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123

필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필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Philipp Melanchthon, 본명: 필리프 슈바르체르트 Philipp Schwarzert, 1497년 2월 16일 브레텐 출생, 1560년 4월 19일 비텐베르크 사망)은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이다.[1]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의 동료로서 종교개혁운동을 통한 복음주의의 확립을 위하여 투쟁하였다. 1519년 루터와 함께 라이프치히 논쟁에도 참석하였다. 비텐베르크 대학의 교수로 있으면서 개신교 신학의 기초를 세우는 데 노력하였다. 신학자들의 신학적 차이를 화해시키는 관용적 인물로 종교개혁 신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저서로는 《신학 강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등이 있다.[2] 목차 1신학 2평가 .. 2021. 10. 31.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르네 데카르트 René Descartes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서명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왕국 라에 엔 투렌 1650년 2월 11일 (53세) 스웨덴 왕국 스톡홀름 17세기 철학 서양철학 데카르트주의 합리주의 기초주의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프랑스어: René Descartes [ʁəne dekaʁt][*], 라틴어: Renatus Cartesius 레나투스 카르테시우스[*], 문화어: 르네 데까르뜨, 1596년 3월 31일 - 1650년 2월 11일)는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근대 철학의 아버지,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는 합리론의 대표주자이며 본인의 대표 저서 《방법서.. 2021. 10. 31.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프니츠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오스트리아의 지명에 대해서는 라이프니츠 (오스트리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서명 1646년 7월 1일 신성로마제국 작센 선제후령 라이프치히 1716년 11월 14일 신성로마제국 작센 선제후령 하노버 17세기 ~ 18세기 철학 서양철학 합리주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독일어: 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다. 라이프니츠는 책을 쓸 때 라틴어(~40%), 프랑스어(~30%), 독일어(~15%)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였다.[1] 라이프니츠는 철학과 수학의 역사.. 2021. 10. 31.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뤼흐 스피노자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 바뤼흐 스피노자(네덜란드어: Baruch Spinoza, 라틴어: Benedictus de Spinoza, 히브리어: ברוך שפינוזה, 포르투갈어: Bento de Espinoza, 1632년 11월 24일 ~ 1677년 2월 21일)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포르투갈계 유대인 혈통의 철학자이다.[1] 스피노자가 쓴 저작의 과학적 태도와 포괄성, 철학사적 중요성은 스피노자 사후 오랜 세월동안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으나 오늘날 스피노자는 18세기 계몽주의와 근대 성서 비판의 토대를 놓은 유럽 17세기 철학의 합리주의자 세 거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인정받는다.[2] 대작 《에티카》에서 스피노자는 데카르트.. 2021. 10. 31.
존 로크 존 로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 존 로크 (로스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존 로크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서명 존 로크 존 로크(John Locke, 1632년 8월 29일 - 1704년 10월 28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철학자·정치사상가이다 로크는 영국의 첫 경험론 철학자로 평가를 받지만, 사회계약론도 동등하게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사상들은 인식론과 더불어 정치철학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가장 영향력있는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자유주의 이론가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들은 볼테르와 루소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 혁명뿐만 아니라 여러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영향은 미국 독립 선언문에 반영되어 있다. 평화·선의·.. 2021. 10. 31.
아이작 뉴톤 아이작 뉴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생사망국적분야소속출신 대학지도 교수지도 학생주요 업적수상종교 아이작 뉴턴 Isaac Newton 아이작 뉴턴(1689년) 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 영국 링컨셔주 울즈소프 그레고리력 1727년 3월 31일 (84세) 영국 런던 켄싱턴 영국 수학, 물리학, 천문학, 연금술, 자연철학, 기독교 신학, 경제학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과 케임브리지 대학교 아이작 배로(영어: Isaac Barrow) 벤저민 풀린(영어: Benjamin Pulleyn) 로저 코츠 윌리엄 휘스턴(영어: William Whiston) 뉴턴 역학 뉴턴 운동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기하광학 뉴턴의 방법 퓌죄 급수 뉴턴 유체 뉴턴-코츠 공식 뉴턴의 냉각 법칙 왕립학회 회원 성공회 또는 청교.. 2021. 10. 31.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라스뮈스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에라스뮈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Desiderius Erasmus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네덜란드어: Desiderius Erasmus, 1466년 10월 27일 ~ 1536년 7월 12일)는 일반적으로 에라스무스로 부르는데 네덜란드 태생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자 인문주의자이다. 종교개혁 운동에 영향을 준 기독교 신학자이다. 이름 뒤에 Roterodamus를 붙여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로테로다무스로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그의 라틴어 필명이었다. 데시데리우스는 갈망(desire)을 의미하는 라틴어 명사인 데시데리움(desiderium)의 변형이고, 에라스무.. 2021. 10. 31.
데이비드 흄 데이비드 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이비드 흄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 보수주의 데이비드 흄(영어: David Hume, 1711년 4월 26일 - 1776년 8월 25일)[1]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이며 역사가이다. 서양 철학과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에 관련된 인물 중 손꼽히는 인물이다. 역사가들은 대개 흄의 철학을 회의론의 연장선상에 놓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자연주의적 요소가 흄의 철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놓고 논쟁을 벌여왔다. 흄의 학문은 여태껏 흄의 회의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사람들(리드, 그린(Greene) 같은 부류나 논리실증주의론자들)과 자연주의자적 면모를 강조하는 사람들(돈 개릿, 노먼 켐프 스미스, 케리 스키너, 배리 스트.. 2021. 10. 31.
무릎의 성자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무릎의 성자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는 1718년 4월 20일 미국 코네티컷주 헤이담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애는 어렸을 때부터 불운의 연속이었다. 아홉 살에 아버지를 잃고, 열네 살에는 어머니까지 잃었다. 그런 영향 때문인지 평생동안 우울증과 결핵을 안고 살았다. 청소년 시절부터 죄와 구원의 문제로 고민하면서 금식과 기도 훈련을 받았다. 21살 때에 죄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축복을 확신하면서 목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해 예일대학교에 입학하여 영적인 성숙에 매진했으나 학교 당국에서 오해하는 바람에 퇴학당하고 말았다. 아픔과 상처를 안고 대학을 떠난 후 부레이너드는 목회자들에게 개인적으로 신학 수업을 받아 설교할 자격을 얻었다. 24살에 선교에 헌신하여 스코틀랜드 선교 협회로부터 인디언선교사.. 2021. 10. 31.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회심 1. 브레이너드(1718~1747)에 대한 간략한 소개 브레이너드는 18세기 최고의 미국 청교도인 조나단 에드워즈에 의해 알려진 인디언 선교사이다. 그는 1718년 4월 20일 미국 동부 코네티컷(Connecticut)의 헤이담(Haddam)에서 5남 4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나이 9살 때 아버지는 돌아가셨고, 목사의 딸이었던 어머니도 14살 때 세상을 떠나셨다. 어릴적 양친을 잃은 그는 온순했지만, 우울해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때로 우울(melancholy)과 경건한 슬픔(godly sorrow)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그의 장인인 에드워즈와 대화를 하곤 했다. 그래서인지 그는 우울증 덕택에 풍부한 감정의 소유자가 되었다. 그의 우울증은 일기에서도 나타나는 그의 특징적 내면성이다.1) 그가 .. 2021. 10. 31.
기도로 승리한 사람-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기도로 승리한 사람-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전기를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참으로 비슷하다는 것이었다. 보통 다른 전기들을 읽고 있노라면 약간은 이질감을 느끼기도 하는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전기를 읽는 동안은 그런 이질감 보다는 오히려 동질감을 더 많이 느낀 것 같다. 그 이유는 어디있을까? 바로 유혹에 약하고 상황에 약한 모습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역시 영적으로 뛰어난 사람은 무엇인가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전혀 부족함 없는 삶을 사신 분이라는 것이 결론이었다. 많은 유혹과 시련이 다가와 몇 번이고 넘어지고 좌절하고 쓰러져도 다시 한 번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며 기도로 일어서는 모습들..... 이러한 모습들이 있기에 오히려 더욱 도전을 주는 것 같다. 처음부터 너무 잘나가면(.. 2021. 10. 31.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성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성 (The Spirituality of David Brainerd) 김영한(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장) 머리말 우리는 구약과 신약을 통하여서 하나님과 동행한 많은 신앙의 선조들(에녹,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 엘리야, 엘리사, 문서 선지자 등)을 읽는다. 그러나 하나님과 동행하는 역사는 규범적인 성경에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 기독교는 2천년의 역사를 통하여 많은 경건의 보고를 지녀왔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교회사를 거치면서 이 세상에서 하나님과 동행하고 지상에서 천국의 영광과 아름다움을 미리 체험한 많은 경건한 신앙의 선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속사도시대, 교부시대와 중세교회와 근세교회를 통하여 수많은 믿음의 성현들을 만나게 된다. 속사도시대에는 폴리갑, 교부시대는 안토.. 2021. 10. 31.
선교일지 1746년 1월 19일 (주일)그리스도의 노예 선교일지 1746년 1월 19일 (주일)그리스도의 노예 이사야 55장 7절을 본문으로 양들에게 말씀을 전했다. 밤이 가까이 올 무렵 여느 때처럼 교리문답식으로 말씀을 전했다. 우리 가운데 강력한 은혜가 임한 시간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깊은 은혜를 받았다. 죄를 깊이 깨달을 자들이 있는가 하면 마음이 새로워지고 힘을 얻은 자도 있었다. 지치고 무거운 짐을 진 한 영혼이 있었는데, 그리스도 안에서 참된 안식과 견고한 위로를 얻게 되었다. 그는 그 후에 하나님이 자신의 영혼을 다루신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풍성한 만족과 새 힘을 얻었다. 그는 내가 사람들에게, 자신이 철저히 무능하고 타락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들었다. 자신을 의지하는 마음이 전혀 없어야 하며 구.. 2021. 10. 31.
인디언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쳐 헌신한 선교사 데이빗 브레이너드 |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데이빗 브레이너드는 1718년에 커넥티커트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아홉 살에 아버지를 잃고 열네 살에 어머니를 잃게 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그는 천성적으로 우울함과 낙담에 빠지기 일쑤였습니다. 늘 아빠, 엄마를 찾으며 울고 슬퍼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1740∼1743년의 뉴잉글랜드 대각성운동 기간에 그는 성년이 되었습니다. 그는 부흥운동가들의 영향을 받아 개인적 구원체험을 얻고자 하여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구원받기 위해서는 단지 그리스도를 믿으라는 말씀이 와 닿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그는 구원문제를 앞에 두고 1년 이상을 기도와 금식으로 시간을 보낼 정도로 열렬한 성령파였습니다. ‘주님! 저의 눈을 열어 저의 죄악을 깨닫게 해주십시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알게 해 주십시요!’ 때때로.. 2021. 10. 31.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칸트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칸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마누엘 칸트 Immanuel Kant작가 정보출생사망직업언어국적학력학파스승부모주요 작품서명묘소 이마누엘 칸트 (18세기 작품).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 왕국 쾨니히스베르크 1804년 2월 12일 (79세) 프로이센 왕국 쾨니히스베르크 철학자, 인류학자, 물리학자, 사서, 작가, 교육자, 대학 교수, 수학자 독일어 프로이센 왕국 University of Königsberg 독일 관념론, 계몽주의 Martin Knutzen, Johann Gottfried Teske Johann Georg Kant (부) 3비판서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 비판》 .. 2021. 10. 31.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헤겔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헤겔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작가 정보출생사망직업언어국적학력학파수상부모배우자자녀주요 작품서명묘비묘소 헤겔 초상화. 야콥 슐레징어 작(1831년) 1770년 8월 27일 슈투트가르트 1831년 11월 14일 베를린 철학자, 대학 교수, philosophy historian 독일어 독일 튀빙겐 에버하르트 카를 대학교 예나 프리드리히 실러 대학교 독일 관념론 Order of the Red Eagle 3rd Class (1831) Georg Ludwig Hegel (부) Maria Magdalena Loui.. 2021. 10. 3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한 볼프강 폰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작가 정보출생사망직업국적활동기간장르배우자주요 작품서명 요한 볼프강 폰 괴테(독일어: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년 8월 28일 ~ 1832년 3월 22일)는 독일의 낭만주의 성향 작가이자 철학자, 과학자이다. 바이마르 대공국에서 재상직을 지내기도 하였다. 목차 1생애 1.1초기 바이마르 1.2이탈리아 1.3바이마르 2업적 3종교 4작품 5같이 보기 6참고 7외부 링크 생애[편집] 괴테는 1749년 8월 28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태어났다. 왕실고문관인 아버지 요한 카스파르 괴테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시장의 딸인 어머니 카타리네 엘리자베트 텍스토르 .. 2021. 10. 31.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Johann Gottlieb Fichte작가 정보출생사망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 1762년 5월 19일 - 1814년 1월 27일)는 독일 철학자이다. 헤겔, 프리드리히 셸링과 더불어 독일 관념론을 대표하는 사상가이다. 철학사적으로는 지식학(Die Wissenschaftslehre)을 주로 하였으며 칸트의 비판철학의 계승자 또는 칸트로부터 헤겔에로의 다리 역할을 한 철학자로 인정되고 있다. 단지 일반적으로는 통속철학의 저작이 유명하게 된 경우가 많아 당시 나폴레옹 1세에 점령되어 있던 베를린에서 행한 교육 등에 관한 강의록 의 강의자로서 유명하게 되었다. 생애[편집] 피히테는 가난한 삼베.. 2021. 10. 31.
찰스 피니의 신학 찰스 피니의 신학에 나타난 펠라기우스주의적 경향은 자신의 획기적 방식에 편승해서 하나님이 정하신 수단을 무시하는 태도를 정당화한다. 대단히 요란하게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많은 운동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런 새로운 수단을 바탕으로 '회심한' 많은 사람도 급속히 싹을 트웠다가 오후 햇빛에 급속히 시들어질 뿐이었다. 자신의 목회를 마감할 무렵, 피니 자신도 종교의 상태에 대해 크게 탄식하면서 자신이 고안한 새로운 수단이 결코 충족될 수 없는 '흥분'을 향한 열망을 불러일으켰는지 그렇지 못했는지에 대해 크게 의아해했다. 2021. 10. 31.
방법론적 실용주의 19세기에는 신앙 부흥 운동이 미국 전역에 불길처럼 번져 나갔다. 종종 '연장 집회'라고 불렸던 이런 모임은 큰 목조 예배당이나 천막 안에서 열렸다. 이런 모임은 흥분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진지한 종교적 예배만이 아니라 그에 못지않게 대안적인 흥밋거리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이런 부흥 운동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던 장소들은 보통의 교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건축 양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대두된 대중문화를 본떴는데, 주점을 공공연히 비난하면서도 주점의 양식을 도입해 무대를 설치하고, 무대의 앞쪽 중앙에 성가대를 배치했으며, 민요풍의 복음 성가를 도입했다. 그런데 찰스 피니가 지지한 방법론적 실용주의의 저변에는 하나님, 인간 본성, 구원을 이해하는 전통적 형식의 신하과 결별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오늘.. 2021. 10. 31.
찰스 피니 새로운 견해 웨일즈의 칼빈주의 감리교 지도자이며, 부흥 시대에 왕성한 설교 사역을 했던 존 엘이아스도 같은 관점에서 지적헸습니다. 피니가 가르친 그 새로운 견해가 처음 대서양을 건너 영국에 전해졌을 때, 엘리아스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던졌습니다. "인간의 전적 타락, 완고함, 영적 죽음의 상태와 오직 성령의 깨우치심과 이기게 하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단 말인가?" 미국의 목사들이 그랬던 것처럼 엘리아스 목사도 "이 잘못된 원리가 황폐해진 우리 교회에 들어오지 않아야 할 텐데"라며 걱정스러워했습니다. 2021. 10. 31.
찰스 피니 새로운 방식 찰스 피니의 '새로운 방식'은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설교자의 요구에 순종해야 한다고 가르쳤기 때문에, 그렇게 순종하는 것만이 곧 그들이 은혜 안에 거하게 됐다는 확신을 갖게 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만일, 정말로 강단 앞으로 걸어나오는 것만으로 그리스도를 영접할 수 있다고 한다면, 그렇게 순종했던 모든 사람은 집회가 끝날 때쯤 틀림없이 그리스도인이 되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견해는, 구원의 확신은 성령이 주시는 것이며, 그분의 증거 없이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고 누구도 단정지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변화된 삶과 그의 고백이 일치해야 한다고 지금까지 주장해 왔던 칼빈주의와 심지어 알미니안주의가 견지한 고전적 복음 전도의 구원관과는 완전히 다른 구원관을 기초로 하고 있는 것입니다. 2021. 10. 31.
찰스 피니 새 학설 찰스 피니의 새 학설은 위험스럽게도 회심에 대해 경박한 개념을 널리 퍼뜨렸으며, 결국 죄에 대해서도 피상적인 생각을 갖게 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상태는 새로운 방식을 말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것을 알이야 합니다. 피니는 이런 새 관점에 근거하여 1834년에 뉴욕의 청중에게 회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지난 많은 세기 동안 진정한 복음은 거의 선포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찰스 하지는 프린스턴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죄인들이 스스로 거듭날 수 있으며, 자신들이 원할 때는 언제든지 회개하고 믿을 수 있다고 하는 이 교리처럼 영혼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교리는 없을 것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2021. 10. 31.
구학파가 찰스 피니의 부흥관을 비판한 이유 이른바 '새로운 방식' 이라 불리는 피니의 주장은 두 가지 개념, 즉 외적인 행동과 진정한 거듭남을 혼동했기 때문에 반대에 부딪힌 것입니다. 당연히 우리는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을 수도 있고, 손을 높이 들거나 앞으로 걸어 나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결코 그런 행동들이 한 사람을 그리스도인으로 만들거나 또는 그리스도인으로 만드시는 주의 사역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먼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채 새로운 어떤 방식을 말하거나, 심지어 거듭나지 않은 사람일지라도 회심에 이를 수 있는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처럼 그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회심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2021. 10. 31.
강단 초청 1830년대에 이 주제와 관련하여 많은 토론이 있었는데, 찰스 피니는 줄곧 자신의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물론 그의 주장이 실용적이기는 했지만, 그러나 성경적이지는 않았습니다. 피니는 전도를 할 때 복음을 듣는 자들이 즉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그들 스스로 선택할 권한이 있음을 가르쳐 주어야 하며, 또한 그들은 자신들이 실제로 신실하게 그리스도를 선택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그것을 입증할 만한 어떤 행동인가를 해야 한다고 가르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른바 '강단 초청'은 회심하고자 하는 이들의 확실한 결단을 나타내 보이기 위해 가시적인 행동을 하도록 권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특이한 행동들이 자연스러운 흥분을 조작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평가하.. 2021. 10. 31.
찰스 피니 찰스 G. 피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찰스 G. 피니 찰스 그랜디슨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1792년 8월 29일– 1875년 8월 16일)는 미국 장로교 목사이며 미국의 제 2차 부흥운동(1800-1810)의 지도자이며 현대 부흥운동의 아버지이다.[1] 피니는 뉴욕 북서부와 맨하튼에서 1825년-1835년 기간동안 혁신적인 부흥운동가로 가장 잘 알려지게 되었다. 구파 장로교 신학을 반대하고 기독교 완전주의를 주장하며 여러 글들을 남겼다. 그는 노예제도의 폐지를 주장하고 여성과 흑인들의 교육과 같은 사회 개혁을 증진하였다. 아더 태펀 피어선 박사는 찰스 피니목사에게 영향을 받았다. 목차 1신학 2저서 3각주 4외부 링크 신학[편집] 칼빈주의 신학을 거부하고 알미니안.. 2021. 10. 31.
부흥에 대한 이해 부흥에 대한 이해 조나단 에드워즈와 찰스 피니의 차이는 본질적으로 중세와 현대 사상의 차이다. 에드워즈는 하나님을 우주의 중심으로 보았고, 피니는 인간을 우주의 중심으로 보았다. 에드워즈는 부흥을 '기도해야 할 것'으로 보았고, 피니는 부흥을 '인위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2021. 10. 31.
부흥이 우리에게 달린 것이라면 만약 부흥이 우리에게 달린 것이라면 그리스도인들은 몹시도 부흥을 일으키고 싶어할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며, 만일 이런 노력들이 흥분을 자아내고 군중들을 많이 모을 수 있게 되면 일시적으로는 정말 기대한 것이 성취된 것처럼 보여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토록 애써 노력을 기울여 고작 일시적인 결과들을 얻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보다 더 부흥의 개념을 왜곡시키는 것은 없을 것입니다. 2021. 10. 31.
찰스 피니의 신학적 뿌리 이렇게 찰스 피니의 방법들이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를 지배하고 있는데, 복음주의 교회들은 찰스 피니의 신학과 방법론들이 매우 위험한 인본주의 신학으로서 반펠라기우스 신학에 근거한 것임을 모르거나 무시하고 있다. 먼저 그의 죄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사람은 본질상 죄인이 아니라고 말하며, 사람들이 죄인이 되는 것은 태어난 환경 때문인데, 이 세상이 악한 동기로 가득 차 있으므로 죄를 지어서 죄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즉 원죄를 부인하는 것이다.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심령이 부패되었다는 것을 부정한다. 찰스 피니의 이러한 죄에 대한 이론은 오늘날 심리 치료 복음의 인간론과 맞아 떨어져서, 복음주의 교회들이 죄의 문제를 해결하는 복음에서부터 자긍심을 회복하는 복음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찰스 피니의 죄에 대한 .. 2021. 10. 31.
사회개혁운동 네 번째로, 찰스 피니가 복음주의에 영향을 준 것은 사회개혁운동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교회개혁운동이 아니라 보다 직접적인 사회개혁운동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오늘날 복음주의가 사회, 정치 개혁운동에 새로운 발로를 모색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들이 여러 가지 인권 운동에 깊이 개입하면서 정치적으로 연합하여 그 행동들을 모색하고 있는데, 바로 찰스 피니로부터 나온 것이다. 찰스 피니가 사회적, 도덕적, 정치적 개혁에 앞장선 데는 신학적인 이유가 있다. 우선 찰스 피니는 뉴헤븐 신학을 따랐기 때문에 죄의 본질을 이기심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회심한다는 것은 자기의 이기심을 버리고 모든 자에게 선을 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또 다른 이유는 찰스 피니의 신학체계 중에서 중생과 회심의 신학이.. 2021.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