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1) 헤겔 (Georg W.F.Hegel,1770-1831).(1) 생애a. 시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출생하여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했다.b. 가정교사,예나 대학 강사, 신문기자,고교 교장 등을 거쳐서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교수가되었다가 베를린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2) 사상a. 관념론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범신론을 주장했다.b. 셀링(Schelling)의 세계관을 근거하여 체계화 하려고 시도하였고,논리와 형이상학을 동일시하였으며,실재를 활동과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c. 라이프니쯔의 주지설을 발전시켜 이성과 절대자를 동일시하고 이성은 논리적과정 그 자체라고 했다.d. 변증법적 과정에 있어서 3가지 요소를 제시했.. 2021. 11. 3.
03 실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1768-1834)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3. 실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1768-1834) 1) 생애 (1) 1768년 동부 독일 브레슬라우 (Breslau) 에서 목사의 아들로 출생했다. (2) 바르비(Barby)신학교를 마치지 못하고 할레(Halle)대학으로 옮겨 칸트를 연구했다. (3) 할레 대학과 베를린 대학에서 강의하였다 2) 신학 (종교적 체험의 신학) (1) 종교론 a. 감정이나 감정 영역에 속한다 하고.인간 정서에 기초하여 신을 의지하는 생활이다고 한다 (객관적 계시보다 주관적 감정에 권위를 두어 종교를 인간학으로 대치시켰음). b. 종교란 무한한 감촉을 맛보는 것이라 한다.( 경험). (2) 기독교의 본질 a. 그리스도 중심이었다 (합리주의자는 구속의 역사가 그리스도.. 2021. 11. 3.
0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1) 의의 프랑스의 혁명 당시만 해도 교회는 인심을 지배할 수 있었으나 19세기에 접어들자 새로운 움직임이 철학계와 문학계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2) 문학자 (1) 루소.(J.J.Rorsseau,1712-1778) (2) 괴테.(J.W,von Goethe.1749-1832) (3) 실러.(J.C.F.von Schiller,1759-1805) 3) 철학자 (1) 칸트 (Immanuel Kant,1724-1804) a. 생애 ㄱ.1724년 4월 22일 독일 쾨니히스베르크(Konigsberg)에서 출생하고 여기서교육을 받았다. ㄴ.1775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강사로 취임하였고 1770년에 정교수가 되었다. ㄷ.이 도시에서 평생을.. 2021. 11. 3.
01 정숙주의 (Quietismus)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7. 정숙주의 (Quietismus) 안정을 중요시하는 신비주의로서 그 근원은 스페인의 Alombrados (광명을 받은자)에서 찾을 수 있다. 1) 미카엘 몰리노스 (Michael Molinos, 1640-1697) (1) 생애...사라곳사 (Saragossa) 부근에서 출생하여 코임브라 (Coimbra)에서 교육 받았고. 1669년 로마에서 와서 설교자로 활약하였다. (2) 저서... 를 발행했다. a. 완전해지려면 마음이 조용해야 한다.즉 말하지 않고 느끼지 않고 아무런 능력도 없이, 움직이지도 말아야 한다. b. 자기를 망각하고 하나님에게 전심함이 최고의 상태이다. c. 영혼이 변화 개조되어 하나님과 같이 되기 위해서는 정신의 능력이 정지.. 2021. 11. 3.
본을 보였노라 본을 보였노라 성경: 요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 처칠이 어쩌다 운전사에게 차를 급히 몰게 했습니다. 그런데 교통 경찰관이 수상을 태운 자동차가 과속으로 달리는 것을 보고 재빨리 차를 세우도록 했습니다. "수상께서 타셨소." 면허증 제시를 요구하는 경찰관에게 운전사가 말했습니다. "알고 있소. 그러나 과속은 과속이오. 딱지를 떼겠으니 벌금을 물도록 하시오." 경찰관이 끄떡도 하지 않자 이번에는 처칠이 직접 나섰습니다. "이봐! 내가 누군 줄 알아?" 처칠이 그 특유의 여송연을 입에 문 채 언성을 높였습니다. "예, 얼굴은 우리 수상 각하와 비슷합니다. 그런데 법을 지키는 것은 비슷하질 않습니다." 그는 천연덕스럽게 대답했습니다. 결국 처칠은 딱지를 .. 2021. 11. 3.
01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분파교 :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 남 석 주 고려대 강사 I. 들어가는 말 슬라브애호주의자들은 역사의 원동력을 신앙으로 보았으며, 러시아 역사의 내적 동인이요 러시아의 정신으로 러시아 정교회를 상정하였다. 또한 이에 대립적 개념으로 서구의 정신을 카톨릭과 신교로 설정했다. 카톨릭을 자유 없는 통일의 정신으로, 신교를 통일 없는 자유의 정신으로 보았다면, 러시아 정교회를 통일과 자유의 양면성을 소유한 소보르노스찌로 보았다 소보르노스찌는 슬라브애호주의의 사상적 지주인 호먀코프에 의해서 만들어진 러시아 정교회사상이다.세르게이 불가코프는 ‘러시아 정교회는 소보르노스찌’(Православие-соборность) 라고 한마디로 표현하였다.. 2021. 11. 2.
중세교회사 2 (성장기) 중 세 교 회 사 2 중세 교회의 성장기(800-1073) 1. 샤를마뉴 대제와 신성로마제국 출현 배경 (1) 서로마 제국 멸망(476) (2) 게르만 및 이민족의 이주와 압박 (3) 5세기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 성립(by 클로비스) (4) 6세기 카톨링거 왕국 건설(by 재상 마르텔) (5) 프랑크 왕국의 전성기(마르텔 - 피핀 - 샤를마뉴) (6) 프랑크 왕국과 서로마 교황들간의 정치적 밀월 관계 형성 1) 서로마 교황들 동로마 황제 권력을 견제 위해 2) 롬바르드족 팽창 막기 위해 프랑크 왕국 지지 (7) 피핀 롬바르드족 제압하고 이탈리아 영토를 교황에게 기증(콘스탄티누스 기증장) (8) 교황령의 시초가 됨 2. 샤를마뉴 대제(800-814) (1) 샤를마뉴 대제 1) 생애 ① 프랑크 왕국 .. 2021. 11. 2.
중세교회사 1 (과도기 & 이슬람 발흥) 중 세 교 회 사 1 중세 교회의 과도기(590-800) ▶중세시대 시대 구분 (1) 과도기(590 - 800) : 고레고리우스 1세 ~ 샤를마뉴 대제 (2) 성장기(800 - 1073) : 샤를마뉴 대제 ~ 그레고리 7세 (3) 전성기(1073 - 1303) : 그레고리 7세(힐데브란트) ~ 보니페이스 8세 (4) 쇠퇴기(1303 - 1517) : 보니페이스 8세 사망 ~ 루터의 종교개혁 ▶ 6세기 초반의 유럽 역사 이해(*그림 1) Ⅰ. 중세 교회의 과도기(590 - 800) 1. 카톨릭 교회란? (1) 명칭 1) 원래 명칭은 ‘신성 공동 사도적 로마교회’(Holy Catholic Apostlic and Rome Church) 2) 보편, 세계 교회가 하나의 단일 교회라는 의미로 사용함 3) 최초 사.. 2021. 11. 2.
중세 교회사 (내용 요약) / 조셉 린치 지음 중 세 교 회 사 조셉 린치 지음 / 심창섭· 채천석 옮김 1. 내용 요약 고대기독교: 기독교는 역사적 사건을 중요시 하는 종교이다. 이 신념의 원천은 구약성경-하나님과 인류, 그 택한 백성 유대인과의 관계를 이야기-이며, 동정녀 마리아 탄생, 인간으로 사심, 십자가에 죽으시고 3일 만에 부활하셨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오순절 사건, 즉 마가요한 다락방의 120명 모임에서 성령 충만을 받고(행 2: 42-47, 행 4:32-35), 믿는 무리가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유무상통하며, 사도들은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의 증거를 가르치는 역사적 사건을 경험한다. 그러나 상이한 집단들의 이해의 상이성으로 격렬한 격론을 경험하나 베드로를 비롯한 12 제자 , 예루살렘 공회 지도자 야고보, 바울, 바.. 2021. 11. 2.
16. 청교도와 대학교 독자들은 청교도들이 거의 모두가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 받은 것을 눈여겨보았을 것이다. 요즘의 상황에서 보면 이것은 퍽 훌륭하게 들린다. 케임브리지와 옥스퍼드는 1백 개 이상의 영국 대학들 위에 군림하는 최고 명문 대학들이다. 오늘날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 대학에 들어가려면 최고 점수를 받아야 하고 특별 입학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아니면 장학금등을 받아야 한다. 독자들에게 좀 놀라운 뉴스가 될지는 몰라도 청교도 시대의 잉글랜드에서는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가 유일한 대학들이었기 때문이다. 학적 수준과 교육 방식도 각 대학 내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나는 앞에서 존 오언의 생애를 스케치하면서 그가 부총장으로 있을 때 개혁할 일이 많아 어려움을 겪은 이야기를 언급했었.. 2021. 11. 2.
17.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마틴 로이드존스(Martyn Lloyd-Jones)는 1971년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집회(Westminster Conference)에서 '청교도주의의 창시자, 존 녹스'(John Knox, The Founder of Puritanism)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하였다. 이 제목은 스코틀랜드에 관한 한 사실이다.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은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다. 그래서 선명한 이해를 위해 두 개의 독립된 개혁 운동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서로 병행되는 측면도 있지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들은 별도로 분리해서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코틀랜드는 장로교의 나라이다. 잉글랜드는 그런 적이 없었다. 현재 잉글랜드에는 활발한 소수의 장로교회들이 남아 있다. 그리고 수백개 정도의 교회들이 1689년 침례교 신앙.. 2021. 11. 2.
18. 청교도와 웨스트민스터 컨퍼런스 1950년에 한 작은 스터디 모임이 시작됐다. 이 모임은 청교도 컨퍼런스(Puritan Conference)로 알려졌는데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채플의 뒷방에서 모였다. 이 연례 모임은 1959년경에는 4백여 명이 참석하는 이틀 간의 집회로 불어났다. 제임스 패커(Jemes Packer) 박사와 마틴 로이드존스(Martyn Lloyd-Jones) 목사가 주관자였다.청교도들에 관한 자료들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자 참석자들의 수효는 줄어들었는데 여러 해 동안 220명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아직도 12월 중순에 이틀 동안 집회가 열린다. 날마다 세 개의 연구 논문이 발표되고 이어서 폐회 시간을 제외하고 약 1시간의 토의가 따른다. 1970년에는 집회가 없다가 1971년에 다시 모였을 때 이름이 웨스트민스터.. 2021. 11. 2.
초대교회사 초대교회사 1 (사도시대-니케아 전시대) 초대교회사는 예수그리스도의 탄생을 시작으로 AD 590년 그레고리 1세가 교황이되어 로마 제국의 박해에서 공식적으로 기독교를 인정하게된 시기까지를 말한다. 이러한 연대 구분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수 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죽음 AD 430년까지, 정치적으로는 AD 476년 로마의 멸망까지, 종교적으로는 AD 590년 그레고리 대제의 등장까지를 초대교회사 시대로 본다.     ○ 사도후 시대의 교회    ○ 바울이후의 초기 기독교     ○ 초대교회    ○ 초기 단계 : 예수의 종교    ○ 신약성경과 초대교회의 예배    ○ 로마의 기독교 10대 박해    ○ 초대교회의 확장가운데 박해 원인 및 과정, 그 결과에 관한 연구     ○ 초대 교회사(수도주의.. 2021. 11. 2.
복음주의/근본주의/개혁주의의 비교 - 신복윤교수 복음주의/근본주의/개혁주의의 비교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비교 (신복윤 교수) 이 글에서는 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 등 몇몇 운동들의 용어, 역사적 배경, 사상적 특징들을 돌아보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활동한 상황, 평가, 그리고 한국 교회와의 관계 등을 차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Ⅰ. 복음주의 1. 복음주의의 발단 근본주의가 20세기초 미국에서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생긴 신학이라고 한다면, 복음주의(福音主義, Evangelicalism)는 17세기 이후 독일 루터교회의 죽은 전통에 불만을 품은 경건주의(敬虔主義)운 동에서 파생된 운동이다. 종교개혁 이후 독일교회에는 점점 신앙의 고정화 현상이 나타나 교리적 정통주의가 만연케 되자, 슈페너(P.Spener 1635~1705)와 후랑.. 2021. 11. 2.
<기독교 근본주의>에 대한 小考 (이재철 목사 씀) 이 재 철 미국에는 카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무비라인'이라는 상담전화가 있다. 말 그대로 영화 상담 전화로 특정 영화에 대한 관람 여부를 상담해 준다. 그런데 십중팔구는 영화를 보지 말라고 한단다. 그 영화에는 정사장면이 너무 노골적이다, 그 영화에는 폭력이 너무 난무하다, 그영화는 내용이 너무 지저분하다는 등 이런저런 이유로 영화관람을 금한다는 것이다. 자연히 전화를 건 사람은 무비라인에서 권장하는 영화는 무엇인지 묻게 되고, 무비라인은 월트디즈니사가 제작한 '라이언 킹' 같은 영화를 권 한다고 한다. 그런 종류의 영화는 매우 교육적이고 교훈적이므로 크리스천 들이 마음 놓고 불 수 있는 좋은 영화라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 활발하게 기독교 문화 운동을 벌이고 있는 어느 단체는 '라이언 킹'을 보.. 2021. 11. 2.
한국의 여러 신학 학회들 한국 기독교 학회 http://kacs.or.kr/ 한국 개혁 신학회 http://tsrt.kr/html/sub04_01.asp 개혁신학회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tsrt.kr 한국 복음주의 조직 신학회 https://web.archive.org/web/20170921095740/http://hu3425.s10.hdweb.co.kr// 한국 조직 신학회 http://ksst.kr/symposium 한국 장로교 신학회 https://web.archive.org/web/20160216035318/http://cpck.kr/business/sub01.htm 한국 복음주의 선교 신학회 http://www.kems.re.kr/ 한국 복음주의 구약 신학회 https://web.archive.org/web/2.. 2021. 11. 2.
교리를 가르치는 일의 절대적 중요성과 가치 (아더 핑크) 교리를 가르치는 일의 절대적 중요성과 가치 (아더 핑크) “하나님의 말씀을 보든, 교회 역사를 보든 간에, 교리 교육이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일인지를 발견할 수 있으며 그것이 장기간 결핍될 때 발생하는 비극적인 결과들 또한 발견할 수 있다. 교리를 가르치는 이유는 성도의 이해를 밝게 해주며, 지성을 훈련하며, 판단력을 불어 넣어 주기 위함이다. 교리는 감사의 동기를 마련하여 주며, 선행에의 동기를 마련하여 준다. 믿음에 대한 근본적인 교리를 전혀 배우지 않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의 믿음이 건전할 수가 없다. 근본적인 교리를 “하나님 말씀의 초보”(히 5:12), 혹은 ‘성경의 기본진리’라고 하는데, 이는 구원에 이르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다. ‘성령의 감동과 성경의 권위’, ‘영원토록 복되신.. 2021. 11. 2.
기독교 교리 개요 기독교 교리 개요 Ⅰ. 서론(Prologue) 조직신학에서 서론은 조직신학의 연구방법과 원리를 다룬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바른 신학을 하는데 먼저 요구되는 문제, 우리는 어떻게 하여야 정확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지를 규정한 기독교 인식론과 그 이후에 전개되는 도구가 종교 계시 성경에 대한 올바른 객관적 정립이 선행되지 않으면 그 이후에 전개되는 모든 신학은 기초를 상실한 건축물이 되는 것이다. 1. 기독교 인식론(The Theory of Knowledge) 1) 인식의 원천적 근거 - 하나님 만물이 하나님으로부터 창조되었으므로 근본적인 지식의 원천은 오직 하나님에게만 있다(고전 8:6). 특히 조직신학의 모든 내용, 즉 하나님과 하나님 관련을 갖는 피조물에 대한 지식은 오로지 하나님께로부터 .. 2021. 11. 2.
교리공부의 목적과 방법, 교리의 필요성과 중요성 교리공부의 목적과 방법, 교리의 필요성과 중요성 [마틴 로이드존스] 1장 교리공부의 목적과 방법 성경본문으로 시작하는 것이 항상 유익합니다. 설교를 하려는 건 아니지만, 제가 말하려는 모든 것의 배경이 되고 본 성경 교리 시리즈 연구에서 하려는 일을 설명해 줄 성경 말씀 신명기 29장 29절로 시작하겠습니다. “오묘한 일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속하였거니와 나타난 일은 영구히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속하였나니 이는 우리로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행하게 하심이니라.” 이제 서론으로 강의를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는 데는 서너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한 가지 이유는 우리가 하려는 일이 과연 옳은지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교리에 대해 별로 많이 들어 보지 못하는 시대에.. 2021. 11. 2.
개혁신앙과 칼빈주의 5대교리 개혁신앙과 칼빈주의 5대교리 김병혁 목사(캘거리 개혁신앙연구회) 교회 현실과 신앙고백의 가치 1887년 3월 찰스 스펄전 목사가 발행하던 월간지 The Sword and the Trowel에 ‘내리막길’(down)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이 글은 스펄전의 친구이며 동료 목사인 로버트 쉰들러(Robert Shindler)가 당시 영국 교회가 처한 복음의 위기 현상에 대한 일종의 교회 역사적 반성과 고찰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쉰들러는 청교도 시대부터 자신의 시대까지 복음주의의 상태를 추적하면서 중요한 사실을 깨달게 되었다. 참된 믿음의 부흥이 있은 후에는 반드시 대대적인 배도의 역사가 뒤따르는데, 쉰들러는 이처럼 진리로부터 벗어나는 교회들을 ‘내리막길 위에 서 있는 위태로운 교회' 모습으로 비유하였다.. 2021. 11. 2.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 김병혁 목사(캘거리 개혁신앙연구회)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Reformed Faith) 김병혁 목사(캘거리 개혁신앙연구회) 기독교의 딜레마와 좌표 작년에 미국,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세계 각 대륙 출신의 이름난 신학자 6인의 이름으로 출판된 「기독교의 미래」(청림출판)라는 책에 의하면,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지난 300여년 동안 기독교는 서구 선교의 결과로 세계적인 종교가 될 수 있었으나 이와 동시에 서구 교회가 쇠퇴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소수 종교로 전락했다’고 진단하고 있다. 직접 통계에 참여한 한 교수는 유럽 대륙은 물론이고, 한때 세계 선교의 중심이었던 영국의 상황을 보더라도 교회 출석 인구는 5%를 밑돈다고 지적하였다. 2000년 기독교 역사상 서구사회에서 기독교가 소수자의 종교로 바뀌면서 정신세계를 .. 2021. 11. 2.
개혁신앙의 전통과 오늘의 고백신앙 - 칼빈의 신학을 중심으로 개혁신앙의 전통과 오늘의 고백신앙 - 칼빈의 신학을 중심으로 - 안인섭 교수(총신대신대원) 주지하는 바처럼,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KACP)는 “열린 진보”와 “열린 보수”적 경향을 가진 목회자와 신학자들이 한국 교회의 일치(Unity)와 갱신(Renewal), 그리고 사회를 향한 온전한 섬김(Diakonia)을 목표로 1998년에 창립되었다. 올해의 전국 수련회의 주제는 “하나님의 사명을 수행하는 교회와 리더십”이며, 필자에게 주어진 제목은 “개혁신앙의 전통과 오늘의 고백신앙”이다. 일반적으로 개혁신앙을 넓은 의미로 해석하자면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주창된 신앙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며, 좁은 의미로 본다면 개혁주의 신앙으로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16세기 문맥에서 종교개혁 신학을 형성한 중요한.. 2021. 11. 2.
최근 구약신학의 동향논의에 대한 5편의 논문들을 읽고 나서 목록가기 최근 구약신학의 동향논의에 대한 5편의 논문들을 읽고 나서 전주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전공 라황용 1. 장일선선교수의 1989년에 발표한 논문 "구약 학계의 세대교체와 폰 라트ㅡ 이후의 구약신학의 위상"에서 폰라트 이후 구약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거물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구약신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것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보았다. 한국에서 폰 라트의 구약신학을 집대성한 인물은 김정준박사며, 폰라트도 김정준 박사도 우리 곁을 떠나갔다. 장일선 교수는 폰라트의 뒤를 이어 렌트로프, 김정준의 뒤를 이어 김이곤, 민영진, 임태수 교수의 세대교체를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폰 라트 이후 시대 구약신학의 패러다임이 "역사"에서 "언어"로, 즉 통시적 방법에서 공시적 방법.. 2021. 11. 2.
구약신학의 최근동향 목록가기 구약신학의 최근동향 강사문(장신대 구약학) 구약신학이란 명칭은 1787년 J. P. Gabler의 Actdorf 대학 취임강연에서부터 출발한다. 과거에 구약성경은 교회교리를 변호하고 고증하는데 불과했다. 그러나 가불러의 구약은 독립된 학문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역사적 비평방법에 의존케 되었다. 과거에 있어 구약성경연구가 교리를 위한 철학적 접근방법이었다면 가불러 이후의 구약성경연구는 '역사적'이었다. '역사적'이란 의미는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개념들을 파악하는데는 객관적으로 고증되는 '역사적'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역사적이 아닌 것은 종교적 진리와 거리가 멀다는 말이다. 따라서 구약연구는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로 대치되었다. 종교를 연구하는 방법은 진화론적인 변증법적 방법이었다. 이스라엘 종교는 저급.. 2021. 11. 2.
구약신학 / 박동현교수 목록가기 구약 신학이란 무엇인가? 9.1.1. 낱말의 뜻 '구약 신학'은 구약에 들어 있는 신학, 구약에서 말하는 신학, 구약을 밑바탕으로 하는 신학, 구약에서 찾아낼 수 있는 신학, 구약에서 알려 주는 신학, 구약에서 배우는 신학이란 뜻인가? 우리말 큰사전에서 풀이하듯이 '학문'이 '배워 익힘, 배워 닦은 학식, 체계가 선 지식'를 뜻한다면, '신학'은 하나님에 대해 배워 익히는 것(을 체계잡아 놓은 것),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바를 체계 있게 한데 모아둔 것이고, 구약 신학은 구약 성경을 중심으로 하나님에 대해 배워 익히는 것(을 체계잡아 놓은 것), 구약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바를 체계 있게 한데 모아둔 것이라 하겠는가? 9.1.2. 학자들의 정의 클라우스 베스터만(Claus We.. 2021. 11. 2.
목자의 사랑 목자의 사랑                                           눅 15:3-7                        너희 중에 어떤 사람이 양 백 마리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를 잃으면 아흔 아홉 마리를 들에 두고 그 잃은                     것을 찾아내기 까지 찾아다니지 않겠느냐 또 찾아낸                     즉 즐거워 어깨에 메고 집에 와서 그 벗과 이웃을 불                     러 모으고 말하되 나와 함께 즐기자 나의 잃은 양을                     찾아내었노라 하리라.       오늘 제목을 “목자의 사랑“이라고 했습니다. 오늘 본문의 내용은 잃은 양의 비유입니다. 성경에는.. 2021. 11. 2.
믿음 소망 사랑 믿음 소망 사랑                                               살전 5:8                                   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이제 새해가 되었습니다. 새것은 다 좋습니다. 물건도 생각도 마음도 시간도 새시간이 좋습니다. 새해의 첫 시간을 맞이하게 되었으니 얼마나 산뜻하고 신선하고 기대가 있습니까. 새해에는 새해에 걸맞은 생각을 가지고 다짐하고 기대를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새해에는 새롭게 다짐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신앙인이기 때문에 .. 2021. 11. 2.
믿음의 경주 믿음의 경주                                         빌 3:12-14                            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일 즉 뒤에있는 것은 잊어                         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                         하여 ... 달려가노라.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금년은 소의 해라고 합니다. “소처럼 우직하게 살자”는 슬로건도 나왔습니다. 작가 심우섭이 상주시 사벌면 묵산리에서 있었던 전설을 책으로 펴냈습니다. 동네에 누렁소 한마리가 있었습니다. 이웃집 할머니가 너무 잘해주었습니다. 할머니가 죽자 소가.. 2021. 11. 2.
배 밖으로 나아오라 배 밖으로 나아오라                                                   마 14:22-33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만일 주님이시거든                       나를 명하사 물위로 오라 하소서 하니 오라 하시니                     베드로가 배에서 내려 물 위로 걸어서 예수께로 가                     되 바람을 보고 무서워 빠져 가는지라.       교회생활을 오래하면 자신도 모르게 언어와 사고와 생활과 습관이 훈련됩니다. 그래서 교회생활 오래하면 “할렐루야, 주여, 아멘, 주님의 뜻”이라는 말이 쉽게 나옵니다. 그래서 모르는 사람들과 대화해 보면 대화의 용어들만 들어 보아도 그.. 2021. 11. 2.
밤새워 고민할 일 밤새워 고민할 일                                        마 6:25-34                      그러므로 내일 일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 내일 일은                   내일 염려할 것이요 한 날의 괴로움은 그날로 족하니                   라.     어느 회사에서 10년 근속한 사원에게 보너스로 2개월간 유급 휴가가 주어졌습니다. 그 사원은 한편 좋았지만 또 염려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사원이 깊이 생각한 후에 유급휴가를 포기하고 회사에 반납했습니다. 상사가 “왜 휴가가지 않고 반납하는가?” 하고 물었습니다. 그 사원은 두 가지 이유 때문에 포기한다고 대답했습니다. 하나는 “내가 없는 동안 회사 운영이 잘 안 되면 어떻게..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