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설교〓/설교.자료모음

구약신학 / 박동현교수

by 【고동엽】 2021. 11. 2.
목록가기
 
 

구약 신학이란 무엇인가?

 

9.1.1. 낱말의 뜻

 

'구약 신학'은 구약에 들어 있는 신학, 구약에서 말하는 신학, 구약을 밑바탕으로 하는 신학, 구약에서 찾아낼 수 있는 신학, 구약에서 알려 주는 신학, 구약에서 배우는 신학이란 뜻인가? 우리말 큰사전에서 풀이하듯이 '학문'이 '배워 익힘, 배워 닦은 학식, 체계가 선 지식'를 뜻한다면, '신학'은 하나님에 대해 배워 익히는 것(을 체계잡아 놓은 것),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바를 체계 있게 한데 모아둔 것이고, 구약 신학은 구약 성경을 중심으로 하나님에 대해 배워 익히는 것(을 체계잡아 놓은 것), 구약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바를 체계 있게 한데 모아둔 것이라 하겠는가?

 

9.1.2. 학자들의 정의

 

클라우스 베스터만(Claus Westermann)은 구약 신학을 가리켜 '구약 성경이 전체로서, 또 그 각 부분에서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바를 간추리고 한꺼번에 보는 것'이라 하고, 에드몽 쟈꼽(Edmon Jacob)은 '구약 전체를 통해 발견되고 그것이 구약 전체 사상의 밑바닥에서부터 통일성을 이루고 있는 특별한 종교적 사상들에 관해 조직적인 설명을 하려는 노력'이 구약 신학이라고 한다. 베르너 렘케(Werner Lemke)에 따르면 구약 신학은 '사람 및 세상과 관련하여 구약 성경이 하나님에 대해 이해하는 바를 일관성 있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묘사하려고 하는 주석적이면서 신학적인 학문 분과'("an exgetical and theological discipline which seeks to describe in a coherent and comprehensive manner the Old Testament understanding of God in relationship to humanity and the world)이다.

 

9.2. 구약 신학의 역사

 

9.2.1. 성서학이 독립하기 이전

 

넓은 의미의 구약신학(좁은 의미의 구약신학과 구별하려면 구약학이라 부르는 것이 더 낫다), 더 나아가서 그 상위 분야인 성서신학이 기독교 신학의 역사에서 처음부터 독립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기독 교회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교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필요한 만큼 신구약성경에서 이 구절 저 구절을 이끌어썼을 뿐이지 성경이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바 그 자체를 제대로 알아보려고 하지 않았다.

 

9.2.2. 조직신학에서 독립하는 성서신학

 

17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이러한 흐름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마침내 1787년 요한 필립 가블러(Johann Philipp Gabler)는 자신의 교수 취임 강연에서 조직 신학은 교육적인 성격을, 성서 신학은 역사적인 성격을 띠고, 성서 신학은 성서 기자들이 하나님의 일에 대해 생각한 바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지만, 조직 신학은 신학자가 자기 능력과 특수 상황과 나이와 장소와 종교적이고 지적인 전통 따위를 따라 하나님의 일에 대해 생각한 바를 가르친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그리하여 성서 신학은 먼저 성서의 각 기자들이 각각의 맥락에서 하나님의 일에 대해서 생각하고 확언한 바를 밝혀 내고, 그 다음에 이것들을 일반적이고 영속적인 가치에 비추어 걸러 내고 몇 가지 일반적인 개념으로 만드는 과제를 수행해서 조직 신학의 기초를 마련해 준다고 했다.졓見?臼ⓒ 성서신학이 조직신학에서 떨어져 나오게 된다.

 

9.2.3. 신약신학과 구약신학의 구분

 

십팔구세기 합리주의가 강해지면서 철학 사조에 따라 성경을 종교 발전의 문서로 보기 시작하면서, 구약을 신약보다 덜 중요하게 보는 경향이 생겼다. 이에 대해 보수 계열 학자들의 반격이 있었으나, 아무튼 구약에는 내용상으로 신약과 다른 점이 많다는 사실이 인정되면서 성서 신학이 신약 신학과 구약 신학의 둘로 나누어지게 된다. 최초의 구약 신학책은 1797년에 게오르그 로렌즈 바우어(Georg Lorenz Bauer)가 내놓았다.

 

9.2.4. 종교사 연구 때문에 밀려나는 구약신학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이르기까지 구약 성경을 철저하게 역사적으로 연구하여 구약 주변 세계의 종교와 구약 종교를 비교하면서 이스라엘 종교가 어떻게 생겨나서 어떻게 발전했는가를 밝히려는 흐름이 구약학 연구를 주도했다. 이리하여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가 구약 신학의 자리를 빼앗게 된다.

 

9.2.5. 구약신학의 중흥 시대

 

1930년대 발터 아이히로트(Walther Eichrodt)가 '언약' 개념을 중심으로, 하나님과 백성, 하나님과 세상, 하나님과 사람의 틀에 맞추어 구약 신학을 서술했고, 그 이후 한 이십년 동안 구약 전체를 꿰뚫고 흐르는 구약 신앙의 기본 구조를 중심으로 구약 신학을 서술하려는 경향이 이어지면서 구약 신학은 부흥기를 맞이한다. 1950년대 말에 게르하르트 폰 라트(Gerhard von Rad)는 하나의 개념을 중심으로 구약 신학을 서술하지 않고 구약 안의 여러 전통 안에 표현된 여러 가지 고백적인 내용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서술한다. 이른바 전승사적 구약신학 연구가 그것이다.

 

9.2.6. 최근의 움직임

 

우선 구약 신학을 신약 신학과 연관시켜 하나의 성서 신학을 바라보는 식으로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구약학자 브레바드 챠일즈(Brevard S.Childs)와 독일의 구약학자 하르트무트 게제(Hartmut Gese)가 그 대표적인 학자이다. 챠일즈는 1992년에 낸 '신구약 성서신학'책에서 신약 신학 뿐만 아니라 성서 해석사와 조직 신학의 요소까지 생각하면서 구약 신학을 서술한다.

 

다음으로는 유대교의 성서 연구 전통을 구약 신학 연구에 어떻게 연관시킬 수 있을런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1992년에 라이너 알버츠(Rainer Albertz)가 한편으로는 다양한 전통을 지닌 여러 교회의 일치 연합 운동을 생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대교를 비롯하여 다른 종교 전통과의 대화 문제를 고려하면서, 그전과는 다른 입장에서 이스라엘 종교사로 구약 신학을 대치하려는 뜻에서 쓴 '구약 시대 이스라엘의 종교사'라는 책을 중심으로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9.3. 구약 신학 연구 방법론

 

9.3.1. 역사적 서술적 방법과 조직적(개념적) 규범적 방법의 균형 잡힌 적용

 

구약의 내용을 그냥 역사적으로 밝혀 죽 늘어 놓기만 할 것인가, 아니면 그것이 오늘 기독교 신앙에 지니는 뜻까지 생각해서 적을 것인가? 구약 신학의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초기 개신교 정통주의에는 조직적이며 개념적인 규범성이 너무 강해서 구약 성경의 본 뜻을 흐리게 하는 수가 많았다. 이를테면 구약의 죄론, 구원론, 성령론 등으로 구약 신학책을 썼다. 그 이후 역사 서술적 방법에 치우쳤고, 그 이후 한 동안은 역사적 서술적인 방법에 얽매여서 구약의 내용이 현실에 지니는 의미를 거의 도외시하여 구약을 단순히 옛 문서로 이해하는 잘못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적어도 20세기 중반부터는 양 쪽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 되었다. 그리하여 본디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에 대해서 말하는 바를 바로 알기 위해서는 구약 주석 방법론을 따라 정확히 구약 본문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구약 주변 세계의 종교 문헌과 구약 성경의 차이를 똑똑히 밝히는 일이 전제된다. 다음으로 그것이 기독교 신앙에서 어떤 뜻을 지니는지를 알기 위해서 신약과의 관계를 따져보고, 교회 역사와 현대 사회에서 구약의 기능도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9.3.2. 구약 신학의 중심 개념

 

(1) 구약신학이 해야 할 일은 구약성경이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것을 한데 묶는 일이다.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는 구약 성경을 오실 메시야에 대한 예언이라는 정도로 이해해왔다. 정경을 신약과 구약으로 나누어 보는 입장에서 이는 타당한 견해이나, 달리는 구약의 역사적인 독자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그러니까, 구약 성경이 오실 메시야에 대한 예언이라는 성격을 띠지만 구약 성경 그 자체로 메시야 오시기 이전 하나님이 내리신 계시라는 점을 제대로 말해 주지 못하는 것이다. 곧 구약 성경은 그 나름대로 하나님이 메시야 예수님을 이 땅에 보내시기 전에 이 땅을 대상으로 말씀하시고 활동하신 하나님에 대해 여러 가지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구약의 내용을 반드시 늘 신약과 관련시켜 보아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구약 성경이 구체적인 역사 상황에 따라 하나님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증언하는 바 자체를 그대로 잘 알아보아야 한다. 앞의 것은 그동안 우리 교회에서 많이 해 온 반면, 뒤의 것은 우리가 상당히 소홀히 해 왔기 때문에, 우리는 우선 뒤의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2) 이제 문제는 구약성경이 하나님에 대해 여러가지로 말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한데 묶을 수 있느냐 하는데 있다. 그러니까, 여러가지를 한데 묶는다는 것은 여러가지를 그냥 늘어 놓는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여럿을 묶을 수 있는 어떤 끈 같은 것이 있어야 한다. 이를 더러는 체계, 곧 틀이라고 하고 더러는 알맹이, 곧 중심이라고도 한다.

 

과연 구약 성경이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여러가지 내용을 하나의 틀 안에 집어 넣을 수 있는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아니면 하나의 틀로써 그리한다는 것은 아예 할 수 없는 일인가? 구약의 중심, 구약의 근본 사상은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두고 학자들은 지금까지 서로 다른 의견을 내어 놓고 있다.

 

이를테면 구원, 구속, 야훼를 아는 것(에발트), 하나님의 거룩하심(딜말, 해넬), 하나님의 다스리심(제바스), 하나님의 주권(헬러), 살아계시고 행동하시는 하나님(쟈꼽), 하나님이 명령하시는 주라는 사실(쾰러), 선택하시고 책임지우시는 하나님이신 야훼(프로이스), 약속(W.C.카이저), 언약(아이히로트), "야훼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이스라엘은 야훼의 백성"이라는 언약 문구(스멘트), 시내산 언약과 다윗 언약(프루스너), 하나님 사귐과 하나님 나라(포러), 선택사상(빌트베르거), 거룩하신 하나님과 인간의 사귐(프리젠), 하나님과 인간들의 완전한 종교적 윤리적 사귐(자이어스타드), 하나님과 백성이 구약 신학이 움직이는 두 축이다(포티어스), 하나님의 현존과 은폐(테리엔), 하나님의 계획과 의도(마르텐스), 야훼의 한결같으심 - '나는 야훼라'(짐멀리), 십계명의 제1계명(베르너 슈미트), 신명기(헤르만), <토라>(오토 카이저) 같은 것이다.

 

(3) 폰 라트는 구약 성경의 '중심'을 찾는 것을 반대했다. 구약에는 여러 종류의 서로 다른 계시 행위가 들어 있다고 보고, 마르뗑 아샤르는 구약 성경의 신학적인 자료를 한데 묶는 세 가지 축 또는 지침으로서 송영의 지침, 논쟁의 지침, 구원론의 지침을 든다.

 

(4) 현재로서는 이스라엘의 한 분 하나님을 구약 신학의 중심으로 보는 경향이 커지는데, 천주교 학자로서는 가장 최근[1995]에 구약 신학책을 쓴 요셉 슈라이너의 경우에도 '야훼' 자체를 구약 신학의 중심을 삼고,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훼, 구원을 이루시는 하나님 야훼, 요구하시는 하나님 야훼, 창조주 야훼, 야훼와 개인, 야훼와 사회, 유일신 야훼, 죄와 허물 앞의 야훼, 절기와 축제 가운데의 야훼, 야훼와 미래의 열 장으로 구약 신학을 간추리고 있다.

 

9.3.3.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이미 발터 아이히로트나 프리젠(Th.C.Vriezen)이 시도해 본 바가 있지만 신학을 관계성의 문제로 다루어 보는 것이 무난해 보인다. 그리하여,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 사람끼리의 관계, 하나님과 자연과 사람의 관계, 교회와 세상의 관계라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에 대해서 알려주는 바를 정리해보면 괜찮을 것이다.

 

이 모든 관계의 밑바탕은 하나님이다. 그리하여 한편으로는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에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이 나온다. 하나님을 바로 아는 것은 사람을 바로 아는 것과 이어진다. 깔뱅도 기독교강요 첫머리에서 이에 대해 말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님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에서 사람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이 나온다. 이는 요즈음 크게 문제되고 있는 창조 질서의 보전이나 환경 보호의 문제로 이어진다.

 

실제로는, 정경의 최종 본문에 익숙한 우리 교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창조주 하나님, 선조들의 하나님, 이스라엘의 하나님, 이방 세계도 돌보시는 하나님, 탄원과 감사와 찬송을 받으시는 하나님, 지혜의 하나님의 순서로 하면서, 구약의 다양한 가르침을 각 항목에 맞추어 배열하면 될 것이다.

 

------------------------------------------------------------------------------------ 

 

참고 문헌 목록

 

 

1. 강사문. 구약의 하나님.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1999.

 

2. 강성열. 구약성서와 오늘의 삶(I)(II).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3. 구덕관. 구약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4. 김성규. 구약성서 역사와 전승. 서울: 기독정문사, 1993.

 

5. 김성규 편저. 성서신학의 새 진로. 서울: 기독정문사, 1994.

 

6. 김이곤. 구약성서의 고난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9.

 

7. 김이곤. 구약성서의 신앙과 신학. 서울: 한신대학교 출판부, 1999.

 

8. 김정준. 구약신학의 이해. 서울: 한국신학대학 출판부, 1974.

 

9. 김정준. 이스라엘의 신앙과 신학. 서울: 성문학사, 11967=31976.

 

10. 김정준. 폰 라드의 구약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1973=21978).

 

11. 김중은. 구약의 말씀과 현실. 심천(a¢o¹) 김중은 구약학공부문집. 서울: 한국성서학 연구소, 1996.

 

12. 김철현. 구약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94.

 

13. 김희보. 구약신학논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75=61987.

 

14. 박동현. 예언과 목회[I]-[VI].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젺99

 

15. 박철우. 구약성서의 구조와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4=21996.

 

16 배제민. 새로운 형태의 구약연구.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82.

 

17. 서인석. 오늘의 구약성서 연구 (200주년 성서별책).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1983.

 

18. 원용국. 구약신학(증보). 서울: 세신문화사, 51991(11979).

 

19. 윤영탁. 구약신학과 신앙 (구약신학논문선 1). 서울: 엠마오, 1991.

 

20. 윤영탁 역편. 구약신학 논문집 1-8. 서울: 1-4,6권은 성광문화사, 5,7-8권은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1979-1998.

 

21. 임태수. 구약성서와 민중.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3.

 

22. 장일선. 구약신학의 주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년 개정증보판 (11983).

 

23. 장일선. 구약전승의 맥락.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1983=31992.

 

24. 장일선. 이스라엘 포로기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

 

25. 정규남. 구약신학의 맥. 서울: 두란노, 1996.

 

26. 차준희. 구약성서의 신앙. 병천: 한국신학연구소, 1997.

 

27. 최의원. 구약논문집.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6.

 

28. 최종진. 구약적 이스라엘의 종교 - "씨"신학(Zera' Theology)의 시도 -. 서울: 소망사, 1987.

 

29. Baab, Otto J. The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New York: Abingdon Press, 1949.> 오토 J. 바압 지음. 박대선 옮김. 구약성서신학.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1964=81981.

 

30. Childs, Brevard S. Biblical Theology in Crisis. Philadelphia: Westerminster Press, 1970. > 브레바드 S.차일즈 지음. 박문재 옮김. 성경신학의 위기.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2.

 

31. Childs, Brevard S. Old Testament Theology in a Canonical Context. London: SCM, 1985.> 브레바드 S. 차일즈 지음. 박문재 옮김. 구약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2.

 

28. Clements, Ronald E. Old Testament Theology; a fresh approach. Atlanta: John Knox, 1978. > 로날드 E. 클레멘츠 지음. 김찬국 옮김. 구약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1989=31992.

 

29. Dentan, Robert C. Preface to Old Testament Theology. New York: Seabury Press,1963. > 로버트 덴탄 지음. 박문재 옮김. 구약신학 입문.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2.

 

30. Dyrness, William. Themes in Old Testament Theology. > 윌리암 다이어네스 저. 김지찬 역. 주제별로 본 구약 신학.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4.

 

31. Eichrodt, Walther .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1933-39. > Tr. by Baker, J.A.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Vol I/II. Philadelphia: The Westerminster Press, 1961/67.> 발터 아이히로트 지음. 박문재 옮김. 구약성서신학 I,II.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32. Hanson, Paul D. The Diversity of the Scripture -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 1986. > 폴 D.핸슨 지음. 이재원 옮김. 성서의 갈등 구조 - 신학적 해석.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33. Hasel, G.F. Old Testament Theology. Basic Issues in the Current Debate. Grand Rapids: Eerdmans, 1972, 41991. > G.F.하젤 저. 장상 역. 현대구약신학의 동향.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이군호 역. 현대구약신학의 동향.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1984=101991.

 

34. Kaiser,Walter C. Jr.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 Grand Rapids: Zondevan, 1978. > 월터 카이저 저. 최종진 역. 구약성경신학 서울: 생명의 말씀사,11982= 61990.

 

35. Lehman, Chester K. Biblical Theology.> 체스터 K.레만 지음. 김인환 옮김. 성경 신학 I. 구약.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36. Martens, Elmer.A. God's Design: A Focus on Old Testament Theology. Grand Rapids: Baker, 1981, 21994.> 엘머 A.말텐스 지음. 새로운 구약신학. 하나님의 계획. 서울: 아가페, 1990.

 

37. Muilenburg, James. The Way of Israel; Biblical Faith and Ethic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New York: Harper & Row, 1961. > J.마일렌버그 지음. 김이곤 옮김. 이스라엘의 길 - 성서적 신앙과 윤리 . 서울: 컨콜디아사, 1979.

 

38. Prussner, Frederick C./ Hayes, John H. Old Testment Theology: Its History and Development. Atlanta: John Knox, 1985. > 프레드릭 C.프루스너 /존 H.헤이스 지음. 장일선 옮김. 구약성서신학사 . 서울: 나눔사 1991.

 

39. Ringgren, Helmer. Israelitische Religion. > H.링그렌 지음. 김성애 옮김. 이스라엘의 종교사 (200주년 성서 별책).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1990. 영어번역본: Tr. by Green, David. Israelite Relgion. London: S.P.C.K. 1966.

 

40. Schmidt, W.H. Alttestamentliche Glaube in seiner Geschichte.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41982. > The Faith of Old Testament. A History. Philadelphia: The Westerminster Press, 1983. > W.H.슈미트 지음. 강성열 옮김. 역사로 본 구약신앙 . 서울: 나눔사, 1988.

 

41. von Rad, Gerhard.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Band 1. Die Theologie der geschichtlichen 냕erlieferungen Israels . 1957, 61969.> G.폰 라트 저. 허혁 역. 구약성서신학 제1권 - 이스라엘의 역사적 전승의 신학 - . 왜관: 분도출판사, 1976. 영어번역본: Tr. by Stalker, D.M.G. The Old Testament Theology . Vol.I. The Theology of Israel's Historical Traditions. New York/Evanston/San Francisco/London: Harper & Row, 1962.

 

42. von Rad, Gerhard.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Band 2. Die Theologie der prophetischen 냕erlieferungen Israels. 1957, 61975.> G.폰 라트 箸. 허혁 역. 구약성서신학 제2권 - 이스라엘의 예언적 전승의 신학 - . 왜관: 분도출판사, 11977=21981. 영어번역본: Tr. by Stalker, D.M.G. The Old Testament Theology . Vol.II. The Theology of Israel's Prophetic Traditions. New York/Evanston/San Francisco/London: Harper & Row, 1962.

 

43. von Rad, Gerhard.Weisheit in Israel. 1970. > G.폰 라트 저. 허혁 역. 구약성서신학 제3권 - 이스라엘의 지혜의 신학 -. 왜관: 분도출판사, 1980. 영어번역본: Tr. by Martin, J.D. Wisdom in Israel. London: SCM, 1972.

 

44. G.폰 라드 저. 김정준 역. 폰 라드 논문집.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1978.

 

45. Vos, Geerhardus. Biblical Theology.> 게르할더스 보스 저. 이승구 역. 성경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46. Vriezen, Th.C. An Outline of Old Testament Theology. Oxford: Basil Blackwell, 1954, 21970o > Th.C.프리젠 지음. 노항규 옮김. 구약신학개요.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5.

 

47. Westermann, Claus. Das Alte Testament und Jesus Christus. Stuttgart: Calwer, 1968. > Tr. by Kaste, O. The Old Testament and Jesus Christ. Minneapolis: Augsburg. > 클라우스 베스터만 저. 문희석 역. 구약성서와 예수 그리스도. 서울: 컨콜디아,1976.

 

48. Wright, G.E. God who Acts. 1952. > G.E.라이트 저. 문희석 역. 구약성서신학입문 .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1975(=11974)

 

49. Young, E.J. The Study of Old Testament Theology Today. > 에드워드 J. 영 지음. 김정훈 옮김. 구약신학입문. 서울: 바울, 1994.

 

50. Zimmerli, Walter. Grundri§ der alttestamentlichen Theologie (Theologische Wissenschaft 3,1). Stuttgart/Berlin/K쉕n/Mainz: Kohlhammer, 1972, 51985. > 발터 침멀리 저. 김정준 역. 구약신학 .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1976=111991. 영문번역본: Old Testament Theology in Outline. Atlanta: John Jnox, 1978.

 

51. Albertz, Rainer. Religionsgeschichte Israels in alttestamentlicher Zeit. 2 B둵de (ATD Erg둵zungsreihe 8/1 u. 2). G쉞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2. > Tr.by Bowden, J. A History of Israelite Religion in the Old Testament Period. 2 Vols. London/Lousville, 1994.

 

52. Brueggemann, Walter.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Testimony, Dispute, Advocacy. Augsburg : Fortress Press, 1997

 

53. Childs, Brevard S. Biblical Theolog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Christian Bibl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54. Fohrer, Georg. Geschichte der israelitischen Religion. Berlin: Walter de Gruyter, 1969.> History of Israelite Religion. Nashville: Abingdon, 1973.

 

55. Fohrer, Georg. Theologische Grundstrukturen des Alten Testaments. Berlin: Walter de Gruyter, 1972.

 

56. Graf Reventlow, Henning. Hauptprobleme der alttestamentlichen Theologie im 20. Jahrhundert.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2.> Problems of Old Testament The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London: SCM Press, 1985.

 

57. Graf Reventlow, Henning. Hauptprobleme der Biblischen Theologie im 20. Jahrhundert.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3.> Problems of Biblical The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Philadelphia, 1986.

 

58. Gunneweg, A.H.J. Biblische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Eine Religionsgeschichte Israels in biblisch-theologischer Sicht. Stuttgart/Berlin/K쉕n: Kohlhammer, 1993.

 

59. Jacob,Edmon. Th럒logie de l'Ancien Testament, 1955. > Tr. by Heathcote, Arthur W.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Harper & Row, 1958.

 

60. Janowski, Bernd/ Lohfink, Norbert (hg.). Religionsgeschichte Israels oder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Jahrbuch f웦 Biblische Theologie. Band 10.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1995.

 

61. Kaiser, Otto. Der Gott des Alten Testaments. Theologie des AT 1: Grundlegung (UTB 1747). G쉞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3.

 

62. Lemke, Werner E. "Theology(Old Testament)", ABD VI(1992) 448-473.

 

63. McKenzie, J.L. A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Garden City, 1974.

 

64. Ollenburger, C.Ben/Martens, Elmer A./Hasel, Gerhard F. The Flowering of Old Testament Theology.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1992.

 

65. Preu? Horst Dietrich.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 Band I/II. Stuttgart, Berlin, K쉕n: Verlag W.Kohlhammer, 1991/1992.

 

66. Rendtorff, Rolf.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Ein kanonischer Entwurf. Band 1: Kanonische Grundlegung.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1998.

 

67. Schreiner, Josef.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Neue Echter Bibel Erg둵zungsband 1). W웦zburg: Echter Verlag, 1995.

 

68. Terrien, Samuel. The Elusive Presence: toward a new Biblical Theology. San Francisco: Harper & Low, 1978.

 

69. Westermann, Claus.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in Grundz웗en (ATDErg.reihe 6). G쉞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78. > Elements of OT Theology. Atlanta: John Knox, 1982.

 

 

출처 : 박동현의 이야기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