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神學, theology)
하나님이 계시하신 진리를 신앙과 이성으로 파악하려는 학문적 노력.원래는 고대 그리이스 철학자들이 신들에 대한 이야기, 혹은 신개념에 대한 철학적 논설에 쓰이던 말이었는데 기독교 교리를 설명하는 용어로 채택되었음. 출발점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이며, 협의로 본다면 하나님의 존재와 본질만을 취급하나, 광의로 생각하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제반 문제를 다룸.신학의 소재는 성경.신학은 그 원리에 따라 주경신학(성경신학), 조직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등으로 구분됨.신학에는 기본적인 세 가지 틀이 있음. 정통, 자유, 급진적 신학이 그것인데, 이 세 가지 틀들은 기독교 신앙의 각기 다른 시대에 형성된 세 채의 집들과도 같음. 1. 정통신학그 출발점은 성경이며 교의학적 전통을 말함.정통주의라고 할 때 이 말..
2023. 1. 22.
해방신학
1960년대 후반에 출현하기 시작한 혁신적인 신학체계로 1968년 콜롬비아의 메덜린에서 개최된 제2차 라틴아메리카 주교회의에서 처음으로 구체화 됨. 종교개혁 좌파로 분류되는 급진주의 신학인데 '백인도, 부유하지도, 남성도 아닌' 사람들이 하는 신학.1, 역사적 사회적 배경- 대억압, 경제적 좌절,2, 사상적 배경- 마르크스 주의3, 신학적 배경- 바르트의 종말론, 본 회퍼의 정치신학, 남아프리카의 촌락에서, 엘 살바도르의 피난민 촌에서, 스리랑카의 방직공장 가난한 근로자 사이에서 발생한 신학으로 시각의 변화를 강조. 단순히 인종, 성, 계급이라는 것 때문에 억압과 차별을 받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 신학. 이 신학의 기본 원칙은 가난한 자들이 우리의 선생이라는 것. 여기서는 가난한 자들이 역사의 피해자들..
2023. 1. 18.
치유사역에 관한 신학적 소고 P1
목록가기 ◈치유사역에 관한 신학적 소고 P1 스크랩, 정리 치유사역을 신학적으로 한 번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그 이유는, 성경에 나타난 치유사역은 우리가 보통 예수님께서 병자들을 불쌍히 여기셔서 그들을 치유해 주셨다, 또 사도행전에도 사도들의 행적 가운데 치유사역이 나타납니다. 사도들이 병자들을 불쌍히 여겨서 기도해서, 그들의 병을 낫게 해 주었다, 기적적으로 고쳐주었다.. 그것은 물론 사실입니다. 그 사실을 반드시 인정하지만 그런데 그런 측면만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냥 병자들을 치유해 주는 그것만 가 아니고 좀 더 다른, 영적이고, 신학적인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왜냐면 마태, 마가복음, 사도행전 등이 예수님이나 사도들이 병자들을 치료한 그 시점에, 바로 그 해에 일기처럼, 다이어리처럼 기록한 것..
2022.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