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성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성 (The Spirituality of David Brainerd) 김영한(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장) 머리말 우리는 구약과 신약을 통하여서 하나님과 동행한 많은 신앙의 선조들(에녹,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 엘리야, 엘리사, 문서 선지자 등)을 읽는다. 그러나 하나님과 동행하는 역사는 규범적인 성경에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 기독교는 2천년의 역사를 통하여 많은 경건의 보고를 지녀왔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교회사를 거치면서 이 세상에서 하나님과 동행하고 지상에서 천국의 영광과 아름다움을 미리 체험한 많은 경건한 신앙의 선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속사도시대, 교부시대와 중세교회와 근세교회를 통하여 수많은 믿음의 성현들을 만나게 된다. 속사도시대에는 폴리갑, 교부시대는 안토.. 2021. 10. 31.
제자의 길, 교회공동체의 길 - 본회퍼에 있어서 영성의 문제 - 제자의 길, 교회공동체의 길 - 본회퍼에 있어서 영성의 문제 - 손규태 서론적 고찰 개신교에서 영성이 주제가 된 것은 종교개혁 당시의 루터와 대결했던 열광주의자들(Schwamer, Schwarmgeister)과 불링거(Bullinger)가 언급한 성령주의자들(Spirituoser)에게서 그 기원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성직자 중심의 제도적 교회와 화석화된 교리중심의 신학에 대해서 반감을 갖고 보다 자유롭게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생활신앙을 추구했다. 루터 당시 이른바 반율법주의자들로 알려진 열광주의자들은 율법의 규제보다는 복음의 자유를 주창했고, 가톨릭의 공로사상에서 벗어난 종교개혁 운동마저도 다시 율법주의의 종교가 되어가는 것을 비판했었다. 종교개혁 이후 17-18세기 개신교 정통주의, 경건주의 .. 2021.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