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판하지 말라(롬14:1~6) 로마서 강해로 돌아가기목차로 돌아가기비판하지 말라(롬14:1~6) "비판을 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너희의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보라 네 눈 속에 들보가 있는데 어찌하여 형제에게 말하기를 나로 네 눈 속에 있는 티를 빼게 하라 하겠느냐. 외식하는 자여 먼저 네 눈 속에서 들보를 빼어라 그 후에야 밝히 보고 형제의 눈 속에서 티를 빼리라" 예수님께서 교훈하실 때에는 구약성경을 많이 인용하셨습니다만 특히 유대사람들의 교훈이나 랍비들의 교훈을 많이 인용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이 본문의 내용인 비판하지 말라는 말씀도 랍비들의 교훈 .. 2024. 12. 14.
교회 안에서 비판과 분별의 차이 마7:1 교회 안에서 비판과 분별의 차이              마7:1, 약4:11            ‘교인’은 교회와 자기가 하나 됨을 느끼는 자다.그래서 혹시나 교회가 잘못 되어가는 것을 보고 들어도...자기 책임이라고 느낀다. 그런데 간혹교회를 향하여 지적하고, 비판하고, 분석하고...이런 사람은 글쎄 아직 교인이 아니라고 본다. 진정한 ‘교인’은교회가 잘하건 못하건그게 전부 자기 일로 생각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자기 집안 일은, 대부분 모두가 자기 일로 생각한다.아버님이 잘 못하면.. 아들도 같이 피해를 당하게 되고자식이 잘 못해도.. 그것이 부모에게 다 흉이 되고, 허물이 된다.서로가 가족이기 때문이다. 교회 안에도교회 부끄러움=내 부끄러움으로 느끼는 사람은... 교인 맞다.그런데 ‘우리 교회는 .. 2023. 1. 26.
세련된 비판 약 4:12 세련된 비판 약 4:12 이한규 목사, 정리 ▲피해자(↔가해자)의 잘못이 더 큰 경우 가족들 모임이 있어서 두 딸과 함께 지방으로 내려가던 중이었다. 승용차 뒷좌석에서 둘째 딸이 짓궂게 장난을 계속 쳤다. 그러자 옆에 있던 첫째 딸이 약이 올라서 큰 소리로 짜증 섞인 고함을 쳤다. “하지 마!” 나중에 알고 보니까, 첫째 딸 보다 둘째 딸의 잘못이 명백히 더 컸다. 그러나 저는 부모 입장에서, 부모 앞에서 함부로 큰소리치는 태도를 고쳐야 한다는 생각으로 고함지른 첫째 딸을 더 엄하게 꾸짖었던 것이다. 그때 두 딸 사이에 벌어진 일을 통해서, 한 가지 영적인 원리를 깨달았다. 두 딸 사이에 잘못은 분명히 둘째에게 있었다. 그래서 첫째는, 큰소리로 자기의 정당함을 주장했던 것이다. 그런데 부모 입장에서 보면.. 2022. 12. 22.
쉽게 비판하지 마십시오 (로마서 14장 1-12절) 쉽게 비판하지 마십시오 (로마서 14장 1-12절) 본문 1절에서 ‘믿음이 연약한 자’란 ‘전통과 미신의 논리에 매여 믿음이 흔들리는 사람’을 뜻합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안식일을 철저히 지켰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비록 믿음으로 구원을 얻어도 안식일은 철저히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 생각은 유대인 전통에서 살다가 회심한 사람에게는 특히 심했습니다. 또한 유대인들은 먹는 문제에 관한 전통도 열심히 지켰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믿음으로 먹는 문제를 초월한다고 해도 먹는 문제와 관련된 전통을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불안에 빠지고 믿음에 회의를 가진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에 대해서 믿음이 없는 행동을 한다고 함부로 비판하지.. 2022. 12. 18.
비판을 삼가고 거룩을 지키라 마 7:1-6 본문 에서는 ①비판을 삼가야 할 것 과(1-5절) ②거룩함을 지켜야 할 것(6절)을 교훈하셨습니다. 1. 비판하지 말라(1-5절). 1) 비판이란 무엇입니까? ①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판단하고 폄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일은 주로 말이 많고 자기와 상관없는 다른 사람의 문제에 간섭을 잘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 당시에 독선과 교만에 사로잡힌 바리새인들에게서도 그런 일이 나타났었습니다(눅 16:15,눅 7:34). ② 이 세상에서 비판 받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비판받지 않으려면 비판하지 말라” 는 말씀은 “비판받기를 원하면 비판해도 좋다”는 뜻이 아니고 비판을 하지 않아야 마땅하다는 뜻입니다. ③ 여기의 “비판하지 말라”.. 2022. 10. 19.
【비판】예화모음 20편 [처음 목차 돌아가기] 1.비판하지 않는 눈 우리 인생은 염려가 아니면 비판입니다. 약한 자는 염려하고, 강한 자는 비판합니다. 주님은 염려하지 말고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는 구체적인 적용이 우리가 공동체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공동체에 들어가면 인간관계에서 문제가 터지기 시작합니다. 사실 사람마다 믿음의 종류가 다르고 분량이 다르기 때문에 문제없는 공동체는 없습니다. 부모와 자식 간에도 문제가 있는데 교회 안에, 목장 안에 문제가 없겠습니까? 찰스 스윈돌은 비판하지 말아야 할 일곱 가지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첫째, 우리는 모든 사실을 다 알지 못한다. 둘째, 우리는 그 동기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셋째, 우리는 완전히 객관적으로 사고할 수 없.. 2022. 6. 10.
비판하면 비판을 받게 됩니다! (마 7:1-5) 비판하면 비판을 받게 됩니다! (마 7:1-5) 우리 주님은 산상수훈에서 이번에는 비판의 문제를 다루고 계십니다. 우리 속 사람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 가를 비판에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주님을 닮으려면 형제를 비판하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우리에게서 주님의 향기가 나려거든 비판을 자제하라는 그런 말씀입니다. /할/ 고슴도치는 온몸에 뾰족한 가시가 돋아나 있습니다. 누구도 가까이 갈 수 없습니다. 그 뾰족한 가시에 찔리기 때문입니다. 온 몸에 돋아난 가시는 포식자들로부터 자기를 방어하기 위해 준비된 일종의 방어용 무기입니다. 그러면 같은 고슴도치끼리 사랑은 어떻게 할까요? 재미있는 것은 번식기인 10-11월 사이에는 그 털이 일시적으로 부드러워진다는 것입니다. 서로 다가가 사랑하기 위해서 그 가시가 .. 2022. 3. 20.
오순절 신학 비판 오순절 신학 비판 성령 세례가 처음 예수 믿음으로 성령 받음과 별개의 것이며, 방언 말함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오순절파가 제시하는 사도행전 본문들을 구원사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오순절은 단회적 구원사적 사건 오순절 성령 강림은 헤르만 바빙크(Hereman Bavinck)의 말대로 하나님께서 하신 세 번째 큰 사역으로서 창조사역과 성육신 다음의 큰 사역이요, 성육신 다음의 신비이다. 성령께서 우리에게 오실 수 있게 된 근거는 전적으로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의 구속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전적으로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의 공로이다. 또 그리스도의 구속이 하나님 아버지로부터 성령을 획득한 근거이며 속전으로서 하나님께서 그 구속을 만족하셨다는 표라고 할 수가 있다. 오순절에 하나님은 인류와 함께 거.. 2022. 1. 11.
만인제사장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목: 만인제사장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광호 교수)종교개혁시대 이후 개신교회는 일반적인 만인제사장 이론을 별다른 비판 없이 수용하고 있다. 신약시대에 와서는 달리 특정계층의 제사장이 있는 것이 아니며 모든 성도는 하나님 앞에서 동등하여 누구나 제각기 제사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시대의 한국교회는 이 이론을 거의 전적으로 받아들이 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로마카톨릭에서 일컬어지는 사제의 직임은 그들에게 하나님과 일반신도 사이에서 무엇인가 중재할 내용이 있다는 의미로 잘못된 것이다. 로마카톨릭에 있는 고해성사나 성찬을 나눔에 있어서 사제와 일반신도들의 구분됨은 그 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경에서 요구되는 바 직분이 형식적으로 경직되거나 권위주의화 할 때 지상의 교회는 로마카.. 2021. 12. 9.
세련된 비판 약 4:12 이한규 목사, 정리 www.youtube.com/watch?v=yWoShyWkRoE ◈세련된 비판 약 4:12 이한규 목사, 정리 ▲피해자(↔가해자)의 잘못이 더 큰 경우 가족들 모임이 있어서 두 딸과 함께 지방으로 내려가던 중이었다. 승용차 뒷좌석에서 둘째 딸이 짓궂게 장난을 계속 쳤다. 그러자 옆에 있던 첫째 딸이 약이 올라서 큰 소리로 짜증 섞인 고함을 쳤다. “하지 마!” 나중에 알고 보니까, 첫째 딸 보다 둘째 딸의 잘못이 명백히 더 컸다. 그러나 저는 부모 입장에서, 부모 앞에서 함부로 큰소리치는 태도를 고쳐야 한다는 생각으로 고함지른 첫째 딸을 더 엄하게 꾸짖었던 것이다. 그때 두 딸 사이에 벌어진 일을 통해서, 한 가지 영적인 원리를 깨달았다. 두 딸 사이에 잘못은 분명히 둘째에게 있었다. 그래서 첫째는, 큰.. 2021. 12. 1.
존재론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십자가 신학의 입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승구 목록가기 존재론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십자가 신학의 입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승구 "새로운 십자가 신학"이란 독일 튜빙겐 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의 유르겐 몰트만(Juergen Moltmann)과 게르하르트 융엘(Gerhart Juengel)이 발전시키고 있는 신학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들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을 중심으로 신학을 새롭게 하려고 한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의 이런 입장이 루터가 말한 십자가 신학(theologia cruxis)을 20세기의 정황 가운데서 새롭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들의 입장을 루터의 십자가 신학과 동일시 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래서 그들의 신학적 입장을 "새로운 십자가 신학"의 입장이라고 한 것이다. 그것은 여러 면에서 입증될 수 있다.. 2021. 11. 6.
탈 자유주의 신학과 탈 보수주의 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상화 박사(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목차 I. 서론 II. 탈 자유주의 신학(Postliberal Theology)의 개관 III. George Lindbeck의 신학방법론 IV. 탈 보수주의 신학(Postconservative Theology)의 개관 V. Stanley Grenz의 복음주의 신학의 개정 VI. 결론: 복음주의 신학의 방향 I. 서론 본 논문은 최근에 미국 신학계를 주도하고 있는 탈자유주의 신학(postliberal theology)과 탈보수주의 신학(postconservative theology)에 대한 신학 방법론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함께 앞으로 복음주의 신학이 나가야할 방향에 대해 숙고해보았다. 본 논문의 논지는 탈자유주의 신학은 상대주의(relativ.. 2021. 11. 5.
구학파가 찰스 피니의 부흥관을 비판한 이유 이른바 '새로운 방식' 이라 불리는 피니의 주장은 두 가지 개념, 즉 외적인 행동과 진정한 거듭남을 혼동했기 때문에 반대에 부딪힌 것입니다. 당연히 우리는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을 수도 있고, 손을 높이 들거나 앞으로 걸어 나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결코 그런 행동들이 한 사람을 그리스도인으로 만들거나 또는 그리스도인으로 만드시는 주의 사역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먼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새로운 어떤 방식을 말하거나, 심지어 거듭나지 않은 사람일지라도 회심에 이를 수 있는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처럼 그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회심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2021. 10. 31.
칼 바르트와 관계신학: 삼위일체, 예정 그리고 종말론: 북미에서 바르트 논쟁에 대한 비판적 보충(정승훈 박사) 2021. 10. 25.
칼 바르트 기독론 및 예정론 비판 제 5 강 칼 바르트 기독론 및 예정론 비판 칼 바르트 기독론 비판(서재주 교수) 1) 서론 일반적으로 바르트(K. Barth)의 신학을 기독론(Christology)적 신학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 기독론은 하나로서 전체를 함의하는 기독론적 일원론(Christomonism)이다. 왜냐하면 그의 모 든 신학의 중심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계시된 예수 그리스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르트 신학을 기독론적 집중신학(Christological -centric theology)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스 도 중심의 기독론적 집중은 그의 신학의 장점임과 동시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독론적 집중이라는 말은 기독론이 삼위일체론, 계시론, 창조론, 선택론, 화해론과의 밀접한 .. 2021. 10. 14.
비판하지 말자 / 마 7:1~6 비판하지 말자 / 마태복음 7:1~6 며칠 전에 소포 하나를 받았습니다. 지방에 있는 꽤 큰 교회에 어느 성도가 보낸 소포였습니다. 꽤 두툼했습니다. 뜯어보았더니 편지가 한 장 있고, 테잎이 여러개 들어있었습니다. 또 하나 재미있는 것은 제가 쓴 요한복음 강해 설교 집 한 부분이 같이 들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참 이상한 것이 왔구나' 하고는 편지를 읽어보았습니다. 그 편지 서두에 이런 말이 있어요. "목사님, 저희 교회의 부끄러운 현실을 알려드립니다. 무슨 내용인가 하고 봤더니 그 교회 담임 목사님이 수요일마다 요한복음을 강해하는데 몇 달 동안 옥한흠 목사가 쓴 책에 있는 것을 그대로 베낀다는 것입니다. 토씨하나 빼지 않고 그대로 베끼고 설교를 하는데 너무너무 기가 막혀서 저에게 편지를 한다는 것입니다.. 2021. 10. 10.
【비판 】예화 모음 20편 click 【 감동 설교 예화 】 1.비판하지 않는 눈 우리 인생은 염려가 아니면 비판입니다. 약한 자는 염려하고, 강한 자는 비판합니다. 주님은 염려하지 말고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는 구체적인 적용이 우리가 공동체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공동체에 들어가면 인간관계에서 문제가 터지기 시작합니다. 사실 사람마다 믿음의 종류가 다르고 분량이 다르기 때문에 문제없는 공동체는 없습니다. 부모와 자식 간에도 문제가 있는데 교회 안에, 목장 안에 문제가 없겠습니까? 찰스 스윈돌은 비판하지 말아야 할 일곱 가지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첫째, 우리는 모든 사실을 다 알지 못한다. 둘째, 우리는 그 동기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셋째, 우리는 완전히 객관적으로 사.. 2017.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