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151 제임스 패커, 청교도사상(Among God's Giants), 제임스 패커, 청교도사상(Among God's Giants), CLC, 2001 제 1 장 서론 캘리포니아의 레드우드 나무(둘레가 18미터, 키가 108미터, 수백년 천년 이상)는 나로 하여금 영국의 청교도들을 생각하게 한다. 그들은 우리 시대에 새롭게 진가를 인정받기 시작한 또 하나의 거인족이다. 1550년에서 1700년 사이에 그들은 꿋꿋한 삶을 살았다. 위대한 청교도들의 성숙된 경건함과 연단된 꿋꿋함은 대부분의 그리스도인의 영적 능력을 능가하는 하나의 횃불로 우리 앞에 비취고 있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지나간 세대의 풍요가 우리 모두를 난쟁이와 쓸모없는 인간으로 만들고 있는 것 같다. 이 상황에서 청교도 거인들의 교훈과 모범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말해 준다. 이 책의 소론들은 40년 이상의 추구의 열.. 2021. 11. 17. 청교도들의 성경해석 원리와 적용 / 서창원/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총무 청교도들의 성경해석 원리와 적용 서창원/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총무 1. 이끄는 말 청교도주의 (Puitanism)는 잉글랜드의 정치적인 격변기에 순수한 신앙운동으로 이어진 성경운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기독교 역사상‘신·구약 성경 밖에서 찾아지는 가장 성경적인 사람들’을 배출시킨 그 원동력은 그들이 붙든 성경관이었다고 볼 수 있다. 청교도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이 세상이 소유한 가장 고귀한 자산이었다. 하나님을 향한 그들의 경건심은 곧 성경을 향한 경건성을 의미하였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은 곧 성경에 순종하는 것을 뜻하였다. 그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인간의 이성, 교회의 전통, 또는 신비적인 체험 위에 군림하는 최고의 신적 권위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창조주 하나님께 드리는 가장 큰 모독은 하나님의 기.. 2021. 11. 17. 청교도 전성기 1603년과 1662년 사이의 기간은 격동기였다. 왕권과 의회가 갈라져서 급기야는 심니전쟁으로 비화되었다. 1640년대에는 종교적인 다원화 현상이 고개를 쳐들었다. 청교도 운동은 이 시기에 절정에 이르렀는데 특히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두드러지게 부각되었다. 이제 서술하려는 다음 다섯 가지 단계의 역사는 청교도 이해에 매우 중요한 것들이다.첫 단계는 제임스 1세 통치,둘째 단계는 찰스 1세와 로드 대주교,셋째 단계는 시민 전쟁과 올리버 크롬웰의 활약넷째 단계는 청교도 상위 시대다섯째 단계는 군주제의 회복과 청교도의 쇠퇴이다. 2021. 11. 17. 마이클 위글스워스 (Michael Willesworth, 1631 - 1705) 마이클 위글스워스는 시로 유명하게 된 청교도 목사였다. 그는 1631년 잉글랜드 링컨셔(Lincolnshire) 워러비(Wrawby)에서 성공한 상인인 에드워드(Edward Wigglesworth)와 에스더 위글스워스 부부에게서 태어났다. 1638년 위글스워스 가족은 종교적인 박해 때문에 요크셔를 떠났다. 그들은 매사추세츠 주, 찰스타운(Charlestown, Massachusetts)으로 가서 잠시 동안 머무르다가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New Haven, Connecticut)으로 이사를 갔다. 위글스워스가 일곱 살 때, 그의 부모는 위글스워스의 정식 교육을 위해 그를 에제키엘 치버로 보냈다. 그는 2년 후에 농장에서 부상당한 아버지를 돕기 위해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농장일이 그에게 맞지 않아서 .. 2021. 11. 16. 윌리암 스프레이그 (William Sprague, 1795-1876) 1795년 안도버에서 태어자들과 접촉을 위한 광범한 지역의 유럽 여행으로 더욱 풍성하게 되었다. 그의 설교 150편 외에도 여러 권의 전기물들과 책들이 출간되었다. 그의 인품에 대하여 사람들은 이렇게 묘사하였다. "그는 뛰어난 사람이며, 교양있고 품위있는 사람이요, 중후하고 쓸모있는 대중적인 설교가였다. 그리고 지칠 줄 모르는 성공적인 목회자요, 이기심 없는 헌신적인 친구요, 사랑이 많고 온화하고 순수하고 고상한 사람이다. 또 간사함이 없는 이스라엘 사람이었다. 어린 아이 같고 아는 체를 하지 아니하는 관대한 사람 중의 하나였다." 그는 74세가 되던 1869년, 그의 교회를 사임하고 평화롭게 은퇴하고 있다가 1876년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2021. 11. 16. 아키발드 알렉산더 (Archibald Alexander, 1772-1851) 아키발드 알렉산더(Archibald Alexander)는 버지니아에서 출생하였다. 당대의 설교가요, 목사요, 신학자로서 명성이 드높았던 청교도 시대의 인물이다. 19세 때부터 워싱턴 대학의 전신인 리버트 홀 아카데미의 교장 윌리암 그레함(William Graham, 1745-1799) 목사의 지도를 받으며 목회 공부를 시작했다. 알렉산더는 21세때 장로교 설교자가 되어 필라델피아 제3 장로교회에서 목회하였으며 1796년 25세의 나이에 햄프덴 시드니 대학의 학장이 되었으며, 설교자와 목회자의 사역을 감당하기도 했다. 1811년 프리스톤 신학교가 설립되면서 총회로부터 유일하게 단독 교수로 선발된 그는 그로부터 40년간을 학문을 가르치는 데에 온 정열을 쏟았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인의 영적 상태에 대해 누구.. 2021. 11. 16. 사무엘 데이비스 (Samuel Davies, 1723-1761) 미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설교자 - 로이드존스의 평가 (1967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강연중에서) 1723년 11월 3일, 펜실베니아주 뉴캐슬 카운티에서 태어남 경건한 어머니 밑에서 자란 독자였으며, 아벨 모건이라는 침례교 목사에게 초기 교육을 받았다. 1734년, 사무엘의 어머니는 장로교로 교파를 옮겼다. 사무엘은 십대에 영국인인 윌리엄 로빈슨이 가르치는 고전 영어 수업을 받았다. 그후 사무엘 블레어 목사의 통나무 대학으로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 1738년, 15세때 데이비스는 구원의 확신을 했으며, 복음 전도 사역을 위해 자신의 인생을 헌신할 것을 결심했다. 그러나 사무엘 데이비스가 설교에 대한 진정한 개념을 정립한 것은 통나무 대학에서 블레어의 지도를 받을 때부터였다. 1741년 8월, 뉴저지와 펜.. 2021. 11. 16. 길버트 테넌트 (Gilbert Tennent, 1703 - 1764) 그의 아버지와 두 형제도 장로교 목사였으며, 조나단 에드워즈, 조지 휫필드와 함께 식민시대 미국의 종교적 '대각성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다른 3명의 형제와 마찬가지로 펜실베이니아 니셰미니의 집에서 아버지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1725년 필라델피아 장로회에 의해 설교할 수 있는 허락을 받았고, 뉴저지의 뉴브런즈윅에서 목사 자리를 얻어 조지 화이트필드와 함께 부흥설교자가 되었으며, 화이트필드는 그를 가리켜 '천둥의 아들'이라고 불렀다. 또한 그는 죄인들에게 강력하게 회개를 권고하고 자신을 비판하는 보수적인 장로교 목사들에게는 조롱을 보낸 것으로 유명하다. 교회 내 주류파에 대한 테넌트의 공격은 1740년 반대파를 위선자라고 비난한 '노팅엄 설교'에서 극에 달했다. 이 일로 이듬해 장로교회는 분열되고, 테.. 2021. 11. 16.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David Brainerd, 1718 - 1747) 그는(1718-1747) 인디언 선교에 생애를 바친 미국 식민지 시대의 한 선교사이다. 그는 무엇보다도 그의 일기를 통해 유명해지게 되었다. 그의 일기는 그가 죽은 후 영국과 미국의 복음주의 계통에서 널리 읽혀졌는데, 그 내용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투쟁하는 한 영혼의 개인적 기록이었다. 그 일기는 그가 임종하기 얼마전에 일부는 자신이 편집하고, 조나단 에드워드가 일부 자료를 첨가하여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일기"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나단 에드워드는 1740년대 미국을 휩쓴 대각성 운동의 지도자였는데, 그의 일기를 통해 큰 감명을 받고 그의 일기를 출판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의 일기를 통해 영향을 받은 사람은 이 외에도 존 웨슬리, 월리암 캐리, 헨리 마틴 그리고 짐 엘리오트 선교사 등이 있다.. 2021. 11. 16. 조나단 에드워즈 (Jonathan Edward, 1703 - 1758) 조나단 에드워드 Jonathan Edwards(1703-1758)는 1703년 10월 5일 코네티컷주의 이스트 윈저에서 출생했다. 그는 11자녀 중 외아들이었다. 그의 부친 디모데 에드워드는 이스트 윈저의 회중교회 목사였다. 죠나단 에드워드는 어린 시절에 회심했다. 많은 지적재능을 가진 그는 12세에 예일대학 입학하였다. 그는 1720년 예일대학을 최우등으로 졸업했다. 비록 자신의 구원에 확신이 없었지만 에드워드는 복음 사역이 그의 소명임을 확신하여 1720년 10월에 신학수업을 위하여 예일로 돌아갔다. 6년 후 에드워드는 그의 할아버지 솔로몬 스토다드가 시무하던 교회의 강도사 직을 수락하였으며 그 교회는 메사추세츠주 노드햄턴에 있었다. 그는 1727년 2월15일에 회중 교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같은.. 2021. 11. 16. 윌리암 테넌트 (William Tennent, 1673 - 1745) 윌리암 테넌트는 1673년 스코틀랜드 Linlithgowshire, Mid Calder에서 태어났다. 그는 1695년 에딘버러 대학을 졸업했으며 1706년 아일랜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는 아이리시 퀘이커이며 윌리암 펜과 친한 관계에 있는 처조카 James Logan의 강권으로 1718년 펜실베니아로 이민을 갔다. 1727년 그는 통나무 대학(Log College)을 설립하였다. 그는 복음적 열심히 후일 대각성 운동의 지도자들이 될 학생들을 가르쳤다. 통나무 대학의 교육적 영향력은 지대하였다. 통나무 대학이 발전하여 결국 프린스톤 대학이 된다. 그러나 사실 원래 통나무 대학은 유럽의 대학과 비교하여 조롱하는 의미의 별명이었다. 사람들은 어린 학생들을 농장과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가르친다고 테넌.. 2021. 11. 16. 카튼 매더 (Cotton Mather, 1663 - 1728) 성직자가 다스리는 옛 체제를 지지했으며 뉴잉글랜드 청교도 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다. 신비적 요소(마녀가 존재한다고 믿음)와 근대 과학(천연두 예방접종을 지지함)에 대한 관심을 함께 갖고 있었다. 카튼 매더는 1663년 2월 12일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인크리즈 매더의 아들이며 존 코튼과 리처드 매더의 손자인 그는 일생 동안 보스턴에서 살았다. 12세에 라틴어 읽기·쓰기와 '그리스어 명사·동사 격변화시키기' 등 입학시험을 쉽게 통과해서 하버드대학교에 들어갔으며, 끊임없이 학업과 기도에 열중했다. 18세에 이 학교의 학장이었던 아버지에게서 직접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자신의 삶이 "하늘과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기록한 적이 있었지만, 자신이 지옥에 갈지도 모른다는 고민을 하기도 했으며, 천국에 갈 수 있다.. 2021. 11. 16. 나다니엘 구킨 (Nathaniel Gookin, 1656 - 1682) 나다나엘 구킨은 매사추세츠 캠브리지에서 1656년에 태어났다. 그는 1675년과 1678년에 하버드 대학에서 문학사 학위와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678년부터 1682년까지 매사추세츠 셔본(Sherborn)에서 설교했고, 1682년 우리안 오크스가 목회하던 캠브리지 교회의 초청을 받았다. 오크스의 병으로 인해서 후임 목회자로 구킨을 초청한 것이다. 구킨은 1682년 11월 15일 목사 안수를 받고 10년 후 사망할 때까지 캠브리지 교회에서 목회했다. 그는 하바드 대학에서 교수로 봉사했으며, 1692년 8월 7일 34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일부 사람들이 그에게 강력하게 권한 정치 참여를 거절하고 그는 격동의 1680년대를 조용히 "자기 양떼에게 성경 말씀을 먹이면서" 보냈다. 구킨은 짧은 목회사역.. 2021. 11. 16. 솔로몬 스토다드 (Solomon Stoddard, 1643 - 1729) 솔로몬 스토다드 (Solomon Stoddard, 1643 - 1729) http://lloydjones.org/zbxe/12782 2008.05.10 미국의 청교도 생전에 '서부 매사추세츠의 교황'이라 불렸던 솔로몬 스토다드(Solomon Stoddard, 1643 - 1729)는 오늘날에는 그의 부목 이었던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의 조부로서만 주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인 개혁 패턴에서 과감하게 벗어난 그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교회론인 '스토다드주의'는 역사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당시 대부분의 목사들은 박식한 성경지식에도 불구하고, 영적으로 고사되어 가는 교회를 부흥시키지는 못했다. 바로 이때 스토다드 목사는 부흥에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설파했다. 당시 교회는 겨울나무처럼 영적으.. 2021. 11. 16. 인크리스 매더 (Increase Mather, 1639 - 1723) 인크리스 매더 (Increase Mather, 1639 - 1723) http://lloydjones.org/zbxe/12526 2008.05.07 미국의 청교도 인크리스 매더는 1639년 6월 21일 매사추세츠 도체스터에서 태어났다. 미국에서 태어난 첫 세대가 뉴잉글랜드에서 지도력을 넘겨받는 중요한 시기에 뉴잉글랜드 의회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리처드 매더의 아들이고 존 코튼의 사위이며 코튼 매더의 아버지이다. 12세에 하버드대학교에 입학해서 17세에 학사학위를 받았다. 학위수여식 때 하버드대학교의 교과과정에서 기본을 이루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공격해서 교수단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그때문에 퇴학당할 뻔했다. 18번째 생일에 집에서 가까운 동네에서 처음으로 설교했고, 2번째 설교는 도체스터에.. 2021. 11. 16. 토마스 쉐퍼드 (Thomas Shephard, 1605 - 1649) 토마스 쉐퍼드 (Thomas Shephard, 1605 - 1649) http://lloydjones.org/zbxe/12523 2008.05.07 미국의 청교도 토마스 쉐퍼드는 존 코튼(John Cotton), 토마스 후커(Thomas Hooker), 리처드 매더(Richard Mather) 등과 함께 뉴잉글랜드 청교도 일세대 지도적 목사들 중 한 사람이다. 미국 초창기에 설립된 교회인 케임브리지 제일 교회와 최초의 대학인 하버드의 설립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반율법주의적 성향을 노출한 허친슨 부인으로 인한 위기 이후 그의 신학은 당시 뉴잉글랜드의 주류 정통으로 간주되었고 그후 여러 세대 동안 뉴잉글랜드 신앙과 신학의 초석으로 후대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쉐퍼드는 1605년 영국 노샘프턴 근처의 토.. 2021. 11. 16. 존 엘리엇 (John Eliot, 1604 - 1690) 존 엘리엇은 1604년 8월 5일 런던 북부의 허트포드셔(Hertfordshire) 아니면 에섹스(Essex)에 있는 그의 아버지의 농장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들은 영적으로 경건한 사람들이었고 공적으로 사적으로 하나님을 경외하며 예배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는 "처음으로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말씀과 기도를 드리게 된 것은 나를 향하신 하나님의 놀라운 은총입니다"라고 말한다. 엘리엇은 캠브리지(Cambridge)의 예수 대학(Jesus College)에서 수학했고 토마스 후커(Thomas Hooker)가 세운 캠브리지의 바도(Baddow)의 조만 학교의 교장이 되었으나 후커를 따라 뉴잉글랜드로 이주했다. 명백하게도 청교도 정신과 원리를 이어받은 엘리엇은 영국 국교회의 목사 안수를 허락하지 않았다. 결국 엘리엇.. 2021. 11. 16. 로저 윌리암스 (Roger Williams, 1603 - 1684) 로드아일랜드 식민지 창설자이며 종교적 자유의 선구자이다. 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법률가 에드워드 쿡 경(卿)의 보호 아래 들어가 케임브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목사로 있으면서 올리버 크롬웰이나 토머스 후커 같은 청교도 정치지도자들과 가깝게 지내던 그는 비국교도적인 뉴잉글랜드 식민지에 가서 영국 국교회와는 완전히 다른 자신의 종교적 이상을 실현시킬 목적으로 1630년에 자신의 직책을 윌리엄 매섬 경에게 넘겨주었다. 1631년 보스턴에 도착한 그는 영국 국교회 계통의 청교도와 협력하기를 거부하고 다음 해에 분리주의자들이 세운 플리머스 식민지로 건너갔다. 1633년 플리머스 식민지에서 그는 국왕의 특허권은 부당하며 인디언으로부터 토지를 직접 구입함으로써만 그 땅에 대한 소유권이 인정된다고 주장함으로써 플리.. 2021. 11. 16. 존 데이븐포트 (John Davenport, 1597 - 1670) 존 데이븐포트는 코벤트리(Coventry) 시장의 아들로 1597년에 태어났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에 들어갔으나 경제적 사정으로 휴학했다가 몇 년 후에 복학하여 1625년 신학사 학위를 완수했다. 1629년까지 그는 존 카튼과 토마스 후커의 영향을 크게 받은 청교도 학문을 배웠다. 데이븐포트는 매사추세츠 베이 회사에 50파운드를 기부했고 왕에게서 그 회사의 칙허를 받아내는 데도 도움을 주었다. 1633년에 그는 영국을 떠나 화란으로 갔는데 그의 편협한 세례관에 대한 반대에 부딪혀 결국 1637년에 보스턴으로 이주했다. 그는 30년 동안 뉴헤븐(New Haven) 교회의 강단에서 봉사하다가 존 윌슨의 사망 후 1668년에 보스턴 제일교회로 갔다. 데이븐포트의 부분 언약 (the Half-Way Covena.. 2021. 11. 16. 리차드 매더 (Richard Mather, 1596 - 1669) 리차드 매더는 잉크리즈 매더(Increase Mather)의 아버지이고 카튼 매더(Cotton Mather)의 조부이다. 그는 1596년에 랭카셔 로우튼(Lowton, Lancashire)에서 태어났다. 15세에 옥스퍼드에 진학할 준비가 되었지만, 부모들은 그를 그곳에 보낼 수 있는 경제적 여력이 없었다. 대신에 그는 리버풀(Liverpool) 톡스테스 파크(Toxteth Park)에 신설된 문법학교의 교사가 되었다. 가르치는 동안, 그는 교양 있는 청교도 농부였던 에드워즈 아스핀월과 함께 살았다. 그는 청교도 설교를 들었고, 청교도 신학자들이 쓴 글들을 읽었으며, 삼년동안(15-18세) 강렬하고, 장기적인 회심을 체험했는데, 그것도 "고전적인 청교도 양식"으로 체험했다. 즉, 하나님의 법에 순종하려는 .. 2021. 11. 16. 토마스 후커 (Thomas Hooker, 1586?-1647) 상처받은 영혼들을 보듬는 능력이 뛰어났던 설교자 토마스 후커는 영국과 네덜란드, 그리고 뉴잉글랜드에서 가장 존경받는 신학자들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이는 그의 탁월한 재능과 날카로운 판단, 견실한 학문, 비범한 고결성, 성경에 대한 깊은 지식, 그리고 경험적인 신학으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을 각성케 하는 그의 설교는 훌륭한 열매를 맺었고, 그의 이름과 글들은 멀리 다른 여러 나라의 진정한 신자들에게도 매우 막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토마스 후커에 대한 코튼 매더(Cotton Mather)의 증언 코튼 매더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토마스 후커는 1586년경, 잉글랜드 중부 레스터셔(Leicestershire)의 마필드(Marfild)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천성이 쾌활하면서도 정중했으며, 그.. 2021. 11. 16. 존 카튼 (John Cotton, 1584 - 1652) 존 카튼 (John Cotton, 1584 - 1652) http://lloydjones.org/zbxe/ 미국의 청교도 존 카튼은 1584년 11월 4일 영국 더비셔(Derbyshier)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였다. 그는 13살 나이에 캠브리지 대학에 가서 1603년과 1606년에 학사 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6년 동안 캠브리지의 엠마누엘 대학에서 특별 연구원으로 지냈고 많은 청교도들을 양성하였다. 그는 리처드 십스의 감동적인 설교로 청교도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가 그 길을 가기까지는 자신의 세속적인 야망, 학자로서의 성공을 포기해야 했다. 그의 설교는 단순 명쾌하였으며, 그의 유일한 소망은 사람보다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것이었다. 그는 27세에 링컨셔 보스턴의 성 보톨프(S.. 2021. 11. 16. 청교도운동의 역사 역사적 배경 1) 헨리 8세 - 잉글랜드의 국왕 헨리 8세는 교황으로부터 ‘로마교의 수호자’라는 칭호까지 받은 열렬한 카톨릭의 신자였습니다. 1509년, 친형인 아더가 죽자 형수인 캐더린과 결혼을 합니다. 그는 이후 다섯 명의 여인을 부인으로 둡니다. 그리고 캐더린 사이에 메리(훗날 피의 여왕으로 불리는 사람)를 낳고, 앤 공주(천일의 앤)와의 사이에 엘리자베스 여왕을 낳고, 제인 세이모어와의 사이에 유일한 아들 에드워드 6세를 낳습니다. - 1529년, 헨리 8세는 아들을 낳지 못하는 캐더린과 이혼을 하였는데, 이를 로마 교황청이 허락하지 않자 카톨릭과 단절을 선포하고 영국에 독자적인 교회를 세우기 위해 의회를 압박합니다. 의회는 1532년부터 36년까지 이 문제를 다룬 끝에 헨리 8세를 영국교회의 최.. 2021. 11. 16. 군주제의 회복과 청교도의 쇠퇴 군주제의 회복과 청교도의 쇠퇴 1658년에 크롬웰이 사망하였다. 리처드 크롬웰(Richard Cromwell)이 자기 부친의 자리를 채울 수 있는 리더십이 없다는 것은 금방 드러났다. 그래서 또 다른 시민전쟁을 피하기 위해서 군주제를 회복하기로 하였다. 찰스 2세는 네덜란드의 브레다(Breda)에서 신앙의 자유를 존중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세력을 잡고 있는 성공회 쪽에서 보복을 강력하게 밀고 나옴으로써 좌절되었다. 1643년에서 1654년 사이에 8,600명의 교구 목사들 가운데서 약 34퍼센트가 무능력 혹은 왕정파나 교황을지지했다는 이유로 퇴출되거나 다른 형태의 고통을 당하였다. 1661년 1월에 토마스 베너(Thomas Venner)는 5차 군주제 운동의 지도자로서 득세하게 되었다. .. 2021. 11. 16. 청교도 상위 시대 청교도 상위 시대 로드(Laud) 대주교는 1641년 의회에 의해 수감되었다가 반역죄로 1645년 런던 타워(Tower of London)에서 참수형을 당했다. 감독들에 의한 교회 체제도 1646년에 폐지되었다. 시민전쟁에서의 의회가 점차 승리를 거두자 새로운 문제도 나타났다. 이것은 의회 내에서 장로교도와 독립교도들 사이에 일어난 분열이었다. 의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장로교인들은 주로 독립교인들이 장악하고 있는 군대를 싫어하고 두려워하였다. 한편 찰스 왕은 스코틀랜드인들과 비밀 조약을 협상함으로써 시민전쟁을 재개시켰다. 찰스 왕의 이러한 이중 정책은 군부로 하여금 그를 재판에 회부케 하였고 1649년 1월에 잉글랜드 공화국의 반역자로 처형되었다. 찰스 2세는 스코틀랜드에서 왕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찰.. 2021. 11. 16. 시민 전쟁과 올리버 크롬웰의 활약 시민 전쟁과 올리버 크롬웰의 활약 로드(Laud) 대주교는 1638년에 잉글랜드 국교회의 기도서와 의식서를 장로교도들인 스코틀랜드에 강요하려고 시도했었다. 그런데 이것은 화약고에 불을 지르는 것과 같았다! 에딘버러의 세인트 자일스(St. Giles) 교회의 유명한 사건에서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흰 성의(聖衣)를 입고 거드름을 부리면서 한 사제장이 기도서를 읽으려고 복도를 걸어가고 있었다. 이 모습을 보고 분개한 제니 게데스(Jenny Geddes)라는 여성도가 자기가 앉았던 등받이 없는 의자를 집어던지면서 이렇게 소리쳤다. "이 되먹지 못한 건방진 인간아! 네가 내 귀에 미사를 들려주려고 하느냐?" 제니의 모범은 그토록 증오하던 로마 카톨릭의 의식을 다른 사람들도 분연히 저지하게 하는 촉진제가 되.. 2021. 11. 16. 제임스 1세의 통치 청교도 전성기 1603년과 1662년 사이의 기간은 격동기였다. 왕권과 의회가 갈라져서 급기야는 심니전쟁으로 비화되었다. 1640년대에는 종교적인 다원화 현상이 고개를 쳐들었다. 청교도 운동은 이 시기에 절정에 이르렀는데 특히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두드러지게 부각되었다. 이제 서술하려는 다음 다섯 가지 단계의 역사는 청교도 이해에 매우 중요한 것들이다. 첫 단계는 제임스 1세 통치, 둘째 단계는 찰스 1세와 로드 대주교, 셋째 단계는 시민 전쟁과 올리버 크롬웰의 활약 넷째 단계는 청교도 상위 시대 다섯째 단계는 군주제의 회복과 청교도의 쇠퇴이다. 6. 제임스 1세의 통치 엘리자베스 1세는 1603년 사망했다. 그녀는 잉글랜드를 대국으로 만들려고 힘썼는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년는 성격이 고르지 못한.. 2021. 11. 16.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의 청교도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의 청교도 엘리자베스(Elixabeth)가 1558년 11월 23일 여왕으로서 런던에 들어왔을 때 그녀의 나이는 25세였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정치 세력들을 잘 파악하는 탁월한 능력이 있었다. 그녀는 백성들의 감정과 희망 사항들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그년는 튜더(Tudor)왕가으이 어떤 군주보다도 더 나은 수완으로 정부와 교회 정책을 통솔하였다. 그녀는 라틴어, 불어, 이탈리아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였고 헬라어도 알았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하나의 연합된 국교를 가진 강력한 단일 국가를 건설하기로 굳게 결심하였다. 엘리자베스 여왕의 비서실장이엇던 윌리엄 쎄슬은 '두 개의 종교를 인정하는 곳에서는 국가의 안정이 있을 수 없다'고 믿었다. 엘리자베스가 왕위에 오를 즈음에는 백성들의 마음을 얻.. 2021. 11. 16. 루터교 및 제네바 종교개혁 운동과 존 칼뱅 루터교 및 제네바 종교개혁 운동과 존 칼뱅 잉글랜드의 종교개혁에 전기를 마련한 것은 유럽 대륙의 종교개혁자들의 글과 모범을 통해서였다. 잉글랜드의 개혁 초기에는 마틴 루터(1483-1546)가 압도적인 영향을 주었고 나중에ㅡᄂᄂ 존 칼뱅(1509-1564)이 깊은 영향을 주었다. 존 칼뱅의 설교는 성경을 책별로 각 본문들을 강해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설교 스타일과 그가 제네바에서 보인 개혁의 모범은 메리 여왕의 학정을 피해 제네바로 피신했던 약 1백명의 잉글랜드 망명 교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었다. 이 망명교인들에게는 교회 체제와 예배 형태를 완전히 개혁해야 한다는 비전이 있었다. 이들 중에 여러 명이 엘리자베스 여왕의 즉위식 때 귀국해 국교회의 중책을 맡앗다. 그러나 그들은 급진적 개혁이 방해를 받아 .. 2021. 11. 16. 누가 청교도(Puritans)들이었는가? 누가 청교도(Puritans)들이었는가? 1568년 런던에는 재침례파(Anabaptists) 회중들이 많았다 그들은 스스로 청교도 혹은 흠없는 주님의 어린양들이라고 부렀다. 청교도란 용어는 이들과 관련해서 처음으로 사용됐다고 보는 것이 중론이다. 청교도들은 엘리자베스 여왕 통치 기간(1588~1603)에 기독교의 중심이 되는 대진리들을 강조하는 목회자들의 구심점이 되었다. 이들의 강조점은 성경 말씀에 충실하기, 강해 설교, 목회적 돌봄, 개인 경건과 생활 전반에 걸친 실제적인 거룩이었다. 청교도라는 말은 이처럼 철저한 삶을 사는 자들에게 쓰여지기 시작했다. 경건한 자들 혹은 명칭만의 교인이 아닌 자들을 청교도라고 불렀다. 또한 복음을 귀히 여기고 복음 전파에 힘쓰는 자들을 청교도라고 칭하였다. 성경의 경.. 2021. 11. 16. 이전 1 ··· 631 632 633 634 635 636 637 ··· 7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