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의 신학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의 신학 손석태 (철학박사, 개신대학원대학교 총장) 1. WTS의 개교 역사 미국의 신학 교육은 18세기까지 특별한 제도나 학교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어느 목사라도 자기의 학생을 자기가 데리고 지도하고 훈련할 수 있었다. 물론 이 경우 일반적으로 인정된 교과과정도 없었다. 그러던 중 1812년 뉴저지의 프리스톤에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 의하여 Theological Seminary of Presbyterian Church 가 공식적인 신학교로 처음 설립되었다. 이 신학교는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와 Catechism을 그들의 교리와 신.. 2014. 9. 15.
메이쳔에 있어서 조직신학적 관심 한국성경신학회 논문 발표회 2002. 2. 18. 메이쳔에 있어서 조직신학적 관심 김성봉(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I. 시작 말 1. 연구의 계기 2. 연구의 의의 3. 지금까지의 연구 4. 연구의 방식 II. 메이쳔의 생애와 그의 저술 1. 메이쳔의 생애 2. 그의 저술 III. 메이쳔의 저술을 통하여 본 그의 조직신학적 관심 1. 아쉬움 2. 그의 저술들에서 보이는 조직신학적 주제들 3. 그의 사상적 배경 IV. 주제별로 본 그의 조직신학적 관심 1. 성경론 2. 신론 3. 인간론 4. 기독론 5. 구원론 6. 교회론 7. 종말론 V. 이 같은 서술 방식의 공헌과 한계 1. 공헌 2. 한계 VI. 맺는 말 메이쳔에 있어서 조직신학적 관심 I. 시작 말 1. 연구의 계기 성경신학회가 신학자들을 발굴하여 .. 2014. 9. 10.
1920년대-30년까지 미 장로교의 논쟁의 와중에서 J. Gresham Machen의 역할 1922년 자유주의 침례교 목사인 Forsdick이 뉴욕시의 제일 장로교회에서 ‘근본주의자들이 이길 것인가?’라는 설교를 통해 보수주의 신학을 흔들어 놓았다. 포스딕은 자유주의자들은 신실한 그리스도인들로서 역사와 과학 및 종교에 관한 새로운 지식들을 옛 신앙과 화해시키는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포스딕은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성경의 무오성,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과 재림을 하나의 견해로 상대화시켰다. 이 설교로 미장로교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필라델피아 장로교회 Macartney목사는 ‘불신앙은 승리 할 것인가?’라는 설교로 대응하였다. 이미 1916년에 메이첸은 포스딕의 설교를 비교리적이라고 정죄한 바 있었다. 이러한 미장로교의 갈등의 주된 원인은 미국 사회의 지적, 사회적 변화떄문이였다. 미국교회는 .. 2014. 9. 1.
메이첸의 바울 신학 이해 한국성경신학회 제9차 논문 발표회(2002년 2월 18일) 메이첸의 바울 신학 이해 李 鍾 潤(서울교회) 들어가는 말 G. Machen의 바울 연구는 그 시대 상황을 잘 표출하고 있다. 합리주의와 역사 비평주의 특히 종교사학파들이 득세하던 18세기, 19세기의 소위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강한 도전을 하고 있다. 특히 Machen은 19C말 신약학계의 가장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던 예수와 바울의 문제에 대한 W. Wrede의 입장에 크게 도전을 하면서 성경적 바울 신학을 세우고 방어하는 일에 챔피언이 되었다. 본 논문은 Machen의 바울 신학 이해를 위해 Machen을 촉발시킨 20세기 초 바울 연구의 중심 인물인 Wrede를 살펴본 후 변증적 신학자로 알려진 Machen의 입장을 정리하고 Machen .. 2014. 8. 23.
그레샴 메이첸의 교회론 그레샴 메이첸의 교회론 한국성경신학회 제9차 논문발표회 김길성교수 (총신대학교 대학원장, 조직신학 교수) 목차 I. 서론 II. 메이천의 초기 신학과 사상 1. 누가복음 1장에 나타난 찬양시들 2. 누가복음 첫 두 장의 기원 3. 2세기의 동정녀 탄생 전통 4. 예수와 바울 5. 기독교와 문화 6. 역사와 신앙 7. 소결론 III. 메이천의 후기 신학과 사상 1. 메이천 이해에 있어서 최근 논쟁 2. 새 선교부의 설립 3. 새 선교부의 합법성 4. 메이천 재판에 대한 재고 5. 소결론 IV. 결론 I. 서론 메이천 박사(John Gresham Machen, 1881-1937)가 소천한지 65년의 세월이 지났다. 그러나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미합중국 장로교회(PCUSA)에서 그 절정을 이루었던.. 2014. 8. 15.
기독교 메시지는 성경을 통해 오고, 성경의 중심과 핵심은 십자가의 위대한 사건이다/ G.메이첸 현대 자유주의 신학은 기독교 메시지의 두 거대한 전제에 대해- 살아 계신 하나님, 그리고 죄의 현실- 눈이 멀어 있다. 자유주의 신학의 신론과 인간론은 기독교적 관점과 정반대의 위치에 있다. 기독교 메시지는 성경을 통해 우리에게 온다. 메시지를 담은 이 책에 대해서 우리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기독교적 견해에 의하면 성경은 하나님으로부터 사람에게 오는 계시의 기록을 담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물론 하나님이 만드신 것들을 통해서, 그리고 사람의 양심을 통해서 주어진 계시들을 성경이 확증하고 놀랍도록 풍성하게 해주는 것은 사실이다.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 이 말은 자연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를 확증한다. “모든 사람이.. 2014. 8. 10.
예수는 현대 자유주의자들에게 믿음의 모범이지 믿음의 대상은 아니다/메이첸 자유주의 신학과 기독교는 예수에 대한 태도에서 예리하게 대립된다. 예수에 대한 기독교적인 태도는 신약성경 전체에서 나타난다. 신약성경의 증거를 조사하는 최근 수년 간의 통상적인 방법은 사도 바울에게서 시작하는 것이다. 바울이 예수와 맺은 관계는 진정한 의미의 종교적 관계였음이 분명하다. 바울에게 있어서 예수는 신앙을 위한 모범만이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예수 자신이 신앙의 대상이었다. 예수를 닮는 것이 바울에게 중요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훨씬 중요한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완전히 가려졌음이 분명하다. 예수의 모범이 아니라, 예수의 구속 사역이 바울에게는 일차적인 것이었다. 예수에 대한 믿음이었다. 바울은 조금도 망설임 없이 그 영혼의 영원한 운명을 예수에게 의탁했다. 바로 이것이, 바울이 예수에 대해서 진정.. 2014. 8. 5.
그리스도의 죽음은 다만 우리가 따라야 하는 자기희생의 모범이 아니다/ 메이첸 자유주의 신학은 구원을(‘구원’이라는 말을 사용한다면) 사람에게서 찾지만, 기독교는 하나님이 하신 일에서 찾는다. 구원에 방법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 속에 구원의 근거가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기독교 신앙에 의하면, 예수가 우리의 구주인 것은 그가 말한 것 때문도 아니고, 심지어 그의 존재 때문도 아니며, 오히려 그가 행한 일 때문이다. 예수가 우리의 구주인 것은, 그가 우리에게 영감을 주어 그가 살았던 것과 같은 종류의 삶을 살게 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우리의 죄에 따라오는 무서운 죄책을 십자가에서 우리 대신 담당했기 때문이다. 이것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대한 기독교적인 개념이다. 그런데 이 개념이 “교묘한 속죄 이론”이라는 비웃음을 받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하나님 말씀의 명백한.. 2014. 8. 1.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반틸 책 소개 개혁파 변증학의 선구자, 반틸 “첫째, 우리는 장로교의 신앙 고백이 설명하는 것처럼 기독교가 참되다는 것을 믿습니다. 둘째, 우리는 기독교가 학적인 변증을 환영하며, 그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셋째, 우리는 두려움이나 편애 없이 그리고 교회 내에서든지 교회 밖에서든지 기독교가 죽음 가운데 있는 인류를 구원하는 유일한 길임을 반대하는 것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에 분명히 반대하여 기독교를 선포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1929년 5월 25일, 구(舊)-프린스턴 신학교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설립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개교 예배를 드리는 가운데 메이천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신앙에 대해 위와 같이 선언했다. 이러한 신앙 고백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평생 철저한 개혁파 변증학을 수립하고자 힘썼던.. 2014. 7. 25.
개혁주의 교육학-코넬리우스 반틸 개혁주의 교육학-코넬리우스 반틸 1. 교육의 상반성(Antitheses in Education) 코넬리우스 반틸 신자가 사는 원리는 불신자가 사는 원리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교회 뿐만 아니라 교육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에 대하여 말할 때도 세상과 상반(相反)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상반성은 교육전반에 걸쳐있다. 첫째는 교육철학 분야로서 근본적인 중요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흔히 무시되고 있다. 둘째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커리큘럼 분야에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는 교육의 대상자인 어린이나 청소년들을 고려할 때 나타난다. 이 세가지 요소를 염두에 두고 교육철학의 상반성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비그리스도인은 우주가 하나님을 창조해냈다고 믿기에, 그들의 신은 유한한 존재일 수 밖에.. 2014. 7. 15.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기도하자 눅4:38~41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기도하자        눅4:38~41   오늘은 누가복음 4:38~41절말씀을 제가 봉독하겠습니다. '예수께서 일어나 회당에서 나가사시몬의 집에 들어가시니시몬의 장모가 중한 열병을 앓고 있는지라. 사람들이 그를 위하여 예수께 구하니예수께서 가까이 서서 열병을 꾸짖으신대병이 떠나고 여자가 곧 일어나 그들에게 수종드니라. 해 질 무렵에 사람들이 온갖 병자들을 데리고 나아오매예수께서 일일이 그 위에 손을 얹으사 고치시니 여러 사람에게서 귀신들이 나가며 소리 질러 이르되당신은 하나님의 아들이니이다. 예수께서 꾸짖으사 그들이 말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니이는 자기를 그리스도인 줄 앎이러라.' 아멘! 예수를 믿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일까요?제가 늘 말씀드리지만, 그것은 속죄와 구원그리고.. 2014. 3. 5.
세례요한의 삶, 사가랴의 찬송 눅1:67~80 세례요한의 삶, 사가랴의 찬송         눅1:67~80              누가복음 1장 67~80절 말씀을 제가 봉독하겠습니다. 67 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하여 이르되68 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 속량하시며69 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70 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71 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일이라 76 이 아이여 네가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 일컬음을 받고 주 앞에 앞서 가서 그 길을 준비하여77 주의 백성에게 그 죄 사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알게 하리니  여러분 아시는 것처럼 세례요한은 사가랴와엘리사벳이 늘그막에아이 낳을 수.. 2014. 3. 3.
악성 가난'을 물리칠 기회 사43:1-7 악성 가난'을 물리칠 기회                사43:1-7          최근 (2008년 서브 프라임 모기지 발) 경제위기를, 우리 속에 지난 10년간 도사리고 있었던도에 넘치는 풍요, 물질주의, 맘몬物神이즘 등에서 떠나다시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유지하는 정화의 기회로 삼아야 하겠습니다... ▲최근 경제가 위기지만, 그래도 퇴보는 없을 것입니다.미국에서부터 밀어닥치고 있는 금융위기 때문에 전 세계가 요동하고 있습니다.특히 우리나라가 아주 심하게 요동하고 있습니다.환율이 폭등하고 주가는 폭락하여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불안 정도가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고통을 격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번 문제는 그렇게 쉽게 지나갈 것 같아 보이지는 않습니다.이제 고난은 시작된 것이고,.. 2014. 2. 23.
악인의 형통을 부러워 말라 잠24:1 악인의 형통을 부러워 말라              잠24:1    잠언 24장 1절'너는 악인의 형통함을 부러워하지 말며그와 함께 있으려고 하지도 말지어다.' 아멘 이게 잠언에'악인의 형통함을 부러워 하지 말라'는 말씀이꽤 여러 번 반복되어서 나와요. 왜 하나님이 이렇게 자꾸 반복해서한 말씀 또 하시고하신 말씀 또 하시고 그러실까요? 우리가 악인의 형통을 부러워하기 때문이랍니다. 하나님이 우리가 악인의 형통함을부러워하는 줄 아시기 때문에 한번 말씀하신 것으로 안 돼서또 하시고 또 하시고또 하시고 그러는 겁니다. 왜 악인의 형통을 부러워하면 안 될까요?여러분, 부러워하면 결국은 우리도악인의 길을 가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거 부러우면요.욕심이 생기거든요. 욕심이 생기면 그것을쟁취하려고 결국 되거든요. 그래서.. 2014. 2. 9.
청교도 혁명의 전개 초기에는 Prince Rupert가 인솔하는 왕당군의 전력이 우세했지만 전쟁을 지속할 만한 재정이 조달되지 못했고 무기와 탄약의 보급이 어려워 그에 따라 군인 급료가 중지되는 등의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하원의원 Oliver Cromwell(1599-1658)이 이끄는 기병대인 철기군이 전세를 뒤집기 시작했고 무력한 의회군을 철기군을 중심으로 개편하여 2만에 이르는 신형군(New Model Army)으로 조직하여 왕당군과의 전투를 승리하여 내란을 끝마치게 되었다.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의회파는 분열되기 시작했다. 군대는 독립파의 지배하에 있었지만 의회 세력은 장로파가 우세했고 이런 극한 대립의 중간에 수평파도 있었다.장로파는 온건파로서 왕과 타협하기를 주장했다. 여기에는 지주 귀족과 대상인을 포함하고 .. 2013. 11. 6.
조직신학에서 본 청교도 사상 들어가는 말 영국 엘리자베스 I세 여왕 시대의 종교적 관행과 정책을 비판하고, 특히 교회의 예배와 교회의 통치 방식을 개혁하려고 했던 개신교도들이 비난 어린 어조로 1560년대부터 그렇게 불려지기 시작한 "청교도"(Precisians or Puritans)라는 말에서 유래하여 영국과 당시 신대륙이었던 미국에서 나타나고 전개된 청교도 운동은 사실 여러 면에서 매우 범위가 큰 운동이다. 따라서 청교도 운동과 사상에 대한 조직신학적 접근은 수많은 책을 쓰도록 만들 것이다. 범위를 좁혀서, 청교도 사상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인다고 해도 결국 다양한 사상이 그 가운데 있음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구원에 대한 교리에 대해서만 말해도 청교도들 가운데는 철저한 칼빈주의자와 중도적 입장을 지닌 이들(moderate Ca.. 2013. 11. 4.
청교도 인물사 정리 I. 서론 : 연구방법론에 대하여1. 청교도의 어원과 의미① 1560년대에 처음으로 사용됨.② 라틴어 Puritani (엄격한, 근엄한).③ 청교도 - 세속의 오염으로부터 격리된 거룩한 양심의 소유자들.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신앙생활을 단호히 거부.초대교회의 사도적 순결과 거룩한 양심을 지키기 위해 노력.2. 연구방법론① 청교도운동을 보수적 칼빈주의자들의 몸부림으로 봄.이들이 추구하는 칼빈주의에 입각한 '신정정치(Theocracy)'는 개인의 숨통을 누르는 자유가 없는 속박된 사회로 정의.대표적 학자로는 애덤즈, 패링턴, 멘켄(H. L. Mencken)② 청교도운동이 칼빈주의에 입각한 것임을 긍정하지만 칼빈주의가 인간성을 짓누르고 문화를 멸시하는 저속하고 편협한 운동이 아님을 역설함. 페리 밀러(Perry.. 2013. 11. 2.
(불신자 심방)성령께서 계속하시는 예수님의 사역 요16:12-16  예수님께서는 승천하시기 전에 놀라운 약속을 하셨다. 즉 우리와 함께 있겠다는 약속(마 28:19-20)과 우리 중에 계시겠다는 (마 18:20) 신비한 약속들을 하셨다. 그런데 예수님은 분명히 부활후 승천하셨기 때문에 육체를 가진 모습을 우리 가운데 찾아볼 수 없는데 그렇다면 과연 예수님께서 어떠한 방법으로 우리와 함께 계시는지 알아보자.(본 론)1. 다른 보혜사를 통해서 (요 14:16-20) "진리의 영"   1) 처음 보혜사 예수 그리스도:"보혜사"란 뜻은 "돕기 위하      여 부르심을 받아 항상 곁에 계신이"란 뜻이다. 예수님은 당신 자신을 처음 보혜사로 이성귀에서 대조하고 있다.   2) 다른 보혜사 성령: 예수님은 성령을 '다른 보혜사'라고      불렀다. 이곳에 사용.. 2013. 11. 1.
(불신자 심방)참 행복의 길 요14:1-11  지구상에 사는 모든 사람들은 행복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리고 물질이나 외적 환경을 통하여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물질이나 환경이 부요하고 원대로 되었기 때문에 행복하다고 착각하고 있다. 그러나 행복은 물질이나 환경보다 더 깊은데 있다. 깊은 심령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곳에는 텅빈 껍질 인생밖에 없는 것이다.(본 론)1. 행복은 궁극적인 삶의 목적이 있는 곳에서   1) 세상적 삶에도 목적이 있어야 한다.   2) 영원한 삶의 목적-영원한 삶의 목적이 없으면!      (1) 아무것도 영원히 믿을 것이 없고-일시적.      (2) 아무것도 영원히 바랄 것이 없고-허무함.      (3) 아무것도 영원히 사랑할 것도 없다-거짓됨   이처럼 오직 죽음과 냉소와.. 2013. 10. 29.
(불신자 심방)인격을 지배하는 4가지 요소 잠4:20-27  예수님의 제자들이 손을 씻지 않고 음식 먹는 것을 보고 바리새교인들이 비난할 때 예수님께서는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입에서 나오는 것이 사람을 더럽힌다고 했다(잠 4:23). 자기 자신을 개발하고 지배하는 자가 자기의 환경과 운명을 지배할 수 있다. 여기 인격을 지배하는 네가지 가장 중요한 요소에 관해서 말씀드리겠다.(본 론)1. 상상력을 지배하라:인간의 마음은 의지력의 지배를 받는 것 이 아니라 상상력의 지배를 받는다.   1) 성서의 교훈과 상상력      (1) 하와의 타락과 상상력에 호소한 뱀      (2) 상상력을 통해 100세에 아들을 얻은 아브라함.   2) 당신의 상상력과 3박자 구원 (빌 4:8)2. 목표설정-인간은 목표를 추구하는 존재이.. 2013. 10. 26.
(축도 바른이해) 축도 바른 이해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교제)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여기까지이다- (있을찌어다는 원문에 없다)  "아래의 헬라의 원문을 보듯이 이 문장에는 동사가 없다. 그리고 교통하심이 아니라 교제하심이다. 본문에 히브리어 및 헬라어 원문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원문이 안보이고 네모로만 나타나면 여기를 클릭 해서 폰트설치하셔야 원문을 보실수 있습니다. η  χαρισ του  κυριου  ιησου  χριστου  και  η  αγαπη  του헤    카리스  투    큐리우     예수       크리스투    카이   헤   아가페   투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      .. 2013. 10. 4.
위험한 성공의 얼굴 삿8:10~35 위험한 성공의 얼굴           삿8:10~35      출처     *설교 주제 : 고작 3백명의 군사로, 미디안 13만5천을 물리치고 나라를 구한 기드온이정말 하루만에, 급속하게 타락해버리는 본문을 통해서우리 각자도 역시 하루만에 타락해 버릴 수 있다는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합니다.▲우리가 잘 아는 경구 중에서도 액턴 경 Lord Acton 의 경구가 기억나지요. "모든 권력은 타락한다. 절대 권력은 절대적으로 타락한다." 오늘 본문의 기드온의 얘기를 읽어 보면 어떻겠습니까? '모든 권력은 반드시 타락한다. 절대 권력은 즉시 타락한다' 하는 그런 생각을 갖게 만드는 본문입니다. 기드온이 3백명의 군사로 싸운 전쟁이 어떤 전쟁입니까, 어떻게 이겼습니까? 그러나 승전 후에 힘이 생기고 나니까, 사람.. 2013. 8. 21.
유진 피터슨의 팔복 묵상 마5:3~12 유진 피터슨의 팔복 묵상                 마5:3~12           출처  유진 피터슨 박사님이, 8복을 영어로 아래와 같이 풀어서 번역했습니다. (the Message Bible에서)그 영어를, 한국어로 풀어서 번역해 봅니다. (스크랩 글을 편집)   ▲1.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You're blessed when you're at the end of your hope.With less of you there is more of God and his rule. 삶이 가난/곤경에 처했을 때, 너는 복되다.네가 쇠할 수록..하나님의 임재와 그 분의 다스리심(하나님의 나라)은,네 삶에 더욱 흥할 것이다.   ▲2.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위로를.. Yo.. 2013. 8. 19.
이 세상의 가치관은 하나님의 가치관과 반대 눅16:15, 빌3:3 이 세상의 가치관은 하나님의 가치관과 반대     눅16:15, 빌3:3         영어 This World's Values are the opposite of the God's Zac Poonen 목사   안 믿는 사람들은, 제게 ‘당신은 성경이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인줄 확신합니까?’라고 질문합니다. 있을 수 있는 질문입니다. 그에 대해, 보통 신자들은 이렇게 대답합니다.‘팔레스틴의 고고학 발굴을 통해서 조사해 보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성경이,그 고고학 발굴을 통해 발견된 수 천 년 전의 성경 내용과 똑같습니다. 다르지 않습니다.그래서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성경은, 옛날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물론 그런 설명도 맞지만, 그러나 저는 다르게 대답합니다.‘제가 예수님을 믿은지 지난 5.. 2013. 8. 12.
바른신학 탐구 요1:1-3 [요 1:1-요 1:3] (1)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2)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3)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3:16 [요 3:16-요 3:16] (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10:30 [요 10:30-요 10:30] (30)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하신대 20세기에는 실존주의철학으로 신학을 한다 근본교리인 3위일체와 기독론을 부인하고 심지어는 이제는 하나님이 없는 기독교가 되었다 자유주의로 가다보니까 교회가 많이 피폐되었다 로마교회는 교황이 정한대로 따라간다 기독.. 2013. 8. 10.
이를 사랑하고 저를 미워함이라 눅16:13 이를 사랑하고 저를 미워함이라          눅16:13             출처 Zac Poonen / Love of Money   ※출처의 원문을 참고하세요.     ◑3. 단락이 하이라이트입니다. ▲서론/ 종교기관은, 물질로 타락하기 쉽습니다.오늘 저는 ‘주님이 돈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셨는가?’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지난 기독교역사 내내, 특히 ‘기독교 왕국’을 지내왔던 나라에서는교회에서 ‘물질’에 대한 강조가, 끊임없이 있어 왔습니다.그게 도를 넘어서 압력이나 스트레스를 준 적도 많았습니다. 오늘날에도, 미국에서는, 방송을 통해서까지 헌금을 끊임없이 모금합니다.그런 방식들이, 제가 보기에는, 성경과 합치되기 보다는,성경의 가르침과 배치된다고 보기에.. 제가 오늘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그렇.. 2013. 8. 9.
인생의 목표는 성공이 아니라, 변화 시24:6 인생의 목표는 성공이 아니라, 변화               시24:6                                                                                              *원제목 : 느헤미야의 눈물◑변화 받은 인생의 예표, 야곱▲이삭은 어쩌면 자기 일생에 승승장구 ‘성공’만 했다.결혼도 무난했고, 사업은 한 해에 1백배의 성장을 거두기도 했다. 이삭은, 형 이스마엘이 괴롭히는 것 말고는, 별 문제가 없었다. (우물 빼앗긴 사건 외에는 그랬다.) 그런 형 이스마엘의 괴롬힘의 고난도,아버지 이삭이 일방적으로 자기(이삭) 편을 들어주어서.. 형 이스마엘을 내쫓아 주셨고..그래서 일평생, 정말 평탄하고 유복한 인생을 살았다고 볼 수 있다. ▲그.. 2013. 8. 5.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적이다 렘42:1~22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적이다            렘42:1~22           출처  ▲도입 /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적이다’ 는 말이 있습니다.Good is the enemy of Great!어떻게 좋은 것이 위대한 것의 적이겠습니까? 이 말은 라는 책에서,저자인 경영자문가 짐 콜린스가 강조했는데, 세계적으로 기업경영의 구루(스승)로 통하는 석학입니다.책 내용을 잠시 인용해 봅니다. 위대한 학교가 되지 못하는 것은 좋은 학교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위대한 정부가 없는 것은 대개가 좋은 정부가 있기 때문이다.위대한 삶에 도달한 사람이 거의 없는 이유는 좋은 삶에 쉽게 정착하기 때문이다.회사 대부분이 결코 위대해질 수 없는 정확한 원인은, 아주 좋은 회사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좋은 것good이 위.. 2013. 8. 2.
주님의 임재 vs 돈의 임재 히13:5~5 주님의 임재 vs 돈의 임재     히13:5~5       현대인들은 주님의 임재는 등한시 하고, 돈의 임재를 간절히 바라는데요..과거에 소득이 지금보다 낮았을 때는, 다들 '사명 감당하며 살겠다' 했는데,요즘은 소득이 높아졌는데, 다들 '더 부자가 되겠다'는 목표로 살고 있습니다. 미혹입니다!'부자는 천국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주님의 말씀과   눅18:25'부하고자 하는 자는 멸망과 파멸에 이를 것이라'는 바울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딤전6:9참으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부를 추구한다는 사실이 수년 동안 나 John Piper 에게는 충격이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믿지 않거나 자신들만은 그 법에 예외 이거나 혹은 하나님의 말씀은 꼭 그 말 그대로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 2013. 7. 29.
주님이 받기를 원하시는 이유 눅 21:1~4, 눅6:38 주님이 받기를 원하시는 이유          눅 21:1~4, 눅6:38           출처,  ◑주님은 예배를 받으시기 원하신다. ▲여인이 자기 눈물로 예수님의 발을 씻고, 머리카락으로 그 발을 닦고 향유를 부은 일은예수님에 대한 예배의 헌신입니다. 그 예배의 행위를 예수님께서 받아주셨습니다.그것을 만류하지 않았습니다. 우리 같으면 좀 만류하려 했을 것입니다.서먹해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무엇보다 여인의 사정과 형편을 고려할 때여인이 아무리 헌신을 하려고 해도,정중하게 거절하는 것이 윗사람으로서의 미덕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여성의 정성을 받으시고 말씀하시기를‘이것은 나를 위한 것이니..’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주님은 우리의 섬김과 헌신과 경배를, 기꺼이 받으시.. 2013.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