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십일(21)세기 목회자상, 김정우 교수(구약신학) 김정우 교수(구약신학) 구약성경의 관점에서 본 목회자상 [총신논단] 내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은 후, 처음 나가던 교회의 목사님은 새벽마다 울부짖는 듯한 기도 를 하곤 하셨다. 나도 처음 믿을 때 많은 눈물을 흘렸지만, 목사님께서 새벽마다 울부짖는 듯한 기도를 하시는 모습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나는 어느 선교단체를 통하여 기독교신앙을 갖게 되었고, 그곳에서 나는 를 효과적으로 전하는 법과, 성령충만함을 받는 비결 을 여러 번 반복하여 학습하였으며, 기독교인의 삶은 기쁨과 확신이 넘치는 삶이라는 오리 엔테이션을 받았기 때문에, 새벽마다 징징우는 듯한 목사님의 모습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 리고 그 때 (1970년대초)에는 웟치만 니의 책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었으며, 우리의 자 아가 깨어지면, 성령의 은.. 2021. 10. 19.
목회신학의 필요성 / 김청수 목사 목회신학의 필요성 (1) 오늘의 현실 : 오늘의 목회현장은 그릇된 목회사상인 실용주의 목회철학과 세속적 목회경영 이라는 두 영향력이 침투되어있다. 그 결과 목회자들이 목회 최우선 목표를 성도들의 변화된 삶보다는 교인들의 양적성장과 교회의 윤리성보다는 헌금과 외형적인 교회유지에 두게된다. (2)잘못된 원리 :그 결과 신학적 검증없는 마케팅 경영원리나 시장지향적 사역에 열중하게 된다. 성경에는 “목회 성공”이란 말은 성경에 없다. 목회철학이 세속적인 성공의 기준에 깊이 물들어 있는 것은 목회자들에게 목회신학이 없기 때문이다. (3) 목회사역의 기준 : 목회사역의 기준은 일반적 행동규칙이나 도덕· 윤리로부터 연유되어서는 안되며, 목회신학과 믿음이 그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회 신학이 목회 방법론으로 대체되어서.. 2021. 10. 19.
찰스 스펄전의 목회비전` 보도(목회와신학, 그말씀) 송삼용 목사와 찰스 스펄젼의 목회비전 교회의 빈자리들을 지키면서 남몰래 눈물 흘리며 기도하던 한 경건한 노부인이 있었다. 그녀의 교회는 비국교도의 교회 중에서는 런던에서 가장 큰 교회라는 이름은 가지고 있었지만 모이는 교인은 불과 80명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영적 활기를 잃어버린 상태였다. 높은 학실과 명성을 지닌 설교자들이 스쳐 지나갔으나 교회는 점점 더 생기를 잃어버릴 뿐이었다. 그 날 역시 기대감은 없었다. 시골에서 올라온 십대의 소년이 설교를 하게 되었다니 교회의 빈자리들은 더욱 썰렁할 것이었다. 그러나 예배를 마치고 돌아온 그녀는 확신 가운데 말할 수 있었다. '그는 할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말은 옳았다. 스펼전의 첫 목양지는 불과 40여명이 모이던 교회였고 그때 스펄전의 나이는 17세였다.. 2021. 10. 19.
칼빈주의 관점에서 본, 칼 바르트 신학의 功過 한국개혁신학회(회장 김영선 박사)와 한국칼바르트학회(회장 김명용 박사)가 21일 서울 새문안교회(담임 이수영 목사)에서 ‘오늘의 위기와 교회의 개혁’을 주제로 공동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특히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장, 숭실대 명예교수)가 ‘바르트 신학의 공헌과 문제점-칼빈주의적 관점에서’를 제목으로 발표, 눈길을 끌었다. 김 박사는 “바르트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되돌아가는 종교개혁 전통을 붙들면서도, 정통주의가 지녔던 교리적 경직성에 비판적 태도를 취하면서 ‘신정통주의’의 길을 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르트는 한국 보수교회에서는 자유주의자로 평가절하되고 있다. 이는 바르트에 대한 올바른 평가라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자유주의 격파하고 하나님 말씀으로 되돌아가” 한국개혁신학회(회장 .. 2021. 10. 14.
바르멘 선언 제1항과의 관련성 속에서 본-자연신학의 문제 바르멘 선언 제1항과의 관련성 속에서 자연신학의 문제 정 미현(이대 교수) 1. 들어가는 말 자연신학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것이 별, 달, 해, 나무, 흙 등과 같은 자연에 대한 신학일 것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된다. 그러한 추측은 그야말로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것은 그 용어 자체가 개념상 혼돈을 일으키기가 그만큼 쉽다는 뜻일 것이다. 이 글에서 의도하는 바는 오늘날 우리의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생태학적 신학, 환경을 염두에 두는 신학이라는 뜻에서 자연의 신학(Theologia naturae)이 자연신학(Theologia naturalis) 그 자체와는 구분되어져야 함을 밝히고자 하며, 자연신학의 신학적 문제를 성찰해 보는 것이다. 특히 자연신학문제에 대하여 1930년.. 2021. 10. 14.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R. 그루노브 엮음, 이신건/오성현/이길용/정용섭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09년 이신건 죽은 신학자의 교회 몇 해 동안 네 명의 번역자들이 함께 끙끙대며 번역해 온『칼 바르트의 신학묵상』이 드디어 세상 빛을 보게 되었다. 벅찬 감격을 뒤로 미룬 채, 서둘러 이 책에 관한 서평을 쓰려고 마음을 먹으니, 생뚱맞게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가 문득 떠오른다. 이 영화에서는 젊은 학생이 자살을 통해 애석하게도 일찍 죽는다. "바르트"는 천수(天壽)를 누린 후에 늙은 나이에 죽었다. 이 둘이 대관절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는 고등학교에 새로 부임한 선생이 새로운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지만, 결국 부모의 반대에 부딪친 학생의 자살로 인해 그의 수업 방식은 실패하.. 2021. 10. 14.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 한종희 목사 1. 바르트는 누구인가? 칼 바르트(1886-1968)는 스위스 바젤 태생이고, 바젤에서 생을 마감했다. 목사요 신학교 교수였던 아버지는 보수신앙을 바르트에게 심어주려고 노력했지만, 바르트는 아버지의 뜻을 따르지 않았고, 1908년 22살 때에, 말북 대학교에서 자유주의 신학자 헤르만의 제자가 되었다. 헤르만은 자유주의 신학자 니출의 제자였고, 당대에 대표적인 교의학 교수였다. 바르트는 1909년 23세에 쥬네부 개혁파 교회 목사가 되었고, 쉬라이엘마허의 책을 읽었다. 스위스 자펜빌에서 목회하면서(25-35세, 1911-21), 이웃에서 목회하던 친구 투르나이젠과 300여통의 편지로 교제하였다. 여기서 바르트는 교인인 노동자들 편에 서서 노동자조합을 조직하여 임금인상 운동을 폈으며, 스트라이.. 2021. 10. 13.
칼 바르트의 신학엔 ‘자존하신 하나님’이 없는가? 서철원·오영석·소강석·이형기 박사, ‘현대신학’ 주제로 토론 김진영 기자 '현대신학에 하나님이 있는가?'라는 주제로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신학자와 목회자, 기독교와 천주교, 그리고 진보와 보수가 마주 앉아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의 좌장은 박종화 목사(경동교회 원로)가, 발제는 서철원 박사(전 총신대 신학대학원장)가, 논찬은 오영석(전 한신대 총장)·이형기(장신대 명예교수) 박사·소강석 목사(새에덴교회)·함세웅 신부(전 가톨릭대 교수)가 각각 맡았다. ▲‘현대신학에 하나님이 있는가?’라는 주제로 대토론회가 진행됐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소강석·함세웅·박종화·서철원·이형기·오영석 박사 ⓒ김진영 기자 "삼위일체 부정, 자존하신 하나님도 없애" 먼저 '현대신학에는 하나님이 없다'.. 2021. 10. 13.
K. Barth [말씀과 신학. 칼 바르트 논문집 1] 신학에서의 숙명과 이념 _발제 바르트의 기독론적 신학의 변증법 - 신학에 있어서의 숙명과 이념- 들어가면서 바르트는 본 논문의 도입부에서 신학의 역설적 구조를 설명한다. 그리고 본론에서 철학적 신학의 위험성을 경고한다(I, II에서). 마지막으로 그는 III장에서 신학적 변증법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밝힌다. 아래 발제문에서는 우선 바르트의 신학의 구도를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입부를 따로 떼어서 기술하고, 그리고 나서 철학적 신학의 위험성을 경고한 그의 설명을 살펴볼 것이다. 신학의 역설적 구조: 신학의 대상일 수 없는 그러나 대상이신 하나님 바르트에 의하면 신학은 학문이다: “신학은 교회적 선포의 대상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일어난 진리에 대하여 내용적으로 정리해 놓은 연구다”(251). 그러나 그와 동시에 신학은 한계를 갖고.. 2021. 10. 12.
삼위일체와 현대신학의 과제 삼위일체와 현대신학의 과제 황돈형 삼위일체는 몰트만(Moltmann)이 강조한 대로 기독교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은 삼위일체가 예수 그리스도안에 이 세계를 향해 이루어진 하나님의 자기계시로서 단지 기독교와 타종교와의 차이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이와 함께 중요한 것은 삼위일체야말로 기독교의 정체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또한 이 세상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향해 개방시키고 연관을 맺게 만드는 가장 실재적인 사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논자는 이를 위해 먼저 비튜겐슈타인(L. Wittgenstein)을 통해서 현재의 신학이 당면하고 있는 새로운 인식의 패러다임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하여 삼위일체가 갖는 신학적 인식의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고자 한다. 1. 비.. 2021. 10. 7.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 김경재(한신대, 조직신학) 1. 들어가는 말: 신학과 교회현장사이의 괴리 극복과제 21세기가 동튼지도 어언 두해가 지난 즈음, 한국 교계와 신학계는 한국 개신교의 자기성찰과 성숙을 위한 모색에 들어가 일종의 숨고르기 상태 또는 위기돌파를 위한 모색기에 있다고 본다. 사실 그동안 한국 개신교의 문제점중 치명적 약점 하나는 “신학 따로, 교회운동 따로”라는 분리현상이었다. 마땅히 모든 신학은 교회를 비판적으로 자기 성찰하는 교회의 학문적 노작이어야 하며, 신학자와 목회자는 상호 긴밀한 과계속에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매우 유감스럽게도 신학자들은 교회현장을 깊이 이해하거나 고려하지 못한체 새로운 신학 사조나 자기의 전문적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교회현장 목회자들로부터 외.. 2021. 10. 7.
[예수 부활신앙 세미나] 1강 서론: 신학적 공리로서의 예수의 부활(김재진교수) 2021. 10. 6.
신학자 밴틸(존 프레임) * 이 글은 John Frame의 Van Til the Theologian을 본 블로그지기 장양우가 번역한 것입니다. 번역서의 일부에 포함되어 출판될 수도 있으니,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혼돈을 위해 다른 사이트의 게재하더라도 번역자를 꼭 밝혀주세요. 신학자 밴틸 저자: 존 프레임(John M. Frame) 번역자: 장양우 차례 I. 체계론 II. 반체계론 III. 유비적 추론 1. 유비와 하나님 2. 유비와 계시 (가)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상관성 (나) 성경의 우위성 (다) 유비와 논리 맺는 말 1961년 코넬리우스 밴틸은 브레머(R. H. Bremmer)의 저서『신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als Dogmaticus)1)를 서평했다. 나는 최근 밴틸의 모든 저서를 숙독하면서 우.. 2018. 1. 8.
안소니 후크마의 신학적 기여2 목록가기 후크마 교수의 신학적 기여와 특성(2) 이 승 구 박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후크마는 이렇게 주해에 근거해 작업하므로써 선배 신학자들의 견해를 잘 비판하고 수정하며 보다 성경적인 견해에로 이끌어 간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그의 논의는 아주 조심스럽고 다양한 논의의 가능성을 다 제시하면서 부드럽게 논의해 나가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적그리스도의 미래 실존성에 대한 베르까우어의 견해에 대한 비판이다. 베르까우어는 이렇게 말했었다: "신약에 묘사된 적그리스도가 역사의 종국에 있을 한 개인(a person)이라는 것을 신약에 근거해서 확실하게 주장할 이유가 없다." 이에 대해서 후크마는 유연하고도 간접적으로 이런 베르까우어의 입장보다는 최종적 적그리스도의 출현을 "막는 자"가 .. 2017. 12. 12.
제 1 장 서론: 성경 신학의 본질과 방법론 제 1 장 서론: 성경 신학의 본질과 방법론 신학이란? 1. 어원적 정의: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2. 종교학적 정의 1) 종교를 주관적으로 이해하여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종교적 현상과 경험들의 총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취하면, 신학은 이미 사람의 정신적인 삶을 다루는 인류학 분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될 것이다. 2) 종교를 객관적으로 이해하여, 하나님이 제시하였기 때문에 사람으로서 반드시 따라야할 정상적인 의무를 뜻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 하나님이 어째서 다른 종교가 아닌 바로 이 종교를 요구하시느냐 하는 것이 의문이 들 것이고, 이 의문에 대답은 오로지 하나님의 본성과 뜻에서만 찾을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하나님을 다루게 되어 있는 것이다. 3. 신학을 하나님에 간한 학문으로 정의해 놓고 보.. 2014. 10. 25.
성경신학 <게할더스 보스> 성경신학 구약성경 제1부 모세시대의 계시 제1장 서론: 성경신학의 본질과 방법론 신학이란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신학을 하나님에 관한 학문으로 정의해 놓고 보면 신학이 계시에 근거할 수밖에 없다는 필연성이 뒤따르게 된다. 신학의 네 가지 분과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이다. 우리가 현제 지닌 목적을 위해서 관심을 두어야 할 점은 주경 신학이 네 가지 중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그 이유는 모든 신학의 시초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주경신학을 성경주해만으로 한정시키면 안된다. 넓은 의미의 주경신학 (1) 성경의 실질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 (2)저자,저작연대와 배경,가능한 전거등, 성경 각 권들의 기원에 대한 연구, 이를 가리켜 서론이라 부르는데, 이를 주해의 과정을 한걸음 더 시.. 2014. 10. 22.
개혁파 성경신학 선구자 게르할더스 보스의 신학과 우리 한국성경신학회, 제37회 정기논문발표회 개최 한국성경신학회(회장 김성봉 박사) 제37회 정기논문발표회가 '게르할더스 보스와 우리들의 신학'을 주제로 열려, 4명의 학자들이 발표했다. 20세기 네덜란드 신학자 게르할더스 보스(Geerhardus Johannes Vos, 1862-1949)는 1893-1932년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을 가르쳤으며, 독일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뤄지던 역사비평의 성과에 귀를 기울이면서도 예부터 내려온 정통 신앙을 충실히 따르며 성경을 성실히 주해하는 '성경신학자'였다. 대표작으로 과 이 있다. 먼저 장세훈 박사(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는 '창세기 3장 15절의 '제라(씨·후손)'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게르할더스 보스의 관점을 중심으로'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 2014. 10. 10.
메이천 정통주의 신학자 "기독교와 자유주의"는 꼭 읽어보아야 됩니다. 과거에 조동진 목사님이 번역하셨는데, 최근에 다시 김길성 교수님이 크리스챤서적에서 번역했습니다. 저는 메이천을 근세로 기독교 정통주의 신학자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프린스턴의 구프린스턴의 마지막을 결정한 신학자입니다. 메이천이 나간 후 프린스턴은 좌경화되어 정통 기독교를 추구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메이천은 프린스턴과 결별하고 웨스트민스터신학교를 설립하고, OPC(정통장로교회)를 세워 명확한 개혁신앙을 추구했습니다. 그가 확신에 찬 주장은 "자유주의는 기독교가 아니다."입니다. 그 이유는 "기독교와 자유주의"에서 기술하고 있습니다. 서철원 교수님은 고등학교 때에 이 책을 읽고 기독교에 대해서 정체성을 세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합동과 통합이 분리될 때에 순천의 매.. 2014. 10. 7.
세계적인 학자 메이천 박사의 신학과 사상 조명 세계적인 학자 메이천 박사의 신학과 사상 조명 메이천 박사(1881-1937)의 전기가 총신대학교 명예교수인 홍치모 교수에 의해 「메이천의 생애와 사상」이라는 책으로 번역, 출간된 것은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신학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서 메이천 박사의 신학과 사상을 강의해 오면서 우리말로 된 책이 부족하다고 느끼던 터에 금번에 출판된「메이천의 생애와 사상」은 한국에서 메이천 연구에 크게 공헌할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본서는 "역자서문"에서 밝힌 대로 한국교회가 메이천을 근본주의자로 매도하는 풍조에 대하여 메이천의 신학과 사상에 대한 재조명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역자인 홍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메이첸 교수에 대해서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인상은 일반적으로 나쁜 편이다. 한국교회는 그를 가리켜 .. 2014. 10. 3.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의 신학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의 신학 손석태 (철학박사, 개신대학원대학교 총장) 1. WTS의 개교 역사 미국의 신학 교육은 18세기까지 특별한 제도나 학교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어느 목사라도 자기의 학생을 자기가 데리고 지도하고 훈련할 수 있었다. 물론 이 경우 일반적으로 인정된 교과과정도 없었다. 그러던 중 1812년 뉴저지의 프리스톤에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 의하여 Theological Seminary of Presbyterian Church 가 공식적인 신학교로 처음 설립되었다. 이 신학교는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와 Catechism을 그들의 교리와 신.. 2014. 9. 15.
바른신학 탐구 요1:1-3 [요 1:1-요 1:3] (1)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2)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3)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3:16 [요 3:16-요 3:16] (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10:30 [요 10:30-요 10:30] (30)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하신대 20세기에는 실존주의철학으로 신학을 한다 근본교리인 3위일체와 기독론을 부인하고 심지어는 이제는 하나님이 없는 기독교가 되었다 자유주의로 가다보니까 교회가 많이 피폐되었다 로마교회는 교황이 정한대로 따라간다 기독.. 2013. 8. 10.
루터- 신학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루터의 신학 원종천 교수  루터 당시의 신학과 현 시대의 신학과의 차이와 그 이유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루터 글 자체를 읽어야 한다. 1차 자료가 중요하다... 기본 교재 : 루터 저작선 강의 방법 : 강의, 발표, 평가 지정 도서 : 루터 전(영문)선집(국문), 저작선, 2차 자료 성적 평가 : 루터 저작선의 한 부분을 가지고 연구, 씨름, 발표            중간고사, 기말고사(오픈 북) 강의 : 3-4주 강의, 발표, 평가 과제물 : 매주 읽은 분량(발표 분량)을 읽어와야 한다.(for 토론)         추가 과제물: 한 주제에 대해 한 페이지 내용으로 적어와야 한다. 주제: 사도신경, 주기도문 - 요리문답에 관한 설교들 1528(루터저작선.. 2011. 2. 8.
프랜시스 쉐퍼-개혁적 복음주의 신학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제2절 개혁적 복음주의 신학 (신동식)쉐퍼가 말하고 있는 복음주의적이라는 말은 20,30년대에 영국에서 사용한 말로서 메이첸과 그의 다른 동지들이 미합중국에서 뜻했던 바 그것, 즉, 여러 형태와 정도를 지닌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하는 “성경을 믿는 기독교”를 뜻했다.1940년대 중엽에 이르러서는 복음주의라는 말이 미합중국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특히 여기서의 복음주의라는 말은 성경을 믿되 스스로를 삶의 전체 영역으로부터 단절시킴이 없이 하고, 기독교를 사회, 정치, 문화의 현실적 필요성에 효과적으로 접촉하게 하도록 시도 한다는 함축성과 더불어 쓰였다. 또한 이 말은 구세주이신 그리스도께서 사람들을 인도하되 아울러 그 문화 안에서 소금과 빛이 되도록 한다는.. 2011. 1. 12.
프란시스 쉐퍼- 신학적 뿌리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프란시스 쉐퍼의 신학적 뿌리[2]-삶| 프란시스 쉐퍼 삶과 사상 Ⅱ. 프란시스 쉐퍼의 삶을 통한 사상적 흐름 프란시스 쉐퍼의 삶의 여정 속에 들어난 그의 사상적 흐름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그가 복음주의 교회의 지도자로서 어떻게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왔는지는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자세한 그의 생애를 살펴보지는 않겠지만 그의 사상에 특별하게 영향을 주었던 사건을 중심으로 삶의 연대기적 변화를 살펴보려고 한다. 1] 그의 어린 시절 1912년에 태어난 쉐퍼는 여타의 지도자들과는 다르게 불신 가정에서 태어 났다. 현대적 포스트 모더니즘의 창을 열었다고 한 니체가 2대에 걸친 목사집안에 태어났으나 철저한 무신론자로서 생을 마친것과 매우 비교되는 현상이라 할.. 2011. 1. 10.
찰스 핫지(Charles Hodge)의 신학학문론을 중심으로 본 프린스톤 신학과 스코틀랜드 상식철학 간의 상호 연계성에 대한 고찰 찰스 핫지(Charles Hodge)의 신학학문론을 중심으로 본 프린스톤 신학과 스코틀랜드 상식철학 간의 상호 연계성에 대한 고찰 차 례 서 론 ---------------------------------------------------------------------- 1 본 론 ---------------------------------------------------------------------- 2 1. 신학의 학문성 ------------------------------------------------------------- 2 2. 찰스 핫지의 신학 학문론 ---------------------------------------------------- 4 3. 프린스톤 신학과 스코틀랜드 상식.. 2009. 4. 28.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 .12.27- 1878.06.19)| 介紹神學者,哲學者(철학과 신학) 찰스・핫지(Chares Hodge : 1797~1878) 1.찰스・핫지의 신학 찰스・핫지는 프린스톤 신학교의 조직신학교수로 반세기이상을 근무했다. (1822~1878)그는 누구보다도 American presbyterianism(미국 장로교 신학과 교리)에 있어서 그것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여한 신학자이다. 그가 프린스톤 신학교 재학시절에 알지볼트・알렉산더(Archibald Alexander)에게서 신학을 교수 받았을 뿐만 아니라 친히 사숙(私宿)까지 한 바가 있었다. 그리고 프린스톤 졸업 후 독일로 유학을 가서 3명의 저명한 교수의 지도를 받고, 연구를 마친 후 귀국하였다.(3명의 저명한 교수:Tholock, Hengstenberg, Nesnder) 그는 귀국 후 즉시 프린스톤 신학교에서 교수직에 임명받.. 2009. 4. 27.
찰스 핫지의 신학과 성화론 찰스 핫지(Chares Hodge : 1979~1878) 1.찰스・핫지의 신학 찰스・핫지는 프린스톤 신학교의 조직신학교수로 반세기이상을 근무했다. (1822~1878)그는 누구보다도 American presbyterianism(미국 장로교 신학과 교리)에 있어서 그것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여한 신학자이다. 그가 프린스톤 신학교 재학시절에 알지볼트・알렉산더(Archibald Alexander)에게서 신학을 교수 받았을 뿐만 아니라 친히 사숙(私宿)까지 한 바가 있었다. 그리고 프린스톤 졸업 후 독일로 유학을 가서 3명의 저명한 교수의 지도를 받고, 연구를 마친 후 귀국하였다.(3명의 저명한 교수:Tholock, Hengstenberg, Nesnder) 그는 귀국 후 즉시 프린스톤 신학교에서 교수직에 임명받.. 2009. 4. 26.
쯔빙글리(Ulrich Zwingli, 1484-1531)의 생애와 신학사상 쯔빙글리(Ulrich Zwingli, 1484-1531)의 생애와 신학사상 / 홍미영 A. 서 론B. 시대적 상황1. 스위스의 정치적 조건 2. 스위스의 종교개혁적 상황C. 쯔빙글리의 생애와 사역1. 쯔빙글리의 성장과 교육2.글라루스(1506-1516 )와 아인지델른(Einsiedeln: 1516-1518)의 쯔빙글리3. 취리히에서의 쯔빙글리D. 쯔빙글리와 그의 신학1. 쯔빙글리와 루터의 대조2. 쯔빙글리의 신학사상1) 신학의 원천과 과제로서의 성서2) 섭리와 예정3) 교회와 국가4) 성례전E. 루터와 쯔빙글리의 성만찬 논쟁F. 결 론참고문헌A. 서론칼빈과 더불어 개혁파 교회(Reformed Church)의 창설자인 쯔빙글리는 성서와 고전교부들, 그리고 스위스의 애국적인문주의에 그 사상적 바탕을 두고 있.. 2009. 3. 31.
어거스틴 -역사신학 聖 어거스틴의 歷史神學에 대한 硏究 강 근 환 서 론 키이스(G. L. Keyes)가 말한 것처럼 모든 실제적인 역사가들은 항상 어떤 분명한 인식론적 원리들에 입각해 일하며 그들이 인식하고 있건 아니건 간에 역사철학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어떤 한 역사가의 역사해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필히 그의 방법론에 관한 원리들을 탐구해야 한다. 성 어거스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성 어거스틴은 특히 그의 명작이며 22권으로 된 {하나님의 도성}(The City of God)을 통해 역사해석을 시도하였다. 실제로 성 어거스틴은 인간의 全歷史를 시작부터 종국까지 하나님의 도성(Civitas Dei)과 지상의 도성 Civitas Terenna)이라는 두 도성의 발전을 통해 다루고 있다. 그러면 성 어거.. 2009. 1. 10.
로이드 죤스-칼 바르트는 신학자가 아니라 철학자 . 칼 바르트는 신학자가 아니라 철학자 / 로이드존스 칼 바르트의 허망한 사색을 따라가다가는 오직 멸망일 뿐이다. 그는 기독교를 파괴하고, 하나님의 택하신 영혼을 꾀어내기 위한 사단의 도구이다. 그런데 수많은 목회자, 신학자, 교단과 교회가 그의 허울 좋은 말놀음에 속고 있다. 그럴듯한 미사여구로 꾸며놓은 한 위장 신학자의 말에 이리저리 휘둘리고 정신차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꾀나 유식하게 보이거나 좋아 보였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길은 필경 사망의 길이다! 다만 불쌍한 것은 아무 것도 모르고 그 목회자들을 따르는 양들이다. 어리석은 거짓 선생에 속지 말고, 깨어서 바른 진리를 따라가자! 정통 기독교 2천년사는 바르트와 같은 거짓 궤변을 따른 적이 없다! 성경은 정확무오하며, 영감된 하나님의 말씀.. 2008.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