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아킴의 신학에 있어서 삼위일체론과 종말론 목록가기 요아킴의 신학에 있어서 삼위일체론과 종말론 서 론 요아킴(1132-1202) 의 삼위일체는 중세 신학자들이 주로 애용하던 본질의 단일성과 같은 내재적 삼위일체가 아니라 역사와 종말을 연관시켜서 삼위일체를 풀어 가는 것이다. 6-12세기까지 중세의 신학 속에는 종말론이 거의 나타나 있지 않다. 하지만 요아킴과 그를 따른 개혁파 프란시스칸들은 순교자 유스티누스와 이레네오스와 같은 고대 초기 교부들의 묵시 전통과 천년왕국 전통을 이어받아 그 바통을 16세기 과격파 종교개혁자들에게 넘겨주었다. 그가 삼위일체를 종말과 역사로 관련 지은 것은 교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이었다. 하지만 그의 종말론은 교회개혁과 직결되기에 중세교회에 위협적인 요소로 판단되어 정죄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Ⅰ. 그의 생애.. 2021. 11. 7. 칼 바르트와 관계신학: 삼위일체, 예정 그리고 종말론: 북미에서 바르트 논쟁에 대한 비판적 보충(정승훈 박사) 2021. 10. 25.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칼 바르트와 관계신학: 삼위일체, 예정 그리고 종말론(정승훈교수) 2021. 10. 24. 종말론 ▶종말론 1. 개인 종말론 현재의 세상 곧 아담의 범죄의 영향으로 오염된 이 우주가 그리스도의 재림과 연이은 심판으로 완전 폐지되고 새 하늘과 새 땅이 도래되는 역사 종말 외에도 인간 각 개인의 영,육이 분리됨으로 인하여 현세의 세상과는 관계를 끊게 되는 개인적 종말이 있다. 1. 육체적 죽음 1) 육체적 죽음의 정의와 필연성 (1) 육체적 죽음의 정의 - 육체와 영혼의 분리를 말한다(요 19:50). 이때 육체는 그 기능이 정지된 채 흙으로 돌아가고, 영혼은 별도의 지정된 곳으로 간다(전 12:7). (2) 육체적 죽음의 필연성 - 원래의 인간에게는 눅음이 없었으나, 죄를 범함에 따라 하나님이 진노하시므로(시 90:7) 그 심판의 결과(롬 1:32; 5:16; 갈 3:13) 필연적인 죽음이 오게 되었다.. 2021. 10. 21. [본회퍼 세미나-성도의교제]06 제5장 성도의 공동체. 적극적 고찰. 3. 교회의 경험적 형태, 4. 교회와 종말론(서울신오성현 교수) 2021. 10. 15. [본회퍼 세미나-성도의교제]06 제5장 성도의 공동체 B. 적극적 고찰. 3. 교회의 경험적 형태, 4. 교회와 종말론(오성현 교수) 2021. 10. 10. 종말론적 윤리(27편) 목록가기 2021. 3. 5. <책요약/정리> 안토니 후크마의 [종말론] 목록가기 후크마의 [종말론] [개혁주의 종말론] 안토니 후크마 / 류호준 옮김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제1부 시작된 종말론 “종말론”이란 영어 단어는 헬라어의 두 단어(eschatos와 logos)가 합쳐져서 되었다. 이는 “마지막 일들에 관한 가르침”이란 뜻이다. 개인에 관한 문제들에 관해 종말론은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육체의 죽음, 영혼불멸성, 중간상태,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들의 대부활, 최후의 심판, 최후의 상태 등이다. 성경적 종말론에는 신자의 현재적 상태와 아울러 하나님의 왕국의 “현재적” 면도 포함된다. “시작된 종말”과 “미래의 종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현된 종말론”이란 용어보다 “시작된 종말론”이란 표현을 더 적합하게 생각한다. “시작된 종말”이란 의미는 종.. 2017. 12. 17. 루이스 벌코프- 종말론 click 【〓 예수 신앙 연구가들〓 】 루이스 벌콥의 종말론 뻘콥은 개인적이건 민족적이건, 인간의 삶에 대해 진지한 반성이 있었던 곳이면 어디서나 인간의 기원과 본질, 그 목적지에 대한 물음이 철학과 종교를 통해 항상 있어왔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지만 기독교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모호하고 불확실한 차원의 것이고, 오직 기독교만이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마지막에 될 일들에 대한 정확한 신적 기원의 교리를 가진다는 것을 잘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종말론이 성도의 영화나, 그리스도의 통치의 완성을 다루는 중에, 또 객관적, 주관적 구원론의 마지막 부분에서 이를 소개하고 있는 정도로 축소되어서는 않되고, 종말론이 하나님과 인간의 교제가 완전한 형태로 지시되는 것인 만큼, 기독교의 원리가 가장 순결한 형태.. 2009. 6. 5. 헤르만 바빙크- 개혁주의 종말론 개혁주의 종말론 머리글 (Preface) 이 마지막 일들 ( The Last Things )의 번역과 편집을 위해 화란 개혁주의 번역 협회 (The Dutch Reformed Translation Society)에서 재정을 지원하였다. 이 협회 (The DRTS)는 1994년에 다섯 개의 각기 다른 개혁 주의 교단을 대표하는 일단의 기업가, 전문직 종사자, 목사, 신학 교수들에 의해 결성되어, 화란어 원전의 고전 개혁 신학 서적 및 기독교 문헌을 영어로 번역, 출판하는 것을 지원하고 활성화하는 일을 목표로 한다. 본 협회는 비영리 단체로서 미시간 주에 법인 등록이 되어 있으며 이사회에 의해서 운용된다. 협회 회원들은 화란의 개혁신학 전통이 가지고 있는 많은 값진 문헌들이 화란어권 독자층에게 국한될 것이 .. 2007. 9.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