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년 전쟁 1618년 5월 23일 - 1648년 5월 15일유럽, 주로 독일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인한 평화. 프로테스탄트의 종교 인정 합스부르크 패권의 추락 유럽에서 스페인 제국 쇠퇴 네덜란드 공화국, 구 스위스 연방의 독립 인정 스웨덴 제국, 영국, 프랑스의 성장 봉건 제도의 쇠퇴[4] 신성 로마 제국의 지방 분권화 프랑스-스페인 전쟁이 1659년까지 지속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 및 세력 쇠퇴 독일 인구의 3분의 1에서 3분의 2 사망 독일 연방 제후국 파괴 30년 전쟁(三十年 戰爭, 독일어: Dreißigjähriger Krieg)은 유럽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를 지지하는 국가들과 개신교를 지지하는 국가들 사이에서 벌어진 종교 전쟁이다. 유럽 뿐만 아니라 인류의 전쟁사에서 가장 잔혹하고 사망자가 많은 전쟁 중 하나였으.. 2021. 11. 18.
승리" 그 진정한 의미 (요한복음 16:25-33) 승리" 그 진정한 의미 (요한복음 16:25-33) 예수님의 생애는 영적 전투에 삶이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영적 전투는 예수님의 승리로 일관됨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예수님의 영적 전투 중에 가장 치열했던 전투현장은 십자가를 지시기 바로 직전에 예수님이 잡히셨던 밤이었다고 보여집니다. 또 하나는 예수님이 사역을 시작하시기 전에 40일을 금식하시고, 사단에게 시험받으셨던 그 현장이었다고 봅니다. 예수님이 잡히시던 그 날밤에 로마의 군사와 그리고 제사장 측근의 사람들과 가장 믿었던 가룟 유다가 예수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캄캄한 밤에 횃불을 밝히고 완전 군장을 한 그야말로 창칼을 든 군사가 예수님을 점점 더 가까이 포위해 왔습니다. 이 때, 성격이 매우 급한 베드로가 칼을 빼들었습니다... 2021. 11. 18.
콘스탄틴 대제와 로마제국교회 -송광택 교수 송광택 교수 들어가는 말 주후 4세기부터 중요한 변화가 서방교회와 정치구조 가운데 발생하였다. 제 4세기에 콘스탄틴의 종교정책에의해 소수파였던 기독교가 4세기말에 로마제국의 종교가 되었다. 또한 교회와 로마제국 그리고 이방종교 사이의 관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었다. 교회사가 곤잘레스의 표현대로, 제4세기는 “교회사에서 새로운 전기를 여는 시작” 1) 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종교적 관용을 베푼 ‘밀란의 칙령'(the Edict of Milan) 2) 을 출발점으로 하여 제4세기의 변화는 점진적으로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콘스탄틴을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로마 제국 최초의 기독교 황제”(Christian emperor) 3) 로 환호하며 맞이하였다. 그리고 콘스탄틴 대제.. 2021. 11. 17.
마리아를 중보자로 믿는 로마가톨릭교회 / 최덕성 교수 마리아를 중보자로 믿는 로마가톨릭교회 / 최덕성 교수 황금 마리아상 (자그레브대교회당) 마리아를 중보자로 믿는 로마가톨릭교회 [특별기고] 교황 프란치스코께 묻는다 ③ 마리아 숭배 크리스천투데이, 2014.08.09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74158 ▲최덕성 교수. ⓒ크리스천투데이 DB 로마가톨릭교회는 마리아를 구원의 중보자로 믿는다. 로마가톨릭교회 신자들에게는 현실적으로 은총을 받는 두 길이 존재한다. 예수와 마리아이다. 마리아는 예수 그리스도에 버금가는 지위에 올라 있다. ‘성사위일체(聖四位一體)’라 불릴 정도이다. 마리아는 신앙과 숭배의 대상으로 자리잡았다. 로마가톨릭교회는 마리아가 평생 동정녀로 살았고 원죄가 없으며, 자범죄도 범하지 않았고,.. 2021. 11. 17.
예수 없이도 구원받는다'는 로마가톨릭교회 / 최덕성 교수68 '예수 없이도 구원받는다'는 로마가톨릭교회 / 최덕성 교수 바티칸 광장 '예수 없이도 구원받는다'는 로마가톨릭교회 [특별기고] 교황 프란치스코께 묻는다 ② 만인보편구원주의 크리스천투데이, 2014.08.04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74063 ▲최덕성 교수. ⓒ크리스천투데이 DB 로마가톨릭교회의 구원론은 '예수 없이도 구원을 받는다'는 결론에 이른다. 예수를 믿지 않는 유태인과 무슬림도 구원받고, 미지의 신을 찾는 사람들, 양심에 따라 사는 사람들, 바르게 살려고 노력하는 자들은 모두 하나님의 구원을 받는다고 한다. 로마는 ‘만인보편구원주의’를 표방한다. 로마가톨릭교회와 역사적 개신교회의 으뜸가는 차이는 구원론이다. 로마가톨릭교회는 행위구원 교리로 .. 2021. 11. 17.
로마 카톨릭에 구원이 있는가? /라은성교수 로마 카톨릭에 구원이 있는가? /라은성교수(총신 82회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역사신학) 대부분의 사람들은 “로마 카톨릭에 구원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거나 질문해 보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로마 카톨릭들이 말하는 칭의론을 보게 된다. 이 질문은 곧 로마 카톨릭이 참된 복음을, 즉 구원의 복음을 전하고 있는지 또 고수하고 있는지에 초점이 모여진다. 복음들의 복음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된다”는 말씀일 것으로 보면, 그들이 가진 칭의론을 자연스럽게 살피게 된다. 또 역사적으로 볼 때, 로마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에 가장 두드러진 상이점들 중 하나가 칭의론에 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이 일어난 지 25년 동안 종교개혁자들의 외침에 관해 직접적으로 어떠한 대책을 마련.. 2021. 11. 17.
로마 교황의 통치와 그 본색(로마교단의 실체) /김장진 교수 로마 교황의 통치와 그 본색 목 차 - 시작하면서 - I. 로마 카톨릭 교회 및 교황의 명칭 이해 Ⅱ. 로마 카톨릭 교회의 기원과 본질 Ⅲ. 로마 교황의 통치 Ⅳ. 로마 교황의 본색 - 맺는 말 - 김장진 (고려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시작하면서- 기독교의 범주에는 참 기독교(Biblical Christinity), 유사 기독교(Pseudo Christianity) 및 기독교적 이단(Heresies)이 포함된다. 기독교는 팔레스타인으로부터 로마를 거쳐 전 세계에 편만한 세계적 종교이며, 수 천년동안 생명을 가지고 있는 전 세기적인 역사 종교이다. 종교개혁 이후 기독교는 ① 로마 카톨릭 교회(The Roman Catholic Church) ② 헬라 정 교회(The Orthodox Eastern Church.. 2021. 11. 17.
기독교와 천주교의 차이 차례 서론 1. 성경관의 차이 2. 교회관의 차이 3. 교황 무오론 4. 구원관의 차이 * 기독교와 천주교의 주요 교리 요약 비교 서론 원래, '교회(헬라어, 에클레시아)'라는 말은, (죄악세상으로부터) '불러냄을 받은 자들의 모임'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마 16:18, 행 5:11). 교회는 유일한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우주적이고 보편적인(catholic) 그리스도의 몸(엡 4:1-6)입니다. 곧 머리가 하나이기 때문에 신앙고백이 같은 이 땅의 모든 지역교회들은 그 지역적 특성을 초월하여 '한몸'인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교회공동체들은 '보편적인 교회(catholic church)'입니다. 원래 '카톨릭'이란 말은 바로 이 우주적 교회의 보편적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2021. 11. 17.
적그리스도에 관하여(윌리암 틴데일) 적그리스도에 관하여(윌리암 틴데일) (요일 2:18)“아이들아 이것이 마지막 때라 적그리스도가 이르겠다 함을 너희가 들은 것과 같이 지금도 많은 적그리스도가 일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마지막 때인 줄 아노라(19)저희가 우리에게서 나갔으나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하였나니 만일 우리에게 속하였더면 우리와 함께 거하였으려니와 저희가 나간 것은 다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함을 나타내려 함이니라” ‘때’는 여기서 ‘시간’의 의미이다. 마지막 때는 즉 마지막 시간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비록 사도들이 마지막 날이 언제일는지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세상이 지속될 지 알 수 없었다 해도, 적그리스도가 먼저 올 것이라는 사실은 그들에게 알려졌고, 그리고 그들에 의해서 우리에게도 알려졌다; 그는 비단 오기 만할 뿐아니라, 또.. 2021. 11. 17.
부록2] 종교개혁자들이 밝힌 적그리스도 우리는 앞서 다니엘 7장의 ‘작은 뿔’, 계시록 13장의 ‘짐승’, 그리고 데살로니가후서 2장의 ‘불법의 사람’에 관한 예언이 모두 로마 교황에게서 극명하게 성취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종교개혁자들이 교황을 적그리스도라고 규정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다. 교황이 적그리스도라는 개혁자들의 논증은 철저히 성경에 근거한 객관적 교리였다. 그것은 일부 어리석은 사람들의 생각처럼 신교와 구교가 대립하던 특수한 시기에 개혁자들이 로마 카톨릭에 대한 반감 때문에 했던 악담과 욕설이 결코 아니었다. 주석학자 H. C. 류 폴드는 이러한 생각을 ‘천박한 견해’라고 아래와 같이 지적했다: “우리는 교황이 적그리스도라고 고백한 루터교 신앙고백서가 옳다고 주장한다.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견해를 조소했고 얕잡아 보았다. 이.. 2021. 11. 17.
카톨릭 관상기도, 레노바레라는 이름으로 위장 침투 본 기사의 출처는, "레노바레 성경 개역개정판 출간" "레노바레 운동 드디어 한국교회 중심부로 포진하다!!" 옥성호의 2009/5/20 “레노바레 영성 세미나”관상기도 관련 영성을 비판하는 글을 인용하여 객관적인 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 본지의 모체인「기독교이단대책협회」는 관상기도(레노바레)에 대하여 비성경적인 것으로 구원이 없는 이방종교인들의 만트라 행각과 가톨릭의 관상기도를 교묘히 각색한 관상기도와 레노바레 신비주위 변신을 교회에 도입이나 적용을 절대 금하는 입장임을 밝힌다(편집자 주). 1. 레노바레 성경 개역개정판 1) 레노바레 성경?. 카페 : 샬롬방 신앙공동체 박문수 2006.08.31. 22:47 / htty://cafe.naver.com/shalom/7149 기독교출판소식 9월호에 레노바레.. 2021. 11. 17.
천주교회와 루터파와 감리교회가 동의하는 칭의에 대한 질문 천주교회와 루터파와 감리교회가 동의하는 칭의에 대한 질문 2006년 7월에 한국에서 열린 ‘제19차 세계감리교대회’(WMC)에서 7월 23일에 열린 에큐메니칼 예배에서 감리교, 루터교, 가톨릭의 대표들이 ‘칭의 교리에 대한 교리적 합의 선언문’에 서명했다. 그날 세계감리교협의회가 ‘루터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칭의에 대한 공동 선언문’에 동참한 것이다. 이 일은 루터교세계연맹과 로마 가톨릭이 지난 1999년 10월 31일에 ‘루터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칭의에 대한 공동 선언문’(JDDJ)에 서명하면서 시작되었다. 양측은 1986년에 ‘루터교-로마 가톨릭 합동위원회’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몇 차례의 모임 끝에 1993년에 칭의 교리에 관한 문헌의 초안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4년에 합동 선언문 초안을 작성해.. 2021. 11. 17.
성공회 신앙에 대해서... / 정성욱목사 성공회 신앙은 모든 교파들이 그런 것처럼 자유주의권과 복음주의권으로 나뉘어 집니다. 현재 영국 성공회나 미국 성공회 심지어 한국 성공회도 주류는 자유주의권입니다. 그러나 성공회 내에서는 항상 복음주의권의 거센 흐름이 존재해 왔습니다. 특별히 20세기야말로 성공회 복음주의의 세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복음주의 성공회 교도가 나타나게 됩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씨 에스 루이스죠. 물론 그가 말년에 가톨릭으로 개종한 듯 하지만 전체적으로 성공회권에 속한다고 봅니다. 루이스가 복음주의자냐에 대해서 논쟁이 많지만 저는 그가 넓게 보아서 복음주의권에 속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 다음이 존 스토트입니다. 영국 성공회 복음주의 운동의 대부이자 세계 복음주의 운동의 대부들 중 한 사람이죠. 스토트 역시 그의 .. 2021. 11. 17.
카톨릭과 개신교 이성희 [emoksanim@hanmail.net] 제 목 카톨릭과 개신교 기독교의 역사에서 보면 크게 두 차례 나누어집니다. 처음은 희랍정교회인 동방교회와 로마교회 즉 카톨릭교회인 서방교회의 분리입니다. 그 때가 1054년입니다. 그후 카톨릭 교회는 다시 개신교회가 분리됩니다. 이 때가 1517년입니다. 그 후로 개신교회는 여러 갈래로 나뉘게 됩니다. 카톨릭 교회의 교리에 대하여 종교개혁자들이 개혁할 때에 모토로 세웠던 다섯가지가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의 영광입니다. 그 가운데 오직 그리스도란 바로 카톨릭이 가지고 있는 마리아에 대한 교리 때문이었습니다. 카톨릭교회는 그리스도를 구주로 봅니다. 그러나 마리아도 기도의 대상이며 특히 마리아도 구원의 공로가 있다고 .. 2021. 11. 17.
천주교 교리 천주교 신자들도 정확히 모르는 천 주 교 교 리 ● 교회를 통한 구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은 다음과 같이 천명하고 있다. '구원의 보편적 보조 수단인 그리스도의 카톨릭 교회를 통해서만 구원 방법의 모든 충족에 도달할 수 있다…(일치교령 3항]" [카톨릭교회 교리서 제1편 p.316 #816] "아무리 중대한 잘못이라고 해도 거룩한 교회가 사해줄 수 없는 잘못은 없다…" [카톨릭교회 교리서 제1편 p.372 #982] "주교와 사제를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죄를 용서해주는 교회는… [카톨릭교회 교리서 제2편 .530-531 #1448] "… 교회에 결합되어 있을지라도 사랑에 항구하지 못하여 교회의 품안에 '몸'으로만 머물러 있고 '마음'으로는 머물러 있지 않는 사람은 구.. 2021. 11. 17.
My Top Ten 청교도 저자들 My Top Ten 청교도 저자들 저자: 조엘 비키 (Puritan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총장 및 조직신학 & 설교학 교수) 번역: 태동열 (미국 칼빈 신학교 조직신학 박사과정 중) 지난 40여년간 필자가 청교도 문학 애호가들로부터 받아온 가장 일반적인 질문은,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청교도 저자들은 누군가?”이다. 여기에 필자의 대답이 있다. 1. 안토니 벌기스(Anthony Burgess, 1664년 사망). 필자가 특히 좋아하는 청교도는 최근 읽어온 안토니 벌기스다. 그는 1635년에서 1662년까지 셔튼 콜드필드(Sutton Coldfield) 시의 교구목사였다. 필자의 생각에 그는 지금껏 가장 저평가된 청교도다. 한때 나는 이안 머레이(Iain Murray)에게 .. 2021. 11. 17.
청교도 운동의 주역들(김영익 교수) A. 전기 퓨리탄 1) 존 낙스(John Knox, 1514-72) : 청교도의 창시자 (1) 정치적 배경 영국의 바로 위쪽에 자리 잡은 스코틀랜드는 지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영국과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만 하는 입장에 있었다. 이 입장은 역사적으로 볼 때, 대결의 양상으로 많이 분출되었다. 영국은 스코틀랜드를 합병하여 국위를 선양하려 했고, 스코틀랜드는 어떠한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자국을 보호하려 했다.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스코틀랜드는 실질적으로 프랑스와 동맹관계를 맺음으로 영국의 침략을 차단하였다. 영국 튜더 왕조의 창시자 헨리 7세는 국경 문제로 긴장 상태에 있는 스코틀랜드와 우호 관계를 맺으려고 딸 마가렛을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4세에게 출가시켰다. 잠시 동안 양국간에 평화가 깃들었으나, 헨리 7.. 2021. 11. 17.
주요한 청교도들 주요한 청교도들 존 쥬웰 (John Jewel, 1522-1571) 리차드 그린햄 (Richard Greenham, 1531-1591) 로렌스 채더턴 (Laurence Chaderton, 1537-1635) 토마스 카트라이트 (Thomas Cartwright, 1535-1603) ←비타협적장로교주의자(바빙크 평 p3) 에드워드 데링 (Edward Dering, 1540-1576) 토마스 윌콕스 (Thomas Wilcox, 1549?-1608) 존 라이놀드(John Rainolds 1549-1607) ←영국국교도, 킹제임스성경 주요번역자 리차드 로저스 (Richard Rogers, 1550-1620) ←감독주의적 칼빈주의자(바빙크 평 p5) 로버트 브라운 (Robert Browne 1550-1633) ←초.. 2021. 11. 17.
청교도주의 계열에서 영향을 받은 설교자 청교도주의 계열에서 영향을 받은 설교자들의 명단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날 한국 신학교에서 그래도 깨여있다는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청교도들의 명단입니다. -아마 아래의 저자들이 신앙가운데 계셨던분들이라면 자신의 신학을 딛고 더욱 십자가로 향하기를 원할것이며, 결코 한계성을 지닌 존재로서 절대화되어지고 규범화되어지는 자신이 되는 것은 결코 원치 않을 것입니다. -오늘날 보수교회와 신학교 안에서 개혁주의 그리고 청교도주의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팽배해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지적인 욕구가 있는 이들에 이해 긍정적인 평가만 주를 이루어왔지 비평적인 평가가 미흡함으로 청교도와 개혁주의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자아내고 있는 상황에 와있습니다. 그리고 신학의 다양한 포용성이 교묘하게 자신을 가리는 방식으로 .. 2021. 11. 17.
THE MAJOR ENGLISH PURITANS THE MAJOR ENGLISH PURITANS 1. 토마스 아담스 (Thomas Adams 1612-1653) 국교도. 매우 인기있는 경건 신학 저술가였으 며, 베드로후서에 대한 방대한 주석을 하였습니다. 영어에 정통한 사람으로 칭송받았습니다. 2. 죠셉 얼라인 (Joseph Alleine 1634-1668). 장로교인으로 청교도 전도설교의 전형으로 인정받 는 '회심치 않은 자들에게 주는 경고(An Alarm to the Unconverted)'를 저술하였습니다. 이 책은 가장 널리 애독된 책 가운데 하나입니다. 3. 아이삭 암브로스 (Isaac Ambrose 1604-1662). Anglican, 국교도이며 한때 장로교인이었습 니다. 홀로 기도하고 묵상하기 위해 일년중 한달을 구별하는 것과 같은 이례.. 2021. 11. 17.
마틴 로이드 존스, 청교도의 후예 / 제임스 패커 2021. 11. 17.
청교도 인물연구 청교도 인물연구 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1558-1602) 청교도 가운데 윌리엄 퍼킨스 만큼 강한 영향력을 미친 사람은 없다. 16세기 그의 저서는 불어, 이태리어,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출판하였으며 수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졌다. 또한 그의 영향을 받았던 청교도들은 존 프레스톤(John Preston), 윌리엄 에임즈(William Ames), 존 카튼(John Cotton), 윌리엄 가우지(William Gouge),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등이 있다. 1558년 워익샤이어(Warwickshire)에서 태어나 1557년 케임브리지(Cambridge)의 그리스도 대학(Christ's College)에 입학했다. 그는 로렌스 채더턴(Laurence Chaderton)의 제.. 2021. 11. 17.
청교도주의의 특성 / 피터 루이스 청교도주의의 특성 / 피터 루이스 청교도주의란 단순히 일련의 율법이나 교리의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생명의 활력소이다. 거룩한 생활의 아름다움을 보여줌으로 그것을 향하여 움직이게 하고, 하나님을 중심으로 한 삶의 만족감에 대한 가능성을 감탄해 하며 희열을 느끼게 하는 비전이요 충동이다. 더욱이 엄격한 규율은 뜨거운 헌신과 어울러져서 청교도주의를 한편으로는 천박한 신비주의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세속적이며 피상적인 종교로부터 보호하였다. 바로 이 율법과 은혜의 절묘한 결합이 청교도적 경건 생활의 주된 요소였다. 삶의 모든 국면은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았다. 매일 매일의 삶을 눈여겨 살피며, 차분히 경건스러운 개인 및 가족들의 기도모임으로 시작되어 끝마쳐졌다. 직업전선에서의 일거.. 2021. 11. 17.
청교도 개혁운동은 언약사상으로 신대륙 이주와 영국 혁명의 결실을 맺었다/ 원종천 청교도 개혁운동은 언약사상으로 신대륙 이주와 영국 혁명의 결실을 맺었다/ 원종천 청교도 개혁운동은 정치, 사회, 경제, 종교의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1620-1630년대 미 신대륙으로의 이주와 1640년대 영국 혁명이라는 거사들로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여러 요소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기독교 신앙이었다. 로마 천주교로부터 분리한 영국교회는 무기력하여 성도들에게 영적, 정신적 힘을 공급해 주지 못했고, 성도들은 부실했으며, 윤리적으로 부패했다. 영국에서 내려오는 존 클리프의 교회 개혁 전통과 유럽 대륙에서 일고 있는 종교개혁의 물결은 이런 상황을 그대로 두지 않았다. 뜻있는 영국 성직자들과 성도들은 교회개혁 운동을 전개했고, 이것은 청교도 개혁이라 일컫는 전국적 운동이 되었다. 16세기에서.. 2021. 11. 17.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은 청교도 신학이었다: 성령의 역사, 주일 성수/ 김홍만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은 청교도 신학이었다: 성령의 역사, 주일 성수/ 김홍만 박형룡 박사는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이 청교도 신학임을 지지하였다. 그는 전도에 있어서 성령의 역사를 중요시하고 선교사들의 안식일 준수를 강조했는데 이것이 바로 청교도 신학이라고 말했다. 이는 매우 정확한 지적이다. 청교도들은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성령의 역사에 대해서는 이론가였을 뿐 아니라 영적으로는 실천가들이었다. 마치 청교도들의 회심 신학을 조나단 에드워즈가 전도 신학으로 사용한 것처럼 초기 한국 장로교 선교사들은 청교도 회심 신학을 전도 신학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이미 미 장로교 역사 속에서 청교도 회심 신학은 전도 신학으로 18세기를 거쳐 19세기에 이르렀다. 실제로 19세기의 북 장로교 선교사들의 전도.. 2021. 11. 17.
황상하 신학덕담]청교도 신앙과 이신론 “미국은 어떤 나라인가?”기독교인들은 미국을 청교도들이 세운 나라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아주 틀린 말도 아니지만 100% 맞는 말이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우리는 어쩌면 청교도들에 대해 너무 좋은 이야기만 많이 들어왔는지도 모릅니다. 국가들 중에는 건국신화를 가지고 있는 나라가 많습니다. 모든 건국 신화는 과장과 거짓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것을 탓하는 이들은 많지 않습니다. 청교도들에게도 어느 정도는 그런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악의적으로 청교도 신앙을 폄하하는 이들도 나쁘지만 청교도 신앙을 신화화 하는 일도 조심해야 합니다. 나는 좋은 면을 극대화 한다는 긍정적인 면에서 청교도 신앙에 대한 강조를 지지합니다. 메사추세스 풀리머스에 도착한 청교도들은 순수하고 철저한 신앙으로 하나님이 다스리는 “기독교.. 2021. 11. 17.
청교도 계보와 그 저서들 청교도 계보와 그 저서들 백금산 목사 청교도 시대 구분 ‘청교도’라는 말이 역사에 등장한 것은 1564년경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청교도 시대를 1558년(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 시작)부터 1662년(약 2,000여 명의 청교도 목사들이 국교회로부터 추방됨)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청교도 시대는 100여 명의 뛰어난 목회자 겸 신학자였던 청교도 작가들이 신학적 깊이와 경건한 실천을 겸비한 책들을 홍수처럼 쏟아낸 책의 시대이기도 했습니다. 이와 같은 풍토에서 17세기 영국은 수많은 영적 거인들을 배출하는 산실이 되었습니다. 청교도 시대(1558-1662)는 크게 전반부의 엘리자베스 통치시대(1558-1603)와 후반부의 스튜어트 왕조 통치시대(1603-1662)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편.. 2021. 11. 17.
성경의 해석자들로서의 청교도 성경의 해석자들로서의 청교도 청교도주의는 무엇보다도 성경 운동이었다. 청교도에게 성경은 진실로 세상이 줄 수 있는 가장 귀한 소유물이었다. 청교도는 하나님을 경외함은 성경을 경외함이고 하나님을 섬김은 성경에 순종하는 것임을 확신했다. 그러므로 청교도의 생각에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을 소홀히 하는 것보다 하나님께 대한 더 큰 모욕은 있을 수 없었다. 성경을 소중히 하고 성경을 열심히 읽고 그 다음에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살며, 행하는 것보다 하나님께 대한 더 참된 경외의 행동은 있을 수 없었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으로 성경에 대한 열렬한 존경과 성경이 명하는 모든 것을 알고 행하려는 애정깊은 관심은 청교도주의의 품질보증서였다. 청교도의 해석방법은 세 가지다. 1) 청교도의 해석들은 문화와 시대 간의 차이.. 2021. 11. 17.
제임스 패커, 청교도사상(Among God's Giants), 제임스 패커, 청교도사상(Among God's Giants), CLC, 2001 제 1 장 서론 캘리포니아의 레드우드 나무(둘레가 18미터, 키가 108미터, 수백년 천년 이상)는 나로 하여금 영국의 청교도들을 생각하게 한다. 그들은 우리 시대에 새롭게 진가를 인정받기 시작한 또 하나의 거인족이다. 1550년에서 1700년 사이에 그들은 꿋꿋한 삶을 살았다. 위대한 청교도들의 성숙된 경건함과 연단된 꿋꿋함은 대부분의 그리스도인의 영적 능력을 능가하는 하나의 횃불로 우리 앞에 비취고 있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지나간 세대의 풍요가 우리 모두를 난쟁이와 쓸모없는 인간으로 만들고 있는 것 같다. 이 상황에서 청교도 거인들의 교훈과 모범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말해 준다. 이 책의 소론들은 40년 이상의 추구의 열.. 2021. 11. 17.
청교도들의 성경해석 원리와 적용 / 서창원/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총무 청교도들의 성경해석 원리와 적용 서창원/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총무 1. 이끄는 말 청교도주의 (Puitanism)는 잉글랜드의 정치적인 격변기에 순수한 신앙운동으로 이어진 성경운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기독교 역사상‘신·구약 성경 밖에서 찾아지는 가장 성경적인 사람들’을 배출시킨 그 원동력은 그들이 붙든 성경관이었다고 볼 수 있다. 청교도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이 세상이 소유한 가장 고귀한 자산이었다. 하나님을 향한 그들의 경건심은 곧 성경을 향한 경건성을 의미하였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은 곧 성경에 순종하는 것을 뜻하였다. 그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인간의 이성, 교회의 전통, 또는 신비적인 체험 위에 군림하는 최고의 신적 권위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창조주 하나님께 드리는 가장 큰 모독은 하나님의 기.. 2021.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