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이드존스의 성경 접근법 / 정근두 목사 로이드존스의 성경 접근법 정근두 목사 로이드 존스는 설교는 항상 신학적 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그의 설교의 첫 번째 근본원리이며 이 근본원리는 설교학적인 특성보다는 신학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로이드 존스의 설교의 근본적인 차이는 구조나 형태보다 그 메시지의 내용에 있다1"라고 머레이가 지적하는 바는 옳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의 설교의 내용을 결정짓는 그의 해석학적 원리와 방법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문적인 강해 설교자로서의 로이드 존스는 1930년대 초기에 이미 그 소문이 대서양을 넘어서 알려졌다.2 “후에 로이드 존스는 강해 설교의 왕자로서 인정받았고3 그의 설교는 학적으로 손색이 없는 대중적 강해의 극치라고 여겨졌다.4 오늘날 로이드 존스는 “독보적인 학자”5로 인정받고 있고.. 2021. 11. 2.
성경에 대한 무오성과 불오성에 대하여 [정성욱교수] 성경에 대한 무오성과 불오성에 대하여... 풀러신학교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무오와 불오의 논쟁으로 많은 복음주의자들이 무오를 포기하고 불오를 택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저는 성경무오가 옳다고 보며, 그 입장에 서 있습니다. (그렇다고 불오의 입장을 견지하는 분들이 구원을 얻지 못한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성경은 구원이나 신앙과 관련된 것 뿐만 아니라 역사와 과학등과 관련된 것에 있어서도 무오한 정보와 가르침을 제공하고 있다고 저는 믿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 주님 예수님께서 견지하셨던 성경관이라고 확신합니다. 미국의 복음주의 신학회에서 회원들에게 요구하는 신앙고백 조항은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하나님이 삼위일체이심에 대한 고백이고, 둘째는 성경만이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며, 성경이 확언하는 모든 .. 2021. 11. 2.
외경에 대하여/박일민 교수 외경에 대하여 교회와신앙 webmaster@amennews.com 박일민 칼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과 신학의 근거는 성경이다. 그런데 로마교회에서 사용하는 성경은 개신교회에서 사용하는 성경과 차이가 있다. 공동번역 성경 가톨릭용에서 보는 것처럼, 로마교회에서는 구약에 15권의 책이 더 덧붙여 있는 성경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는 이 책들을 외경이라고 부른다. 외경은 권위가 있는 하나님의 말씀인가. 그렇다면 왜 개신교회의 성경에는 외경이 빠져 있는가. 외경의 유래 외경이란 '아포크리파'라고도 불려진다. 이는 숨겨진 책이라는 뜻으로, 그 저작자가 분명하지 못하거나 그 내용이 확실하지 못한 책, 즉 그 권위를 인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경에 들지 못하는 책을 가리키는 말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 2021. 11. 2.
성경해석의 방법/총회신학연구원 목록가기 서론 :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한다. 박윤선 박사는 이상과 같은 계시의존 사색을 성경 해석법에 그대로 적용했다. 그것은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원리이다. “성경은 성경으로라야 해석된다는 개혁주의 원리를 우리는 그대로 믿는다.” 그렇다면 성경은 성경의 해석자(Scriptura Scripturae interpres)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 성경을 가지고 기도원에 들어가서 열심히 기도하면서 읽어서 깨달은 것으로 성경을 해석하고 기타 어떤 책들도 참조하지 말라는 뜻인가? 박윤선 박사는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성경해석 원리 속에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했다. 1) 예수님의 성경해석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구약 해석법을 보면, 우선 예수님은 성경의 단일성을 인정하심으로써 성경을 .. 2021. 11. 2.
해석학의 역사와 방법론/김선겸 교수 목록가기 해석학의 역사와 방법론 1. 해석학의 정의 ⅰ) 해석(interpretation)이라 하며 신구약에 잘 나타나 있다. 구약에서 해석은 주로 꿈을 해석하는 것하는 것을 의미한다. ⅱ) 해석학(hermeneutics)이라는 말은 궁극적으로 희랍의 신허메스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ⅲ) 주석학(exegesis)이라는 말은 성서 해석 해설이란 의미를 가진다. 성경 해석이란 성경 기록 당시와 오늘과의 시간적인 괴리를 연결해 준다는 의미에서 언어학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결론적으로 성경 기록자가 알려 주고자 하는 바를 바르게 이해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할수 있다. 2. 성경 해석의 필요성 1) 성경의 특성 성경은 무오한 영감에 의하여 기록되었다는 것과 이 성경은 시대를.. 2021. 11. 2.
올바른 성경해석 / 이승구교수 목록가기 이승구(국제신학대학원 부총장/교수) 한국교회의 모습을 바라볼 때(한국교회 전체를 살피든지 우리들이 속한 개 교회를 살피든지) 안타까운 모습이 아주 많이 있지만, 그래도 그 안에 교회의 참된 자태를 찾아 헤매는 모습이 또한 있기에 하나님께 감사드리게 된다. 참으로 귀한 운동이 한국교회 안에 있는 것이다. 그것은 성경의 가르침에 맞추어 교회의 참된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는 운동이다. 마치 종교개혁 시대에 교회를 사랑하는 이들이 자신들이 속한 교회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바른 교회를 향해 어떤 의견을 내기도 하고, 그것 때문에 쫓겨나기도 하고, 또 그들과 함께 고난에 동참하기도 하면서, 이 땅 위에 있는 교회는 항상 불완전하지만 그래도 나아가야 할 방향만은 성경이 가르치는 방향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 2021. 11. 2.
성경신학 제2부 1-4장(구약 성경신학/박윤선 목사)PLIII 성경신학 제2부 1-4장(구약 성경신학/박윤선 목사) 글쓴이: 최정열 http://cafe.daum.net/selck/HJbE/220 성경 신학 제2부1-4장 구약 성경 신학 제 1장 : 기원론 우리는 만물의 기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창세기 1장의 말씀 이상으로 알기 어려운 것은 인간의 체험 밖의 사건들이기 때문이다. 창세기 1장은 하나님의 만물 창조를 우리에게 알려 주는데 그 기록의 목적은 인간을 섭리하시고 구원하시며 심판하시는 이가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심을 알려 줌에 있다. 1. 창조의 순서에 대한 문제 창조의 순서에 있어서 창세기 1장에는 식물(11~13), 동물(20~23), 사람(26~31)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2장에는 사람(7), 식물(9), 동물(19)의 순서로 되어있어서 고등 비평가.. 2021. 11. 2.
성경신학 제1부 서론(제1장 성경을 바로 아는 성경신학의 기본원리/박윤선 목사) 성경신학 제1부 서론(제1장 성경을 바로 아는 성경신학의 기본원리/박윤선 목사) 글쓴이: 최정열 http://cafe.daum.net/selck/HJbE/219 성경신학 제1부 서 론 제 1장 : 성경을 바로 아는 성경신학의 기본 원리 1. 계시 의존 사색 인간이 자기의 지혜로 하나님을 알 수 없고 오직 하나님의 계시에 의해서만 알게 된다.[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변증학 교수인 “벤틸” 박사] 마11:25~27은 예수님께서 중보자이심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중보자는 절대자이신 하나님 앞에서 대언자의 권세를 맡아가지고 하나님을 아는 것과 하나님과 교제하는 일에 불가능한 사람들을 초청하여 하나님과 연합시켜 주시는 분이다. 첫째 : 하나님을 “천지의 주제라고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유일하신 절대적 신이시라는 뜻이.. 2021. 11. 2.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 이승구교수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 이승구 교수 http://blog.daum.net/holylife2/17208201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이승구 교수(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한국성경신학회 제 5 차 논문 발표 (2000. 2. 14.) 1. 들어가는 말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은 과연 어떤 관계성을 가지고 있고, 어떤 관계성을 가져야만 하는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고찰해 보는 것은 성경신학을 하는 분들에게나, 조직신학을 하는 분들에게나, 또 그 모두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서 목회와 설교에 반영해 보려고 하는 목회자들에게 다 유익할 것이다. 이 두 분야의 관계는 성경신학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게 이해될 것이다. 흔히 성경신학이라는 용어와 학문 분과의 창시자로 인정되는 가블러(Johann Phi.. 2021. 11. 2.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목록가기 Rudolf Bultmann Rudolf Bultmann(1884-1976)은 1950년대에 세계적으로 신학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끼친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1886년 독일의 Oldenburg에서 태어나 Marbug 대학에서 1951년에 은퇴할 때까지 주로 신약 신학을 가르쳤다. 1941년에 그는 [Offenbarung und Heilsgeschehen]이란 저서를 출판하여 그의 명성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그 책 속에는 "Die Frage der naturlichen Offenbarung"이란 논문과 Neues Testment und Mythologie"라는 논문이 포함되었다. 특히 후자의 논문이 신학계의 선풍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문은 Barth의 [로마서 주석]이 제1.. 2021. 11. 2.
반(反)유신론적 이론 / 찰스 하지의 조직신학에서 부분 발췌 | 목록가기 제3장 반(反)유신론적 이론 찰스 하지의 조직신학에서 부분 발췌 (307~412p) 1. 반유신론이란 무엇인가 유신론은 만물의 창조주, 보존자, 그리고 통치자이신 우주 밖에 계시는 인격적 하나님에 관한 교리이기 때문에, 이런 존재의 실재를 부정하는 교리는 모두 반 유신론이다. 그러므로 공인된 무신론뿐아니라 다신론, 물활론, 유물론, 그리고 범신론도 반 유신론적 이론의 부류에 속한다. 2. 다신론(생략) 3. 물활론(생략) 4. 유물론 유물론은 물질과 정신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고, 물리적이거나 생명적이거나 또는 정신적인 세상의 모든 현상들을 물질의 기능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중략.... F. 논박 현대적 형태의 유물론은 그 이론에 본질적인 모든 것을 보면, 1천년 전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2021. 11. 2.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목록가기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현대 신학자들의 관심은 객관성보다 주관성, 성경 자체의 권위보다 성경의 기능 곧 인간에게 주어지는 의미로 옮겨왔다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등에서 정통신앙을 떠나온 현대신학 현대신학은 더욱 다양해졌고 여러 갈래이며 파편도 많다. 몇 가지 틀에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은 벅차다. 한 가지 말한다면 현대신학의 흐름이란 성경의 권위를 내던짐과 동시에 정통교리를 처음엔 조심스럽게, 조금 후엔 서슴없이 대범하게 떠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과거에도 있었다. 이미 오래전에 소치니(Faustus Sozzini, 1539-1604)가 합리주의적 성경 해석학을 들여왔고, 삼위일체를 부정했으며, 아리우스주의와 펠라기우스를 불러들였다. 그는 윤리를 중심에 두고, 관용, .. 2021. 11. 2.
<기독교 강요> 산책-<기독교 강요>의 개요(고 광 필 교수) Ⅲ. 의 개요 1. 제 1 권 칼빈의 의 구조에 대해서 학자들간에 논란이 많다. 어떤 학자는 사도신경 순서로 되어 있다고 하는가 하면 어떤 학자는 이중구조―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구속주 하나님에 대한 지식―로 되어 있다고 하고, 또 어떤 학자는 삼위일체적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개혁주의 학자들간에는 사도신경 순서와 삼위일체적 구조라고 말하는 학자가 많다. 사실 사도신경의 순서를 자세하게 분석해 보면 삼위일체 구조를 갖고 있다. 처음에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에 대해서 말하고 그 다음에 그리스도 예수의 인격과 역사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성령의 역사에 대해서 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삼위일체적 구조는 역동적이며, 동시에 를 유기체적으로 혹.. 2021. 11. 2.
<기독교 강요> 산책-칼빈의 생애와 사상(고 광 필 교수) Ⅱ. 칼빈의 생애와 사상사람을 이해하는 데에는 두 가지 중요한 방법이 있다. 첫째는 알고자 하는 그 사람과 친밀하게 사귐(κοινωνια: fellowship)을 갖는 것이고, 둘째는 알고자 하는 사람의 작품이나 살아온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자는 어떤 관계성 속에서 한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며, 후자는 개인의 역사를 통해 한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란 과거에 일어난 그 사람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칼빈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이 모두 필요하다. 그러나 현대를 사는 우리가 종교개혁시대의 칼빈과 사귐을 갖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그가 더 이상 이 세상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칼빈을 이해할 수 있는 길은 오로지 그의 생애와 사상, 즉 그의 .. 2021. 11. 2.
<기독교 강요> 산책-서문(고 광 필 교수) 목차 Ⅰ. 머리말 · 5 Ⅱ. 칼빈의 생애와 사상 · 15 Ⅲ. 의 개요 · 57 Ⅳ.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의 지식 · 65 1. 두 종류의 지식: 하나님과 인간 · 67 2. 하나님의 지식을 배우는 목적 · 71 3. 생래적 지식 · 79 4. 계시 · 84 1) 자연계시 · 84 2) 성경 계시 · 87 3) 자연계시와 성경계시의 관계 · 96 5. 삼위일체 하나님 · 97 6. 인간의 창조: 하나님의 형상 · 104 7. 섭리 · 111 Ⅴ. 제 2 권 구속주 하나님의 지식 · 119 1. 원죄 · 121 2. 부패한 자유의지 · 124 3. 율법 · 130 4. 율법과 복음의 관계 · 134 5. 율법과 복음의 신학적 중요성 · 142 6. 성육신 · 144 7. 중보자 · 147 8. 삼중직.. 2021. 11. 2.
존 오웬의 구속에 대한 삼위일체적 이해 목록가기 존 오웬의 구속에 대한 삼위일체적 이해 (John Owen's Trinitarian Understanding on the Atonement) 존 오웬(John Owen)의 신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내용 중의 하나이면서도 가장 논쟁이 되는 내용은 구속에 대한 그의 이해이다. 특히 오웬의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 있는 죽음의 죽음(The Death of Death in the Death of Christ)”은 그리스도의 구속의 특별성 곧 구속의 제한성을 주장하는 책 중 가장 탁월하면서도 논쟁적인 책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저변에 흐르고 있는 구속에 대한 삼위일체적 배경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그것은 이 책이 가지고 있는 내용의 어려움.. 2021. 11. 2.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 목록가기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삼위일체론은 신학 교과서에만 있는 지식인가? 비록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신자들은 일상적인 삶에서 사실상 '단일신론'을 따르고 있다. 우리는 매주일마다 성부, 성자, 성령께 송영을 돌려드리며, 삼위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면서 예배를 마치지 않는가. 그렇지만 삼위일체론이 거짓으로 판명되어진다 하여도 기독교 경건 서적의 대부분 바뀌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처럼 삼위일체론이 창조론, 기독론, 은혜론 뿐만 아니라, 성도들의 경건과는 거의 분리되어 있다. 성령 안에서 성자의 이름으로 성부께 기도를 하루에도 몇번씩이나 드리며,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사역을 차례로 고백하는 사도신경을 고백하면서도, 성도들의 머리에.. 2021. 11. 2.
삼위일체 목록가기  삼위일체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조직신학세부분야관련학문기독교의 신의 신성(神性)삼위일체(三位一體, 고대 그리스어: Τριάδος 트리아도스[*], 라틴어: Trinitas 트리니타스[*])란 그리스도교에서 성경적으로 또한 신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교리이다. 하나님은 본질에서 한 분이시며 위격(位格, 고대 그리스어: ὑπόστασις 휘포스타시스[*])에서는 세 분으로 존재하신다는 것이다.[1] 삼위일체에 대해서 동방교회는 본질에 한 분이신 하나님께서 세 위격으로 되는 신비를 지지했고, 서방교회는 세 위격으로 존재하는 하나님이 동일본질로 한 분 하나님이 되는 신비를 지지하며 신학적 관점의 차이를 보였다.[2]목차1기원2기독교2.1찬성 견해2.2반대 견해2.3다양한 해석2.4기독교.. 2021. 11. 2.
칼빈의 신앙론/박해경 교수(ACTS, 조직신학) -목차- 1. 서론 2. 칼빈의 기독교의 본질 이해 3. 신앙의 정의 4. 신앙의 본질적 특성과 목표 5. 신앙의 지식과 확신 6. 신앙과 경건 7. 결론 1. 서론 워필드(B. B. Warfield)는 칼빈을 가리켜 "성령의 신학자"(the theologian of the Holy Spirit)라고 하였다. 기독교교리사에 있어서 교회가 죄와 은총론은 어거스틴(Augustine)에게, 속죄론은 안셀름(Anselm)에게, 이신칭의론은 루터(Luther)에게 은혜를 받고 있으나 성령의 역사(役事)에 관한 교리는 특히 칼빈에게 빚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칼빈의 기독교강요 3권을 자세히 검토한다면 워필드의 이 말은 극히 타당한 것으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칼빈은 강요 3권에서 실상 구원론을 논하고 있는데,.. 2021. 11. 2.
칼빈주의의 회복 칼빈주의와 한국교회 이광호 목사 1. 서론 동일한 하나님을 믿으며 동일한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다고 하지만 현대 기독교인들의 믿음은 제각각이다. 문제는 제각기 다른 믿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모두가 자기의 신앙이 옳다고 주장한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독교의 믿음은 과연 상대적인가? 우리는 현대 기독교의 다양한 신앙의 형태들을 포용적으로 받아들여야만 하는가? 우리가 확실히 아는 것은 성경에 나타나는 모든 믿음의 선배들의 믿음은 본질적인 측면에서 동일한 신앙이었다. 그들은 수 천년의 역사와 다양한 문화적 배경 가운데 살았지만 그들의 신앙은 서로 상이 하지 않았다.1) 그러므로 원리적으로 보아 오늘날 우리의 신앙이 참된 신앙이라면 보편교회 가운데서 동질의 신앙을 가져야만 한다. 우리의 신앙은 신구약 성경에 나.. 2021. 11. 2.
칼뱅주의 신학 칼뱅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뱅주의배경신학주요 문서교파주요 인물 기독교 프랑스의 유명한 조각가 다니엘 레클레로(Daniel Lecleroq)가 만든 장 칼뱅 동상, 장신대학교 칼뱅주의(프랑스어: Calvinisme) 또는 개혁주의(tradition réformée, foi réforméefaith, théologie réformée)는 장 칼뱅이 주창한 기독교의 사상 및 성경을 따르는 신학사상으로서[1] 종교 개혁을 통해 체계화되어 개신교의 주요 신학으로 자리잡은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2] ‘칼뱅주의'란 말은 칼뱅 개인의 사상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하나 이는 매우 드물다.[3] 다만 그 사상이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발전하게 된 데에 칼뱅이 미친 지대한 영향에서 ‘칼뱅주의’란 이름이 .. 2021. 11. 2.
윌리암 틴데일 span>윌리엄 틴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윌리엄 틴들(틴데일)(William Tyndale, 1494년~1536년 웨일스 슬림브리지 출신)은 영국의 종교인이다. 존 위클리프에게 영향을 받아 헬라어를 영어로 성경을 번역한 사람이다. 그는 영어 번역을 위해 독일로 건너가 비밀리에 번역작업을 했으며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도 했다. 성경을 번역한 죄로 체포되어 1536년 10월6일 화형당했다. 킹 제임스 성경 영어 판의 70%가 틴데일의 성경에 근거한다. 그가 독일로 건너가서 동시대의 사람은 마틴 루터의 활동에 영감을 받은 것은 영국의 개혁운동이 외래의 영향을 통해 이루어진 가장 큰 이유로 이해된다.[1] 영국 캠브리지에는 그의 이름 가진 틴델하우스가 있는데 많은 전문학자들이 연구하고.. 2021. 11. 2.
미래의 주인 (에베소서 6:4) 목차로 돌아가기 미래의 주인 (에베소서 6:4) 일제 시대 말에 평양 어느 중국 음식점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중학교 졸업식을 마치고 몇 명의 졸업생들이 모여 "너는 장래 무엇이 될거냐?"며 서로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어떤 친구는 정치가가 되겠다고 하고, 또 어떤 친구는 사업가가 되겠다고 하고, 또 어떤 친구는 교수가 되겠다고 하는 등 저마다 사회적으로 그럴듯한 직업을 말했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 한 소년의 차례가 되자 "나는 목사가 될거야"라고 했습니다. 그 이야기를 들은 친구들은 겨우 목사가 될거냐며, 웃고 떠들었습니다. 마침 그때 건너편에 앉아있던 한 중년신사가 그 소년들이 있는 자리에 오더니, 머리를 숙이면서 "장래 목사님! 많은 사람들의 영혼과 정신을 깨우쳐 이 나라를 살려 .. 2021. 11. 2.
한 소년의 보리떡과 물고기 이야기 (요6:5-14) 목차로 돌아가기 한 소년의 보리떡과 물고기 이야기 (요6:5-14) 오늘은 어린이 주일입니다. 우리 강변교회의 유아부 유치부 유년부 초등부 어린이들이 예쁘 고 아름다운 찬양을 했습니다. 저는 강변교회 어린이들이 너무 예쁘고 너무 좋습니다. 모두 안아주고 싶고 함께 놀고 싶습니다. 스티커 선물도 주고 싶습니다. 특히 주일 저녁마다 교회 에 나와서 예배를 드리며 성경 암송도 하고 찬양도 하는 유아부 어린이들이 너무 예쁩니다. 주한이도 예쁘고 예나도 예쁘고 혜성이도 예쁘고 하연이도 예쁘고 지민이도 예쁩니다. 지난 주일에는 착하고 예쁜 한 여자 어린이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다리가 부러져서 아무 쓸모 없이 내 버리게 된 말 한 마리를 케일이라는 11살 난 소녀가 지극한 사랑과 보살 핌으로 다시 일으켜 세웠다.. 2021. 11. 2.
영원에 맞닿은 코끝 부활하신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숨을 내쉬며 ‘성령을 받으라’고 말씀하셨다. 영원하신 하나님의 영이신 성령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예수님의 숨으로 호흡하는 사람임을 일깨워 주신 것이다. 영원하신 하나님의 영으로 사는 사람이라면 자신을 스쳐가는 1초1초를 영원으로 건져 올리는 사람이다. 그는 곧 예수님의 숨으로 호흡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 죽음을 깨트리고 부활하신 것은 그분이 진리였기 때문이다. 진리는 결코 죽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숨으로 호흡한다는 것은 진리로 숨 쉬는 것이다. 자신의 코숨을 진리에 의한 들숨과 진리를 위한 날숨으로 삼는 사람은 자신의 1초 1초를 건져 올리는 사람이다. 그의 코끝에는 죽음이 아니라 영원이 맞닿아 있다. 2021. 11. 2.
믿음으로 모세는 (히11:24∼26) 목차로 돌아가기 믿음으로 모세는 (히11:24∼26) 여러 해 전에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휴스턴 경찰 당국이 이런 흥미로운 글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제목은 "못된 자녀 만들기 10가지 방법"입니다. 자기의 자녀를 못된 사람으로 만 들려면 이런 방법을 쓰면 틀림이 없다는 것입니다. 1. 어려서부터 아이가 갖고 싶어하는 것은 무엇이든 다 사 주라. 그리하면 그 아이는 온 세 상 모든 것이 다 자기 것이 될 수 있다고 오해하면서 자랄 것이다. 2. 아이가 나쁜 말을 할 때 그냥 웃어 넘기라. 그러면 그 아이는 자기가 재치 있는 줄 생각 하고 더욱더 좋지 않은 말과 악한 생각으로 깊어질 것이다. 3. 아무런 영적인 훈련과 교육도 하지 마라. 크면 제가 알아서 할 것이라고 내버려 두라. 4. 잘못된 품행을 책.. 2021. 11. 1.
어린이 (막 10:13-16) 목차로 돌아가기 어린이 (막 10:13-16) 어린이는 우리의 희망이자, 이 나라의 미래입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주 신 기업입니다(시 127:3). 그러므로 과거처럼 어린이가 무시되어서는 안 됩니 다. 반대로 너무 과잉보호 받아서도 안 됩니다. 우리에게는 어린이를 잘 양육 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는 어린이들에게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하나 님이 통치하시는 나라는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나라 를 이렇게 묘사합니다. "젖 먹는 아이가 독사의 구멍에서 장난하며 젖뗀 어 린아이가 독사의 굴에 손을 넣을 것이라"(사 11:8). 과연 우리의 어린이들은 행복합니까? 안전합니까? 요즘 어린이들은 학원 다니 .. 2021. 11. 1.
예수님과 어린이 (막 10:13-16) 목차로 돌아가기 예수님과 어린이 (막 10:13-16) 오늘 본문에 보면 어린이들이 예수님께 데려오는 것을 보고 제자들이 꾸짖어 물리치는 것을 보고 예 수님께서 이 행동에 대하여 분히 여기면서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 고 금하지 말라. 하 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하시고 어린 아이들을 안아 주시고 또한 안수를 하시고 축복하신 사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어른들은 어린이들이나 청소년의 구원을 대수롭지 않게 여길 뿐 아니라 가로막을 수도 있습 니다. 예 수님께 대한 충성이 아이를 가로막을 수도 있습니다. 제자들은 예수님이 가르치시 고 병도 고치시느라 고 분주하신데 말씀을 이해 못하는 어린이들까지 뭐 예수께로 데려오느 냐고 꾸짖어 물리쳤습니다. 오늘날도 예수님을 위한답시고 어린이들을 가로.. 2021. 11. 1.
심고 가꾸는 마음으로 (마 13:8-9) 목차로 돌아가기 심고 가꾸는 마음으로 (마 13:8-9) 오늘은 어린이 주일입니다. 어린이는 마치 새싹과 같고 피어나는 꽃과 같습니다. 그래서 옛 날에는 어린이 주일을 꽃주일이라고 했습니다. 어렸을 때는 일 년에 한 번씩 어린이 주일날 은 들로 나가거나 야외로 나가서 어린이들과 어른들이 함께 어울려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 예배를 사람들은 꽃주일이라고 불렀습니다. 어린이는 마치 꽃과 같습니다. 그래서 꽃은 어린 아이 기르듯이 하고 아이는 꽃을 기르듯이 해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들이 잘 자라서 실하고 꽃도 실하고 열매도 실하게 열릴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에서도 위험한 환경에 놓이게 되면 먼저 어린 아이들부터 구조하고 보호하 고 안전하도록 지켜줍니다. 어린 아이들이나 꽃은 양육하고 보살피고 심고 가꿀 .. 2021. 11. 1.
기도로 키운 자식 (삼상 1:19-20, 삼상 2:18-21) 목차로 돌아가기 기도로 키운 자식 (삼상 1:19-20, 삼상 2:18-21) 여러분,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십니까? “세상에서 내 마음대로 되는 않는 게 두 가지 있다. 그것은 골프하고 자식이다.” 아마 골프하는 분들이 만든 말 같은데, 어디 그것만 내 마음대로 안 되나요? 숱하게 많죠. 그런데 그 중에서도 정말 내 맘대로 안 되는 게 자식 문제입니다. 세상에 어느 부모치고 자식이 잘 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습니까? 그리고 자식을 위해 최선을 다해 헌신하지 부모가 어디 있겠습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게 솔직한 현실입니다. 그래서 많은 부모들이 끌탕을 합니다. 물론 개중에는 정말 어려서부터 부모의 마음에 꼭 들게 자라는 자녀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쉽지 않.. 2021.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