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이드 죤스-교리에 대한 로이드존스의 설명 . 교리에 대한 로이드존스의 설명 사도행전을 읽고 초대 기독교 전도자들의 설교를 관찰해 보십시오. 그들이 무엇을 했습니까? 그들이 본문 하나를 택하여 헬라어와 히브리어의 정확한 의미를 말하고 분석하는 모습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의 설교 방법은 교리들을 선포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에게는 메시지가 있었고 그들은 그 메시지를 제시하며 교리들을 선포했습니다. 그들은 성경을 사용하여 자신들의 메시지가 교리라는 사실을 증명하였습니다. 물론 설교가 의도하는 바가 교리를 가르치는 것은 아닙니다. 교리는 설교의 목적과 기능입니다. 교리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기회가 아닙니다. 교리의 목적은 진리를 회중에게 저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교리를 공부하지 않고 성경을 연구하면 위험합니다. 우리는 나무.. 2008. 5. 18.
조나단 에드워즈 - 의의 전가의 교리 조나단 에드워즈의 의의 전가의 교리 | http://blog.daum.net/godlysalvation/147 이 소논문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 교리에 대해, 구속사적으로 접근하여 아주 핍진하게 논의를 전개한다. 저자는 에드워즈의 칭의 교리의 핵심은 전가에 있으며, 그 이유는 인간이 죄인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주장은 개혁주의 노선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러나, 에드워즈는 여기에서 머무르지 않는다. 에드워즈의 전가의 교리를 파고 들어가면, 그리스도의 연합이라는 핵심적인 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칼빈이 주장한 바 있으나. 칼빈의 그것보다 에드워즈의 연합은 매우 내밀한 관계에 있다. 그리스도와 연합은 예수님께서 성부와 인간 사이에서 연합하게 된다. 하나님과 구속사적으로 연합.. 2007.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