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 바르트(1886-1968)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스위스의 개혁파 신학자, 개혁파란 것은 칼빈의 정신을 이어받은, 곧 우리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이어받은 개혁파의 대표적 신학자이다. 루터파나 기타 개신교계 모든 교파를 망라해서 어머 어마한 영향을 끼친 신학자이다. 가톨릭 교회에 굉장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가톨릭신학의 아버지는 칼 라너(Karl Rahner)라는 사람인데, 20세기 그 어떤 교황보다 가톨릭 교회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끼쳤던, 가톨릭정신에 일대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킨 신학자였다. 20세기는 두명의 칼 대제가 지배를 했다고 혹자가 말한다. 신학 공부를 했다는 사람들이 신대원을 졸업하고도 칼 바르트나 칼 라너의 사상에 무지해서는 곤란하다. 그것은 기적같은 일이다. 20세기 신학은 이 두 사람을 빼.. 2011. 7. 18.
칼 바르트의 豫定論에 대한 비판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豫定論에 대한 비판 - Ⅰ. 서 론 Ⅱ. 바르트 신학의 역사적 배경 Ⅲ. 바르트의 예정론 1. 전통개혁신학의 이중예정론 거부 2. 예수 그리스도 일원론 3. 보편 구원론적 전택론 Ⅳ. 성경신학적 비판 1. 계시 진리인 이중예정론 2. 예정론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위치 3. 특수주의적 전택론 Ⅴ. 결 론 Ⅰ. 서 론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는 20세기 스위스가 낳은 최대의 신학자로 추앙되고 있다. 바르트가 타계한 지 51여 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그의 신학적 영향력은 약화되지 않고 있다. 현재 구미 각국의 대표적 신학자들 중 거의 대부분이 바르트 신학의 영향권 안에서 신학 작업을 수행하고 있음은 이를 잘 입증해 준다. 예.. 2011. 7. 17.
칼 바르트의 신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신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들어가는 말 올해는 칼 바르트가 서거한 지 어언 31년이 된다(1886-1968). 우리 말로 "강산이 세번 바뀌었다" 할 정도로,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세월이 지나갔다. 그는 아직도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가? 말하고 있다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그는 이미 살아 있을 때부터 교부(敎父)라는 명예로운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온 세계로부터 크나큰 존경과 찬사를 받았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교회의 위대한 신학자들의 명단을 작성할 때, 어거스틴과 아퀴나스, 루터와 칼빈, 슐라이어마허 다음으로 칼 바르트를 열거하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맑스와 야스퍼스와 함께 또 하나의 위대한 칼(Karl)인 그를 말하기도 한다. 박사학위를.. 2011. 7. 16.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삼위일체론의 기초 1. 삼위일체론의 성서적 근거 2. 삼위일체론의 출발점으로서의 계시 3. 삼위일체의 흔적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Ⅲ. 하나님의 삼위일체의 의미 1. 하나님의 일체성 - 셋 안에 하나로 계시는 하나님 2. 하나님의 삼위성 - 하나 안에 셋으로 계시는 하나님 3. 하나님의 삼위일체성 - 삼중적으로 반복되는 한 분이신 하나님 Ⅳ. 삼위일체론의 구분 1. 내재적 삼위일체론 1) 영원한 아버지로서의 하나님 2) 영원한 아들로서의 하나님 3) 영원한 성령으로서의 하나님 2. 경세적 삼위일체론 1) 창조자로서의 하나님 2) 화해자로서의 하나님 3) 구원자로서의 하나님 3. 내재적 삼위일체론과 경세적 삼위일체.. 2011. 7. 12.
칼 바르트의 교회론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서론 제1부: 초기의 교회이해(1913-1920년) 제2부: 변증법적 교회이해(1921-1931년) 제3부: 기독론적 교회이해(1932-1968년) 제4부: 칼 바르트와 카톨릭 교회(비교와 평가) 결론(요약과 평가) 서론 1. 바르트의 교회론의 의의 본서는 칼 바르트의 교회론을 그 결정적인 변천 속에서 기술하고 해석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의 신학은 조직적 체계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가 처한 시대적 정황 속에서 사색하는 예언자로서 분출해 놓은 외침이라고 해야 더 알맞다. 그의 교회론은 그의 신학의 기본적 통찰의 변화 속에서 해석되어야 하며, 또 그의 신학은 그가 처했던 시대적 정황과의 상관성 속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실로 바르트의 신학은 .. 2011. 7. 10.
칼 바르트의 논쟁인 한국교회 ‘신학적 뿌리’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한국교회 ‘신학적 뿌리’ 칼 바르트 논쟁 점화 한국교회 일각에서 최근 20세기 신학의 거장이자 한국교회의 신학적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카를 바르트에 대한 일련의 신학적 논쟁이 진행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보수적인 신학 풍토가 지배적인 한국에서 거장 바르트의 신학사상은 하나의 경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태.대부분의 목회자나 조직신학자들은 설교나 강의를 통해 항상 바르트를 강조하는 것이 지난 세기 한국교회의 현실이었다.또 소위 신정통주의 신학의 태두로 분류되는 그에 대한 비판적 접근은 일부 진보적인 학자들 사이에서만 진행됐을 뿐 한동안 금기시되기도 했다.따라서 최근 진행되고 있는 바르트에 대한 학자들간의 논쟁은 그만큼 흥미로운 사건이다. 바르트에 대한 논쟁은 .. 2011. 7. 8.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에 나타난 하나님의 변증법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에 나타난 하나님의 변증법 1. 머리말 칼 바르트(K. Barth, 1886-1968)의 [로마서 강해]는 20세기 신학 전반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저술인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위기의 신학, 하나님 말씀의 신학, 변증법의 신학 등으로 불리는 초기의 바르트 신학의 독특한 방법론은 [로마서 강해]에 나타난 '하나님의 부정이 하나님의 긍정'이라는 변증법의 논리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변증법적 논리는 단순한 신학적 사변의 결과가 아니라, 그의 생애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자유주의 신학과 종교사회주의 운동의 의해 제기된 문제들과 시름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다. 1914년 8월 독일이 러시아에 맞서 선전포고를 하자, 그해 9월 독일지성인 93인이 독일의 황제 빌헤름 2세의 전쟁 정책.. 2011. 7. 6.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본문: 요한복음 1장 14절 제목: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는 다시 성탄절을 맞이하였습니다. 성탄절은 세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가운데 가장 신비한 날입니다. 하나님이 사람으로 되어 오시되 그리스도란 이름으로 오신 날입니다. 그래서 성탄절을 크리스마쓰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사람이 되어 세상에 오신 것은 사람의 머리로는 도저히 풀 수 없는 날입니다. 그러므로 성탄절 혹은 크리스마스는 풀 수 없는 신비입니다. 하나님이 사람이 되어 세상에 오신 것을 어떻게 사람의 머리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이 사람이 되신 신비를 성육신이라고 합니다. 이 신비를 어떻게 사람이 그 머리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사람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진리가 아닙니다... 2011. 7. 5.
칼 바르트의 기독론은 '위로부터의' 기독론인가?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Karl Barth의 기독론은 '위로부터의' 기독론인가? 이 제목에서 우리는 적어도 몇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바르트의 기독론은 '위로부터의' 기독론이 아닌 '아래로부터'나 '안으로부터' 등의 기독론일 수도 있다는 점이며, 둘째는 '위로부터'라고 하는 말이 현대 기독론에서 누구에 의해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가 하는 점이며, 셋째는 이 논제의 신학적 중요성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고로 우리는 이 세 가지 점을 중심으로 본 논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제1장 논제에 대한 최근의 발달 1. 현대 기독론에 있어서의 이 논제에 대한 선구자들 우선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위로부터'나 '아래로부터'라는 개념은 간단히 정의하기엔 너무 복잡하다. 이 개념의 모호성과 복.. 2011. 7. 4.
*개신교와 천주교 바른이해 개신교와 천주교 바른이해 천주교는 어떻게 발전했는가? 예수께서 부활, 승천하신 이후 300백년간은 "참된 교회가 어떤 교회냐"라고 물을 필요가 없었다. 성도들은 주님의 가르침대로 기도하며 일하고 살았기 때문이다. 4세기에 로마 콘스탄틴황제가 기독교를 국교로 하면서 수도 로마에 있는 교회지도자들에게 정치적인 힘을 주었다. 445년에 야심적인 레오 로마주교가 교회의 지도권을 장악하려 시도하였다. 그는 자기가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선언하고, 그리스도의 왕국의 열쇠를 본인이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전 그리스도인들의 교황, 곧 "아버지"라고 선언했다. 그의 주장은 교회 내에서 많은 논쟁거리가 되었다. 그레고리주교가 교황의 위치를 확고히 한 590년도 까지 논쟁은 계속되었다.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2011. 7. 2.
칼 바르트의 행위하시는 하나님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행위하시는 하나님 K. Barth에게 있어서의 행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절대적 은유(Metapher)에 관한 이해 [울리히 쾨르트} 우리는 초기 쉴라이어마허의 "종교론(Reden)" 속에 나타난 "역시 하나님(Auch Gott)께서도" 라는 문장에서 "종교 속에서 행동하는 하나님 이외에 다른 어떤 것으로 존재할 수 없다" 는 것을 읽는다. 하나님은 행위하는 주체 이외에 다른 어떤 것으로도 생각되어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 속에서 그리고 특별히 기독교적인 신학 내부에서 행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언급은 특별히 하나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행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언급의 중심적인 의미는 쉴라이어마허에 의해서 확실하게 상대화되어졌다. 그리고 이 의미는,.. 2011. 7. 2.
*cum verbum , perver bo cum verbum , perver bo CUM VERBUM [성령은 말씀과 함께] 과 PER VERBO [성령은 말씀과 상관없이] 임하심이다. 중세교회에 있어 구원의 도식은 어거스틴이 전한 은혜의 구원의 원리를 왜곡시킨 반 펠라기우스 적이었다. 즉 인간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 인간의 공로)가 연합하여 완성된다는 이론인데 이 견해가 인간의 공로사상을 만들어 냈다.이 구원관이 중세의 여러 가지 미신적 종교행사를 만들어 중세인들은 성자들의 공로가 너무 크기 때문에 성자들이 구원을 받고도 남은 공로가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중세인들은 성자들의 남은 공로를 얻기위해 성자와 성유물 숭배사상으로 빠져들기 시작했다.교회가 보유한 성유물의 사례들을 보면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렸던 광야의 만나 부스러기, 예수님의 오병이.. 2011. 7. 1.
*카이로스와 크로노스 카이로스와 크로노스 시간에는 두 가지가 있다. 흘러가는 시간도 있고, 의미 있는 시간도 있다. 흘러가는 시간을 헬라어로 '크로노스'(chronos)라 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카이로스'(kairos)라 한다. '크로노스'는 연대기적인 시간을 말한다. 그래서 연대기를 말할 때 영어로 '크라너클'(chronicle) 또는 '크러날러지'(chronology)라고 한다. '크로노스'는 천문학적으로 해가 뜨고 지면서 결정되는 시간이며, 지구가 공전과 자전을 하면서 결정되는 시간이다. 매일 한 번씩 어김없이 낮과 밤이 찾아오고, 매년 한 번씩 봄여름 가을 겨울이 찾아오는 시간이다. 생물학적으로는 동식물이 낳고 늙고 병들고 죽는 시간이다. '카이로스'는 특정한 시간 또는 정한 시간을 말한다. 시간은 비록 흘러가는 .. 2011. 6. 30.
【영광】예화 모음 24편 1. 번연이 두려워했던 것은? (주님의 영광을 위해) 전도자 죤 번연(John Bunyun)이 신앙 때문에 베드포드 감옥에 갇혀 있었을 때에 그는 사형선고를 받은 사형수의 몸이었습니다. 그 때에 죤 번연은 죽는 것이 몹시 두려웠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서 더욱 두려웠던 것은 여러 사람이 자기의 두려워 하는 모습을 보고 복음에 대해 불신을 가지게될까봐,그리고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우게 될까봐 더욱 걱정스럽고 염려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내가 만일 그 사다리를 오를 때 내가 만일 떨고 있으면 그것으로 인해 적들에게 하나님의 길과 그 분의 백성들에 대한 비난의 기회를 주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나는 이것 때문에 더욱 걱정스러웠는데 그것은 내가 핼쓱한 얼굴을 지닌 채 무릎.. 2011. 6. 29.
*3인의 교회개혁 3인의 교회개혁 ♬ 프라하 도서관에는 1572년이라고 찍힌 3인조의 큰메달이 진열되어 있다. 첫째는-한 돌로부터 불꽃을 튀기는 위클리프 상이고 둘째는- 그 불꽃에서 불을 점화하는 후스의 상이고 셋째는 -타오르는 햇불을 높이든 루터의 상이다. 그 큰 메달은 영국인에서→보혜미아인, 그리고→독일인에 의해서 이룩된 교회개혁의 전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후스는 위클리프 영향을 크게 받았고, 위클리프와 루터를 이어주는 고리역활을 했다.교회개혁의 선구자 위클리프 1329년 영국에서 태어나 루터보다 140년 앞서 모국어로 성경을 번역했다. 당시 교황과 교직자들은 자신들이 맡은 영적인 직권을 세속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이용하였다. 그래서 교회의 직분과 지위를 사고팔고 면죄부까지 팔았다. 이같이 모은 수많은 재산.. 2011. 6. 28.
칼 바르트가 로마드카에게 보낸 편지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로마드카에게 보낸 바르트의 편지 정미현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 I. 들어가는 말 바르트는 인간에 대한 무한한 긍정을 기초로 성립된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 분명히 한 획을 그었다. 그의 신학에서는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19세기적 낙관주의가 거부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인간에 대한 부정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것은 흔히 바르트를 오해하게 만드는 것처럼, 바르트가 인간과 세계를 무조건적으로 부정하여 반 인간적, 반 세계적이며 하나님의 초월만을 말했다는 것이 결코 아니다. 바르트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 전적으로 대립하면서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그러므로 그의 신학은 인간에 대한 긍정을 단순히 부정만 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너머.. 2011. 6. 28.
역대 교황들의 비리 카톨릭 교회와 교황의 권위에 항의하는 항의자(protestant), 즉 개신교도들에 대한 학살을 명한 사람도 교황이었다. 오늘날의 교황은 종교적 관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당시의 교황들은 그렇지 않아서 이단자들을 “독있는 뱀처럼 박살내라”는 교서를 연거퍼 내렸다. 종교개혁이 태동할 때에 후스, 제롬 등 개혁자들은 이단자로 화형을 감수해야 했다. 그 후 개신교도들은 모두 이단자로 낙인찍혔고, 개신교도들이 집단 거주하는 도시가 교황에게서 천국을 약속받은 카톨릭 신자들로 구성된 진압군의 습격을 받아 시민 전부가 몰살 당하기도 했다. 한 예로, 1572년 8월 14일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대학살은 카톨릭 축제일 밤에 프랑스 파리에서 위그노 신자(프랑스의 칼뱅파 신교도) 1만(어떤 자료에는 10만) 명을 학살한 사.. 2011. 6. 22.
한국의 성경 번역 역사 한국의 성경 번역 역사 1) 해방전의 성경 번역 세계 교회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폭발적인 성장을 해온 한국교회. 그 성장 뒤에는 하나님의 특별계시(特別啓示)인 성경이 자리잡고 있다. 한국 기독교 역사는 한글성경의 번역과 보급으로부터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885년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들어오기 3년 전 이미 조선 민중들의 손에 성경이 들려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글성경 보급과 교회 성장은 이국 땅에서 생애를 바치고 목숨을 내걸었던 이들의 피땀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교회사 학자들은 천주교가 개신교보다 100년 먼저 전래됐지만 개신교보다 교세가 적은 것은 결정적으로 성경을 빨리 보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정도다. 본보는 ‘한국성경의 대탐구’ 시리즈를 통해 한국교회의 .. 2011. 6. 22.
칼 바르트의 성화론*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성화론 -성결교회와의 대화를 모색하며- I. 머리말 20세기의 위대한 신학자 칼 바르트는 개혁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따라서 성화론을 전개하였다.1) 그러므로 점진적인 성화와 지상에서의 성화의 미완성을 주장하는 개혁신학의 전망 안에서 바르트의 성화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바르트 신학의 특징인 그리스도중심주의(christocentrism)가 그의 성화론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IV/1-4 화해론에서 성령론적인 강조가 점점 더 강화되고 있는데 이런 관점에서 성화론을 고찰하고자 한다.2) 결론적으로 바르트와 웨슬레안 전통 위에 서 있는 성결교회와의 대화를 모색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것은 우리 자신의 신학적 좌표.. 2011. 6. 22.
칼 바르트의 고백교회와 바르멘 신학 선언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고백교회와 바르멘 신학 선언 칼 바르트의 교회론 중에서 1. 정치와 교회의 상황 1920년대에 이르러 '독일과 독일국민'이라는 개념은 바이마르 공화국을 혐오하던 독일인들에게 하나의 고백적인 언어가 되어가고 있었다. 그 당시 사람들은 경제적, 정치적, 정신적인 어려움에 맞서서 이 개념을 이상화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말미암아 겪게 된 민족적인 모욕감, 정치적인 혼란, 경제 공황을 통해 발생한 6백만 명 이상의 실업자 등으로 인해 야기된 감정은 독일을 하나의 비합리적인 이상(理想)으로 끌어올렸다. '국민교회'(Volkskirche)의 이념도 은근히 혹은 분명히 이 이상과 결합되어 있었다. 교회에 속한 자들 중에서는 국민과 신앙이 분리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2011. 6. 20.
칼 바르트 동서를 오간 평화의 비둘기,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동서를 오간 평화의 비둘기, 칼 바르트 1. 문제제기 일평생 교회와 세상 속에서 책임적인 신학자와 설교자로, 그리고 행동하는 정치적 그리스도인으로, 복음을 해명하고 그릇된 신학과 세계관에 맞서 열렬히 투쟁했던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신학자 칼 바르트는 동서간의 냉전의 한 복판에서 어떻게 사고하고 행동했는가? 국가사회주의의 위협에 대항하여 고백교회를 이끌고 바르멘 신학선언(1934년)을 기초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그는 새롭게 대두하는 소련 공산주의의 정치적·경제적·철학적 체계에 대하여서는 어떤 행동을 취했는가? 바르트의 사고와 태도를 면밀히 추적해 보면, 사실 나치스에 맞서 혼신을 다해 투쟁했던 바로 그만큼 공산주의에 맞서서도 투쟁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2011. 6. 18.
【아름다움】예화 모음 29편 1. 진정한 아름다움 성경: 잠11:22 "아름다운 여인이 삼가지 아니하는 것은 마치 돼지 코에 금고리 같으니라" 프랑스의 유명한 법률가이며 정치가 로버트 슈만은 결혼을 하지 않은 독신자였습니다. 그래서 한 언론인이 그 이유를 묻자 그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여러 해 전이었습니다. 제자 지하철을 타고 가던 중에 실수로 매우 아름다운 여인의 발을 밟은 적이 있습니다. 당황한 제가 사과를 하려고 그 여자에게 돌아서는 순간 그 여자는 욕을 퍼붓는 것입니다. '이 멍청한 병신아! 아니 자기 앞도 제대로 보지를 못해!' 그러면서 고개를 들고 저를 보는 순간 그녀의 얼굴이 붉어지고 어쩔 줄 몰라하면서 이렇게 말을 하는 것입니다. '아, 선생님 미안합니다. 저는 제 남편인줄 알았습니다.'" 요즘은 사람들은 외.. 2011. 6. 13.
【아버지】예화 모음 29편 1. 아빠가 준 선물 얼마 전에 미국에서 있었던 이야기입니다. 라이언 화이트(Ryan White)라고 하는 소년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라이언 화잇이 열 세 살 때에 혈우병을 앓아서 수술을 받게 되는데 그것이 문제였습니다. 수술에서 수혈이 잘못되어서 이 소년이 후천성 면역 결핍증이라고 하는 AIDS 라고 하는 병에 걸렸습니다. 그는 속수무책으로 이 병원에서 잘못한 이 사건으로 인해서 그대로 죽음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 아이는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 아무도 원망하지 않았습니다. 부모도 형제도 가정도 특별히 의사선생님들을 원망하지 않았습니다. 항상 밝은 웃음을 보였고, 모두에게 친절하게 했습니다. 오히려 염려하는 부모를 위로하며 날마다 기쁘게 행복하게 지냈습니다. 이러한 사실이 방송매체를.. 2011. 6. 10.
【안식.주일】예화 모음 21편 1. 안식일을 잃어버린 사람 여러 기업체를 갖고 있는 50대 중반의 권사가 있었다. 이 분은 주로 주일 아침 일찍 있는 1부 예배에 참석한다. 왜냐하면 주일에도 너무 바쁘기 때문이다. 그 때마다 담임 목사는 '권사님 저녁 예배에도 나오세요' 그러나 그의 대답은 '죄송스럽지만 일이 너무 바빠서 도저히 시간을 낼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휴식이 필요하다는 담임 목사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주일 날 빠질 수 없는 이유 때문에 친구들과 모임에 가다가 심장마비로 쓰러지고 말았다. 상복을 입고 애곡하는 그 부인은 '목사님 말씀대로 쉬었어야 했는데...'라고 울부짖었다. 2. 주일에 올림픽 경기에 출전하지 않은 선수 1924년 올림픽 경기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여기에 참가한 선수 중.. 2011. 6. 10.
【질병.치유】예화 모음 01편 1.질병(치유) 비만증 “사십일을 밤낮으로 금식하신 후에 주리신지라”(마 4:2) 비만과 영양과잉은 각종 질병으로 쉽게 이환된다. 비만이 해롭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비만이란 지방조직의 비율이 정상인보다 많은 상태를 말하며 한방에서는 비습증에 해당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0% 이상,여자는 30% 이상일 때 비만증으로 본다. 특히 상복부 비만증은 성인병이나 사망의 원인이 되는데 허리둘레가 보통 남자는 94㎝,여자는 80㎝ 이상을 말한다. 비만의 원인은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구분한다. 외인성은 과식과 운동부족으로 영양과잉 상태가 돼 지방이 침체된 것이다. 90% 이상이 과식과 운동부족에 의한 단순성 비만증이다. 내인성은 지방 분해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것이다. 비만은 고혈압 동맥경화 중풍 .. 2011. 6. 8.
【질서】예화 모음 22편 1. 질서가 곧 자유 잇단 파업 소식으로 나라가 어수선하다. 한 건이 타결되는 것 같으면 다른 건이 꼬리를 문다. 가뜩이나 경제가 불안한데 저만치에서 더 짙은 먹구름이 몰려오는 듯하다. 나름대로 이유가 있겠지만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가? “이젠 제발 조용하면 좋겠다”는 국민의 여망이 이루어지는 길은 없는 것인가? 윈스턴 처칠이 이런 말을 했다. “인생의 처음 25년동안 나는 자유를 갈구했다. 그 다음 25년동안 나는 질서를 추구했다. 그 다음 25년동안 나는 질서가 곧 자유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법과 질서는 본래 국민 전체의 공익을 위해 세워진 것이다. 만일 그것이 국민 전체의 생명과 인권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부적절하다면 합법적인 과정과 절차를 통해 개정되는 것이 우선이다. 법과 질서를 고치기 전에 기존.. 2011. 6. 7.
칼 바르트의 기독론적-전이의 해석학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기독론적-전이의 해석학 (Hermeneutik der christologischen Metapher bei K. Barth) O. 해석, 사고유형, 아니면 증언인가? 가다머(H.-G.Gadamer)는 "해석학"을 선포(Verk nden), 통역(Dolmetschen), 설명(Erkl ren), 혹은 주석(Auslegen)의 예술이라고 정의한다. 그에 의하면 본래 "해석학"이란 용어는 "헤르메스(Hermes)"라는 말에서 나왔는데, 헤르마스는 神들의 使者로서 신들의 뜻을 세상에 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신들의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청취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신들이 내린 명령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따라서 가다머는 "해석학"이란 용어의 근.. 2011. 6. 5.
칼 바르트(K. Barth)와루터(M. Luther)의 해석학*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루터(M. Luther)와 바르트(K. Barth)의 해석학* - 문자와 영의 변증법과 기독론적 변증법 - 대화의 문을 연다. 마르틴 루터가 (M. Luther, 1483-1546) 주도한 16 세기 宗敎改革의 신학적 공헌을 한 마디로 요약 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이라고 특징지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바우어(K. Bauer)에 의하면, "루터는 그의 새로운 성서 해석으로 종교 개척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루터의 성서해석 방법을 함부르크 개신교 신학부의 로제(Bernhard Lohse)는 "문자와 영" 혹은 "율법과 복음"의 변증법이라고 특징짓고 있다. 그는 루터의 초창기 시편 강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루터는 동시에 율법과 복음의 변증법적 종속, 곧 .. 2011. 6. 3.
【진실】예화 모음 26편 1. 진실의 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거짓된 방법을 쓰는 것은 잘못이다. 신용만큼 중요한 명함은 없다. 장사를 해도 속임수는 잠깐뿐이다. 오래 유지하려면 신용을 간판으로 삼아야 한다. 부부의 사랑이란 실상 신용의 농도를 말한다. 아들이 아버지의 말을 못 믿게 되면 그 집은 끝장이다. 그리고 한 국가가 거짓 뉴스를 공공연하게 매스컴에 흘리면 그 피해는 전 인류에게 미친다. 현대인은 신문을 의지하고 살기 때문에 그 신문의 내용이 거짓이면 생활의 기둥이 흔들려버린다. "절반은 진실이다"라는 말은 전체가 거짓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거짓을 섞어 탄 진리는 없기 때문이다. 여러 사람이 같은 말을 한다고 해서 그것이 꼭 진실이라고 할 수 없다. 거짓은 아무리 모여도 진실이 될 수 없다. 진실은 잠시 가려져 드러나지.. 2011. 6. 2.
칼 바르트의 화해론의 계약신학적 배경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칼 바르트의 화해론의 계약신학적 배경 I. 문제제기 및 칼 바르트 화해론의 교리사적 位相 1. 그 당시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가 곧 오늘날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인가? (Christus pro nobis tunc et nunc)? 교회에서 매 주일 선포되는 說敎나 기독교 神學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우리를 위한 것으로, 즉 우리의 죄 용서와 영생을 위한 것으로, 證言합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질문이 제기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2000 여년전 팔레스틴의 한 목수의 아들 나사렛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 오늘날 21 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를 위한 사건이 될 수 있을까? 다시 말해서, 어떻게 한 유대 청년의 죽음과 부활이 모든 인류의 죄 용서와 永生을 위한.. 2011.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