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개혁 492주년을 맞으면서... / 정성욱목사 10월 31일은 종교개혁 기념일입니다. 16세기 루터, 칼빈, 쯔빙글리, 멜랑히톤, 피터 마터 버밀리, 존 낙스, 부처, 불링거 등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일으키신 종교개혁은 교회사에 있어서 가장 빛나는 사건들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는 보통 종교개혁하면 루터나 칼빈만을 생각하는데 사실 그 당시 루터와 칼빈과 더불어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했던 지도자들은 수십, 수백명이었으며, 그 운동에 동참했던 성도들은 수백만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종교개혁은 교황이나 교회의 전통의 권위보다 더 높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최고권을 회복하는 운동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 믿음만으로 구원을 못받는다는 카톨릭의 가르침에 대항하여 오직 예수, 오직 십자가, 오직 은혜, 오직 믿음이라는 구원론의 진리를 아름답게 회복한 운동이었습니다. 동.. 2021. 11. 4.
종교개혁 원리들의 재확인 / 조엘 비키 종교개혁 원리들의 재확인 / 조엘 비키 / 한제호 역 글쓴이: grace 09.03.17 http://cafe.daum.net/yangmooryvillage/RkzJ/9779 종교개혁 원리들의 재확인 조엘 비키 / 한제호 역 종교개혁은 실제로 무엇을 추구했던가? 우리는 무엇을 알아야 한다고 했는가? 우리는 무엇을 사랑하라고 했던가? 종교개혁의 모든 위대한 진리들과 그것이 우리에게 위임한 유산들은 다섯 마디의 구호들에 들어 있다. 오직 성경(Scripture Alone) 첫 마디는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즉 '오직 성경'이다. 오직 성경은 종교개혁의 성격을 규정했던 한 위대한 표시였다. 그러나, 성경으로 돌아가라는 구호는 루터에게서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오직 성경으로의 구호는 .. 2021. 11. 4.
종교개혁과 칼빈의 경건 [박응규교수] “종교개혁과 칼빈의 경건: 구원의 심각성과 종말론을 중심으로" 박응규 (ACTS, 역사신학) 박응규 교수(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는 전통적으로 내세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으며, 그 현상은 여전히 주요한 신앙의 특성으로 작용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한 이 시점에 있어서도 교회뿐만 아니라,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말세에 관한 서적들은 꾸준히 읽혀지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 종말론은 구원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 되어야하며, 그럴 때에야 그 의미와 가치가 확연히 드러난다. 종말론은 단지 시대의 현상이나 고통스러운 환경 속에서 강하게 영향을 주는 교리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사역과 개인과 인류의 종말에 대한 인식이 접목되어질 때에야 비로소 그 본질을 바르게 이해하고 우리의.. 2021. 11. 3.
종교개혁 영성의 기초를 이루는 네 개의 주요 주제 [종교개혁 영성의 기초를 이루는 네 개의 주요 주제] 요즘 계속 더운 날씨 때문에 밤잠을 설칠 때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낮에도 가끔씩 졸음이 몰려오기도 합니다. 오늘 아침도 여전히 화창한 해가 떠 올랐습니다. 아침인데도 벌써 땀이 나는 군요.... 알리스터 맥그라스가 쓴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을 읽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종교 개혁 영성의 기초를 이루는 4가지 핵심 주제에 대한 부분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1. 그 영성의 기초는 성경 연구에 있으며, 거기로부터 풍성한 양분을 공급받았다. 성경은 기독교 신앙을 낳고 자라게 하는 수단으로, 주권자이신 하나님이 그 권위를 부여하시고 우리에게 주신 것이다. 종교개혁을 이끌었던 인물들은 성경을 읽고 묵상하는데 집중한 사람들이었다. 2. 종교개혁 영성은 인간의 .. 2021. 11. 3.
종교개혁의 영성과 현대인의 신앙 -대담/ 종교개혁자 존 칼빈 정성욱 존 칼빈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인 1509년 7월, 파리에서 약 60일 떨어진 프랑스 북구 노용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1564년 5월 하나님의 품으로 돌아갔다. 55년의 생애를 살면서 총 59권에 달하는 책을 저술했다. 역작 「기독교 강요」와 성경 각권의 주석은 후세의 그리스도인들에게 탁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현대인에게도 강한 도전과 신앙의 확신을 주리라 믿으며, 존 칼빈과의 가상 인터뷰를 시작한다. 1509년 7월 10일 프랑스 노용에서 출생 1523 - 1527년 파리대학에서 철학, 논리학, 라틴어 공부 1527 - 1529년 오를레앙대학에서 법학 전공, 인문주의 법학에 영향을 받음 1529 - 1531년 부르쥬대학, 회심 1531 - 1533년 파리와 오를레앙대학에서 신학 연구, 「세네.. 2021. 11. 3.
종교개혁 [宗敎改革 Reformation] 종교개혁 [宗敎改革 Reformation] 요약 중세 가톨릭교회를 분열시키고 프로테스탄트교회를 수립한 16세기의 교회개혁. 중세 가톨릭교회는 14세기의 교회분열로 인하여 보편적 권위를 잃고 보헤미아에서는 J. 후스에 의하여 교회개혁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콘스탄츠공의회(1414∼16)는 분열의 해결 즉 교회 전체의 통일과 후스 처리에 일단은 성공하였으나 교회 전체의 개혁에는 실패하였다. 내용 중세 가톨릭교회를 분열시키고 프로테스탄트교회를 수립한 16세기의 교회개혁. 중세 가톨릭교회는 14세기의 교회분열로 인하여 보편적 권위를 잃고 보헤미아에서는 J. 후스에 의하여 교회개혁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콘스탄츠공의회(1414∼16)는 분열의 해결 즉 교회 전체의 통일과 후스 처리에 일단은 성공하였으나 교회 전체의 .. 2021. 11. 3.
17.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마틴 로이드존스(Martyn Lloyd-Jones)는 1971년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집회(Westminster Conference)에서 '청교도주의의 창시자, 존 녹스'(John Knox, The Founder of Puritanism)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하였다. 이 제목은 스코틀랜드에 관한 한 사실이다.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은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다. 그래서 선명한 이해를 위해 두 개의 독립된 개혁 운동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서로 병행되는 측면도 있지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들은 별도로 분리해서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코틀랜드는 장로교의 나라이다. 잉글랜드는 그런 적이 없었다. 현재 잉글랜드에는 활발한 소수의 장로교회들이 남아 있다. 그리고 수백개 정도의 교회들이 1689년 침례교 신앙.. 2021. 11. 2.
츠빙글리 설교는 종교개혁 정신 깨웠다” “츠빙글리(1484~1531)는 루터와 함께 종교개혁의 양대산맥으로 불립니다. 츠빙글리의 신학은 특히 매우 실천적이고 현장 중심적입니다. 츠빙글리를 알수록 개혁신학의 소중함을 회복하는 마음을 갖게 될 것이며, 복잡다단한 사회 속에서 어떻게 세상을 섬길지 그 지혜를 얻게 될 것입니다.” 주도홍 교수가 (세움북스)를 저술했다. 츠빙글리가 남긴 저술과 편지를 1차 원문 자료를 바탕으로 살피되 사상의 요점을 알기 쉽게 정리했고 글이 발표된 연대순으로 배열해 츠빙글리의 신학과 삶이 어떤 변천을 거쳤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저자의 친절한 풀이와 더불어 원전의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마치 500년 전의 위대한 종교개혁자 츠빙글리를 직접 만나는 느낌을 준다.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은 1519년 취리히 그로스뮌.. 2014. 12. 15.
죤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죤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1. 역사적 배경 스코틀랜드는 문명이 없는 나라는 아니었다. 예술은 놀라울 정도로 진전되었다. 그러나 제국의 중심지와 비교할 때 백성들은 야만적(barbarous) 이었고, 땅은 개척되지 못했다. 여러 세기 동안 민족(nation)이라고 불려질 수 있는 사람들이 없었다.1) 로마 제국은 어떤 시기에도 스코틀랜드를 차지하지 못했다. 사람들의 종교는 조잡했고 미신적이었다. 그 결과 그들은 기독교 신앙(the Christian faith)의 명백한 우위성 앞에 굴복하였다. 즉 스코틀랜드는 본래 외국의 선교적 노력에 의해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인 이방 국가였다. 스코틀랜드 교회사에서 나타나는 첫번째 이름은 성니니안(St. Ninian)의 이름이다.2) 그는 4세기 중엽에 태어났고.. 2014. 12. 5.
영국의 선구적 종교개혁가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324년 경 영국의 요크셔(Yorkshire)에서 태어나 옥스포드에서 공부하고 1372년에 신학박사가 되었다. 그는 옥스포드에서 [유명론]으로 유명한 윌리엄 옥캄(William of Ockham)의 영향을 받았다. 1374년 국왕 에드워드 3세는 그를 루터워스(Lutterworth)의 교구 목사로 선임했고 왕과 교황을 중재하기 위하여 교황의 대리인을 만나기 위해 왕의 대리인의 한사람으로 브뤼셀에 파송하였다. 이 무렵 위클리프는 "은혜에 기초한 주권"(dominion founded on grace)에 대하여 논쟁하기 시작했다. 그가 말하는 주권(dominion)은 교회 혹은 국가 내의 권위를 실행하는 권리 또는 자산에 대한 권리를 모두 의미한다. 그는 이 같은 권리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인간에.. 2009. 5. 9.
종교개혁의 샛별, 존 위클리프 유대 지방에서 소수의 추종자들로 시작된 기독교는, 새 천년을 맞이한 오늘날에 이르러 전세계 인구의 약 1/30이 믿는 종교로 성장해 왔다. 기독교 성장의 가장 중요한 힘의 근원은 주기적으로 신앙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 개혁과 갱신에 힘썼던 그리스도인들에게 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 즉위 이후 기독교는 핍박과 환란에서 벗어나 평화와 안정을 찾은 듯했다. 그러나 그 평화와 안정은 교회 쪽에서 볼 때 매우 유리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매우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했다. 14세기로 접어들면서 중세 교회는 쇠퇴기에 접어든다. 이제 신앙 문제보다는 정치나 경제적인 관심사들이 우선시되었고, 교회는 세상 집권자들 위에 그 권위를 세우기 위해 교회 건물 자체를 하나님의 율법과 사람보다 더 높이 두었다. 부패가 만연했고 거짓.. 2009.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