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리교의 신학 감리교(監理敎)의 신학은 웨슬레의 신학과 사상에서 비롯된다. 웨슬레는 영국 국교회 사제였으며 그의 신학과 사상은 기본적으로 국교회적인 배경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종교개혁가 루터, 칼빈, 뮌처의 신학사상의 요소들과 동방교부들, 알미니아누스, 어거스틴, 로마가톨릭교회 사상을 비판 및 수용하여 종합화 했다. 웨슬레의 신학적 특색을 보면 개혁자들의 신학사상을 견지하면서 어느 극단론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용과 균형을 이루려고 하였다. 그의 신학은 복음주의적이었으며 성경에 기초를 두었으며 성경과 함께 기독교의 전승(傳承)을 중요시 했으며 기독교를 이해하고 성경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이성(理性)의 역할을 높이 평가했으며 성경의 진리가 나에게 진리 되기 위해서는 내가 적어도 이것을 의식(意識) 혹은 경험(經驗)함으로 가능.. 2021. 11. 4.
구약신학은 무엇인가? 목록가기 구약신학은 무엇인가? - 김성수 교수_합신구약신학 구약신학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가장 간단하게 말한다면 구약 성경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만 말하면 성경 계시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조직신학과 다른 것이 무엇인가라고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런 반문에 대하여 딱히 무어라고 대답하는 것은 쉽지 않다.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그러나 구약신학이라는 이름으로 지금까지 저술된 여러 책이나 논의되어온 내용을 고려하여 굳이 그 차이점을 말한다면 구약신학은 구약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제시하는 데 있어서 어떤 틀과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깊은 관심을 보여 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직신학의 방법론이나 틀과는 거리를 두면서 독자적으로 구약 내용을 파악할 틀과.. 2021. 11. 4.
오직 성경 /변 종 길 교수(고려신학대학원)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은 구호이다. 곧 ‘오직 성경으로’ 또는 ‘오직 성경에 의해’란 뜻이다. 이것은 종교개혁자들의 핵심 주장들 가운데 하나인데 가톨릭교회의 잘못된 주장에 대항해서 내세운 것이다. 당시 가톨릭교회는 ‘성경’과 아울러 ‘전통’의 권위를 강하게 주장하였다. 곧 진리는 ‘성경’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기록되지 않은 ‘전통’을 통해 계속해서 전해 내려 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전통’도 ‘성경’과 마찬가지의 권위를 가지며 똑같이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종교개혁에 대한 반동으로 1546년에 모인 트렌트(Trent) 회의에서는 성경뿐만 아니라 전통도 ‘동등한 경건한 사랑과 존경으로(pari pietatis affectu ac reverentia)’ 받아들이고 경외하여야 한.. 2021. 11. 4.
개혁주의 성경관 / 변종길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신약학) 개혁주의 성경관 변 종 길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신약학) 개혁주의는 성경을 우리의 신앙과 생활에 표준이 되는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 는다. 이에 대해 이근삼 박사는 이렇게 말한다.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의 계시하신 말씀을 기록한 것으로 일점일획도 가감할 수 없고 기록된 말씀은 반드시 실현될 것으로 믿고 ...”1) 이러한 성경관이 고신 설립자들의 신앙이었다. “신사참배 반대자들은 영감된 하나님이 말씀 의 절대적 권위를 믿고 하나님의 계명을 생명을 걸고 그대로 순종하여 하나님이 금하신 우 상숭배에 응하거나 동참하지 아니하려고 몸과 마음을 바쳐서 충성하였다.”2) 이러한 신앙은 고려신학교 교육이념에도 분명히 나타나 있다. “신・구약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니 신앙과 본분에 대하여 정확무오한 유일의 .. 2021. 11. 4.
성경신학] 1부 제1장 서론 성경신학의 성격과 방법 / 게르할더스 보스 게르할더스 보스의 제 1장 서론 - 성경신학의 성격과 방법 신학이란 어원적으로 “하나님에 관한 학문”(the science concerning god)이다. 하나님에 관한 학문으로서 신학을 정의하면 신학은 마땅히 계시에 기초해야만 한다. 비인격적인 대상들과는 달리 영적이고 인격적인 존재가 스스로를 열어 보여주는 한에 있어서만 우리는 그를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모든 영적인 생명은 그 본성상 감취어진/닫혀진 영역이기 때문에 이런 영역에 대해서는 계시를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일반적인 인격과 영적인 존재가 아니시기 때문에 그가 우리에게 오셔야만 우리는 그에게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창조는 신외지식의 산출의 첫 단계인 것이다. 계시의 필요성에 대한 더 큰 이유는 죄로 인해 사람들이 처하게.. 2021. 11. 4.
성경신학 제3부 신약 성경신학 (박윤선 목사) 성경 신학 제3부 신약 성경 신학 제 1장 : 언약론 마1:1에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라고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보내주시겠다고 약속하신 대로 이루어 주셨다는 의미이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니라”고 하셨고(창12;3) 또한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얻으리니”라고 하셨는데(창22:18) 이 말씀은 아브라함의 자손 중에서 메시야가 나시리라는 것(갈3:16)과 유대인뿐 아니라 모든 민족들 중에서도 그리스도의 구원 축복에 참가할 자들이 많으리라는 것이다.(롬4:12,23~24) 뿐만 아니라 다윗에게 주신 언약도 역시 메시야를 중심한 것이니 예를 들면 삼하7:12~17의 말씀이다 마1;1의 말씀은 아브라함과 다윗에.. 2021. 11. 4.
현대신학의 흐름 / 제4장 현대신학의 도전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4 장 현대신학의 도전 Ⅰ.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한국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1. 보수주의 신학의 정립 한국 교회는 보수주의 신앙을 바탕으로 한 선교사들에 의하여 자라왔다. 특히 한국의 장로교회는 미국에서 파송된 선교사들의 신학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초대 선교사 윌리엄 헌트는 1889년 이미 북장로 선교사 중에 성경 유오설을 말하는 한 사람의 선교사로 평양 신학교 설립자 마포삼열로 지적한다. 당대 유일한 장로교 신학교였던 평양 신학교는 복음적 성격위에서 기독교의 근본 진리와 신조를 철저히 가르칠 것을 주안점으로 한다. 이러한 보수신학의 입장은 그 다음 세대의 선교사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졌다. 선배 선교사들이 뿌린 신앙을 따라 일제 말엽, 신앙탄압의 시기에 한부선(Bruc.. 2021. 11. 4.
현대신학의 비신화적 경향을 우려한다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비신화적 경향을 우려한다 / 홍성철 목사 http://www.kscoramdeo.com/news/read.php?idxno=3795&rsec=MAIN 서론 현대신학의 신학적 경향 중의 하나는 영적 실체를 비인격적 존재로 사회구조로, 사회 현상으로, 그리고 분위기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런 경향은 성경 번역에서도 나타난다(개역개정판):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이나 현재 일이나 장래 일이나 능력이나 (롬 8:38) 여기에서 권세자들은 사람이다. 영적 존재가 아니라고 표기하고 있다. 모든 통치와 권세와 능력과 주권과 이 세상뿐 아니라 오는 세상에 일컫는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나게 하시고(엡 1:21) 에베소서에서도 통치와 권세는 영적인 존재인데 사람으로 .. 2021. 11. 4.
한국교회 신학의 흐름과 전망 강근환 / 서울신학대학교 명예교수 여는 말 한국기독교학회가 금년으로 제30차 정기학술대회를 "세계신학과 한국신학" 이라는 주제하에 열리게 되었음은 필자에게 감개무량한 일이다. 왜냐하면 필자는 1972년도 그러니까 제2차 정기학술대회 때부터 본학회에 참석하여 한 때는(1984-86) 촘무의 직을 맡아 일하였던 사람으로서 오늘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금년에는 구태라 퇴역한 필자에게 한국교회사학회 발표를 맡기지 않았나 생각하며 고마운 마음이다. 본 발표는 "한국교회 신학의 흐름과 전망" 이라는 제목하에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세계 신학과의 연관성에서 대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1. 신학수업과 한국교회사학 필자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 속한 서울신학대학에서 첫 신학수업을 하였다. 그 것은 기숙.. 2021. 11. 3.
한국의 여러 신학 학회들 한국 기독교 학회 http://kacs.or.kr/ 한국 개혁 신학회 http://tsrt.kr/html/sub04_01.asp 개혁신학회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tsrt.kr 한국 복음주의 조직 신학회 https://web.archive.org/web/20170921095740/http://hu3425.s10.hdweb.co.kr// 한국 조직 신학회 http://ksst.kr/symposium 한국 장로교 신학회 https://web.archive.org/web/20160216035318/http://cpck.kr/business/sub01.htm 한국 복음주의 선교 신학회 http://www.kems.re.kr/ 한국 복음주의 구약 신학회 https://web.archive.org/web/2.. 2021. 11. 2.
개혁신앙의 전통과 오늘의 고백신앙 - 칼빈의 신학을 중심으로 개혁신앙의 전통과 오늘의 고백신앙 - 칼빈의 신학을 중심으로 - 안인섭 교수(총신대신대원) 주지하는 바처럼,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KACP)는 “열린 진보”와 “열린 보수”적 경향을 가진 목회자와 신학자들이 한국 교회의 일치(Unity)와 갱신(Renewal), 그리고 사회를 향한 온전한 섬김(Diakonia)을 목표로 1998년에 창립되었다. 올해의 전국 수련회의 주제는 “하나님의 사명을 수행하는 교회와 리더십”이며, 필자에게 주어진 제목은 “개혁신앙의 전통과 오늘의 고백신앙”이다. 일반적으로 개혁신앙을 넓은 의미로 해석하자면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주창된 신앙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며, 좁은 의미로 본다면 개혁주의 신앙으로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16세기 문맥에서 종교개혁 신학을 형성한 중요한.. 2021. 11. 2.
최근 구약신학의 동향논의에 대한 5편의 논문들을 읽고 나서 목록가기 최근 구약신학의 동향논의에 대한 5편의 논문들을 읽고 나서 전주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전공 라황용 1. 장일선선교수의 1989년에 발표한 논문 "구약 학계의 세대교체와 폰 라트ㅡ 이후의 구약신학의 위상"에서 폰라트 이후 구약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거물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구약신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것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보았다. 한국에서 폰 라트의 구약신학을 집대성한 인물은 김정준박사며, 폰라트도 김정준 박사도 우리 곁을 떠나갔다. 장일선 교수는 폰라트의 뒤를 이어 렌트로프, 김정준의 뒤를 이어 김이곤, 민영진, 임태수 교수의 세대교체를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폰 라트 이후 시대 구약신학의 패러다임이 "역사"에서 "언어"로, 즉 통시적 방법에서 공시적 방법.. 2021. 11. 2.
구약신학의 최근동향 목록가기 구약신학의 최근동향 강사문(장신대 구약학) 구약신학이란 명칭은 1787년 J. P. Gabler의 Actdorf 대학 취임강연에서부터 출발한다. 과거에 구약성경은 교회교리를 변호하고 고증하는데 불과했다. 그러나 가불러의 구약은 독립된 학문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역사적 비평방법에 의존케 되었다. 과거에 있어 구약성경연구가 교리를 위한 철학적 접근방법이었다면 가불러 이후의 구약성경연구는 '역사적'이었다. '역사적'이란 의미는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개념들을 파악하는데는 객관적으로 고증되는 '역사적'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역사적이 아닌 것은 종교적 진리와 거리가 멀다는 말이다. 따라서 구약연구는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로 대치되었다. 종교를 연구하는 방법은 진화론적인 변증법적 방법이었다. 이스라엘 종교는 저급.. 2021. 11. 2.
구약신학 / 박동현교수 목록가기 구약 신학이란 무엇인가? 9.1.1. 낱말의 뜻 '구약 신학'은 구약에 들어 있는 신학, 구약에서 말하는 신학, 구약을 밑바탕으로 하는 신학, 구약에서 찾아낼 수 있는 신학, 구약에서 알려 주는 신학, 구약에서 배우는 신학이란 뜻인가? 우리말 큰사전에서 풀이하듯이 '학문'이 '배워 익힘, 배워 닦은 학식, 체계가 선 지식'를 뜻한다면, '신학'은 하나님에 대해 배워 익히는 것(을 체계잡아 놓은 것),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바를 체계 있게 한데 모아둔 것이고, 구약 신학은 구약 성경을 중심으로 하나님에 대해 배워 익히는 것(을 체계잡아 놓은 것), 구약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바를 체계 있게 한데 모아둔 것이라 하겠는가? 9.1.2. 학자들의 정의 클라우스 베스터만(Claus We.. 2021. 11. 2.
성경신학 제2부 1-4장(구약 성경신학/박윤선 목사)PLIII 성경신학 제2부 1-4장(구약 성경신학/박윤선 목사) 글쓴이: 최정열 http://cafe.daum.net/selck/HJbE/220 성경 신학 제2부1-4장 구약 성경 신학 제 1장 : 기원론 우리는 만물의 기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창세기 1장의 말씀 이상으로 알기 어려운 것은 인간의 체험 밖의 사건들이기 때문이다. 창세기 1장은 하나님의 만물 창조를 우리에게 알려 주는데 그 기록의 목적은 인간을 섭리하시고 구원하시며 심판하시는 이가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심을 알려 줌에 있다. 1. 창조의 순서에 대한 문제 창조의 순서에 있어서 창세기 1장에는 식물(11~13), 동물(20~23), 사람(26~31)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2장에는 사람(7), 식물(9), 동물(19)의 순서로 되어있어서 고등 비평가.. 2021. 11. 2.
칼뱅주의 신학 칼뱅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뱅주의배경신학주요 문서교파주요 인물 기독교 프랑스의 유명한 조각가 다니엘 레클레로(Daniel Lecleroq)가 만든 장 칼뱅 동상, 장신대학교 칼뱅주의(프랑스어: Calvinisme) 또는 개혁주의(tradition réformée, foi réforméefaith, théologie réformée)는 장 칼뱅이 주창한 기독교의 사상 및 성경을 따르는 신학사상으로서[1] 종교 개혁을 통해 체계화되어 개신교의 주요 신학으로 자리잡은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2] ‘칼뱅주의'란 말은 칼뱅 개인의 사상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하나 이는 매우 드물다.[3] 다만 그 사상이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발전하게 된 데에 칼뱅이 미친 지대한 영향에서 ‘칼뱅주의’란 이름이 .. 2021. 11.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사상 『신학대전』의 신학적 기획 전체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고찰하는 데로 돌아서서, 특히 “그분이 우리가 부활을 통해 불멸의 삶이라는 참행복, 하느님을 충만히 누리는 데에서 성립되는 영속하는 참행복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진리의 길임을 입증할 때” 그 ‘완성’에 이르게 된다.(III, 머리말) 여기서 그리스도론적 문제들은 그리스도교 신학자들이 오늘날 선호하는 것보다 훨씬 뒤늦게 등장한다. 분명 토마스는 여러 세기에 걸쳐 일어난(또 지금 여기서도 반복되고 있는!) 것처럼 성서 주해서들로부터 따로 떼어내서 연구되리라고는 결코 상상할 수 없었다. 또한 매일같이 규칙적인 경배와 회개의 실천들 등으로 양성되지 않는, 그리스도교적 가르침을 배우는 학생들을 미리 내다볼 수도 없었다. 그들은 전례를 그리스도의 수.. 2021. 11. 1.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철학과신학(Vol.1 No.1, pp231-288, [1997])에 수록된 이재룡 신부의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논문입니다. 머리말 중세 최대의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불후의 걸작《신학대전》은 그 이 름이 암시하고 있듯이,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세속 학문들의 기초 위에서 체제적으로 해설하고 있는 신학의 웅장한(architectonic) 집대성이다. 이 대작에서는 자칫 대립적인 충돌로 이끌릴 수도 있는 이성과 신앙이 어느 하나도 희생됨이 없이 조화롭게 하나로 어울리고 있다. 성 토마스는 자신의 필생의 역작《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하여 고대와 중세로 이어진 서구 사상계의 플라톤적-그리스도교적 전통과 당시 비로소 접근 가능하게 된 아리스토텔레.. 2021. 11. 1.
찰스 피니의 신학 찰스 피니의 신학에 나타난 펠라기우스주의적 경향은 자신의 획기적 방식에 편승해서 하나님이 정하신 수단을 무시하는 태도를 정당화한다. 대단히 요란하게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많은 운동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런 새로운 수단을 바탕으로 '회심한' 많은 사람도 급속히 싹을 트웠다가 오후 햇빛에 급속히 시들어질 뿐이었다. 자신의 목회를 마감할 무렵, 피니 자신도 종교의 상태에 대해 크게 탄식하면서 자신이 고안한 새로운 수단이 결코 충족될 수 없는 '흥분'을 향한 열망을 불러일으켰는지 그렇지 못했는지에 대해 크게 의아해했다. 2021. 10. 31.
찰스 피니의 신학적 뿌리 이렇게 찰스 피니의 방법들이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를 지배하고 있는데, 복음주의 교회들은 찰스 피니의 신학과 방법론들이 매우 위험한 인본주의 신학으로서 반펠라기우스 신학에 근거한 것임을 모르거나 무시하고 있다. 먼저 그의 죄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사람은 본질상 죄인이 아니라고 말하며, 사람들이 죄인이 되는 것은 태어난 환경 때문인데, 이 세상이 악한 동기로 가득 차 있으므로 죄를 지어서 죄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즉 원죄를 부인하는 것이다.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심령이 부패되었다는 것을 부정한다. 찰스 피니의 이러한 죄에 대한 이론은 오늘날 심리 치료 복음의 인간론과 맞아 떨어져서, 복음주의 교회들이 죄의 문제를 해결하는 복음에서부터 자긍심을 회복하는 복음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찰스 피니의 죄에 대한 .. 2021. 10. 31.
찰스 피니 인본주의 신학 복음주의자들의 프로그램화된 전도법으로 교회가 더욱 약화된 이유는, 그 신학적 기저가 매우 인본주의적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418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된 펠라기우스 신학에 그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들이 이렇게 지독한 인본주으 신학을 따라가는 현상이 지금으로부터 160년 전에 미국 장로교회 내에서 똑같이 일어났다. 찰스 피니는 펠라기우스 신학을 가지고 부흥주의 신학을 만들어 냈다. 이때 구 프린스턴 교수들과 많은 경건한 목회자들이 찰스 피니를 꾸짖고 야단쳤지만 그는 듣지 않았다. 오히려 알버트 반즈와 함께 "실천적 펠라기우스 신학"을 공개적으로 표명하였다. 이로 인해 미 장로교는 칼빈주의 신학을 견지하는 구학파와, 실천적 펠라기우스 신학을 지지하는 신학파로 갈라.. 2021. 10. 31.
신학의 형성과 방법론- 쉴라이어마허와 바르트 중심 2/배경식 신학의 형성과 방법론- 쉴라이어마허와 바르트 중심 2 바르트의 신학은 그의 신학 연구와 저술들을 중심으로 하여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인다. 이것들을 전 후로하여 네가지의 신학적인 발전을 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로마서 강해 저술 이전의 자유주의 신학 연구와 인간 중심적 신학, 로마서 강해 저술시기인 신 중심적 신학, 교회 교의학에서의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 그리고 그 이후의 성령론적 신학이다. 그의 신학을 순종의 신학이라고 단언하는 사람들이 있다. 인간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무익한 종이기에 하나님에 대해 말할 때 성부, 성자, 성령을 올바로 나타낼 수 있는 길은 오직 인간이 그리스도에게 순종할 때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성령안에서 그리스도의 인성과 사역을 신학의 주제로 가져온 바르트의 신학작업은 .. 2021. 10. 31.
신학의 형성과 방법론- 쉴라이어마허와 바르트 중심 신학의 형성과 방법론- 쉴라이어마허와 바르트 중심 배경식교수 신학의 형성과 방법론 - 쉴라이어마허와 바르트 중심- 1. 쉴라이어마허와 바르트의 생애 신학자들의 신학 형성과 방법론 그리고 다양한 사상들을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생애를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쉴라이어마허(F. Schleiermacher, 1768-1834)는 계몽주의가 한창 꽃을 피우던 18세기에 태어나 활동을 하였다. 독일 브레스라우(Breslau)에서 헤른후트파인 경건한 군목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 고전연구를 통한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으며 신앙적으로 그리스도의 수난과 죄인이 받을 형벌의 문제에 직면하여 많은 고민을 하였다. 그가 15세 되던 1783년 니스키(Niesky)에 있는 모라비아 학교에 입학하여 그곳에서 그리스도.. 2021. 10. 31.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역사신학』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역사신학』하르낙은 성경연구에 역사 비평을 접목시켜 역사적 확실성을 바탕으로 복음의 본질을 찾고자 했던 사람이다. 지금까지 교의(Dogma) 중심적인 정통주의 신학을 비판하면서 교의는 인간들이 예수의 복음에 덧붙인 부차적인 것으로 여겼다. 그의 신학의 예수의 복음을 기초로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순수한 복음이므로 우리는 그 복음을 바로 알고 복음으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유주의 신학자이지만 그의 역사비평은 복음주의 학자로부터 외면될 수 없는 것이며, 진정한 복음이 무엇인지 알고자 했던 그의 열정은 우리에게 커다란 도전을 준다.1. 학문에 대한 열정에 바친 그의 삶하르낙은 1851년 5월 7일에 지금 러시아의 영토인 도르팟에서 태어낫다. 그는 도르.. 2021. 10. 30.
성령과 생명 신학몰트만 성령과 생명 신학 몰트만 (1995년 한국 여의도 순복음 교회와 서울신학대학 강연, 1996년 런던 '킹스 칼리지' 강연) 성령의 은사와 임재(臨在)는 우리가, 인간의 공동체가, 모든 살아 있는 존재와 이 땅이 경험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놀라운 것입니다. 왜냐하면 성령 안에서 임재하는 자는 여러 선한 영들과 악한 영들 중의 어떤 한 영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 창조적이고 살리고 구원하며 복을 주시는 하나님이기 때문입니다. 성령이 있는 곳에 하나님은 특별한 방법으로 임재하십니다. 그리고 우리는 안으로부터 약동하는 우리의 생명을 통하여 하나님을 체험합니다. 우리는 모든 감각을 통해 완전하고 충만하고 치유받고 구원받은 생명을 체험합니다. 우리는 하나님 안에서 우리의 생명을, 그리고 우리의 생명 안.. 2021. 10. 29.
01강 제3장 십자가 신학 2021. 10. 25.
계시신학 계시신학! 1.계시의 개념 하나님이 인간들로 하여금 구원을 받고 당신을 섬기도록 하기 위하여 인간들에게 당신 자신을 드러내시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계시가 필요한 까닭은 하나님의 초월적 거룩성과 인간의 영적 무능력 및 불완전한 이성(理性) 때문이다. 만일 하나님이 계시하지 않으신다면, 인간은 그 어떠한 방법으로도 하나님에 관한 진리를 얻을 수 없다. 2. 계시의 분류 계시의 방법에 따라 ‘자연 계시(自然 啓示)’와 ‘초자연 계시(超自然 啓示)’로, 계시의 내용과 목적에 따라 ‘일반 계시(一般 啓示)’와 ‘특별 계시(特別 啓示)’로 각각 분류된다. 그런데 ‘자연 계시(natural revelation)’는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자연과 역사 그리고 인간의 일반적 정신 구조를 통하여 주어지며(시 .. 2021. 10. 21.
신학이란 무엇인가? 신학이란 무엇인가? (전치사를 이용하여 신학을 정의했습니다.) Theology = 신+학문 Study of God : 하나님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 신학이란 하나님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론, 기독론, 성령론이 여기에 속한다. Study about God : 하나님에 관한 연구 신학이란 하나님에 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성경에 나타난 역사, 지리, 문화, 인물 등이 여기에 속한다. Study in God : 하나님 안에 있는 학문 신학이란 하나님 안에 있는 학문이다. 세상이 하나님께 속하였으므로 신학은 이 세상의 모든 학문을 포함한다. Study by God : 하나님에 의한 학문 신학이란 하나님의 의한 학문이다. 하나님께서 영감을 주셔야만 신학을 할 수 있다. Study with God : 하나님.. 2021. 10. 21.
레닌 사망 … 신학생 출신 1917년 11월 러시아혁명으로 정권을 잡은 레닌은 그로부터 4년 반쯤 지난 1922년 5월 25일 뇌졸중으로 쓰러졌다가 곧 회복됐다. 하지만 그해 가을 두 번째 뇌졸중이 일어났고, 이듬해인 1923년 3월 세 번째 쓰러진 후 반신불수가 되어 휠체어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는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약 30㎞ 떨어진 고리키라는 마을에서 요양을 하다 1924년 1월 21일 54세의 나이로 집권 6년3개월 만에 죽었다. 1922년 레닌은 모든 혁명 동지들의 결점을 언급한 일련의 짧은 글을 구술해 자신의 사후 공개하도록 했다. ‘레닌의 유언’으로 알려진 간략한 이 기록에서 레닌은 후계자가 되려는 야심을 품고 있는 지도자로 스탈린과 트로츠키를 지목하고 두 사람 사이의 권력투쟁으로 당이 분열될지 모른다고 .. 2021. 10. 21.
목회자의 탈진 (<목회와 신학> 부록 <그말씀> / 김서택 목사 설교와 설교자 - 김서택 목사의 설교론/ 설교자와 목회자(마지막회) ▶ 김서택 | 대구동부교회 목사 목회자의 탈진과 목회비전 우선 탈진(Burnout)이라는 말은 남을 도와 주는 일을 하던 사람이 좋지 않은 일을 당함으로 해서 마음이 다 상하여 더 이상 그 일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목회자도 인간이기 때 문에 교회 안에서 여러 가지 일로 인하여 너무나도 마음이 상한 나머지 더 이상 목회를 감 당할 수 없을 정도의 탈진에 이를 때가 있다. 이때 그 목회자에게는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것 이며 그 위기를 지혜롭게 잘 극복하지 못하면 목회자의 건강이나 경력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될 것이다. 하루는 어떤 목회자에게 늦은 시간에 한 교인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그 분은 다짜고짜로 자 기 교회 목사에게 평소에 .. 2021.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