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위클리프 Ⅱ. 죤 위클리프 2. 위클리프의 출생과 교육 위클리프의 후기의 삶 속에서 얻은 명성은 그의 어릴 때의 미천함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그의 출생의 날짜나 정확한 장소까지도 확실성있게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는 1320년과 1330년 사이에 출생했으며 요오크셔에 자리잡고 위클리프 교구에 속해 있는 'T'자 모양의 위클리프의 작은 마을은 그가 출생한 장소였다는 영예를 주장하고 있다. 어린 시절 그는 옥스퍼드의 대학에 보내어졌고 거기에서 그는 특별히 변증법과 수학 그리고 볍률학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학문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그는 1345년이라는 매우 이른 시기에 대학 학술 단체의 특별회원이 되었다. 그는 성공적으로 수사학과 철학을 강의했고, 그의 학문과 식견, 웅변술과 일반적인 능력, 또한 그의 영혼의 .. 2009. 5. 14. (사25장11) '그의 교만으로 인하여 능숙'을 '그 손의 재능과 교만'으로 번역해야 [이사야25장11절] 그가 헤엄치는 자가 헤엄치려고 손을 폄 같이 그 속에서 그의 손을 펼 것이나 여호와께서 그의 교만으로 인하여 그 손이 능숙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누르실 것이라 (바른번역)그 손의 재능과 그 교만을-그가 헤엄치는 자가 헤엄치려고 손을 폄 같이 그 속에서 그의 손을 펼 것이나 여호와께서 누르실 것이라 וּפֵרַשׂ יָדָיו בְּקִרְבֹּו כַּאֲשֶׁר יְפָרֵשׂ הַשֹּׂחֶה לִשְׂחֹות וְהִשְׁפִּיל גַּאֲוָתֹו עִם אָרְבֹּות יָדָיו׃ '(그의 교만으로 인하여 능숙)' 을 ' (그 손의 재능과 교만)'으로 번역해야 히브리어 원문 והשפיל גאותו עם ארבות ידיו׃(히세 필 아르보트 임 가아와토 야다우) 는 '그.. 2009. 5. 14. (시49편7절) '구원'을 '구속'으로 번역해야 바르다 [시49편7절 본문] 아무도 자기의 형제를 구원하지 못하며 그를 위한 속전을 하나님께 바치지도 못할 것은. (바른번역)아무도 자기의 형제를 구속하지 못하며 그를 위한 속전을 하나님께 바치지도 못할 것은. אָח לֹא־פָדֹה יִפְדֶּה אִישׁ לֹא־יִתֵּן לֵאלֹהִים כָּפְרֹו׃ '(구원)'을 '(구속)'으로 번역해야 바르다 아무도 히브리어 원문 '로-파도 이프데' לא־פדה יפדה 에서 원어 '파다' 구속하다,속량하다 라는 의미인데 2회연속 쓰여 짐으로서 강조의 의미가 있어 '결코 구속할 수 없다'(cannot at all redeem) 라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위의 본문에서는 구원으로 잘못번역 하였다. 그러면 구속과 구원의 큰 차이가 있느냐 라고 묻는다면 여기를 클.. 2009. 5. 13. (겔32장2절) '사자로 생각하였더니' 를 '젊은 사자에 비교하였더니'으로 번역해야 [에스겔32장2절] 인자야 너는 애굽의 왕에 대하여 슬픈 노래를 불러 그에게 이르라 너를 여러 나라에서 사자로 생각하였더니 실상은 바다 가운데의 큰 악어라 강에서 튀어 일어나 발로 물을 휘저어 그 강을 더럽혔도다. (바른번역)인자야 너는 애굽의 바로 왕에 대하여 슬픈 노래를 불러 그에게 이르라 너를 여러 나라에서 젊은 사자에 견주어 비교하였더니 실상은 바다 가운데의 큰 악어라 강에서 튀어 일어나 발로 물을 휘저어 그 강을 더럽혔도다. בֶּן־אָדָם שָׂא קִינָה עַל־פַּרְעֹה מֶלֶךְ־מִצְרַיִם וְאָמַרְתָּ אֵלָיו כְּפִיר גֹּויִם נִדְמֵיתָ וְאַתָּה כַּתַּנִּבַּיַּמִּים וַתָּגַח בְּנַהֲרֹותֶיךָ .. 2009. 5. 12. (렘33장24절) '두 가계'를 '두 족속' 으로 번역해야 바르다 [예례미야 33장24절 본문] 이 백성이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자기가 택하신 그들 중에 두 가계를 버리셨다 한 것을 네가 생각하지 아니하느냐 그들이 내 백성을 멸시하여 자기들 앞에서 나라로 인정하지 아니하도다 (바른번역)이 백성이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자기가 택하신 그들 중에 두 족속를 버리셨다 한 것을 네가 생각하지 아니하느냐 그들이 내 백성을 멸시하여 자기들 앞에서 나라로 인정하지 아니하도다 הֲלֹוא רָאִיתָ מָה־הָעָם הַזֶּה דִּבְּרוּ לֵאמֹר שְׁתֵּי הַמִּשְׁפָּחֹות אֲשֶׁר בָּחַר יְהוָה בָּהֶם וַיִּמְאָסֵם וְאֶת־עַמִּי יִנְאָצוּן מִהְיֹות עֹוד גֹּוי לִפְנֵיהֶם׃ ס '(두 가.. 2009. 5. 11. (신12;11) '여호와께 원하시는것'을 '여호와께 서원하는'것으로 번역해야 [신명기12장11절] 너희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실 그 곳으로 내가 명령하는 것을 모두 가지고 갈지니 곧 너희의 번제와 너희의 희생과 너희의 십일조와 너희 손의 거제와 너희가 여호와께서 원하시는 모든 아름다운 서원물을 가져가고 (바른번역) 그때 너희,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모든것, 곧 너희 번제와 너희 희생 제물과 너희 십일조와 너희 손의 들어 바치는 제물과 여호와께 바치기로 서원한 모든 아름다운 서원 제물을 여호와 너희 하나님 께서 자신의 이름을 두려고 선택하신 그곳으로 가지고 가서 드려라 וְהָיָה הַמָּקֹום אֲשֶׁר־יִבְחַר יְהוָה אֱלֹהֵיכֶם בֹּו לְשַׁכֵּן שְׁמֹו שָׁם שָׁמָּה תָבִיאוּ אֵת כָּ.. 2009. 5. 10. (단3장17절) '하나님이 계시다면' 은 '만일 그렇게 된다면'으로 번역해야 옳다 [다니엘 3장17절] 왕이여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이 계시다면 우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서 능히 건져내시겠고 왕의 손에서도 건져내시리이다 (바른번역)-만일 그렇게 된다면 우리가 섬기는 우리하나님이우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서 능히 건져내시겠고 왕의 손에서도 건져내시리이다 הֵן אִיתַי אֱלָהַנָא דִּי־אֲנַחְנָא פָלְחִין יָכִל לְשֵׁיזָבוּתַנָא מִן־אַתּוּן נוּרָא יָקִדְתָּא וּמִן־יְדָךְ מַלְכָּא יְשֵׁיזִב׃ ('하나님이 계시다면) ' 은 ('만일 그렇게 된다면)' 으로 번역해야 옳다 본문의 전반부에 나오는 아람어 원어는 '헨 이타이 엘아하나 디-아네흐나 팔힌'이다. הן איתי'헨 이타이'는 '.. 2009. 5. 8. (마13장46절) '사느니라' 를 '샀다' 로 번역해야 옳다 [마13장46절] 극히 값진 진주 하나를 발견하매 가서 자기의 소유를 다 팔아 그 진주를 사느니라 (시제 바른번역)극히 값진 진주 하나를 발견하매 가서 자기의 소유를 다 팔아 그 진주를 샀느니라 וּבְמָצְאוֹ פְּנִינָה אַחַת יִקְרַת־עֶרֶךְ עַד־מְאֹד יֵלֵךְ וְיִמְכֹּר אֶת־כָּל־אֲשֶׁר־לוֹ וְיִקְנֶהָ׃ 46 ος ευρων ενα πολυτιμον μαργαριτην απελθων πεπρακεν παντα οσα ειχεν και ηγορασεν(시제 잘못번역-샀느니라) αυτον '(사느니라)' 를 ('샀다') 로 번역해야 바르다. 헬라어 원어 '에고라센'(ηγορασεν)은 '아고라조' αγοραξω (사다)의 3인칭 과거 .. 2009. 5. 7. (창29장18절) '더 사랑하므로'를 '사랑하므로' 번역해야 옳다 [창29장18절] 야곱이 라헬을 더 사랑하므로 대답하되 내가 외삼촌의 작은 딸 라헬을 위하여 외삼촌에게 칠 년을 섬기리이다 . (바른번역)야곱이 라헬을 사랑하므로 대답하되 내가 외삼촌의 작은 딸 라헬을 위하여 외삼촌에게 칠 년을 섬기리이다 וַיֶּאֱהַב יַעֲקֹב אֶת־רָחֵל וַיֹּאמֶר אֶעֱבָדְךָ שֶׁבַע שָׁנִים בְּרָחֵל בִּתְּךָ הַקְּטַנָּה׃ '(더 사랑하므로)' 를 '(사랑하므로)' 번역해야 바르다 ויאהב (예예하브) 는 ויאה(아헤브)의 미완료형으로서 '과거의 반복'이나 '현재를 나타낸다'라는 뜻으로서 라헬을 '사랑하였다'라고만 표현한다. 아래의 절에서 보는바 같이 히브리어 원문 에서는 비교급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 본문은 야곱이.. 2009. 5. 6. 국내 주요교파의 장로직분 - 국내 주요교파의 장로직분 - 오늘날 국내의 대부분의 교파에서는 교회 직분이 기업체의 직급이나 군대의 계급처럼 서열화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컨대 교파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개 평신도-권찰-서리집사-안수집사-권사-장로-수석장로-전도사-부목사-수석부목사-담임목사의 순으로 나타나 있다. 이 가운데 목사는 신학교를 나와 학위를 취득하고 목사안수를 받으면 성직자인 목사가 된다. 그러나 신학교를 나오지 않은 사람은 성직자가 아닌, 소위 평신도로서 주일성수, 각종집회의 출석률, 십일조 실적률, 신앙년수, 목사에 대한 충성도, 재정적인 기여도 등에 따라 평신도부터 순서대로 승진과 같은 절차를 밟아 최종단계에서 최고위직인 수석장로에 이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은 인간들이 고안해 낸 제도에 불과하.. 2009. 5. 5. p 2009. 5. 5. p 2009. 4. 29. Charles Hodge와 그의 時代 Charles Hodge와 그의 時代 홍치모(Ph.D.) 미주총신/역사신학교수 들어가는 말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는 미국장로교회가 배출한 조직신학자로서 세계 4대 칼빈주의 신학자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그는 미국에서 태어나 현재의 프린스턴대학교의 전신인 뉴저지(New Jersey)대학을 졸업한 후 프린스톤 신학교에 진학하여 3년간 신학공부를 하고 독일에 가서 2년간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서는 줄곳 모교인 프린스톤신학교에서 신학을 근 반세기 동안이나 가르치다가 작고한 위대한 조직신학자로 추앙을 받고 있다.1) 핫지 교수가 장로교회의 조직신학자로서 대들보와 같은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신학계에서는 그의 신학에 대하여 분석적 연구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금번 왕성교회가 주.. 2009. 4. 28. p 2009. 4. 24. “찰스 핫지의 종말론” “찰스 핫지의 종말론” (A Reconsideration of Charles Hodge’s Eschatology) 박응규 교수(ACTS/역사신학) 들어가는 말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는 구프린스톤 신학자들 중에 조직신학자로 당대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인물이다. 핫지는 “19세기의 가장 탁월한 미국 장로교 신학자”로 인정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이 지금까지 배출한 위대한 신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의 신학적 업적은 16세기의 종교개혁과 17세기에 발전한 개혁신학을 계승하여 소위 “프린스톤 신학”(Princeton Theology)을 형성하는 데에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였다.1) 프린스톤 신학은 “미국의 개혁주의 정통신학을 가.. 2009. 4. 22. 무릎의 성자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무릎의 성자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는 1718년 4월 20일 미국 코네티컷주 헤이담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애는 어렸을 때부터 불운의 연속이었다. 아홉 살에 아버지를 잃고, 열네 살에는 어머니까지 잃었다. 그런 영향 때문인지 평생동안 우울증과 결핵을 안고 살았다. 청소년 시절부터 죄와 구원의 문제로 고민하면서 금식과 기도 훈련을 받았다. 21살 때에 죄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축복을 확신하면서 목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해 예일대학교에 입학하여 영적인 성숙에 매진했으나 학교 당국에서 오해하는 바람에 퇴학당하고 말았다. 아픔과 상처를 안고 대학을 떠난 후 부레이너드는 목회자들에게 개인적으로 신학 수업을 받아 설교할 자격을 얻었다. 24살에 선교에 헌신하여 스코틀랜드 선교 협회로부터 인디언선교사.. 2009. 4. 20. p 2009. 4. 20.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회심 1. 브레이너드(1718~1747)에 대한 간략한 소개 브레이너드는 18세기 최고의 미국 청교도인 조나단 에드워즈에 의해 알려진 인디언 선교사이다. 그는 1718년 4월 20일 미국 동부 코네티컷(Connecticut)의 헤이담(Haddam)에서 5남 4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나이 9살 때 아버지는 돌아가셨고, 목사의 딸이었던 어머니도 14살 때 세상을 떠나셨다. 어릴적 양친을 잃은 그는 온순했지만, 우울해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때로 우울(melancholy)과 경건한 슬픔(godly sorrow)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그의 장인인 에드워즈와 대화를 하곤 했다. 그래서인지 그는 우울증 덕택에 풍부한 감정의 소유자가 되었다. 그의 우울증은 일기에서도 나타나는 그의 특징적 내면성이다.1) 그가 .. 2009. 4. 19. 서철원-신약신학 바른이해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신약신학 바른이해 1)언어습관 여기서 두 가지가 있는데 a)αμην(ןמא)이란 말들을 어떻게 사용하여쓴가 하는 것이 아주 독특하다. 유대교에서는 αμην을 우리와 같이 사용하였다. 우리가 아멘을 어떻게 씁니까? 그것이 학실하다는 우리 수용의 표시로 아멘 그렇게 한다. 그리고 기도의 말미에 우리가 하나님게 드리는 기도와 청원,찬양의 끝에, 지금 우리가 드리는 것이 진정으로 확인하는 의미로 αμην그렇게 한다. 유대인들도 아멘을 꼭 이렇게 사용하였다. 그런데 예수는 아멘을 뒤집어서 사용하였다. ‘아멘 아멘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그리고 중요한 하나님의 말슴의 선포의 순위로 이야기가 이어졌다. 우리 말에 ‘진실로’라고 번역된 것이 그렇다.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말.. 2009. 4. 18. p 2009. 4. 17. 성령과 성부의신성 바른이해 성령과 성부의신성 바른이해 마케도니아 학파는 성령의 인격성이나 신성을 인정하지 않고 성령을 에너지나 도덕적 감화력으로 이해하는 성령유사본질론을 주장했다. 그들은 성령을 능력의 영으로만 이해하는 것이다. 한국교회도 너무나 성령을 능력의 영으로만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를 인격적으로 마음의 주인으로 모시고, 성령의 열매를 맺는 인격적 성화에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카파도키아 학파는 그 유명한 터키의 카타콤 땅굴이 있는 지역으로 닛사의 감독 그레고리, 가이사랴의 감독 바실, 나치안추스의 감독 그레고리 등에 의해 형성된 학파이다. 그들은 성령도 성부와 신성이 동일한 성령동일본질론을 주장한 신학자들이다. 성령도 성부와 동일하게 전지, 전능, 무소부재, 사랑, 영원성을 지닌 신적 존재라는 고백이다. 그리고 성부와.. 2009. 4. 16. 서철원-현대 신학 바른이해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현대 신학 바른이해 20세기가 실제로는 1901년부터 시작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세계 제 2차 대전이 발발했던 1914년 부터 20세기가 시작된다고 하며, 신학적으로는 Karl Barth의 로마서 주석이 나오던 1918년 혹은 1919년 부터 20세기라고 한다. 또 미국에서의 20세기 시작은, 소위 대공황이 시작되어 이 땅에 낙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하는 환상을 깨고서 자기 자각에로 되돌아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1929년을 20세기의 시작이라 한다. 19세기는 과학의 발달로 구라파의 산업혁명이 거의 완결된 때였다. 그후 많은 신무기들을 생산하여 많은 식민지를 정복하므로 구라파인들의 시야는 더욱 넓어지며 그들의 통치영역은 전 세계적으로 .. 2009. 4. 15. 서철원-부활체의 영원 바른이해*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부활체의 영원 바른이해 우리는 언제 부활이 이루어지느냐? 그리스도께서 지상에 재림하실 때에 모든 자들에게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종말이 오기 때문에 죽은 자가 그냥 살아나는 것이 아니고 심판주께서 혹은 구속주께서 신적인 권능으로 사람들을 부활케 할 것이다. 우리가 부활한다는 것은 우리가 스스로 때가 되면 자동적으로 자연스럽게 부활이 이를 것처럼 생각하나 그러나 구속주께서 심판주로 오시면서 그의 신적인 권세로 다 부활에 이르도록 하실 것이다. 신자 뿐만 아니라 모든 불신자들, 아담부터 재림 직전까지 죽은 모든 아담의 후손들이 부활에 이를 것이다. 한 사람도 예외 없이 다 부활에 이르고 그리고 그래서 종말세계가 이루어지도록 될 것이다. 몸과 인격의 동일성으로 부활에.. 2009. 4. 13. 서철원-신자 사후 바른이해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신자 사후 바른이해 종말론의 중심기론이 천년기론이다. 죽음은 하나님께로 부터 분리이고 영과 육체의 분리이며 또 인간의 거주환경인 우주로부터의 분리이다. 죽음후란 과학은 영혼이 육체와 별도의 존재로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서 과학이 다 부인한다. 과학은 감각적인 기관에 의해서 대상들을 탐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영이 감각에 잡히지 않는다. 그래서 죽음은 육체로 끝나고 그 이상에 대해서는 전혀 없는 것으로 과학적으로는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없는 것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특히 현대 의학에서 영혼이 없는 전통이 그대로 받아져서 지금 육체안에 독립적인 존재로서 영혼이 존재한다 하는 것에 대해서 거의 인정하지 않고 있다. 길버트 라일이라고 하는 20세기의 영국의 경험론 철학자에.. 2009. 4. 11. 서철원-구속사 바른이해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구속사 바른 이해 (갈라디아서 3장 1절~4절).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참 아브라함의 자손이란 율법을 지키는 자들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이 라고 한다.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이 다 아브라함의 자손이고,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모든 복을 받는다고 했다. 그래서 우리는 성령도 율법으로서가 아니고 믿음으로 받는다고 했다. 왜 율법이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는자들이 되는 이유는 하나님이 이미 믿음으로 세상을 구원 할 것을 율법이 오기 430년 전에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셨기 때문이다.아브라함이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의롭게 됐다. 창세기 15장에서 아들을 주신다고 하는것은 '많은 자손이 아브라함의 씨가 아니라 곧 그리스도의 씨가' 자손이라는 것을 바로 이 갈라디.. 2009. 4. 10. 기도로 승리한 사람- 데이비드 브레이너 기도로 승리한 사람-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전기를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참으로 비슷하다는 것이었다. 보통 다른 전기들을 읽고 있노라면 약간은 이질감을 느끼기도 하는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전기를 읽는 동안은 그런 이질감 보다는 오히려 동질감을 더 많이 느낀 것 같다. 그 이유는 어디있을까? 바로 유혹에 약하고 상황에 약한 모습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역시 영적으로 뛰어난 사람은 무엇인가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전혀 부족함 없는 삶을 사신 분이라는 것이 결론이었다. 많은 유혹과 시련이 다가와 몇 번이고 넘어지고 좌절하고 쓰러져도 다시 한 번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며 기도로 일어서는 모습들..... 이러한 모습들이 있기에 오히려 더욱 도전을 주는 것 같다. 처음부터 너무 잘나가면(.. 2009. 4. 10.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성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성 (The Spirituality of David Brainerd) 김영한(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장) 머리말 우리는 구약과 신약을 통하여서 하나님과 동행한 많은 신앙의 선조들(에녹,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 엘리야, 엘리사, 문서 선지자 등)을 읽는다. 그러나 하나님과 동행하는 역사는 규범적인 성경에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 기독교는 2천년의 역사를 통하여 많은 경건의 보고를 지녀왔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교회사를 거치면서 이 세상에서 하나님과 동행하고 지상에서 천국의 영광과 아름다움을 미리 체험한 많은 경건한 신앙의 선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속사도시대, 교부시대와 중세교회와 근세교회를 통하여 수많은 믿음의 성현들을 만나게 된다. 속사도시대에는 폴리갑, 교부시대는 안토.. 2009. 4. 8.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일기 [선교일지 1746년 1월 19일 선교일지 1746년 1월 19일 (주일)그리스도의 노예 이사야 55장 7절을 본문으로 양들에게 말씀을 전했다. 밤이 가까이 올 무렵 여느 때처럼 교리문답식으로 말씀을 전했다. 우리 가운데 강력한 은혜가 임한 시간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깊은 은혜를 받았다. 죄를 깊이 깨달을 자들이 있는가 하면 마음이 새로워지고 힘을 얻은 자도 있었다. 지치고 무거운 짐을 진 한 영혼이 있었는데, 그리스도 안에서 참된 안식과 견고한 위로를 얻게 되었다. 그는 그 후에 하나님이 자신의 영혼을 다루신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풍성한 만족과 새 힘을 얻었다. 그는 내가 사람들에게, 자신이 철저히 무능하고 타락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들었다. 자신을 의지하는 마음이 전혀 없어야 하며 구.. 2009. 4. 5. 인디언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쳐 헌신한 선교사 데이빗 브레이너드 |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데이빗 브레이너드는 1718년에 커넥티커트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아홉 살에 아버지를 잃고 열네 살에 어머니를 잃게 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그는 천성적으로 우울함과 낙담에 빠지기 일쑤였습니다. 늘 아빠, 엄마를 찾으며 울고 슬퍼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1740∼1743년의 뉴잉글랜드 대각성운동 기간에 그는 성년이 되었습니다. 그는 부흥운동가들의 영향을 받아 개인적 구원체험을 얻고자 하여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구원받기 위해서는 단지 그리스도를 믿으라는 말씀이 와 닿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그는 구원문제를 앞에 두고 1년 이상을 기도와 금식으로 시간을 보낼 정도로 열렬한 성령파였습니다. ‘주님! 저의 눈을 열어 저의 죄악을 깨닫게 해주십시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알게 해 주십시요!’ 때때로.. 2009. 4. 4. 루터, 칼빈, 쯔빙글리에 대한 이해 1, 루터파와 칼빈파 그리고 쯔빙글리파 의 다른 점과 공통점 1, 루터파와 칼빈파 그리고 쯔빙글리파 의 다른 점과 공통점 구 분 루 터 칼 빈 쯔 빙 글 리 국적 독일 프랑스 스위스 신학의 중심 그리스도 중심 하나님의 절대적 중심 하나님 의지 중심 신학의 출발 이 신 득 의 만인제사장 하나님의 절대주권 사상 예정 사상 이 신 득 의 성 찬 론 공 재 설 영적 임재설 기 념 설 국가와의 관계 교회는 국가에 복종 국가와 교회의 분리 민주 헌법, 교권 배격 교회의 정치 . 장로 정치 . 2, 다 개혁자들인데 어디서 나누어지게 됐는지? 역사적 배경은? 교회의 통일을 방해한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성찬에 대한 이견들 때문이었습니다. 1529년 말브르그에서 루터와 쯔빙글리가 프로테스탄트의 연합을 위해 서로 만났으나 .. 2009. 4. 3. 이전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