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058

아리우스 아리우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리우스(Arius, 250년 또는 256년 - 336년)는 초기 기독교시대에 활동했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신학자이다. 그는 ‘성자’ 예수는 영원한 존재가 아니지만 성부와 유사한 본질(유사본질), 곧 신성을 가진 존재로써 하느님으로 불릴 수 있지만 '참 하느님'은 오직 성부이시며, 그러한 의미에서 예수는 인간도 하느님(참 하느님)도 아닌 인간과 하느님(성부)의 중간 존재라고 하였으며(천사라는 것도 아님) ‘성부’에게 종속적인 개념이라고 주장하였고 그의 주장은 아리우스주의라는 초기 기독교 분파로 발전하였다. 당시 그의 주장은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폭넓게 받아들여졌지만 결국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직접 주재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 2021. 11. 1.
에우세비우스 에우세비우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우세비오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에우세비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카이사레아 에우세비우스 에우세비우스(Eusebius, 기원후 263~339년), 에우세비오는 로마의 신학자, 역사가, 석의학자이다. 그는 314년 즈음에 팔레스타인에서 카이사레아의 주교가 되었다. 팜필루스와 함께 그는 정경의 학자였다.[1] 목차 1신학 2저서 3같이 보기 4외부 링크 신학[편집] 그는 그리스도의 사역에 관하여 최초로 삼중직, 즉, 선지자, 제사장, 왕으로 나눈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저서[편집] 교회사(Church History (그리스어: Ἐκκλησιαστικὴ ἱστορία; 라틴어: Historia Ecclesiastica or His.. 2021. 11. 1.
아타나시우스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보이기] 기초[보이기] 경전[보이기] 기독교 신학[보이기]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보이기] 교파[보이기] 기독교 관련 설화[보이기] 기타 일반[보이기] v t e 아타나시우스 신경(信經) 또는 아타나시오 신경 또는 위-아타나시오 신앙 고백은 그리스도교의 신학자인 성 아타나시오의 신앙고백문으로 알려져있었으나, 최근 들어 성 아타나시오의 이름을 빌린 430-500년에 남부 프랑스에서 아를 지방의 익명의 저자가 저술하였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신앙 고백은 삼위일체에 관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명확한 신앙 고백으로 유명하며, 독보적이다. 그리스도교 교파 중 천주교와 성공회에서 사용하고 있다. 주로 천주교의 경우 아타.. 2021. 11. 1.
아타나시우스 2021. 11. 1.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아타나시우스주교, 교부출생선종교파축일수호 293년 로마 제국 알렉산드리아 373년 3월 2일 비잔티움 제국 알렉산드리아 보편교회 5월 15일 (콥트) 5월 2일 (서방) 1월 18일 (동방) 주교, 증거자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그리스어: Αθανάσιος, 296/298년? ~ 373년 5월 2일)는 4세기에 활동했던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이다. 아타나시오, 아타나시오스라고도 불린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로부터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개신교로부터는 위대한 교회의 신학자요 지도자로 여겨지고 있다. 325년 기독교 최초의 세계 공의회인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부와 성자의 동일한 본질을 말한 그의 주장을 인정받아 정통.. 2021. 11. 1.
카파도키아 교부 카파도키아 교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파도키아 교부(- 敎父, Cappadocian Fathers)는 동방 정교회의 다음 세명을 지칭하는 명칭이다. 바실리우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바실리우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위 세명은 4세기에 활동한 기독교 신학자 및 주교로, 동로마제국의 카파도키아에서 활동을 하여, 각자의 교회에서 지도자로 역할을 하였으며 공의회 및 서간논문을 통해 아리우스파에 대한 반박, 삼위일체론을 포함한 정통주의 교의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바실리우스와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는 어린 시절의 친구였으며,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바실리우스의 동생이다. 같이 보기[편집] 삼위일체 교부 동방교회 분류: 4세기 기독교 성인 기독교 용어 교부 .. 2021. 11. 1.
암브로시우스 암브로시우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암브로시우스주교, 교부출생선종교파축일수호 337년에서 340년 사이 독일 트리어 397년 4월 4일 이탈리아 밀라노 보편교회 12월 7일 양봉민, 양초 제작자, 가축, 밀라노, 학생 암브로시우스(라틴어: Sanctus Ambrosius, 340년?~397년 4월 4일) 또는 성 암브로스(Ambrose)는 4세기에 활동한 서방 교회의 4대 교부 중 한 사람으로서 법률가이자 밀라노의 주교이다. 아리우스파에 맞서 정통 기독교의 전례와 성직에 대한 개혁을 이룩한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기독교의 성인이며 교회박사 가운데 한 사람이다. 로마 가톨릭에서의 축일은 12월 7일이며, 성공회에서의 축일은 4월 4일이다. 암브로시우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불멸.. 2021. 11. 1.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span>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교부출생선종교파축일수호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그리스어: Ιωάννης ο Χρυσόστομος 이오안네스 오 크뤼소스토모스[*], 349년경 – 407년)또는 요한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은 초기 기독교의 교부이자 제37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였다. 뛰어난 설교자였던 그는 중요한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고 끊임없이 기독교 교리에 대해 설전을 펼쳤다. 동로마 황제 아르카디우스와 그의 아내 아일리아 에우독시아에 의해 박해를 받고 유배를 당해 유배지에서 죽었다. 그의 죽음 이후 ‘황금의 입을 가진’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인 크리소스토무스라는 별칭이 붙었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 2021. 11. 1.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 히에로니무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히에로니무스 (예로니모)성직자, 고해 신부, 교회의 박사출생선종교파매장지축일상징수호 "성 제롬" 천사의 방문. 바르톨로메오 카바로지 347년경 스트리돈, 달마티아와 판논니아의 경계 420년 유대, 베들레헴 보편교회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이탈리아, 로마 9월 30일 (로마 가톨릭교회) 6월 15일 (동방 정교회) 사자, 추기경 차림새, 십자가, 해골, 나팔, 올빼미, 책과 필기도구 고고학자, 기록 보관인, 성경 학자, 도서관 사서, 도서관, 학생, 번역가 에우세비우스 소프로니우스 히에로니무스(라틴어: Eusebius Sophronius Hieronymus, 347년 - 420년 9월 30.. 2021. 11. 1.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375년경 - 444년 6월 27일)는 제24대 알렉산드리아 대주교로 5세기경에 활약한 기독교 신학자이다.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을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기독교의 성인으로 추대하였으며, 축일은 각각 6월 27일(로마 가톨릭교회)과 6월 9일(동방 정교회)이다. 생애[편집] 키릴로스는 375년경 이집트의 테오도시오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삼촌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의 대결로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대주교 테오필루스였다. 외삼촌 밑에서 수사학과 철학 그리고 신학을 배웠으며, 덕분에 키릴로스는 성경을 거의 모두 암송할 정도였다. 외삼촌이 412년에 죽자 그의 뒤를 이어 .. 2021. 11. 1.
캔터베리의 안셈 캔터베리의 안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캔터베리의 안셀름(이탈리아어:Anselmo d'Aosta, 라틴어: Anselmus Cantuariensis, Anselm of Canterbury, 1033/1034년 ~ 1109년 4월 21일)혹은 안셀모(또는 안셀무스)는 이탈리아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1093년~1109년 영국의 캔터베리 대주교를 지냈다. 스콜라 철학의 창시자로서, 신 존재를 대상으로 한 존재론적 신의 존재 논증과 십자군에 공개로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안셀모는 1494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축일은 4월 21일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부 개신교(성공회, 루터교)에서 이 날을 기념한다. 1720년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안셀모를 교.. 2021. 11. 1.
캔터베리의 안셈 캔터베리의 안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캔터베리의 안셀름(이탈리아어:Anselmo d'Aosta, 라틴어: Anselmus Cantuariensis, Anselm of Canterbury, 1033/1034년 ~ 1109년 4월 21일)혹은 안셀모(또는 안셀무스)는 이탈리아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1093년~1109년 영국의 캔터베리 대주교를 지냈다. 스콜라 철학의 창시자로서, 신 존재를 대상으로 한 존재론적 신의 존재 논증과 십자군에 공개로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안셀모는 1494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축일은 4월 21일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부 개신교(성공회, 루터교)에서 이 날을 기념한다. 1720년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안셀모를 교.. 2021. 11. 1.
토마스 아퀴나스 span>토마스 아퀴나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년/1225년? ~ 1274년 3월 7일)는 서방교회의 저명한 신학자이자 스콜라 철학자이다. 또한 자연신학의 으뜸가는 선구자이며 서방교회에서 오랫동안 주요 철학적 전통으로 자리잡고 있는 토마스 학파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교회학자 33명 중 하나이며, 현재 로마가톨릭교회는 그를 신학자요 박사로 존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의 이름을 딴 학교나 연구소 등이 많이 있다. 목차 1생애 1.1탄생 1.2사망 1.3소년기 1.4청년기 1.5명제집 강독자 1.6파리대학교수(1차 파리체류기) 1.7이탈리아 체류기 1.8파리대학교수(2차 파리체류기) 1.9말년 1.10사후 2철학사상 3주요저작.. 2021. 11. 1.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사상 사상의 특성 1. 형이상학적 원리들의 규정 토마스의 철학 사상에 대한 탐구를 착수할 수 있는 한 가지 관점은 그의 형이상학의 일반 원리들에 대한 초기의 규정들과 한결같은 재확인들을 검토하는 일이다. 성 토마스가 자신의 학문적 저술들을 시작하면서 형이상학 전체의 제1원리들을 자기 머리 속에 이미 체계적으로 배열해 놓고 있었고 그것을 자기의 사변활동이 끝날 때까지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초기 두 작품 『존재자와 본질』 및 『자연의 원리들』과 말년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분리된 실체』의 주요 진술들을 비교해 봄으로써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먼저 『존재자와 본질』의 근본적 진술들을 조사해 보기로 하자. 실존하는 모든 존재자는 순수 현실이거나 아니면 현실태와 가능태로 합성되어 있다. 순수 현실은.. 2021. 11. 1.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사상 『신학대전』의 신학적 기획 전체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고찰하는 데로 돌아서서, 특히 “그분이 우리가 부활을 통해 불멸의 삶이라는 참행복, 하느님을 충만히 누리는 데에서 성립되는 영속하는 참행복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진리의 길임을 입증할 때” 그 ‘완성’에 이르게 된다.(III, 머리말) 여기서 그리스도론적 문제들은 그리스도교 신학자들이 오늘날 선호하는 것보다 훨씬 뒤늦게 등장한다. 분명 토마스는 여러 세기에 걸쳐 일어난(또 지금 여기서도 반복되고 있는!) 것처럼 성서 주해서들로부터 따로 떼어내서 연구되리라고는 결코 상상할 수 없었다. 또한 매일같이 규칙적인 경배와 회개의 실천들 등으로 양성되지 않는, 그리스도교적 가르침을 배우는 학생들을 미리 내다볼 수도 없었다. 그들은 전례를 그리스도의 수.. 2021. 11. 1.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철학과신학(Vol.1 No.1, pp231-288, [1997])에 수록된 이재룡 신부의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논문입니다. 머리말 중세 최대의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불후의 걸작《신학대전》은 그 이 름이 암시하고 있듯이,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세속 학문들의 기초 위에서 체제적으로 해설하고 있는 신학의 웅장한(architectonic) 집대성이다. 이 대작에서는 자칫 대립적인 충돌로 이끌릴 수도 있는 이성과 신앙이 어느 하나도 희생됨이 없이 조화롭게 하나로 어울리고 있다. 성 토마스는 자신의 필생의 역작《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하여 고대와 중세로 이어진 서구 사상계의 플라톤적-그리스도교적 전통과 당시 비로소 접근 가능하게 된 아리스토텔레.. 2021. 11. 1.
페스탈로찌 페스탈로찌 유명한 스위스의 교육가인 페스탈로찌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동상을 제막하게 되었다. 제막을 하고 보니 페스탈로찌는 허리를 굽혀 어린아이를 내려다보는 인자한 얼굴로 만들었고, 어린아이는 페스탈로찌를 올려다보는 모습으로 만들었다. 이것으로 보고 사람들은 이렇게 말했다. "페스탈로찌는 이런 모습이 아니다. 그는 자기를 닮으라고 한 적이 없다. 그리스도를 닮으라고 하였다." 결국의논한 끝에 동상을 고쳤다. 페스탈로찌가 어린아이를 내려다보는 인자한 얼굴은 그냥 놔두고, 어린아이가 페스탈로찌를 쳐다보는 것을 고쳐서 더 먼 곳을 바라보는 모습으로 만들었다. 나를 닮으라고 하니까 문제가 생기는 것이요 그리스도를 닮으라고 하면 만사 형통이다. /곽선희 목사 설교 예화 2021. 11. 1.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 1193년~1280년)는 독일의 신학자·철학자·자연과학자이다. 파리와 쾰른에서 가르치고 레겐스부르크의 주교가 되었다. 도미니코회의 중심인물로 토마스 아퀴나스와 함께 스콜라 철학을 완성시켰다. 대(大)알베르투스, 보편적 박사(普遍的 博士)라고 불린다. 폭넓은 지식과 학문 영역의 보편성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붙은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적, 아라비아·유대적, 신플라톤주의적, 교부학적(敎父學的) 저술가들로부터 방대한 사상 자료를 수집하여 당시의 철학 전반, 사변신학(思辨神學), 성서해석 및 자연과학 등 전 분야에 걸쳐 저술활동을 하였다. 여러가지 학문의 모든 부분을 라틴 사람들이 이해할 수.. 2021. 10. 31.
보나벤투라 보나벤투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 보나벤투라 보나벤투라(Sanctus Bonaventura; 1221년 - 1274년 7월 15일)는 로마 가톨릭의 중세 시대 가장 뛰어난 신학자이자 사상가이며 성인 중 한 사람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와 동시대인으로 큰 발자취를 남겼다. 경건하고 사랑이 흐르는 면에서 ‘세라핌적 박사’(The Seraphic Doctor)로 알려진 그는 성 프란치스코의 대전기를 비롯하여 수많은 저서들을 남겼다. 흔히 프란치스코회 수도복을 입거나, 추기경을 상징하는 빨간예복을 입은 모습으로 그려지며, 망토 가장자리에는 세라핌이 장식되어 있다. 로마 가톨릭의 성인으로서 축일은 7월 15일이다. 상징물은 책·십자고상·성체현시대이며, 신학자·농부·짐꾼·직조공의 수호 성인이다. 행적[.. 2021. 10. 31.
둔스 스코투스 둔스 스코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둔스 스코투스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년~1308년)는 영국 스코틀랜드의 스콜라 철학자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복자이며 '영민한 박사'(Doctor Subtilis)라고 불렸다. 주요작품으로 'Opus oxoniense'와 'Opus parisiense' 2부로 구성된 명제집 주석서가 있다. 목차 1생애 2사상 3같이 보기 4참고문헌 생애[편집] 기독교인으로 프란치스코회(작은형제회)에 입회하고 옥스퍼드에서 배웠으며, 학업을 마친 다음에는 그곳에서 교편을 잡았고, 1305년부터는 파리에서 가르쳤으며, 1308년 쾰른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옥스퍼드에서 일어난 새로운 자연 연구의 영향과 프란치스코회의 신학적 노선 아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 2021. 10. 31.
오컴 오컴의 윌리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캄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는 occam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오컴의 윌리엄(William of Ockham, Occam, 1280년 - 1349년)은 영국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수사이자 철학자이다. 영국 서리 주의 오컴 출신이다. 윌리엄은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수사로 지극히 청빈한 삶을 살았다. 유명론의 선구자로서 그는 일반적으로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인정 받고 있다. 방법론적 원리인 오컴의 면도날로 유명한 오컴은 신앙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보다 자유주의적으로 생각하였고 종교개혁기에 루터가 좋아했던 유일한 스콜라 철학자였다. 목차 1생애 2주요 사상 3같이 보기 4참고문헌 생애[편집] 영국 사리 주의 오컴 마을에서 태어났다. 프란치스코회에.. 2021. 10. 31.
스콜라 철학 스콜라 철학 최근 수정 시각: 2020-09-11 23:17:39 분류 철학의 하위 학문 1. 개요2. 어원3. 역사 3.1. 배경3.2. 전기(4~12C)3.3. 중기(13C)3.4. 후기(14~16C)3.5. 신스콜라철학(19C) 4. 특징5. 철학자 5.1. 전기5.2. 중기5.3. 후기 1. 개요[편집] 스콜라철학은 9~16세기 중세 유럽에서 성행한 기독교 신학에 중심을 둔 철학적 사상이다. 스콜라주의(Scholasticism)라고 일컫기도 한다. 일반적인 철학적 탐구와 인지와 인식의 문제를 신앙과 결부시켰으며 절대자의 아래에서 인간의 이성을 이해하였다. 2. 어원[편집] 본디 가톨릭 교회나 수도원에 부속된 학문 기관(Schŏla)[2]에서 가르치던 학문으로, 당시에 이러한 학문을 탐구하는 학자,.. 2021. 10. 31.
얀 후스 얀 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얀 후스(Jan Hus, 1372년? ~ 1415년 7월 6일)는 체코의 기독교 신학자이며 종교개혁가이다. 그는 존 위클리프의 영향으로 성서를 믿음의 유일한 권위로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의 부패를 비판하다가 1411년 대립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파문당했다. 콘스탄츠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1415년 화형에 처해졌다. 하지만 그가 화형당한 이후 그의 사상을 이어받은 사람들이 보헤미안 공동체라는 공동체를 만들고, 그의 주장은 마르틴 루터 등 알프스 이북의 종교개혁가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현재에는 18세기 이후에 설립된 모라비아 교회 혹은 체코 개신교라는 명칭으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목차 1생애 2그의 죽음이 끼친.. 2021. 10. 31.
토마스 아 켐피스 토마스 아 켐피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마스 아 켐피스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à Kempis, 1380년 ~ 1471년 7월 25일)는 독일의 신비사상가이다. 라인 강 하류의 켐펜에서 태어나, 92년 동안의 일생을 거의 즈볼러에 가까운 아그네텐베르크 수도원에서 보냈다. 여기서는 네덜란드의 신비사상가 헤르트 호르테 및 제자 플로렌티우스 라데빈스가 창설한 '공동생활의 형제회'(Brethren of the Common Life)가 활동하고 있었으며, 토마스 아 켐피스도 이 회에 가담하여 모범적인 경건한 생활을 보냈다. 이 회는 속세에 있어서도 그리스도를 본받아 수도적인 청빈·정결·복종의 생활을 보내도록 노력하고 재산은 공유하며, 스스로의 노동으로 그날그날의 양식을 벌었다. 일은 사본(寫.. 2021. 10. 31.
윌리암 틴데일 윌리엄 틴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윌리엄 틴들(틴데일)(William Tyndale, 1494년~1536년 웨일스 슬림브리지 출신)은 영국의 종교인이다. 존 위클리프에게 영향을 받아 헬라어를 영어로 성경을 번역한 사람이다. 그는 영어 번역을 위해 독일로 건너가 비밀리에 번역작업을 했으며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도 했다. 성경을 번역한 죄로 체포되어 1536년 10월6일 화형당했다. 킹 제임스 성경 영어 판의 70%가 틴데일의 성경에 근거한다. 그가 독일로 건너가서 동시대의 사람은 마틴 루터의 활동에 영감을 받은 것은 영국의 개혁운동이 외래의 영향을 통해 이루어진 가장 큰 이유로 이해된다.[1] 영국 캠브리지에는 그의 이름 가진 틴델하우스가 있는데 많은 전문학자들이 연구하고 발표하는.. 2021. 10. 31.
필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필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Philipp Melanchthon, 본명: 필리프 슈바르체르트 Philipp Schwarzert, 1497년 2월 16일 브레텐 출생, 1560년 4월 19일 비텐베르크 사망)은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이다.[1]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의 동료로서 종교개혁운동을 통한 복음주의의 확립을 위하여 투쟁하였다. 1519년 루터와 함께 라이프치히 논쟁에도 참석하였다. 비텐베르크 대학의 교수로 있으면서 개신교 신학의 기초를 세우는 데 노력하였다. 신학자들의 신학적 차이를 화해시키는 관용적 인물로 종교개혁 신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저서로는 《신학 강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등이 있다.[2] 목차 1신학 2평가 .. 2021. 10. 31.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르네 데카르트 René Descartes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서명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왕국 라에 엔 투렌 1650년 2월 11일 (53세) 스웨덴 왕국 스톡홀름 17세기 철학 서양철학 데카르트주의 합리주의 기초주의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프랑스어: René Descartes [ʁəne dekaʁt][*], 라틴어: Renatus Cartesius 레나투스 카르테시우스[*], 문화어: 르네 데까르뜨, 1596년 3월 31일 - 1650년 2월 11일)는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근대 철학의 아버지,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는 합리론의 대표주자이며 본인의 대표 저서 《방법서.. 2021. 10. 31.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프니츠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오스트리아의 지명에 대해서는 라이프니츠 (오스트리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서명 1646년 7월 1일 신성로마제국 작센 선제후령 라이프치히 1716년 11월 14일 신성로마제국 작센 선제후령 하노버 17세기 ~ 18세기 철학 서양철학 합리주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독일어: 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다. 라이프니츠는 책을 쓸 때 라틴어(~40%), 프랑스어(~30%), 독일어(~15%)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였다.[1] 라이프니츠는 철학과 수학의 역사.. 2021. 10. 31.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뤼흐 스피노자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 바뤼흐 스피노자(네덜란드어: Baruch Spinoza, 라틴어: Benedictus de Spinoza, 히브리어: ברוך שפינוזה, 포르투갈어: Bento de Espinoza, 1632년 11월 24일 ~ 1677년 2월 21일)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포르투갈계 유대인 혈통의 철학자이다.[1] 스피노자가 쓴 저작의 과학적 태도와 포괄성, 철학사적 중요성은 스피노자 사후 오랜 세월동안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으나 오늘날 스피노자는 18세기 계몽주의와 근대 성서 비판의 토대를 놓은 유럽 17세기 철학의 합리주의자 세 거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인정받는다.[2] 대작 《에티카》에서 스피노자는 데카르트.. 2021. 10. 31.
존 로크 존 로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 존 로크 (로스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존 로크작가 정보출생사망시대지역학파서명 존 로크 존 로크(John Locke, 1632년 8월 29일 - 1704년 10월 28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철학자·정치사상가이다 로크는 영국의 첫 경험론 철학자로 평가를 받지만, 사회계약론도 동등하게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사상들은 인식론과 더불어 정치철학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가장 영향력있는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자유주의 이론가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들은 볼테르와 루소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 혁명뿐만 아니라 여러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영향은 미국 독립 선언문에 반영되어 있다. 평화·선의·.. 2021.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