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설교〓/설교.자료모음

장로교회사 요약

by 【고동엽】 2021. 11. 18.
장로교회사 요약

제 1 장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1) 교회정치의 제 유형
2) 장로정치의 성경적 배경
3)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제 2 장 중세교회와 장로정치
1) 교황정치의 일어남
2) 교황권의 신장
3) 피터 왈도와 교회개혁 운동
4) 로마교회와 교회개혁의 시도들
5)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제 3 장 종교개혁자와 장로정치의 이상
1) 마틴 루터
2) 쯔빙글리
3) 존 칼빈

제 4 장 위그노와 바다의 거지들
1) 위그노에 있어 교회와 국가의 문제
2) 알미니안 문제를 둘러싼 교회와 국가의 문제

제 5 장 영국 청교도와 장로정치
1) 청교도와 교회정치의 개혁 - 자율, 평등, 연합성의 원리
2)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장로정치
3)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예배의 모범

제 6 장 스코틀랜드의 장로정치
1) 요한 낙스와 의회중심적 개혁
2) 앤드류 멜빌과 두 왕국 사상
3) 사무엘 러더포드와 Lex Rex

제 7 장 뉴일글랜드의 청교도와 장로정치 사상
1)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회중정치와 장로정치 사상
2) 개교회주의와 교회 연합사상
3) 언덕 위의 도시

제 8 장 미국 장로교회의 성장과정
1) 프란시스 매케미와 장로교회의 설립
2) Adoting Act - 신앙과 양심

제 9 장 미국의 독립전쟁과 장로교회
1) 대각성 운동과 장로교회 운동
2) 독립전쟁에 대한 장로교도들의 자세

제 10 장 선교운동과 장로교회
1) 제 2 차 각성운동과 장로교회
2) 교회연합 운동과 장로교회
3) 프런티어 운동과 장로교회

제 11 장 도전 받는 장로교회
1) 자유주의 신학의 일어남
2)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장로교도들의 반응

제 12 장 근본주의 운동과 장로교회

제1장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1) 교회정치의 유형

1. 교황정치 - 교회를 계층구조로 이해하여 여러 계급으로, 하나님께서 지상의 모든 권세를 교회를 대표하는 교황에게 주었으므로 교회는 세속정부의 영역까지 관할.

2. 감독정치- 계급구조를 따름. 교회는 정부의 지배를 받음. 교회의 머리는 정부의 수반이 되고, 지교회는 자율권이 없다(성공회와 감리교회).

3. 회중정치- 개교회주의를 주장, 계층구조에 대한 반발로 일어남. 성경적 배경 추구. 교회와 정부의 분리. 지교회의 자율성 강조로 회중에 의한 목사선택, 교회의 권징실시. 모든 성직자 모든 교회의 평등을 주장하나 교회연합을 부정. 청교도적인 교회정치 구조.

4. 장로정치- 회중교회 정치의 자율사상, 평등사상을 받아들이나 대표를 선택하여 대리정치 추구. 모든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믿으므로 교회 사이의 연합 강조. 교회와 정부영역을 분리하나 두 기관은 신분상 동등하다.

2) 장로정치의 성경적 배경

1. 구약의 배경 - 구약에는 장로라는 말이 100회 이상 사용, 장로들은 교회정치의 가장 중요한 도구(출 18:12 아론이 이드로의 잔치에 장로들과 참께 참석, 레 4:15 장로들이 소의 머리에 손을 얹고 기도한 후 도살, 레 9:1; 민 16:25; 출 19:7). 민수기 11장은 백성의 대표로서의 장로에 대한 설명, 장로 70인을 세워 대의 정치(민 35:12; 출 4:29,12:3; 수 24:1; 삼상 8:4). 구약에서 보여주는 교회와 정부의 관계는 상호의존적이면서도 분리된 관계(왕의 역할과 제사장의 역할이 구분).

2. 신약의 배경 - 교회의 머리를 예수 그리스도로 선언. 그는 교회를 말씀과 성령으로 통치하신다. 그는 성령을 통하여 각 사람에게 은사를 주시고 교인 가운데 직분자를 세우신다(엡 4:11). 또한 말씀을 통하여 직분자의 자질과 의무를 규정, 직분자를 세움으로 그들 가운데 통치하심(딤전 3장; 딛 1). 또한 말씀은 직분자의 의무, 자질, 기능, [종류]까지 명기하셨다.

3. 2직분론 - 그리스도께서 신약교회에 주신 직분은 무엇인가? 장로교도들은 그리스도께서 신약교회에 허락한 직분은 장로(또는 감독)와 집사의 2가지 직분만을 인정하며 말씀을 가르치는 장로와 다스리는 장로의 직분에는 구별이 없다고 본다(3직분론 - 감독주의자들이나 교황주의자들은 목사 또는 감독(teacher elder), 장로(ruling elder), 집사(serving office)의 3가지 직분이라고 주장한다. 신약에서의 장로와 감독은 목사에 관한 언급이지 평신도에 대한 언급이 아니다. 치리장로에게는 가르치는 일이 허용되지 않았다고 본다).

- 2직분론자들의 성경적 배경 - 빌 1:1; 딤전 3:1-2,8,12
비록 성경은 2가지 직분만을 인정하나 그 직분의 기능은 셋으로 구별된다. 곧 가르치는 것, 다스리는 것, 섬기는 것이다. 성경에서 장로란 단어는 늘 감독이란 단어와 함께 쓰이고 있으며, 그리스도께서 교회에 어떤 직분을 제정하실 때는 어떤 명칭보다도 그들의 기능과 활동을 위하여 일군을 세웠다는 것을 기억. 성경에서 장로의 명칭은 다양하게 사용되었다(장로, 목자, 교사, 감독 등으로).
사도들의 증거 - 바울은(빌 1:1; 딤전 3:1-2, 5:17; 딛 1:5-7), 베드로는(벧전 5:1), 야고보는(약 5:1)을 통하여 감독과 장로는 동일한 직분임을 증명.

- 죠지 나이트(George Knight) 커버넌트 신학교 교수 - 장로와 감독은 동일한 말. 장로는 구약배경을 가진 말로 어떤 일에 노련하거나 권위, 성숙함과 연결되어 사용되었고 감독이란 말은 헬라계통에 익숙한 말로 교회를 돌보고 감독하는 특별한 책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요한과 베드로는 감독이었으나 장로로 자신을 소개(요이 1:1; 요삼 1:1; 벧전 5:1).

3)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1. 클레멘트의 [고린도인에게 보내는 편지(Epistle to the Corinthians)] - 사도들이 감독과 집사의 구별을 하지 않았다. 클레멘트 때까지만 해도 신약성경이 보여주는 정부형태 유지.

2. 폴리갑 [빌립보인에게 보내는 편지, 110] - 클레멘트와 같은 사상, 빌립보 교회에는 두 가지 직분 곧 집사와 감독만이 있으며 어떤 직분의 높고 낮음을 상상할 수 없다고 했다. 적어도 바울이 빌립보서를 쓴 이래 폴리갑 때까지 50-60년 이상 교회의 직분을 집사와 감독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키프리안 - 3세기에 접어 들면서 박해, 배교, 교회의 분열 등의 문제에 직면해서 키프리안이 '감독중심'으로 모일 것을 강조하자 '감독우위 사상'이 나타나기 시작. 이때로부터 감독직의 운영상의 우위성이 주장되기 시작했고 회의시에 사회를 보는 직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나 키프리안 자신은 감독을 장로보다 우위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키프리안 때까지는 로마교회의 군주적 감독직(monarchical episcopasy)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제2장 중세교회와 장로정치

1) 교황정치의 일어남

사도시대 이후 박해와 이단 문제로 인해 감독 중심체제로 발전 --> 중세에 접어 들면서 '교황에 의한 통치' 즉 '왕 같은 감독'에 의해서 통치되는 체제로 나아감(사제주의 신학과 로마교회의 우위권 사상에 기인). (1) 예수께서 베드로 권위 위에 교회를 세우시겠다고 한 것. (2) 베드로를 계승하여 로마교회의 감독이 된 이는 교황이므로 교황정치는 성경적 배경을 가진다 ---- 이러한 맥락에서 천주교회의 대표적인 Baltimore Cathechism의 선언 "(1)(2)+교황은 그리스도의 대리자요, 교회의 머리"

반석의 해석 - 로마 천주교회는 베드로란 인물 위에 교회를 세우신다는 말씀으로 받음
교부들 : 요한 크리소스톰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교회의 기초.
어거스틴은 예수께서 말씀하신 반석은 곧 예수 그리스도 알렉산드리아의 시릴도 어거스틴의 입장
개혁자: 루터도 어거스틴의 해석을 따름

* 14세기 프랑스 로마 천주교 신부였던 죠지 샐먼(George Salmon)은 마 16:18절에 대한 교부들의 해석에 대한 통계를 제출(17명은 베드로를 의미한다고 문자적 이해, 44명은 베드로의 믿음으로, 16명은 그리스도로, 8명은 모든 사도를 의미한다고 이해). 따라서 로마교회의 반석이 베드로를 상징한다는 주장은 억지.

교황정치의 배경

1.사도적 배경 - 교부들의 문서
터툴리안 : "교회가 세워질 반석이라 불리워졌고 하늘과 땅에서 풀고 맬 권세를 가진 베드로에게 숨기워진 것이 있나?" -- 천주교도들은 베드로 위에 교회를 세웠고 그에게 천국열쇠가 있다고 함.이에 대한 오스카 쿨만의 지적은 터툴리안이 당시 로마감독이었던 칼리스투스와 고행문제에 대해 논쟁을 하면서 마 16:18-19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설명한 말로 터툴리안은 베드로를 한 인격체이며 영적인 대표로 생각했지 교황을 베드로의 자리에 있는 자로 생각지 않았다고 말한다.
오리겐 : 주님께서 "양떼를 다루면서 베드로의 어떤 덕성도 요구하지 않고 그에게최고의 권위를 주셨고 그 위에 교회를 세웠다" 이는 천주교인들이 해석하는 것과는 달리 오리겐의 해석법을 볼 때 반석은 문자로는 베드로를 의미하나 영적으로는 그리스도의 모든 제자를 가르친다고 함. 그러므로 오리겐이 로마감독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레니우스 : 이단논박에서 로마교회는 베드로 홀로 세운 교회가 아니라 바울과베드로 두사람에 의해 세워진 것이라 함.초대교부들 가운데 어느 누구도 베드로를 로마감독이라 언급한 사람은 없다. 다만 키프리안 이후 로마교회 위치가 부상하면서 교부들 사이에 마 16:18을 베드로의 우위성과 연관시켜 해석코자 하는 시도가 일어나게 되었다.

2. 감독 중심의 통일성 강조
로마교회가 다른 교회들보다 우위성을 주장하게 된 것은 감독중심의 통일을 강조하면서이다. 초대교회의 당면문제인 박해, 분열, 이단에 직면해 [로마의 클레멘트, 이그나티우스, 이레니우스]가 주장. 그러나 그들은 모든 감독의 권한이 동등함을 주장. 그러나 이것이 어느 정도의 해결책이 되었지만 사제주의의 길을 제시한 셈이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로마교회의 우위성 교리를 제공한 이는 [키프리안과 제롬]이라 할 수 있다.

3. 이단논쟁(아리우스, 니케아 총회 325)
이단논쟁으로 교회회의의 권위가 없어지고 교회가 무정부 상태로 되었을 때 영향력 있는 로마교회의 등장, 로마 감독인 다마수스는 "그의 교회가 서로마 어떤 지역보다 중요하다"고 주장.

4. 다른 초대교회들의 영향력 상실
135년 이후 예루살렘교회는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 멸망과 함께 영향력 상실. 에베소 교회는 2세기의 몬타니즘에 의해 나뉘어져 영향력 상실. 알렉산드리아와 안디옥은 모슬렘에 의하여 영향력 상실. 7세기에 교회의 권세는 동로마와 서로마로 나뉘어짐. 로마제국은 476년 게르만족에 의해 멸망되어 로마는 로마교회의 영향권에 들어감. 동로마의 금식주의자 요한이 포카스의 칙령에 의해 곤경에 빠짐 - 교황권이 그레고리에 의해 신장되고 로마의 위치는 극대화됨.

로마의 우위권 사상은 380년경부터 일어나 400년에 가시화됨. 395년부터 로마의 감독은 Pontifex Maximus란 칭호사용, 여러 교회의 감독들이 조언을 구할 때 칙서의 형식으로 답서보냄. 교황이란 단어는 6세기 이전에는 결코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그레고리 대제는 금식자 요한이 자신을 보편적 교회의 감독이라 하자 마귀적이라고 비난, 그러나 그레고리의 후계자인 보니페이스 3세가 동로마 황제인 포카스에 의해서 '보편적 교회의 감독'이란 칭호받음.

2) 교황권의 신장
1. 교회회의(325, 니케아총회)들에서는 로마교회가 영향을 미치지 못함. 정치적 배경.
2. 문서들 - 실버스타 감독에게 콘스탄틴의 기증서, 니콜라스 1세의 위이시도리안문서.
3. 교황들 - 레오3세와 샤를마뉴, 스테반 4세와 경건왕, 루이 2세와 charles theBald, 그레고리 7세와 헨리 4세.

3) 피터 왈도와 교회개혁 운동
1. 왈도파의 신앙고백 - 성경 66권만이 유일한 신앙의 기초,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중재자, 연옥은 적그리스도의 고안물, 교회절기, 성자숭배, 성수, 금욕주간, 미사는 인간적 고안물, 성례는 오직 세례와 성찬뿐, 그리스도인은 세속권 순종, 세금바칠 것.

2. 교회의 권징 - 교회직분을 장로와 집사로 구분, 장로회 인정, 목사의 큰 죄 : 출교되든지 설교할 수 없다. 장로는 회중으로 부터 선출, 교회 총회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목사는 일년에 한 번 회집할 것. 초대교회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그룹이므로 피터 왈도파를 장로교회라 할 수 있다. 그들의 신앙과 교회정부 형태가 우리와 같다.

4) 로마교회와 교회개혁의 시도들
1. Curialism - 교황의 절대 권한주장. 교황청이 교권과 국권 장악, 경제적 부유,교황의 권세를 신적인 것으로 만들려 함(교회의 바벨론 포로시대 - 교회분열).
2. Conciliarism - 교회회의 절대권한 주장. 교회가 교회를 개혁하지 못할 때 교회의 지도자들이 모인 교회회의가 방향을 제시. Concilia Movement는 '파리의 죤', '파두아의 마르실리오', '옥캄의 윌리엄'에 의해 발전.

John of Paris : [교황과 황제의 권한]에서 교황만이 교회교리 확정할 수 있는 권한 부인, 교황이라도 그릇된 교리를 주장하면 교회들의 총회에 의해 폐위되어야 함.
Marsilio of Padua : 1324년 교회는 모든 신실한 자로 구성되고, 교회의 최고 권위는 전교회에 의해 뽑힌 성직자와 평신도의 대표로 구성된 총회에 있다고 함. 총회는 성경에 근거한 일이나 교리적 문제에 대해 결정할 권한이 있다. 총회의 소집을 황제가 할 수 있다고 함으로(교회는 세속권 간섭못함) 국권을 교권위에 놓음. 교황정치는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진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산물이다.

William of Occam : 여성도 총회의 회원이 될 수 있다. 교황도 실수할 수 있고 이단에 빠질 수 있다. 총회의 결정도 유오할 수 있다. 교황이 타락하면 총회는 교황을 폐위하는 것이 의무이다. 교황의 무오성과 총회의 무오류성을 부정.

5)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1. 존 위클리프 - [신적인 주권에 대하여]에서 하나님은 만유의 주재임으로 모든 지상의 권세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제한되어야. 교회에 주신 권세는 영적인 것, 교회의 부정부패는 축재에서 온 것이므로 정부에 의해 환수되어야 한다. 정부는 세상질서 유지에 있으므로, [교황의 권세에 대하여]에서 교황정치의 신적인 기원을 부정하고 인간적 기원 강조. 교회와 정부의 기능은 분리. * 컨실리아 운동에 반대하여 교회의 전통, 교회회의의 결정, 교황의 교서, 교회의 교리해석은 반드시 성경에 의해 시험되어야 한다.

2. 존 후스 - 성직자의 재산 소유 반대. 계급적인 교회구조 공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