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 숭배의 기원(조상제사)
우리나라에서는 무속과 불교가 섞여서 후대에 생겨난 한국식 불교입니
다. 불교가 성할 때는 우리나라에서도 제사가 별로 심각하지 않았으나
고려 말에 중국의 성리학을 받아들이면서 조금씩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
다(13세기 고려 말 정몽주, 이색). 주자가 강조한 조상 제사를 이 태조
가 장려, 세종 때 성황을 이루었습니다. 목적은 덕목의 교육에 있었습
니다.
결론적으로 제사는 한국의 것이 아니라 중국의 풍속입니다. 제사가 부
모님에 대한 효행으로 인식되고 태고부터 시작된 한국적 풍습으로 알고
정착된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진정한 효행이 무엇인가를 한
번쯤 철학적으로 사고해서 제사에 대한 역사적 유래와 그 맥을 통한 내
용이 파악되기를 바랍니다.
출처/ 강종수 목사 자료 제공
'●주제별 명설교편● > 제사 명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장 나라가 되리라! (출 19:1-6) (0) | 2025.01.15 |
---|---|
제사를 지낼수 없는 이유 (0) | 2024.12.14 |
제사보다 나은 순종(사무엘상 15장 17절~27절) (0) | 2023.09.09 |
감사의 제사를 드리십시오/민수기 15장 17-21절 (0) | 2023.01.23 |
히브리 제사제도 규례 (신명기 15장 19-23절) (0)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