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백의 복

by 【고동엽】 2021. 11. 6.

Part of the process of "teshuvah" - of turning to God - is turning to yourself, that is, learning to honestly observe yourself. Often it is not that we sometimes entertain bad thoughts, but rather we engage in a process of bad thinking, or more accurately, we unquestioningly accept assumptions based on fear and fantasy. Because of this, our reasoning becomes distorted and we lose our ability to see what is real. We then "play god" by justifying ourselves, unaware how we are being driven by fear and a profound sense of inadequacy. The remedy is to change your thinking, to question the assumptions at work in your reasoning, and to gain new perspective. For example, instead of seeing angrily, see your own anger and then ask what really lies behind it. Is it pride? fear? hurt? Look deeper and then come to God... Confession means making peace with reality, “owning” the truth about what’s inside your heart. Often we do not find lasting deliverance because we fail to see the real issue. You can pray all day to be free from lust, for example, but the real issue might be fear of intimacy or fear of rejection, and so on.

Undoubtedly the root of a lot of suffering comes from the vain attempt to fill the infinite emptiness we feel with something other than God. The pride of the ego puts the self as the center, but this comes from a place of inner poverty... We demand to be the center because we are afraid we are nothing. Only the Lord can save us from ourselves - and we rely on Him to correct our thinking and show us the way of inner honesty and truth (Psalm 51:6).

 

The unexamined life -- especially as a follower of Yeshua -- is not worth living, and the practice of suppressing the truth about our sinful condition can lead to self-deception and even death (1 Cor. 11:30). "If we say we have no sin, we deceive ourselves, and the truth is not in us; if we confess our sins, he is faithful and just to forgive us our sins and to cleanse us from all unrighteousness" (1 John 1:7-8). “Therefore, confess (ἐξομολογέω, lit. 'confess out') your sins to one another and pray (εὔχομαι) for one another, that you may be healed. The prayer of a righteous person (tzaddik) works great power” (James 5:16).

Notice the link between confessing our sins and praying for one another with healing... Being "yashar" - honest and upright - produces spiritual power and life. The word translated “pray” (euchomai) means to “wish (εὐχὴ) for oneself (or for another) the good.” Prayer is always reciprocal, as King David said in Psalm 35:13: "may what I prayed for happen to me!" (literally, tefillati al-cheki tashuv - "may it return upon my own breast").

We must begin by asking God for courage and strength... We must let go of the fear that we will discover the truth about who we really are -- about what we've done, what we've thought, about who we've allowed ourselves to become. Confession (ὁμολογία) means bringing yourself naked before the Divine Light to agree with the truth about who you are. Indeed, the word homologeo literally means "saying the same thing" - from ὁμός (same) and λόγος (word). We need to confess the truth if we are to be free from the pain of the past. When King David wrote, "The LORD is my Light and my salvation; whom shall I fear? (Psalm 27:1), he implied that he should even be free of fear of himself and of his past.... We also need to understand our sin in relationship to the wounds of the Savior, since without that connection, our repentance will be vain indeed.... [Hebrew for Christians]

 

Addendum: What is Sin?

The New Testament connects moral evil (or sin) with the absence of faith in the Lord: πᾶν δὲ ὃ οὐκ ἐκ πίστεως, ἁμαρτία ἐστίν, "All that is not from faith is sin" (Rom 14:23). Sin is also defined as rebellion and anarchy of the heart: ἡ ἁμαρτία ἐστὶν ἡ ἀνομία, i.e., "sin is lawlessness (i.e., anomia: ἀνομία), that is, the repudiation of God's authority as the definer and judge of moral reality (1 John 3:4). The apostle John further defined sin as "unrighteousness": Πᾶσα ἀδικία ἁμαρτία ἐστίν, "all unrighteousness is sin" (1 John 5:17), which may be further correlated with Paul's statement that "the wrath of God is revealed from heaven against all "ungodliness" (i.e., ἀσέβεια, profanity, lack of reverence for the gift of life) and unrighteousness of men (i.e., ἀδικία, injustice, cruelty), who by their unrighteousness suppress (i.e., κατέχω, put down, "smother") the truth, because what can be known about God is manifest in them (φανερόν ἐστιν ἐν αὐτοῖς, that is, it appears within them), because God himself has revealed it to them" (Rom. 1:18-19).

Sin therefore may be defined as the willful denial or disregard of reality, the deliberate squelching of the voice of conscience (i.e., consciousness of what is morally right and wrong), and the idolatrous exaltation of the ego as the ultimate concern of life. A life characterized by the ongoing practice of sin is marked by anarchy and chaos (תהוּ ובהוּ) that inevitably leads to loss and trouble. The "payback" for sin is death which is retribution for walking contrary to the truth. “The one who sins is the one who will die” (Ezek. 18:20). The divine judgment upon sin is spiritual and eternal separation from the reality and blessing of the Divine Presence... Hell is therefore the dreadful spiritual condition of living in a state of unending delusion and despair, removed from sanity and the truth of love that sets the soul free. 

 

 

하나님께로 향하는 "테슈바" 과정의 일부는 자신에게로 향하는 것, 즉 정직하게 자신을 관찰하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종종 우리는 때때로 나쁜 생각을 품는 것이 아니라 나쁜 생각의 과정에 참여하거나 더 정확하게는 두려움과 환상에 근거한 가정을 의심의 여지없이 받아들입니다. 이 때문에 우리의 추론이 왜곡되고 실제를 보는 능력을 잃습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두려움과 깊은 부적절감에 이끌려 자신을 정당화함으로써 "신을 연기"합니다. 해결책은 생각을 바꾸고, 추론에서 작동하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화를 내는 대신 자신의 분노를 보고 그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자랑이야? 두려움? 아프다? 더 깊이 들여다보고 하나님께 나아가십시오... 고백은 현실과 화해하고, 마음 속에 있는 진리를 “소유”하는 것입니다. 종종 우리는 진정한 문제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구원을 찾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정욕에서 벗어나도록 하루 종일 기도할 수 있지만 실제 문제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나 거절에 대한 두려움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많은 고통의 뿌리는 우리가 느끼는 무한한 공허함을 하나님이 아닌 다른 것으로 채우려는 헛된 시도에서 비롯됩니다. 에고의 교만은 자신을 중심에 두는데, 이것은 내적 빈곤의 자리에서 오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두려워서 중심을 요구합니다. 오직 주님만이 우리를 우리에게서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분께 의지하여 우리의 생각을 바로잡고 내적 정직과 진실의 길을 보여줍니다(시편 51:6).

 

특히 예슈아를 따르는 자로서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으며, 우리의 죄된 상태에 대한 진실을 억누르는 행위는 자기기만과 죽음에 이를 수 있습니다(고전 11:30). “만일 우리가 죄가 없다 하면 스스로 속이고 또 진리가 우리 속에 있지 아니할 것이요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요일 1:1) 7-8). “그러므로 너희는 너희 죄를 서로 자복(ἐξομολογέω, 직역하면 '고백')하고 병 고침을 위하여 서로 기도(εὔχομαι)하라. 의인(짜딕)의 기도는 큰 능력을 발휘합니다”(약 5:16). 우리의 죄를 고백하는 것과 치유를 통해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주목하십시오... "야샤르"(정직하고 정직함)가 되는 것은 영적인 능력과 생명을 낳습니다. “기도하다”(euchomai)로 번역된 단어는 “자신(또는 다른 사람을 위해)의 선을 바라는(εὐχὴ)”을 의미합니다. 다윗 왕이 시편 35:13에서 말했듯이 기도는 항상 상호적입니다. (문자 그대로, tefillati al-cheki tashuv - "그것이 내 가슴으로 돌아오길"). 우리는 하나님께 용기와 힘을 구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한 일, 생각한 일,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진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버려야 합니다. 우리 자신이 될 수 있습니다. 고백(ὁμολογία)은 당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진실에 동의하기 위해 신성한 빛 앞에 벌거벗은 채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homologeo라는 단어는 문자 그대로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의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진실을 고백해야 합니다. 다윗 왕이 "여호와는 나의 빛이시요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시 27:1)라고 썼을 때 그는 자신과 그의 과거에 대한 두려움도 없어야 한다고 암시했습니다. 구주의 상처와 관련하여 우리의 죄를 이해하는 것, 그 연결이 없다면 우리의 회개는 참으로 헛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어 기독교인]

 

부록: 죄란 무엇입니까? 신약은 도덕적 악(또는 죄)을 주님에 대한 믿음의 부재와 연결합니다. 죄는 또한 마음의 반역과 무정부 상태로 정의됩니다. 요한복음 3:4) 사도 요한은 죄를 "불의"로 더 정의했습니다. 모든 "경건치 아니함"(즉, ἀσέβεια, 생명의 선물에 대한 경건함이 없음)과 불의로 사람들을 진압하는(즉, κατέχω, 아래로, "질식시키다") 진리는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것이 그들 속에 나타나 있기 때문입니다(φανερόν ἐστιν ἐν αὐτοῖς, 즉 그것은 그들 안에 나타남). 이는 하나님께서 친히 그것을 그들에게 나타내셨기 때문입니다."(롬 1:18) -19). 그러므로 죄는 현실을 고의적으로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것, 양심의 소리를 의도적으로 억제하는 것(즉,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 것에 대한 의식), 삶의 궁극적인 관심사인 에고를 우상숭배로 높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계속되는 죄의 실행으로 특징지어지는 삶은 무정부 상태와 혼돈(תהוּ ובהוּ)으로 특징지어지며, 필연적으로 손실과 문제로 이끕니다. 죄에 대한 "보복"은 진리를 거스르는 행보에 대한 보응인 죽음입니다. “죄를 짓는 자는 죽을 자니라”(겔 18:20).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은 하나님의 임재의 ​​축복과 실재로부터의 영적이고 영원한 분리입니다. 그러므로 지옥은 끝없는 망상과 절망의 상태에서 살아가는 두려운 영적 상태이며, 온전함과 사랑의 진리에서 멀어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