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교도 혁명 (1) 청교도 혁명(Puritan Revolution 1642-1649)의 발단 : (a) 역국내부에는 종교개혁이후 두 개의 사상이 발달하였는데, 하나는 영국 국교회의 감독주의를 따르고 국왕의 절대권(Absolutism / 또는 Divine Right)주장에 동정적인 보수적 사상과 : 하나는 주로 청교도들과 독립파들의 사상으로 정치 및 종교적으로 공화적 민주제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영국은 불란서와 달리 온전한 절대군주 사상과 함께 전통적으로 계약에 의한 통치라는 계약사상의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평화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찰스일세가 고교회 정책과 절대권(Absolutism)를 강력히 행사하여 다시 로마 카토릭 교회제도와 절대 군주국으로 영국을 이끌어 가려 하자, 이미 의회내에 다수 세력을 차지한 청교도들과.. 2021. 10. 29. 청교도란 어떤 자들인가? (진리의 깃발 1999년 6월호 1~6쪽의 내용을 요약하였습니다) 옛 영국의 청교도는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 자 이요 모든 일을 하나님 앞에서 살았고 하나님의 지도하에 움직였던 자이다. 청교도의 첫 임무는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요, 그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선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 보시기에 선한 것을 일삼았으며 하나님 말씀을 경건한 삶과 예배의 규범으로 삼았다. 청교도는 하나님의 집에 있어서 예전(order)을 가장 높이 여겼으나 사용함에 있어서 지극히 형식적이고 영혼을 파멸케 하는 미신적인 예전에 자신을 복종시키지 않았다. 청교도는 영역 안에서 지킬 수 있는 권위를 존중하였다. 그러나 인간의 전통을 따라 하나님을 예배하거나 위정자들에게 복종하는 체 하지는 않았다. 청교도는 하나.. 2021. 10. 22. 청교도(미국인) 영국의 청교도들은 엄격한 도덕, 주일의 신성한 엄수, 향락의 제한 등 투철한 개혁을 주장하였다. 영국에서 종교적 박해를 피해 최초로 미국에 이주해온 사람들이 바로 Pilgrim Fathers들이다. 했다. 이들은 신대륙의 특수한 환경에 의해 미국적인 특성을 가진 청교도 정신을 발전시켰다. 이 청교도 정신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지배하게 되었으며 미국의 기본 정신이 되었다. 이들은 종교와 정치에 불만을 품었던 사람들이 신대륙으로 이주해 왔기 때문에 종교개혁 정신에 투철하였다. '퓨리턴(Puritan)’이라고도 한다. 1559년의 엘리자베스 1세가 내린 통일령에 순종하지 않고 국교회 내에 존재하고 있는 로마가톨릭적인 제도 ·의식(儀式)의 일체를 배척하며, 칼뱅주의에 투철한 개혁을 주장하였다. 엄.. 2021. 10. 3. 청교도의 신대륙 도착 오늘날의 매사츄셋즈로 불리우는 곳에서 가장 많은 이민 집단을 이룬 것은 퓨리탄(Puritan), 즉 청교도들이었습니다. 이들은 1630년에 이곳에 도착하기 시작했습니다. 청교도들은 영국에서 매사츄셋즈 베이 회사(Massachusetts Bay Company)를 설립했습니다. 영국왕은 이 회사에 챨스(Charles)강에서 메리맥(Merrimack) 강 사이의 땅을 주었습니다.청교도들은 영국 교회, 즉 앵글리칸 쳐치에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교회를 더욱 성스럽게 만들기를 원했습니다.이들은 매사츄셋즈에서는 원하는 방식대로 살수가 있었습니다. 머지않아 이들은 최대의 종교 그룹을 형성했습니다. 1690년에 이르자 매사츄셋즈에는 5만명의 청교도들이 살게 됐습니다.청교도들은 자신들의 신앙이 유일한.. 2021. 9. 28. 청교도주의(淸敎徒主義) 청교도주의 (淸敎徒主義, Puritanism). 16세기말과 17세기에 일어난 종교개혁운동. 청교도들은 엘리자베스 1세 통치 초기에 이루어진 종교협정 이후 존속되어온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구습으로부터 영국국교회를 '정화'하고자 노력했다. 모든 생활에서 도덕적·종교적 진지성을 보인 것으로 유명한 청교도들은 교회개혁을 통해 자신들의 생활방식을 전국민의 삶에 확산시키려고 했다. 국가를 변혁시키려는 그들의 노력은 내란으로 이어졌고, 청교도적 생활방식의 실용모형으로 미국 식민지를 건설하게 되었다. 1534년 헨리 8세는 영국국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분리시켰고, 프로테스탄티즘 운동은 에드워드 6세(1547~53 재위) 때 급속히 신장했다. 그러나 메리 여왕의 재위기간에 로마 가톨릭으로 복귀하자 많은 프로테스탄트들.. 2021. 8. 29. 청교도 혁명 청교도 혁명 서론 본론 청교도 혁명의 배경 및 시작 결론 청교도 혁명의 결과 및 의의 서론영국에서 1640~60년 청교도를 중심으로 일어난 최초의 시민혁명으로 이 과정에서 영국은 일시적으로 군주정치가 무너지고 공화정이 되었다. 본론 1. 청교도 혁명의 배경 1) 영국 사회의 변화영국에서는 인클로저 운동이 일어났는데, 이 운동으로 이득을 본 세력은 젠트리로 불리는 지방 계층들이었다. 그들은 자영농과 귀족사이의 중간 계급으로서, 경제적 이익을 바탕으로 의회의 하원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하였다. 한편, 도시에서는 상공업의 발달로 시민 계급이 성장하고 있었다. 경제적으로 발달한 두 세력 중에는 농촌의 자영농과 함께 칼뱅의 신앙을 가진 청교도가 많았다. 그들은 국왕의 전제 정치와 국교회 강요 정책에 대해 .. 2021. 2. 26. 존 낙스:청교도의 창시자 존 낙스:청교도의 창시자 어느 교회사 책을 보건 존 낙스(John Knox, 1514?-72)의 이름은 빠지지 않는다. 그는 비록 스코틀랜드 사람이었지만, 그의 영향력은 그의 조국과 영국, 미국 그리고 칼빈주의를 신봉하는 많은 사람과 국가에 미쳤다. 스코틀랜드 사람인 토머스 칼라일(Thomas Carlyle)은 낙스를 청교도의 창시자라 생각했고 마틴 로이드 존스도 같은 의견을 표했다. 한때 미치광이, 열광적이고 극단적인 개신교 일파로 알려졌던 청교도들이 지난 50년 동안의 학계의 노력으로, 요즈음은 로이드 존스와 같은 평가를 내려도 큰 거부 반응 없이 수용되고 있다. 라이큰(Ryken)이 지적한 바와 같이 청교도는 이 세상의 성자들이었다. 청교도들은 천진 난만한 것 같으나 탄력성과 창의성 있는 지혜를 가.. 2014. 11. 30. 존 녹스, 청교도의 창시자’, 로이드 존스, “청교도 신앙 그 기원과 계승자들”에서 발췌, 청교도의 창시자는 존 녹스이다. 1) 청교도의 창시자 존 녹스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서 청교도의 정신을 배우고자 한다. 그는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자라났고 사제가 되었다. 한때 그는 존 녹스 경으로 알려졌다. 존 녹스는 가난한 가정에서 자랐다. 그의 선조들 중에 귀족의 자리에 있었던 사람도 없었고 또한 그를 추천할 만한 사람도 없었다. 그의 출생년도는 확실하지 않다. 1503년, 1504년, 1513년, 1515년? 그가 위대한 사람이 된 것은 순전히 자신의 뛰어난 천부적 재능 때문이었고 특히 그의 회심의 결과이기도 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초기에 비추어진 대단한 빛을 통해 놀라운 방법으로 회심했다. 그는 대단한 변화를 경험했고, 로마 카톨릭에 등을 돌리게 되었다. 프랑스 사람들이 세인트 앤드류를.. 2014. 11. 1. 청교도 혁명의 전개 초기에는 Prince Rupert가 인솔하는 왕당군의 전력이 우세했지만 전쟁을 지속할 만한 재정이 조달되지 못했고 무기와 탄약의 보급이 어려워 그에 따라 군인 급료가 중지되는 등의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하원의원 Oliver Cromwell(1599-1658)이 이끄는 기병대인 철기군이 전세를 뒤집기 시작했고 무력한 의회군을 철기군을 중심으로 개편하여 2만에 이르는 신형군(New Model Army)으로 조직하여 왕당군과의 전투를 승리하여 내란을 끝마치게 되었다.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의회파는 분열되기 시작했다. 군대는 독립파의 지배하에 있었지만 의회 세력은 장로파가 우세했고 이런 극한 대립의 중간에 수평파도 있었다.장로파는 온건파로서 왕과 타협하기를 주장했다. 여기에는 지주 귀족과 대상인을 포함하고 .. 2013. 11. 6. 조직신학에서 본 청교도 사상 들어가는 말 영국 엘리자베스 I세 여왕 시대의 종교적 관행과 정책을 비판하고, 특히 교회의 예배와 교회의 통치 방식을 개혁하려고 했던 개신교도들이 비난 어린 어조로 1560년대부터 그렇게 불려지기 시작한 "청교도"(Precisians or Puritans)라는 말에서 유래하여 영국과 당시 신대륙이었던 미국에서 나타나고 전개된 청교도 운동은 사실 여러 면에서 매우 범위가 큰 운동이다. 따라서 청교도 운동과 사상에 대한 조직신학적 접근은 수많은 책을 쓰도록 만들 것이다. 범위를 좁혀서, 청교도 사상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인다고 해도 결국 다양한 사상이 그 가운데 있음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구원에 대한 교리에 대해서만 말해도 청교도들 가운데는 철저한 칼빈주의자와 중도적 입장을 지닌 이들(moderate Ca.. 2013. 11. 4. 청교도 인물사 정리 I. 서론 : 연구방법론에 대하여1. 청교도의 어원과 의미① 1560년대에 처음으로 사용됨.② 라틴어 Puritani (엄격한, 근엄한).③ 청교도 - 세속의 오염으로부터 격리된 거룩한 양심의 소유자들.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신앙생활을 단호히 거부.초대교회의 사도적 순결과 거룩한 양심을 지키기 위해 노력.2. 연구방법론① 청교도운동을 보수적 칼빈주의자들의 몸부림으로 봄.이들이 추구하는 칼빈주의에 입각한 '신정정치(Theocracy)'는 개인의 숨통을 누르는 자유가 없는 속박된 사회로 정의.대표적 학자로는 애덤즈, 패링턴, 멘켄(H. L. Mencken)② 청교도운동이 칼빈주의에 입각한 것임을 긍정하지만 칼빈주의가 인간성을 짓누르고 문화를 멸시하는 저속하고 편협한 운동이 아님을 역설함. 페리 밀러(Perry.. 2013. 11. 2. 프랜시스 쉬퍼 - 청교도의 개혁주의 사상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청교도의 개혁주의 사상 낙스의 개혁에 대한 의지는 단순히 종교, 정치 개혁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그의 개혁의 관점을 보면 그는 교회 개혁, 학교 교육,그리고 사회사업에도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낙스의 영향은 스코틀랜드의 청교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청교도들에게까지 동일한 영향을 끼친 것을 볼 수 있다. 사회개혁에 대한 청교도들의 입장은 매우 분명한 개혁주의 유산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리랜드 라이큰은 청교도들의 특징을 설명하기를 다음과 같이했다. “청교도들이 지녔던 두드러진 특징은 청교도 운동은 무엇보다도 종교 운동으로 자리 매겨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청교도 운동은 옳고 그름을 보여주는 선한 양심운동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청교도 운동은 개.. 2011. 1. 2. 조나단 에드워드-신학과 청교도 신앙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과 청교도 신앙 / 이상현 교수(美프린스턴대학)| 청교도관련자료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과 청교도 신앙 이상현 교수(美프린스턴대학) 청교도 신앙과 신학을 여러 가지로 학자들이 분석하였지만,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체험적 신앙과 성도의 실천이 가장 기본적인 청교도의 성격이라는 것이다. 체험과 실천이 구원의 필수적 증거이고 결과이기 때문에 청교도의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그리고 예정론과 연결된다. 그리고 실천은 역사 종말에 확실히 이루어질 하나님의 나라에서의 삶을 지금 현실화한다는 각도에서 종말론과 연결된다. 성서의 권위는 바로 성도들의 권위였던 "신앙과 실천의 지침"(Rules of Faith and Life)이라는 데 있다는 것으로 청교도는 이해한다. 에드워즈는 하나의 청교도 신학자이.. 2007. 6.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