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151

로마 가톨릭의 교리적 문제 - 교황 (김효성 목사) 천주교회는 교황의 교리에 있어서 큰 오류를 범하고 있다. ‘교황’(Pope) 즉 전 세계의 감독이라는 명칭은 신약교회 시대의 처음 6백년 동안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그것은 주후 607년 황제 포카스에 의해 보니페이스 3세에게 처음으로 부여되었다. 성경과 유전(遺傳, Tradition)의 동등한 권위 천주교회는 교회와 전통의 권위를 성경의 권위와 동등히 여긴다. 1546년 트렌트 회의는 유전(遺傳)이 성경과 동등한 권위를 갖는다고 선포하였다. 천주교회의 유전의 내용은 14권 내지 15권의 외경들, 헬라 교부들과 라틴 교부들의 저작들, 교회회의들의 선언들과 교황들의 칙서들을 포함한다. 천주교회의 특징적 교리들, 예를 들어 연옥, 사제직, 미사, 화체설, 죽은 자를 위한 기도, 고해성사, 마리아 숭배, 성상 .. 2021. 11. 18.
[로마 가톨릭에 대한 칼빈의 표현들] [로마 가톨릭에 대한 칼빈의 표현들] “교황주의자들도 사람의 본성이 썩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할 수만 있다면 원죄를 가볍게 보고 있으며, 그 원죄는 단지 악에 기울어지려는 경향에만 숨어 있다고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그 원죄가 영혼과 심한 욕정의 낮은 부분에만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 (시 51:5 주석) “교황주의자들은 그들의 기도를 행함에 있어서 기껏 죽은 자들이나 조상(彫像)들에게 그 기도가 향해 있고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짖는 일에는 너무나 소홀하기 때문에 하나님으로부터 당신의 영광이 지닌 중요한 한 부분을 빼앗아 버리고 만다.” (시 66:17∼19 주석) “교황주의자들은 말로서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 달려 있다고 하면서도 하나님과는 무관한 온갖 것들로부터 도움을 얻기를 끊임없이 .. 2021. 11. 18.
카톨릭과 개신교 (로마 카톨릭 교회의 기원) 천주교 연구시리즈 1~4 《천주교는 기독교와 완전히 다릅니다》 0) 성경의 권위를 짓밟는 천주교 1) 교회를 통해서 얻는 구원 2) 선행을 통해서 얻는 구원 3) 교회가 죄를 용서함 4) 단 하나의 참된 교회 5) 세례를 통해서 얻는 구원 6) 그리스도의 대리자 교황 7) 오류가 없는 교황 8) 성사를 통해서 얻는 구원 9) 자만의 죄 11) 죄의 경중 12) 화체설의 허구성 13) 죄로부터 신자를 보호해주는 성체성사 14) 죽은 자들에게도 유익한 성체성사 15) 마리아, 또 다른 구원자 16) 마리아, 무염시태 17) 마리아, 평생 동정녀 18) 마리아, 성덕의 근원 19) 마리아, 또 다른 중재자 20) 마리아, 기도의 응답자 21) 마리아, 천지의 여왕 22) 신성모독적인 미사 23) 미혹의 근원,.. 2021. 11. 18.
루터교회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해설 일치 신조 루터 대교리문답서 루터 소교리문답서 칭의 율법과 복음 성만찬 세례 성례전 성서정과 십자가 신학 마르틴 루터 필리프 멜란히톤 울라우스 페트리 마르틴 쳄니츠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헨리 멜키오르 뮐렌버그 니콜라스 그룬트비 카를 발터 쇠렌 키에르케고르 알베르트 슈바이처 디트리히 본회퍼 폴 틸리히 지원용 예전 성인 루터교 예배서 복음주의 루터교회 예배 루터교 세계 연맹 국제 루터교 위원회 복음 루터교 협회 신조 미주리 시노드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터교 단체 목록 기독교한국루터회 v t e 루터교회(영어: Lutheran Church 독일어: Lutherische Kirche) 또는 루터교는 16세기 마르틴 루터의 사상을 따르는.. 2021. 11. 18.
루터의 95개 조항문 1.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회개하라고 하셨다. 이 뜻은 신자의 생활 전체가 회개적으로 될 것을 의미한 것이다. 2. 이 말씀의 뜻은 신부가 집행하는 죄자복과 죄사면에 관한 속죄 성례의 뜻과 전연 다른 것이다. 3. 그러나 회개는 다만 심적 참회에 끝이는 것이 아니라 모든 내정을 죽이는 외부의 고행이 또한 있어야 한다. 4. 참된 심적 참회는 자기를 미워하는 것이니 이것은 우리가 천국에 들어갈 때까지 지속할 것이다. 5. 교황은 자기와 자기교회가 만든 법을 범한 죄 외에는 아무의 죄도 사면할 의지도 없고 권한도 없다. 6. 교황은 아무의 죄도 사면할 권한이 없고 다만 하나님께서 사면하심을 공포하거나 보증할 따름이다. 자기 자신이 사면해야 할 경우에는 할 수 있으나 그것도 당자가 원치 않으면 그 사람.. 2021. 11. 18.
사도신경 사도신경 ‘사도신경’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어. 하나는 이단들에 반대하기 위함이고. 다른 하나는 세례 시에 신앙고백을 위함이었지. 1세기부터 기독교인들에게 악영향을 끼친 ‘영지주의’가 있었다. 이 ‘영지주의’는 물질세계가 악하고 영적세계가 선하다고 하는 이원론적 혼합주의였어. 선하신 하나님이 어떻게 악한 물질세계를 창조할 수 있느냐고 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구약성경을 부인하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마르키온이라는 사람이 등장하게 되었다. 또 영지주의는 예수님께서 악한 육체를 갖는 성육신이 불가능하다고 보면서 예수님이 사람처럼 보일 뿐이라는 ‘가현설’을 주장했던 이단성 있는 사상이었었다. “‘사도신경’이 만들어진 정확한 일자를 어느 누구도 알 수 없다. 4세기 말 전에 ‘사도신경’이 .. 2021. 11. 18.
니케아신조와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의 비교 서론초대 기독교가 갖고 있는 최대의 주제는 "주 예수 그리스도"였다. 초대 기독교의 배경 속에서도, 그리고 속사도, 변증가, 교부들의 글 속에서도 그리스도는 핵심 주제였다. 과연 그리스도는 어떤 존재인가? 그는 정말 하나님이신가? 만일 그리스도가 하나님이라면 창조주 하나님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성부도 하나님이고 성자도 하나님이라면, 둘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리스도의 신성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은 초대 교회 수세기 동안 줄곧 쟁점이 되어 왔다.그러던 중 4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의 감독 알렉산더(Alexander)와 장로 아리우스(Arius) 사이에서 시작된 성부와 성자 관계에 대한 논쟁은 초대 교회 역사상 가장 큰 논쟁으로 비화되기에 이르렀는데, 이것이 이른바 아리우스 논쟁이다.니케아 종교 회의는 .. 2021. 11. 18.
쯔윙글리의 67개 조항 쯔빙글리의 67개 조항 (The Sixty-Seven Article of Ulrich Zwungli) 나 쯔빙글리는 영감되어진 것(theopneustos:즉 하나님에 의해 감동되어진)으로 불리는 성경의 근본(ground)에 대해서, 훌륭한 도시 쮜리히에서 이러한 67개의 조항내지 의견을 설교해 왔음을 고백한다. 나는 성경을 통해 이 조항에 대한 변호와 증거를 제시한다. 만약 내가 성경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면, 나는 수정될 준비가 되어있으나, 그것 역시 오직 동일한 성경으로부터 뿐이다. 1. 복음이 교회의 견진성사(confirmation of the church)외에 아무 것도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모두는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며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다. 2. 복음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하나.. 2021. 11. 18.
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1566)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제 1 장 : 하나님의 참된 말씀인 성경에 관하여 정경(正經) 우리는 거룩한 예언자들과 사도들의 구약과 신약인 정경(the canonical Scriptures)이야말로 하나님의 참된 말씀이요, 이것은 결코 인간에 의하여 그 권위를 부여받은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충분한 권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믿고 고백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자신이 친히 족장들과 예언자들과 사도들에게 말씀하셨고, 오늘도 우리에게 이 성경을 통해서 말씀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보편적 교회는 구원에 이르는 신앙에 관련된 모든 것과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한 성화의 삶을 형성하는 데 관계된 모든 것에 대한 가장 완전한 해석이 이미 성경 안에 있음을.. 2021. 11. 18.
니케아 신조 니케아 신조 저는 유일 무이하시고 전능하시며, 천지와 모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창조하신 하나님 아버지를 믿사오며, 유일하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독생자이시며, 온 우주에 앞서 나셨고, 참 신이시며, 참 빛이시며, 참 신 가운데 신이시며, 하나님에게서 나셨고, 창조함을 받지 않으셨고, 성부 하나님 과 같은 본질이시며, 그로 말미암아 모든 만물이 창조되었고, 모든 인간들과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셨고, 성령으로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인간으 로 나셨고, 우리를 위하여, 본디오 빌라도에게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습니다. 그는 고난을 받으시고, 장사함을 받으셨으나, 제 삼 일째 되는 날 성경에 기록된 말씀 에 따라 다시 살아나셨고, 하늘에 오르사 성부의 오른편에 앉으.. 2021. 11. 18.
칼케돈 신조 칼케돈 신조 그러므로 교부들을 따라서 우리는 모든 사람이 한 분이신 유일한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도록 가르치는 일에 하나가 되었다. 그는 하나님이시며 또한 사람으로 완전하시며(teleion), 그는 실제로 하나님이시며 또 실제로 사람이시며, 합리적인 영혼(Psyches logikes)과 몸을 가지고 계신다. 그의 신성에 관한 한 그 는 성부와 동일한 본질을 타고 나셨고 또 그의 인성에 관한 한 그는 다만 죄를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우리와 같으시다. 시간(aionon)이 시작하기 전에 그의 신성 은 성부에게서 독생하였고 그리고 그의 인성은 우리의 본질을 타고 나셨다. 이처럼 다만 죄를 제외하고는 그는 모든 면에서 우리와 같으시다. 시간이 시작하기 전 에 그의 신성은 성부에게서 독생하셨고 .. 2021. 11. 18.
아다나시우스 신조 아다나시우스 신조 1) 누구든지 구원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모든 것 이전에 먼저 이 신앙을 소유해야 한다. 2) 누구든지 이 신앙을, 완전하고 순결하게 지키지 않으면, 틀림없이 영원한 멸망을 받을 것이다. 3) 이 신앙이란 다음의 것들이다. 삼위(三位)자체가 일체(一體)이시고, 일체(一體)자체가 삼위이신, 유일하신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4) 이 삼위는 혼합한 것도 아니요, 그 본질을 나눈 것도 아니다. 5) 왜냐하면 아버지의 한 인격(위)과 아들의 다른 인격(위), 또한 성령의 또다른 인격(위)이 계시기 때문이다. 6) 그러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신격은 모두가 다 하나요 그 영광도 동일하며 그 위엄도 함께 영원한 것이다. 7)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그 자체로 존재한다. 8) 성부께서 창조함 받지 않으.. 2021. 11. 18.
도르트 신조(1618) 도르트 신조(1618) 첫째 교리: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遺棄) 제 1 장 모든 인간은 아담 안에서 범죄 하여 저주 아래 놓여 있으며, 영원한 죽음을 받기에 마땅하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버려둔 채 멸망받아 죄값으로 형벌을 받도록 하실 수도 있는 분이신데, 이는 사도의 다음의 말과 같은 것이다.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롬3:19), "모든 사 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롬 3:23), "죄의 삯은 사망이요"(롬 6:23). 제 2 장 그러나 여기에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났으니,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니라"(요일 4:9.. 2021. 11. 18.
벨직신앙고백서 벨직 신앙고백서(1561) 제1장. 유일하신 하나님 우리는 우리가 하나님이라고 부르는 오직 그 분만이 유일한 절대자요, 영적인 존재자이심과 또한 그 분은 영원하시며 인간의 이해를 초월한 분이시며 불가시적이며 불변하신 분이시며 무한하시고 전능하시며 그 지혜는 완전하시고 의롭고 선하신 분이시며 모든 선의 넘치는 근원이 되심을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고백하는 바이다. 제2장. 인간이 하나님을 깨달아 알 수 있는 방법 다음의 두 가지로 우리는 하나님을 알 수 있다: 첫째로는 그 분의 창조하심과 보호하심 그리고 그 분의 온 우주를 다스리심에 의해서인데, 이것은 우리의 눈으로 볼 때 크고 작은 온갖 피조물이 하나님을 알 수 있도록 우리를 인도하는 훌륭한 지침서로서 우리 앞에 놓여져 있다는 것인데, 마치 사도 바울이 .. 2021. 11. 18.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스코트란드 신앙고백서(1560) 제1조 하나님에 관하여 우리는 유일하신 하나님을 고백하며 또 인정하며 그에게만 의뢰하며 섬기며 그만을 예배하며 그만을 믿는다. 하나님은 영원, 무한, 불가해, 전능 및 불가시하신 분이며, 본질에 있어서는 하나이면서 동시에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三位)로 구별된다. 우리는 이 하나님이 천지에 있는 모든 것,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전부를 창조하시고 보존하시며 측량할 수 없는 섭리로써 지배하시며, 그 자신의 영광이 나타나도록 하나님은 만물을 그의 영원한 지혜, 선, 정의로 정하신 것을 고백한다(창1:1; 행17:28; 잠16:4). 제2조 인간의 창조에 관하여 우리는 우리의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것을 고백하며 또 인정한다. 즉 그는 우리의 시조 아담을 자기의 형상.. 2021. 11. 18.
제네바 교리문답 제네바 교리문답(1542) 서론. 본 교리문답서는 1542년 죤 칼빈(John, Calvin)이 제네바 교회에서 자녀들과 새신자의 성경 교육을 위해서 사용하던 교리문답서를 다시 번역하고 또한 참고로 장로교에서 전통적으로 가르쳐 오던 신앙고백서들과 교리문답서들 중에서 중요한 내용을 추가로 편집한 것입니다. 우리는 이 교리문답 교육을 통해서 성경을 더욱 친밀하고 가까이 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삼위일체 하나님께서는 오직 하나님의 말씀이 합당한 존경과 권위를 갖게 될 때 바로 그곳에 역사하실 것임을 우리에게 약속하셨기 때문입니다. 1) 특별히 이 교육의 중요성은 칼빈이 본 교리문답서를 작성하면서 서문에 기록한 내용들을 보게 되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교회는 언제나 어린이들을 기독교.. 2021. 11. 18.
초대교회 변증가들 초대교회 변증가들1.1. 변증가들“초대 교회에는 6인의 변증가들이 있었다.저스틴 마터(d. 약 165)이레니우스(약 130-200)클레멘트(d. 약 217)오리겐(약 182-251)터툴리안(약 155-230)키프리안(d. 258) “이 6명의 사람들을 서로 짝을 이루고 있다는 특징도 갖고 있다. 먼저 동방교회의 저스틴 마터와 이레니우스,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그의 제자 오리겐,그리고 카르타고의 터툴리안과 그의 제자 키프리안으로 짝을 이룬다. 그 외에도 변증가들로 활동한 분들이 있다.예를 들면,히폴리투스(Hippolytus, 236),코넬리우스(Cornelius, 253),노바티안(Novatian, 257),대 디오니시우스(Dionysius the Great, c. 264),디오니시우스(Dionysiu.. 2021. 11. 18.
기독교에는 왜 많은 교파들이 있는가 기독교에는 왜 많은 교파들이 있는가 지금의 기독교는 어지러울 정도로 수많은 교파들로 나뉘어 있어, 참으로 어느 교파가 옳고 그른지를 분별하기 매우 어렵게 만든다. 또 같은 교파라 하더라도 그 안에는 여러 갈레의 교단들로 세분이 되어 극한 대립 양상까지 보인 나머지 전도의 장애물 역할을 하거나, 덕을 세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기독교는 모두가 한 하나님과 한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하면서 왜 이토록 교파들이 많은 것인가. 이제 그 배경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1. 교파의 유래 교파들이 생겨나는 데는 대체로 다음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성경 해석의 차이가 교파들을 생겨나게 한다. 기독교 안의 모든 교파들은 성경을 최고의 근거로 삼는 데 동의를 한다. 그러나 성경 구절이나.. 2021. 11. 18.
한국교회 주요 교파 한국교회 주요 교파 교리와 신학은 다양해도 '하나된 교회' 한국교회에는 10개 교파 2백 개에 가까운 교단이 산재해 있다. 그러나 이중 60% 이상이 장로교라는 점에서 한국교회의 특징으로 장로교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양성 속에서 일치’를 추구하는 개혁교회의 정신이 아닌 교리주의적인 관점에서 우리 교파가 아닌 타교파를 이단시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한국교회에는 다양한 교리와 신학적 배경을 지닌 다양한 교파들이 많다. 이에 ‘하나된 교회’를 지향하며 협력과 조화를 추구해야 된다는 관점에서 한국의 주요교파의 특징과 언제 어떻게 들어왔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Part 1. 한국교회의 성향 분석 한국 개신교회(이하 한국교회)의 특징은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맥락에서 교파도 그 종류가.. 2021. 11. 18.
교파와 교단 교파와 교단 - 기독교 교파들 종교의 파. 흔히 종파·교단·교회 등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넓은뜻으로는 특정신앙을 유지하는 종교단체·당파를 뜻한다. 다만 형식적으로 보통 교단·교회에 대한 대칭으로서 사용될 때가 있다. 즉 교파라 함은 결성이 없이 정서적 분위기가 주요소(主要素)가 되고 교조(敎祖)·예언자 등의 인격에 의존하며 그들을 권위로 삼고 그 권위에 대한 정감에 따라 협동적으로 신도가 결속해 있을 때를 가리킨다. 한편 교회라 함은 시일이 지남에 따라 인간적 요소보다 오히려 교단조직에 중점을 두어 의례·전도사업 등이 주된 수단이 되며 신도층이 고정화된 기성교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누비아교회 아프리카 북동부 이집트 남쪽에서 나일강 연안수단의 수도 하르툼 부근까지의 누비아지방에 있었던 그리스도교.. 2021. 11. 18.
개혁파교회 (改革派敎會 Reformed Church) 개혁파교회 (改革派敎會 Reformed Church)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회에서 루터파에 대하여 칼뱅파(캘빈파)교회를 가리키는 호칭.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회(敎會)의 총칭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스위스와 남부독일의 여러 도시는 루터주의와 좀 성격을 달리하는 종교개혁을 하였는데, 이것이 개혁파의 원류(源流)이다. 이 개혁파는 뒤이어 J. 칼뱅과 J.H. 불링거에 의해서 주로 제네바를 거점으로 하여 통합되었고, 1550년대에 프랑스·스코틀랜드·네덜란드·독일·폴란드 남부·헝가리에 침투하였다. 12세기초 P. 왈도의 사상을 이어받은 북부 이탈리아의 왈도파는 1532년부터 개혁파의 한 파에 가입하였다. 정식으로는 <하느님의 말씀에 따라 개혁된 교회>이나 <개혁된 교회>라고 줄여 개혁파 교회라고 말한다. 스코틀랜.. 2021. 11. 18.
동방정교회(EasternChurch) 정교회는 동방정교회, 희랍정교회라고도 불리운다. 동방정교회(Eastern Church)라고 불리는 것은 콘스탄티누스 로마제국의 황제가 330년 수도를 콘스탄티노플로 옮긴 이후 동로마제국 및 비잔티움과 맺고 있는 역사적 관계와 로마를 중심으로 유럽의 동쪽(그리이스,불가리아,폴란드,러시아,체코 등)에 주로 분포해 있기 때문이다. 희랍정교회(Greek Orthodox Church)라고도 불리는 이유는 그 신학사상과 교리가 희랍어로 되어있으며, 희랍철학적인 요소(신플라톤주의, 신비주의, 수도원주의)가 강하기 때문이다. 정교회의 역사 동방과 서방 교회의 분열(1054)은 어느날 갑자기 생긴 사건이 아니라, 주후 1세기부터 기독교가 발전해 나오던 초기 시대부터 발생한 동·서교회 간의 소외 관계가 중세시대까지 계속되.. 2021. 11. 18.
장로교회사 요약 장로교회사 요약 제 1 장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1) 교회정치의 제 유형 2) 장로정치의 성경적 배경 3)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제 2 장 중세교회와 장로정치 1) 교황정치의 일어남 2) 교황권의 신장 3) 피터 왈도와 교회개혁 운동 4) 로마교회와 교회개혁의 시도들 5)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제 3 장 종교개혁자와 장로정치의 이상 1) 마틴 루터 2) 쯔빙글리 3) 존 칼빈 제 4 장 위그노와 바다의 거지들 1) 위그노에 있어 교회와 국가의 문제 2) 알미니안 문제를 둘러싼 교회와 국가의 문제 제 5 장 영국 청교도와 장로정치 1) 청교도와 교회정치의 개혁 - 자율, 평등, 연합성의 원리 2)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장로정치 3)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예배의 모범 제 6 장 스코틀랜드의 장로정치 1) .. 2021. 11. 18.
성결교 (聖潔敎 Holiness Church) d) 성결교 (聖潔敎 Holiness Church) 1901년(광무 5) 2월,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OMS) 소속 선교사인 C.E.카우만과 E.A.킬보른(한국명 吉寶倫)에 의해 세워진 프로테스탄트의 교파. 장로교·감리교와 함께 한국에서는 3대 프로테스탄트 교단의 하나이다. 감리교 목사인 이들 선교사는 일본의 도쿄[東京] 간다구[神田區]에 동양선교회 전도관을 세우고 일본인 목사 나카다[中田]의 후원 아래 동양일원의 선교를 시작하였다. 교육에 힘쓰라는 선교회 본부의 지시도 있었으므로 전도관 1층에 성서학원을 개설, 성경 ·신학 등을 가르쳤다. 한국인 유학생 김상준(金相濬) ·정빈(鄭斌) 등이 이 학원에서 공부를 끝내고 귀국하자 1907년 염곡(鹽谷:현 무교동)에 동양.. 2021. 11. 18.
(기하성), 순복음 (기하성), 순복음 프로테스탄트 오순절계(五旬節系)의 한 교파. 보통 순복음교회(純福音敎會)라고도 한다. 성경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속죄와 부활, 삼위일체(三位一體)인 하나님을 믿으며, 중생(重生)·성령충만·신유(神癒)·재림(再臨) 등을 주요교리로 삼고 있다. 1928년 개인 자격으로 M.C.럼시가 오순절적 신앙선교를 목적으로 내한하여 당시 구세군에 근무하던 청년 허홍(許弘)과 함께 정동(貞洞)에 선교본부를 둔 것이 이 교회의 효시가 된다. 1959년 미국의 아시아 선교부장 케참 목사가 내한하여 2만 달러를 투자, 신학교를 신축하고 서대문에 중앙회관을 설립하는 등 전국복음화운동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특히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순복음(Pure Gospel)' 운동의 주동이 되어 교회 명칭에도 순복음이 .. 2021. 11. 18.
성공회 (聖公會 The Anglican Domain) 성공회 (聖公會 The Anglican Domain) 영국의 국교회. 영국에서 출발한 성공회는 앵글리칸 처치, 성공회, 에피스코팔처치, 등으로도 불리웁니다. 1536년 로마감독의 교권을 폐지하고 1570년 교황 피오 5세가 영국왕 엘리자벳을 파문함으로써 로마교회와 완전히 분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교회는 신앙적 이유보다는 정치적 이유때문에 발생하였고 교회의 신학은 개혁파에 가깝지만 교회 및 예배의식은 카톨릭에 가깝습니다. 영국에서는 영국 왕이 교회의 정점이고 국회가 교회법을 제정합니다. 그렇지만 켄터베리 대교구, 요크 대교구, 웨일스 대교구 로 나눠져 있으며 한국 성공회는 켄터베리 대교구에 속해 있습니다. 영국교회의 교리의 표준은 39신앙개조와 기도문입니다. 한국에 성공회가 전래 된 것은 18.. 2021. 11. 18.
루터교 고대교회슬라브어 (古代敎會Old Church Slavic language) 9세기 중엽 큐리로스(슬라브어 이름 키릴)와 형인 메토디오스(메토디이)에 의해 슬라브어문자가 만들어지면서부터 인위적으로 정해진 11세기말까지의 슬라브어 문헌의 언어. 슬라브어파(語派) 중 최고(最古) 문헌의 문어(文語)이다. 9세기 중엽 큐리로스(슬라브어 이름 키릴)와 형인 메토디오스(메토디이)에 의해 슬라브어문자가 만들어지면서부터 인위적으로 정해진 11세기말까지의 슬라브어 문헌의 언어. 슬라브어파(語派) 중 최고(最古) 문헌의 문어(文語)이다. 이 시대의 문헌에서도 개개의 슬라브어의 특징이 현저한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는 것이 관례였으며, 국가나 학자에 따라 어느 정도 범위가 다르다. 또 이 시대에 존재했었다고 생각되지만 문헌에는.. 2021. 11. 18.
구세군 (救世軍 Salvation Army) 구세군 (救世軍 Salvation Army) 그리스도교 교파로 윌리엄 부스(William Booth)가 창설한 교파 구세군은 1858년 감리교 목사였던 윌리엄 부스에 의해 창설되었습니다. 구세군(salvation army)이란 명칭은 1878.5에 정식으로 명명되었고 1880년 처음 사관학교를 세웠습니다. 구세군의 특징은 사회봉사에 있습니다. 구세군의 정치는 개인의 자유와 기회균등의 인정하에 군대 조직을 차용합니다. 세계의 모든 구세군은 한 대장 아래 통솔을 받습니다. 구세군에서는 목사는 사관 평신도는 병사라고 지칭합니다. 구세군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1908년 10.8 명동에서 영국인 호가드 정령에 의해 옥외집회를 한데서 출발합니다. 구세군의 사회사업은 선교의 가장 중요한 방법이며 남녀평등을 중요시 여.. 2021. 11. 18.
영국교회 (英國敎會) 와 곱트교회 영국교회 (英國敎會) 영국에서의 그리스도교 전도는 3세기 무렵부터 로마교황 관할 밖인 켈트계 선교사에 의하여 실행되었다. 597년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영국으로 건너간 이후 로마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로마가톨릭교회의 일원으로 재편되었으며, 왕권과 교황권이 상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 관계를 유지했다. 헨리 8세는 왕비와의 이혼문제로 로마교황과 대립한 사실을 계기로, 1534년 <국왕지상법(國王至上法)>에 의하여 영국의 교회를 로마로부터 이탈하게 한 뒤 스스로 그 최고 우두머리가 되었으며, 영국에서 보편적인 교회의 조직을 <국법에 의해 확립된 잉글랜드의 교회>로 개편했다. 1554년 메리 1세 치세하에서 국교회가 로마가톨릭교회로의 복귀를 실현했으나, 1558년의 엘리자베스 1세가 왕위에 오름과 동시에.. 2021. 11. 18.
침례교 (浸禮敎 Baptists) 침례교 (浸禮敎 Baptists) 자각적인 신앙고백에 기초한 침례를 시행하는 그리스도교 프로테스탄트의 한 교파. 특히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으며, 성서원리(聖書原理) ·침례 ·만인사제(萬人司祭), 각 교회의 독립, 교회와 국가의 분리 등을 강조한다. 영국의 청교도(퓨리턴)의 여러 파 가운데 하나로 생겨났으며, 창시자는 J.스미스(1554?∼1612)로 알려져 있다. 그는 교직자로 1608년 국교회의 압박을 피하여 동지들과 함께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으로 망명했는데, 그 중 T.헬위스와 몇몇 동지들이 영국으로 돌아가 1612년 침례교회를 창설하였다. 아르미니우스파(派)의 입장을 취한 일반침례파와 칼뱅적 입장에 선 특수침례파의 구별이 있다.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크게 퍼져서, 현재 미국 최대의 교파를 이루고.. 2021.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