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혁주의 신학의 특색(改革主義 神學의 特色) span>改革主義 神學의 特色 1. 하나님 中心의 神學이다. 개혁주의에서 이해한 신학의 중심적 주제는 인간이 아니고 삼위일체 하나님, 즉 만물의 창조주이시며,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심을 나타내시는 하나님, 성령으로써 주가 되시며 생명을 주시고,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시는 하나님이시다. 위대한 칼빈 연구가 뚜메르구(Emile Dounergue)는 주장하기를, 칼빈은 그의 신학저작에 있어서 하나님 중심(떼오센트릭, Theocen -tric)이었고, 그리스도 중심(크리스토 센텍, Christocentric)이 아니었다고 하였다. 물론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기독교 신학에 있어서 중심적 중요성을 가진다. 기독교의 기본적 신조인 니케아 신조는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기독신자는 하나님 자신을 만난다고 밝히 말한다. .. 2021. 11. 9.
개혁주의 신학과 복음주의의 상관성 이 주제를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들을 조심스럽게 정의해야만 한다. 개혁신학은 복음주의 신학보다도 더 오래되었으며, 복음주의 신학은 비교적 현대적 현상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 말을 정의함으로써 시작해야 한다. I. 복음주의 신학 A. 배경적 뿌리 나는 미국인이기 때문에 미국 복음주의에 관심의 초점을 두고 영국 복음주의에 대한 논의를 피하려고 한다. 미국 복음주의 신학의 뿌리는 웨슬레 운동의 발생을 동반한 18세기 영국에서 발견될 수 있다. 또 아마도 복음주의 신학의 뿌리는 18세기 독일에서 일어난 경건주의 운동에서도 발견된다. 두 개의 역사적 운동은 확실하게 현대 미국 복음주의를 형성 시켰다. 이 강연의 목적을 위하여 나는 복음주의 신학의 뿌리가 영국 감리교회나 독일 경건주의 .. 2021. 11. 9.
개혁주의 신학의 구현자는 누구인가? 개혁주의 신학의 구현자는 누구인가? 한병수 (acts 조직신학 교수) 개혁주의 신학의 이상을 구현하는 길은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개혁주의 신학을 비판하는 분들은 '지나치게 엄격한' '건조한' '죽은' '지나치게 사색적인' '차가운' 등의 수식어로 개혁주의 신학의 문제점을 꼬집고 있습니다. 이는 개혁주의 신학의 내용만을 지적한 것이 아니라 개혁주의 신학자의 성향까지 지적하는 것입니다. 적당한 변명도 필요할 것이지만 목에 반박의 핏대를 세우기 이전에 자신에 대한 정직하고 진실한 성찰이 우선인 것 같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개혁주의 신학은 감정이나 감흥에 휘둘리지 않고 유명세에 의존하는 법도 없으며 나에게 유익이 된다거나 끌리는 호기심에 맡겨지는 법이 없으며 상황의 시급한 필요에 성급하게 맞추고자 하지도 않.. 2021. 11. 9.
개혁신학과 기독교인의 공적 역할 개혁신학과 기독교인의 공적 역할 (Reformed Theology and the Public Role of Christians) Roel Kuiper 박사 (캄펀 신학대학교 총장, 네덜란드 국회의원) 서론: 도전적 전망 지난 세기에 한국은 복을 많이 받았습니다. 교회가 계속 새로 설립되고 있으며 어디에나 엄청난 수의 기독교인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기독교는 터전을 확실히 잡았고, 전도 활동은 큰 성과가 있었으며, 하나님에 대한 믿음은 한국 사람들로 하여금 2차 대전 동안 일본의 지배에 저항하도록 하였습니다. 타협하지 않는 믿음으로 인해 많은 희생도 있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한국에서 개혁교회와 개혁신학에 봉사하기 위하여 설립된 고려신학대학원 개교 7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2021. 11. 9.
신약의 주요맥락(1) / 조병수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목록가기 신약의 주요맥락 (1) 조병수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 / 그의나라교회 담임목사) 신약의 맥락을 정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책별로 마태복음에서 요한계시록까지 일괄적으로 살펴보거나, 책의 성격에 따라 복음서, 역사서, 서신서, 묵시서 등으로 고찰하거나, 조직신학적으로 신론, 인간론, 기독론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신약의 흐름을 정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에 하나는 신약의 주요인물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세례자 요한, 예수 그리스도, 사도 바울, 사도 요한, 그 외의 공동서신 기자들 (야고보, 베드로, 유다). 제1강 세례자 요한 세례자 요한은 사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만 언급되고 그외에는 신약성경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사복음서는 모두 세례자 요한에 대하여 자세히 보고하.. 2021. 11. 9.
사도행전을 읽는 교회들의 바른 자세 / 이승구 교수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목록가기 사도행전을 읽는 교회들의 바른 자세 이승구 교수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주께서 신약 교회를 이 세상에 세우신 이후 교회는 성령님의 인도하심 가운데서 주의 뜻에 순종하며 이 땅에서 주어진 사명을 잘 감당하기도 하였고, 또 때로는 하나님의 의도를 망각하고 자신들의 하려고 하는 것(agenda)을 가지고 자신들의 일을 하여 오기도 하였다. 이 역사의 과정을 살피는 이들은 누구나 교회가 성경이 가르치는 하나님의 뜻을 잘 파악하여 그렇게 파악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말한다. 만일에 마음 속 깊은 곳에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이들이 있다면 그들은 신약 교회에 속해 있지 않은 이단에 속해 있는 사람일 것이다. 거의 모든 이들이 교회는 하나님의 뜻을 받들고 그 뜻대로 전진해야 한다고 .. 2021. 11. 9.
신약 신학 (래드/ 레온 모리스/ 황창기) 목록가기 신 약 신 학 I . 서론 1. 읽어야 할 부분 1) 래드의 성경신학, 서론(14-45쪽) 2) 레온 모리스의 신약신학, 서론(9-25쪽) 3) 황창기의 성경신학은 무엇인가? 성경신학의 본질(35-54쪽:보스의 성경신학 서론) 신약신학 과목을 시작함에 있어 신약신학이 어떤 학문이며 무엇을 다루는가?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신학이란 무엇을 어떻게 다루는 학문인가를 규명하는 먼저 신학에 대한 정의를 바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왜냐하면 우선적으로 신약신학은 신학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신학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내리느냐에 따라서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아주 다른 신약신학이 존재하기(주장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정의 아래 행해지는 신학이.. 2021. 11. 9.
복음주의 신약신학의 동향 / 심상법 교수(총신대신학대학원 신약학) 목록가기 복음주의 신약신학의 동향 복음주의신학연구회 1996년 가을 정기모임 발표 이글은 심상법 교수(총신대신학대학원 신약학)의 논문이다. 심상법 교수는 고려신학대학원(M. Div.)를 거쳐, 미국 Biblica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S.T.M.)와 남아공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마가복음을 연구하여 박사학위(Th. D.)를 취득하였다. 아래의 논문을 보시면, 과거와 현재의 서구권에서의 신약(신)학의 동향을 읽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 이에 따른 개혁-복음주의 입장에서 나아갈 방향도 제시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필자는 복음주의 신학이 단순히 성경무오와 영감에 대한 보수와 투쟁으로 일관된 소극적이며 변증적인 신학활동에만 국한하기보다는 오히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성경의 무오와 영.. 2021. 11. 9.
신학적 해석학 - 안명준 교수 (평택대 신학과) 목록가기 신학적 해석학 평택대 신학과 안명준교수 정리 신대원 김정건목사 강의 내용 1. 신학이란 무엇인가? 2.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3. 신학과 해석학과의 관계 4. 칼빈 해석학의 중요성 5. 간결성과 용이성이란(brevitas et facilitas) 1. 신학이란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학자들은 신학을 하나님에 관한 학문으로 정의한다. Aristotle - viewed theology as the science with concerned god. 용어를 사용했다. T. Aquinas - "Theologia a Deo docetur, Deum dect, et ad Deum ducit." "Theology is taught by God, teaches God, and leads to God." C. Ho.. 2021. 11. 8.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P. Clowney),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2)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P. Clowney),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2) 진실 2021. 4. 2. http://blog.daum.net/kkho1105/23236 E. 클라우니(Edmund P. Clowney)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출생하여 휘튼대학과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예일대학교, 휘튼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개혁신학자인 메이첸이 세운 정통장로교회에서 안수를 받고 목회를 하다가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실천신학 교수와 총장으로 활동하였다. 이 글은 그의 저서인 Preaching and Biblical Theology에 기록한 된 것으로 요약 소개해 본다. 계시와 영감의 원리들* 성경의 일관된 메시지를 끊임없이 제공받지 않는 한 성경신학이란 말 자체가 하나의 모순일 수밖에 없다. 성.. 2021. 11. 8.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P. Clowney),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1)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P. Clowney),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1) 진실 2021. 3. 25. http://blog.daum.net/kkho1105/23220 E. 클라우니(Edmund P. Clowney)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출생하여 휘튼대학과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예일대학교, 휘튼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개혁신학자인 메이첸이 세운 정통장로교회에서 안수를 받고 목회를 하다가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실천신학 교수와 총장으로 활동하였다. 이 글은 그의 저서인 Preaching and Biblical Theology에 기록한 된 것으로 요약 소개해 본다. 타인이 쓴 책에서 설교를 베끼지 않는 설교자는 누구나 자기의 설교를 취합해 한 권의 책으로 내고 싶어 한다. 이 경우 설교 문.. 2021. 11. 8.
라이트(N. T. Wright) 교수님에 대한 한국 성경신학회의 성경적 반응 출처: 이승구 교수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wminb/13718962 라이트(N. T. Wright) 교수님에 대한 한국 성경신학회의 성경적 반응 8월 22일(월) 2시에 신반포중앙교회에서 열리는 성경신학회 28차 모임에서 나누어드릴 27호의 권두언을 미리 소개합니다. 미리 읽어 보시고, 그날 이 책을 받으시고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번 모임의 주제인 "목회서신 주해와 설교"를 기대해 주십시오. 많이들 참석해 주시기 바랍니다. ------------------------------------- 라이트(N. T. Wright) 교수님에 대한 한국 성경신학회의 성경적 반응 이번 호도 작년 여름 호(25호)에 이어서 라이트 교수님과 대화하는 글들을 중심으로 꾸며봅니다. .. 2021. 11. 8.
개혁주의 성경신학과 설교 / 이승구 교수 개혁주의 성경신학과 설교 / 이승구교수 개혁 신학적(改革 神學的) 관점(觀點)을 가지고서 성경신학(聖經神學)을 하는 분명한 모델을 제시한 개할더스 보스(G. Vos)를 생각하면서 우리는 이 모임을 갖고 있다. 아라빅 연구(Arabic studies)로 스트라스부르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하고(1888), 현재 칼빈 신학교의 전신인 기독교 개혁 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비롯한 폭넓은 신학 분과를 가르치고 강의하던 그가 1893년 초에 프린스턴 신학교의 성경신학 교수로 초빙 받고서 그가 은퇴할 때(1932)까지 39년 동안 성경신학을 강의하여 그 기록을 우리에게 큰 유산으로 남겨 놓은1) 보스는 개혁신앙을 가지고서 신학을 하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많은 개혁신학자들에게 깊은 영감의 원천.. 2021. 11. 8.
성경신학] 1부 제3장 구속이전의 특별계시의 내용 제3장. 구속이전의 특별계시의 내용 이 계시와 관련된 모든 내용은 지극히 원시적이다. 그것들은 주로 상징적이다. 즉, 직설적인 말씀보다는 증표들(tokens)로써 표현된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 증표들은 성경의 상징법의 일반적인 특성을 지닌다. 곧, 그것들은 교훈의 수단이 됨과 아울러, 또한 모형적인 -즉, 성례적인- 예표들로서 그상징되는 것들이 장차 실현될 것에 대한 확신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징성은 하나의 문학양식으로서의 기사에 있는 것이 아니다. 만일 그렇다면 그 내용들의 역사적 실재성이 부인되어 버릴 것이다. 그것은 실존하는 것들 속에 구체화되어 있는 진정한 상징법인 것이다. 이 점에서 볼때에 현대의 신화적 해석이 다음과 같은점에서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가 있다. 곧, 신화를.. 2021. 11. 8.
현대신학 입문서 목록가기 현대 신학의 흐름 : 자유주의 신학. 신 정통주의. 근본주의 및 최근신학으로 분류 제 1장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19세기 신학 : 1799년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론」출판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의 기간 의 신학(현대주의 신학. 신 개신교 신학 칭) 독일 신학계 주도 ➡ 1920년대까지 유럽 신학계 주도 ➡ 1930년대까지 미국 신학계를 주도했다. 1. 자유주의 신학의 사상적 배경 1. 계몽주의 버나드 램 교수는 계몽주의가 현대 정신과 신학에 미친 영향으로 일곱가지 지적 역사주의 : 객관적이고 정확한 역사적 사실만을 진리로 인정하려는 사상. 이것은 성서의 역사적 자료에 대한 신뢰성과 사실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자유주의의 발생을 촉진 시켰다. 이것들은 사회. 윤리 및 영적 .. 2021. 11. 7.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 / 합신대 정승원교수 목록가기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 신학자료실|2008/04/12 http://blog.paran.com/mokpojsk/25527433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정승원 합동신학대학교수의 현대신학해설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바르트 以後 신학계에 그와 견줄만한 학자는 판넨베르크 외에는 없다고 이야기들 한다.그의 신학의 독창성과 깊이에 따른 칭찬의 소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의 중요성(예를 들어, 부활의 역사성)이나 보편적 진리의 탐구를 강조하는 그의 신학적 방법 때문인지 보수 신학계에서도 그를 환영하는 편이다. 그러나 한편 그의 신학에 매우 위험한 요소들이 숨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2021. 11. 7.
판넨버그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적 신학 (Panentheistic Theology) 목록가기 판넨버그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적 신학 (Panentheistic Theology)*이 글은 총 4차에 걸쳐서 개혁신문 2002년 9월 7일~28일자(485~488호)에 실린 글입니다. *신문의 특성상 각주가 생략되어 있음을 양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적 신학 (Panentheistic Theology) 1. 서론 : 몰트만 신학의 기본적 특징 현대 신학의 물줄기는 하나님의 내재성을 강조하느냐 초월성을 강조하느냐의 기로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한쪽에 대한 과대한 강조는 현대 사회 인식에 있어서 잘못된 편견을 갖게 만든다. 하나님의 내재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신학을 특정 문화속에 갇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하나님의 초월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문화적 상황을 무시하도록 만들 수 있.. 2021. 11. 7.
현대 신학의 배경 목록가기 현대 신학의 배경 (1) 정승원 목사/ 예손교회, 합동신학대학 교수(조직신학)현대신학의 학문적, 사회적 배경으로 우리는 17세기 말에서 시작해서 한세기동안 유럽을 휩쓸었던 계몽주의 (Enlightenment)를 들 수 있다. 계몽주의는 인간의 것이 들어갈 여지가 없었던 교회(구․신교)의 통치와 권위로부터 나와 인간의 것으로 깨우쳐진(enlightened)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이것은 하나님이 중심이었던 세계관이 인간 중심으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인간의 지적, 도덕적 능력이 높게 평가되기 시작했고, 상대적으로 교회의 권위가 축소되기 시작했다. 이것을 달리 표현하면 인간의 이성이 계시를 대신하였고 자연주(naturalism)가 초자연주의(supernaturalism)를 대신했다는 것이며, 교회의.. 2021. 11. 7.
현대신학의 위기와 개혁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위기와 개혁신학 권용국 머리말 현대신학은 신학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바르트를 대표로 해서 불트만, 틸리히에 이르기까지 변증법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를 다시 신학의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현대신학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바르트의 계시신학은 「로마서」2판에서는 키에르케고르의 변증법적 사고에 강하게 영향 받으면서 초절주의로 나아가고 있으며, 「교회교의학」에서는 극단한 기독론적 계시론적 착상에 의해서 보편화해론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불트만의 변증법적 신학도 바르트의 계시신학적 착상에 의해서 강하게 영향받고 케리그마를 신학적 주제로 삼았으나,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을 신약성경 해석의 방법론으로 차용하면서 신약성경의 케리그마를 실존론적 의미성으로 평가 절하시키고 있다. 틸리히의 문화신학은 .. 2021. 11. 7.
현대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 ◎제1부 : 슐라이어마흐 제1장 서론 제2장 슐라이어마흐의 삶과 그의 경력 제3장 계몽주의에 대한 슐라이어마흐의 반응 제4장 신학적 방법 제5장 교리적 헌신 제6장 평가 및 결론 ◎제2부 : 리츨 제1장 서론 제2장 고전적 자유주의 제3장 알브레히트 리츨의 삶과 경력 제4장 리츨의 신학적 방법 제5장 평가 ◎제3부 : 아돌프 하르낙 ◎제4부 : 월터 라우셴부시 ⊙. 참고문헌 제1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흐 Friedrich Schleiemacher, 1768-1834 종교적 감정 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 제1장 서론 19세기 신학자들은 인간 생활 안에 종교라는 어떤 특정의 자리를 정함으로써 계몽 사상에 의해 초래되었던 곤경을 넘어서고자 했으며, 또한 그 결과로 초월성과 내재성 사이의 새로운.. 2021. 11. 7.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이상직(호서대) 목록가기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이상직(호서대)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이상직 교수(호서대) 현대신학은 조직신학, 교회신학, 성서신학, 실천신학등 여러 분야에서 접근할 수 있는 학문이다. 이 글은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현대신학을 접근하였다. 그런데 현대라는 특수성은 이들 분야가 엄밀하게 구분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현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시기적으로 이르며, 교회사학의 한 분야인 교리사는 결국 조직신학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신학이 이론 뿐만 아니라 실천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음으로 실천신학적인 관심을 고려하여야 하며, 성서의 현대적 의미를 강조하는 성서학자들이 점중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 분야들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Ⅰ. 현대신학의 공부 .. 2021. 11. 7.
현대신학 / 서철원 교수 현대신학 - 서철원 교수 - 제1강 (2002년 3월 12일) 현대신학은 통상 20세기라는 시간적 공간에서 일어난 토론을 말한다. 이것은 정통신학이 아니라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신학이 주를 이루는 신학이다. 이 강의는 두가지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현대신학이 기독교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둘째, 여러분들이 새로운 신학을 만날 때 그것을 식별해 내도록 하는데 있다. 현대신학은 새것이라서 재미는 있을 줄 몰라도 그것은 기독교가 아니라는 말이다. 이것은 교회를 교회되지 못하게 하는 신학이다. 독일을 가보라. 이것이 살아있는 교회인가 죽어있는 교회인가를 판별하고 나면 알게 될 것이다. 현대신학의 문제점, 특히 배우는 학생들의 문제점이 무엇이냐면, 일찍부터 신앙을 가지고 그렇게 자라면 그 표준으로 인..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1장 유럽 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1장 유럽 신학 Ⅰ. 19세기 신학 1. 18세기 배경 19세기 초기 신학자들의 신학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18세기에 일어난 신학적 사상운동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8세기를 지배한 사상운동은 크게 경건주의(Pietism)와 합리주의(Rstionalism) 두 가지로 열거 할 수 있다. (1) 경건주의 1648년 30년 전쟁이 끝날 무렵 독일의 신교에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루터파 교회는 외부적으로 정부의 행전적 관섭과 함께 내부적으로는 죽은 정통주의라고 할만큼 생활과 상관없이 지적인 수납으로 성경 위에 교리를 강조하는 교조주의가 지배하였다. 이런 배경아래 독일에서 참신한 영적 각성운동과 경건생활을 강조하며 평신도 위주의 형태로 경건주의가 일어났다. 18세기..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2장 미국 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2 장 미국 신학 Ⅰ. 개혁주의 신학 1. 프린스톤 신학 개혁주의 신학은 16세기 제네바에서 존 칼빈에 의하여 크게 두 가지 갈래로 발전한다. 1) 먼저 유럽대륙에서 화란 개혁교회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가 대표적이다. 미국이민자들은 미시간주 칼빈 신학교에서 그 신학적 전통을 계승하였다. 2) 또 한 편으로 영국으로 건너간 개혁주의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바탕으로 널리 확산되었고 다시 미국 이민자들을 통하여 1706년에 미국 장로 교회 첫 노회를 설립해서 1812년에 프린스톤 신학을 설립하여 미국 교회 교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프린스톤 신학의 영향은 미국 사회적인면에서도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또 19세기 미국 문화형성에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공헌을 ..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3장 비구미 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3 장 비구미 신학 Ⅰ. 해방신학 남미의 특수적 상황을 배경으로 정치, 경제의 비판적 인식을 골자로 한 정치적 구조와 사회악을 신학적으로 대처한 남미의 신학이다. 이 신학은 빈부의 격차와 정치적 억압을 없애고 현실적 자유와 해방을 강조하여 신학의 현실적 기여를 강조한다. 1. 직접적 배경 해방신학은 시기적으로 볼 때 후기 에큐메니칼 신학이다. 공산주의 마르크스 사상을 옹호하는 가운데 몰트만, 리차드 쇼울 등을 비롯한 신학자들이 혁명 가운데 역사하시는 혁명의 신학을 제창하였다. 이 몰트만의 연설문이 라틴 아메리카에 재빨리 문서로 소개되면서 진일보한 혁명신학이 논의되었다. 1970년대 초에 해방신학의 붐이 남미의 신학자들에 의하여 일기 시작한다. 구스타브 구티에레즈, 세군도, 휴.. 2021. 11. 7.
요아킴의 신학에 있어서 삼위일체론과 종말론 목록가기 요아킴의 신학에 있어서 삼위일체론과 종말론 서 론 요아킴(1132-1202) 의 삼위일체는 중세 신학자들이 주로 애용하던 본질의 단일성과 같은 내재적 삼위일체가 아니라 역사와 종말을 연관시켜서 삼위일체를 풀어 가는 것이다. 6-12세기까지 중세의 신학 속에는 종말론이 거의 나타나 있지 않다. 하지만 요아킴과 그를 따른 개혁파 프란시스칸들은 순교자 유스티누스와 이레네오스와 같은 고대 초기 교부들의 묵시 전통과 천년왕국 전통을 이어받아 그 바통을 16세기 과격파 종교개혁자들에게 넘겨주었다. 그가 삼위일체를 종말과 역사로 관련 지은 것은 교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이었다. 하지만 그의 종말론은 교회개혁과 직결되기에 중세교회에 위협적인 요소로 판단되어 정죄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Ⅰ. 그의 생애.. 2021. 11. 7.
칼빈주의 정통신학자들 칼빈주의 정통신학자들1. J. Calvin(1509~1564)- 1536~1559 : 1권)신론, 2권)기독론, 3권)성령론, 4권)교회론- 1537 , 1542 , 요한계시록을 제외하고 성경전체를 주석했다.- 칼빈의 신학사상은 모든 종교개혁자들과 같이 어거스틴의 사상을 재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칼빈은 오직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역사적 기독교회의 공동신조(사도신경)의 기초 위에 있는 어거스틴의 신앙과 신학사상에 입각하여 기독교의 교리체계를 확립했다. 단, 하나님의 절대주권, 성경의 유일무오, 예정, 하나님의 섭리, 인간의 타락, 신앙칭의, 구원의 단계, 교회제도 등은 칼빈만의 독특한 교리들이다.2. T. Beza(1519~1605)- 제네바아카데미 초대원장이자 칼빈의 후계자로서 칼빈 이후 40년간 .. 2021. 11. 7.
루터와 칼빈의 신학 루터와 칼빈의 신학 ‘오직 성경’을 주창하면서도 교회의 역사와 전통을 존중하는 종교개혁의 전통적인 교회는 루터교회, 개혁교회, 앵글리칸교회이다. 그러나 앵글리칸은 신학적으로 루터교와 칼빈주의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개신교 신학의 두 큰 주류의 원천은 루터와 칼빈이다. 칼빈은 루터의 신학적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루터와는 다른 교회와 신학적인 전통의 창시자가 되고 있으므로 두 종교개혁자의 신학을 피상적으로나마 함께 대비하면서 고찰하는 것이 개신교의 신학적인 전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욱이 칼빈의 신학의 특징은 루터 및 주변의 사상과 비교 평가하는 데서 더 옳게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칼빈은 종교개혁이 한창 진행중이었던 시대에 활동하기 시작한 종교개혁의 제2세대에 속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두 사람.. 2021. 11. 7.
칼빈의 설교에 나타난 신학적 강조점 /김재성교수 칼빈의 설교에 나타난 신학적 강조점 김재성/합동신학교 대학원대학 조직신학 교수 1.서론 이 글에서는 칼빈의 설교에 담긴 몇 가지 신학적인 기초를 재발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칼빈의 설교론’ 에서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검토하여 보므로 오늘의 설교에 교훈을 얻고자 한다. 칼빈은 매우 뛰어난 종교개혁 신학자요, 성경강해 설교가요, 성경신학적인 변증가였다. 오늘날 남아 있는 그의 설교 목록은 약 2050편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에 구약 571편과 신약 397편은 거의 완벽한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그는 교회력을 완전히 무시하고 성경 자체를 차례로 강해해 나갔다. 히브리어와 헬라어로된 성경 원문만 강단에 들고 올라가서 중요한 단어와 문법과 뜻을 순서대로 플이하였다. 칼빈은 제네바시의 중심에 .. 2021. 11. 7.
신칼빈주의 운동이 사회에 미친 영향 / 이정석 (풀러신학교 교수) 신칼빈주의 운동이 사회에 미친 영향 이정석 (풀러 신학교 교수) http://jsrhee.hihome.com/Neocalvinism.htm 신칼빈주의 운동이 사회에 미친 영향 총신대보, 2001년 11월호 이정석 (풀러신학교 조직신학교수) 세계 역사는 운동(movement)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열정적인 주창자를 중심으로 그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집단을 형성하여 사회적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운동에는 성공한 운동과 실패한 운동이 있으나 모두 역사를 형성하는데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람들은 대개 생각에서 그치지만, 운동가들은 그것을 실천에 옮겨 자기 세계의 변화를 추구하며 동지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형성한다. 운동이란 변화의 역학으로서, 기독교의 발전도 헌신적이고 용감한 그리스도인들이 주도한 .. 2021.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