할 수도 없는 완악한 짐승의 본.. 2024. 11. 19.
철학 예화모음 19편 목록가기 나는 누구인가? 유태인들이 6백 만 명이나 학살당할 때, 그 일을 치르는데 가장 장애가 되었던 것은 독일군의 양심이었습니다. 그래서 독일은 독일군의 양심을 편케 하기 위해 고도의 심리전을 전개했습니다. 그것은 유태인을 짐승으로 전락시키는 것입니다. 짐승은 사람보다 죽이기가 훨씬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일부러 유태인들이 수용된 곳에 화장실을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형식을 위해 3만 2천명이 수용된 곳에 1개의 화장실을 지어 놓았습니다. 하루 일과를 마치고 나면 수용소는 밖에서 문이 닫힙니다. 하루 두 번 화장실 가는 게 허용되던 그들은 늘 배변의 고통에 시달렸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들의 식기와 깡통에 배설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수용소는 온통 배설물로 더러워 졌.. 2023. 3. 22.
서양 고대철학사 출처: 주님의 뜰-행원소구 원문보기 글쓴이: bloomy 2022. 3. 5.
중세철학 출처: 주님의 뜰-행원소구 원문보기 글쓴이: bloomy 2022. 3. 5.
근세 철학사-서철원교수 출처: 주님의 뜰-행원소구 원문보기 글쓴이: bloomy 2022. 3. 5.
희랍철학 입문 요약 희랍철학 입문 요약 목 차 제1장 희랍적 사고 방식 . 희랍적 용어 및 개념 제2장 질료와 형상 . 이오니아 학파와 피타고라스 학파 제3장 운동의 문제 .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및 다원자들 제4장 휴머니즘으로 향한 반발 . 소피스테스들 및 소크라테스 제 5장 플라톤 . 이데아설 제 6장 플라톤 2 . 소피스테스들에 대한 윤리적 및 신학적 대답들 제 7장 아리스토텔레스 1 .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우주 제 8장 아리스토텔레스 2 . 인간 제1장 희랍적 사고 방식 1. 희랍적 용어 및 개념 1) 용어 (1) dike: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처신하는 방식 내지 관습 ,자연의 정상적인 진행 ,당연한 일 (2) arete: 어떤 것에 대한 능함 또는 훌륭함 (3) theos: 테오스는 신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데.. 2022. 1. 12.
너는 흙이니 흙 철학을 가지라! (창 2:18~24) 너는 흙이니 흙 철학을 가지라! (창 2:18~24)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습니다. 마지막 여섯째 날에 아담과 하와를 창조하셨습니다. 그 때 (창2;7) 말씀대로 흙으로 사람을 빚으시고 생기를 불어 넣으시니 생령이 되었습니다. 사람은 흙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사람은 흙 철학을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흙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1. 복귀 철학. 사람은 흙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흙으로 돌아갑니다. 라고 하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재료대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은 결국 한 줌의 흙입니다. 우리는 한 줌의 흙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내 옆에 아내도, 남편도, 부모도, 자녀도 결국은 한 줌의 흙덩어리입니다. 딸이 얼마 전에 딸을 낳았습니다. 그러나 근본은 흙 한 덩어리를 낳은 것.. 2022. 1. 8.
0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1) 의의 프랑스의 혁명 당시만 해도 교회는 인심을 지배할 수 있었으나 19세기에 접어들자 새로운 움직임이 철학계와 문학계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2) 문학자 (1) 루소.(J.J.Rorsseau,1712-1778) (2) 괴테.(J.W,von Goethe.1749-1832) (3) 실러.(J.C.F.von Schiller,1759-1805) 3) 철학자 (1) 칸트 (Immanuel Kant,1724-1804) a. 생애 ㄱ.1724년 4월 22일 독일 쾨니히스베르크(Konigsberg)에서 출생하고 여기서교육을 받았다. ㄴ.1775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강사로 취임하였고 1770년에 정교수가 되었다. ㄷ.이 도시에서 평생을.. 2021. 11. 3.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사상 사상의 특성 1. 형이상학적 원리들의 규정 토마스의 철학 사상에 대한 탐구를 착수할 수 있는 한 가지 관점은 그의 형이상학의 일반 원리들에 대한 초기의 규정들과 한결같은 재확인들을 검토하는 일이다. 성 토마스가 자신의 학문적 저술들을 시작하면서 형이상학 전체의 제1원리들을 자기 머리 속에 이미 체계적으로 배열해 놓고 있었고 그것을 자기의 사변활동이 끝날 때까지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초기 두 작품 『존재자와 본질』 및 『자연의 원리들』과 말년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분리된 실체』의 주요 진술들을 비교해 봄으로써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먼저 『존재자와 본질』의 근본적 진술들을 조사해 보기로 하자. 실존하는 모든 존재자는 순수 현실이거나 아니면 현실태와 가능태로 합성되어 있다. 순수 현실은.. 2021. 11. 1.
스콜라 철학 스콜라 철학 최근 수정 시각: 2020-09-11 23:17:39 분류 철학의 하위 학문 1. 개요2. 어원3. 역사 3.1. 배경3.2. 전기(4~12C)3.3. 중기(13C)3.4. 후기(14~16C)3.5. 신스콜라철학(19C) 4. 특징5. 철학자 5.1. 전기5.2. 중기5.3. 후기 1. 개요[편집] 스콜라철학은 9~16세기 중세 유럽에서 성행한 기독교 신학에 중심을 둔 철학적 사상이다. 스콜라주의(Scholasticism)라고 일컫기도 한다. 일반적인 철학적 탐구와 인지와 인식의 문제를 신앙과 결부시켰으며 절대자의 아래에서 인간의 이성을 이해하였다. 2. 어원[편집] 본디 가톨릭 교회나 수도원에 부속된 학문 기관(Schŏla)[2]에서 가르치던 학문으로, 당시에 이러한 학문을 탐구하는 학자,.. 2021. 10. 31.
철학자 칸트 탄생 1724년 4월 22일 독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난 이마누엘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규칙적이었다. 기상, 차 마시기, 집필, 강의, 식사, 산보 등 모든 일에 정한 시간이 있었다. 칸트가 회색 코트를 입고 등나무 지팡이를 들고 집문 앞에 나타나 지금도 ‘철학자의 길’로 불리는 보리수나무가 있는 작은 길을 걸어가면 이웃 사람들은 정확히 3시30분임을 알았다. 사계절을 통해 그는 매일 여덟 번씩 이 길을 왕복했고, 날씨가 궂을 때면 늙은 하인 람페가 큰 우산을 옆에 끼고 그 옆을 근심스레 뒤따랐다.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던지라 의사들은 그가 40세를 넘기면 기적이라고 진단했다고 한다. 그러나 규칙적인 생활과 엄격한 섭생법 덕분에 정확히 40의 2배가 되는 80세까지 살 수 있었다. 칸트는 1755년부터 15년.. 2021. 10. 25.
조나단 에드워즈- 기독교 철학 조나단 에드워즈의 기독교 철학 | http://blog.daum.net/godlysalvation/166 이 글은 에드워즈 목사님이 로크의 인식론을 어떻게 수용하여 기독교 인식론으로 발전시켰는지를 보여준다. 참고-에드워즈의 존재론은 뉴턴과 연결된다면, 인식론은 주로 로크와 캠브리지의 신플라톤주의자와 연결된다. 에드워즈 목사님은 로크의 인식론을 참고하여, 인간의 신 인식론은 감각적으로 주입된 성향, 경향성이라고 증명한다. 로크-타블라 라사---감각---사물---단순관념(감성적 지식)---복합관념(이성) 에드워즈-인간의 마음---감각---하나님(성령의 주입) -----성향, 경향성(감성, 이성) 에드워즈는 인간 자체에 하나님을 알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보았다. 물론 사변적으로 알 수 있을지 모르나, 실제적.. 2007.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