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그네의 신비 히 11:13-16 ◈나그네의 신비 히 11:13-16 이중표 목사 (히 11:13-16) “13. ○이 사람들은 다 믿음을 따라 죽었으며 약속을 받지 못하였으되그것들을 멀리서 보고 환영하며 또 땅에서는 외국인과 나그네임을 증언하였으니14. 그들이 이같이 말하는 것은 자기들이 본향 찾는 자임을 나타냄이라15. 그들이 나온바 본향을 생각하였더라면 돌아갈 기회가 있었으려니와16. 그들이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하니 곧 하늘에 있는 것이라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들의 하나님이라 일컬음 받으심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시고그들을 위하여 한 성을 예비하셨느니라”  지혜로운 사람은 세 가지를 기억하면서 산다고 합니다.첫째는 우리의 사는 날이 너무 짧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삽니다.그래서 자기 하는 일에 대하여 성실하고 최선을 다합니다.두 번째.. 2021. 11. 30.
결혼의 신비 요일3:3 하나님과 성도의 만남에는 세 단계가 있다. ▶1. 에서 만나는 관계주인과 머슴의 관계이다. 아직 가족 관계에 들어오지 못 했다는 뜻.(아직도 파키스탄 등지에서는 남자하인은 실내에 들어오지 못 한다.밥도 부엌에서 내 주면, 마당에서 창문을 통해 받아먹는다) 서로 친밀한 인격적 父子 관계는 아니고, 하나님 편에 가담한 정도로 만족한다.하나님을 믿지만, 그 분의 임재를 잘 체험하지 못 하고 만남과 교제가 없다. ▶2. 에서 만나는 관계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다.아버지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만족하는 단계,아버지께 드리는 것에는 아직 인색하다. 실내로 들어오지만, 침실에서 잠자리를 같이 할 정도로 친밀하지는 못 하다.하나님을 기쁘시게 해 드리는 것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다. ▶3. 에서 만나는 관계신랑과 신부의 부부.. 2021. 11. 30.
본회퍼 신학이 지닌 매혹적 신비 본회퍼 신학이 지닌 매혹적 신비 Orientierung 2006년 1-2월호 위르겐 몰트만, 손규태 옮김 개인적 평가 디트리히 본회퍼는 20세기 독일출신 신학자들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진 분이다. 폴란드에서 한국에 이르기까지 본회퍼 학회들이 조직되어 있고 미국 유니온 신학대학에는 본회퍼 강좌가 설립되어 있으며 그의 글들은 독일에서 거듭 새롭게 출간되고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었다. 그는 오늘날도 시공을 넘어 수많은 사람들에게 말하고 있다. 본회퍼의 이름이 주는 이러한 경이적 기적은 어디에서 오는가? 그의 초기 신학 작품들을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Kirchlciche Dogmatik)이나 불트만의 비신화화 프로그램과 비교해보면 비교할만한 것이 별로 없다. 1927년의 『성도의 교제』(Sanctorum .. 2021. 10. 27.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73 명제 세미나-명제 15 계시의 신비 (이신건 교수) 2021.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