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성 속으로 〓/영성 교회 성장 10대 지침등(가나다순)

개혁신학의 광맥 제 2부 개혁파 정통신학의 확립 제 6장 높은 칼빈주의

by 【고동엽】 2021. 11. 29.

개혁신학의 광맥 제 2부 개혁파 정통신학의 확립 제 6장 높은 칼빈주의

 

칼빈주의의 신학사를 살펴보았는데, 이는 첫 세대와 다음 세대의 칼빈주의의 신학의 논쟁점과 내부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살펴봄을 통해 개혁신학의 명확한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과연 칼빈과 그의 시대에 정립된 신학이 후기 칼빈주의자들에 의해서 과연 바르게 계승되었느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19-20세기의 자유주의신학자들은 베자가 예정론을 강조하면서 칼빈신학을 왜곡했다고 비판한다. 교리사적으로 검토해 볼 때 일부는 동의 할 수 있지만 전적으로 왜곡했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종교개혁의 5대 기본교리(TULIP)와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구원 역사와 성령의 적용으로 주어지는 믿음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칼빈주의 신학은 그 세대를 거듭해 가면서 전 세대가 다루지 않았던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체계적인 해설에 몰두하게 된다. 후대의 이러한 신학적 흐름은 ‘높은 칼빈주의(High Calvinism)’와 ‘낮은 칼빈주의(Low Calvinism)’으로 정리된다.

 

두 흐름

‘높은’칼빈주의자들이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반면 ‘낮은’칼빈주의자들은 인간의 책임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칼빈주의 안에서 이 두 가지 흐름은 처음에는 신학적인 논쟁을 하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점차 신학의 본래 영역을 떠나 서로 다투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이는 칼빈주의자들의 집안 내부에서부터 서로 비판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그러나 우리는 시대와 역사속에서 다양하게 표출된 칼빈주의 신학사상의 흐름을 이해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앞으로 전개될 세대를 준비해야 한다.

 

칼빈주의는 논쟁과 반응, 대응하는 과정속에서 다음과 같이 다양한 칼빈주의가 형성된다.



- 하이퍼-칼빈주의(Hyper-Calvinism)
‘높은’ 칼빈주의 - 칼반주의적인 율법 파기론(Calvinistic Antinomianism)
- 타락 전 선택론(Supralapsarianism)


- 엄격한 5대 교리주의자(Strict 5-Point Calvinism)

 

 

균형잡힌 칼빈주의 - 온건한 신앙고백주의

 

 



-아미랄디즘(Amyraldism)
‘낮은’ 칼빈주의 -신율법주의(Neonomianism)
-4대 교리주의자(4-Point Calvinism)


-후기 뉴잉글랜드 칼빈주의

 

 

타락 전 선택설

‘높은’ 칼빈주의와 ‘낮은’ 칼빈주의에서 가장 독특하게 등장하는 것이 ‘타락 전 선택설(Supralapsarianism)’이라는 주제이다. 이는 예정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초기 칼빈주의자들의 논의에서 핵심으로 등장한 과제 중에 하나였다.

우리는 선택, 유기, 원죄등의 질문을 다룰 때, 하나님의 작정은 어떤 순서로 이루어지는지 의구심을 갖게 된다. 타락 전 선택설은 하나님의 예정을 다루는 하나의 해답으로서 나온 것이다. 타락 전 선택설을 제기한 최초의 신학자는 칼빈의 후계자인 테오도르 베자였다. 베자의 신학적인 특징은 ‘타락 전 선택설(Supralapsarianism)’이라는 라틴어로 압축된다. 이는 ‘타락 전 일어난 어떤 일’을 의미하고 있다. 타락 전 선택설이란 하나님의 작정에는 어떤 논리적인 순서가 정해져 있는데, 특히 어떤 사람을 천국에 보낼 것인가 아니면 지옥으로 보낼 것인가에 대한 인간의 예정에 관하여서 하나님의 결정과 작정은 이미 세상을 창조하려는 작정보다 먼저 있었고, 인간의 타락을 허용한다는 신학적인 구조를 말한다.

 

타락 전 선택설의 논리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예정, 창조, 타락, 구원의 방편들, 그리고 적용의 순서이다.

 

①어떤 피조물들이 구원과 영원한 생명에 해당하는지, 그 밖에 다른 피조물들이 저주에 해당하고 지옥에 던져지는 영원한 형벌에 해당하는지를 예정하는 하나님의 영화로우신 작정이 있었다.

②창조하시는 하나님의 작정이 있었다.

③인간 피조물이 죄를 범하고 타락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님의 작정이 있다.

④선택자들을 위하여 구원의 방편들(그리스도와 복음)을 준비하시는 하나님의 작정이 있다.

⑤구원(그리스도의 의로움)을 택하신 자들에게 적용하시는 하나님의 작정이 있다.

 

 

타락 후 선택설(Infralapsarianism)의 논리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창조, 타락, 예정, 구원의 방법, 그리고 적용의 순서이다.

 

①세상과 인간을 창조하시는 하나님의 작정(The creation of the world)

②인간의 타락을 허용하시는 하나님의 작정(The fall of man)

③일부 타락한 자들 가운데 구원과 영생을 주시도록 선택을 하시는 작정과 그 외 사람들은 영원한 형벌과 저주로 작정하심(The Election unto salvation of some, together with passing by of others)

④선택자들을 위한 구원의 방법(그리스도)을 준비하시는 하나님의 작정(Christ as the Mediator)

⑤선택자들에게 구원을 적용하는 것과 유기된 자들이 그들에게 준비된 종말을 맞이하도록 남겨두는 하나님의 작정(The application and to realize the redemption of the elect)

 

타락 전 선택설과 타락 후 선택설은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①칼빈이 창조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에 대해서 바른 비전을 가졌다는 인식을 같이 한다.

②하나님은 창조와 구속에서 모든 것을 지배하시며 결정하신다.

③하나님은 개인의 타락과 향후 인생에 관해서도 모두 알고 계시며, 구원에 이르는 자들을 미리 작정하셨다는 것을 믿고 있다.

④하나님은 악이나 죄에 대해서 아무런 책임이 없으시다.

⑤하나님은 율법과 공정해야 한다는 개념을 초월해 계신다.

⑥하나님이 하시는 것은 모두 옳다.

 

타락 전 선택설은 베자에 의해 형성되며 스위스와 잉글랜드 케임브리지로 전파된다. 윌리엄 퍼킨스, 윌리엄 에임즈, 프란시스 고마루스, 요한넷 마코비우스, 새뮤얼 러터포드, 토마스 굳윈 등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을 주도한 칼빈주의자들이 받아들였다. 미국의 로버트 루이스 댑니, 헤르만 훅스마, 존 길 역시 하이퍼 칼빈주의 입장에서 타락 전 선택설을 지지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반틸, 고든 클락, 아더 핑크 등도 같은 입장을 취하였다. 하니만 타락 적 선택설은 최근 칼빈주의자들 가운데 5%정도만이 지지하고 있다. 마레시우스, 뒤르땡, 리베트(Rivet), 발라에우스(Walaeus), 몰리나에우스(Molinaeus), 하이데거(J. Heddeger), 쉬판하임(Spanheim), 게르데스(Gerdes), 마스트리히트(Mastricht), 마르크(Marck), 18세기 프린스턴 신학교의 찰스 핫지를 위시하여, 쉐드(W. G. T. Shedd), 스트롱(A. H. Strong), 부리스 벌콥 등은 타락 후 선택설을 지지하고 있다. 조심스럽게 평가할 때, 20세기 전후의 영향력 있는 개혁 신학자들은 더 이상 이 문제로 논쟁을 벌이지 않았다. 타락 전 선택설은 하나님의 작정 순서에 대한 하나의 가설일 뿐이다. 하나님의 작정은 영원하다. 이는 시간적인 순서가 아닌 논리적인 귀결로 이해해야 한다.

타락 후 선택설은 타락 전에 하나님께서 타락 전에 선택과 유기를 결정하셨다는 입장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주셨으며 온전히 선택권을 허용하셨다. 인간이 언약에 실패하자 아담과 후손들 중에서 택한 자들을 미리 작정하셨다는 견해다.

타락 전 선택설은 알미니안과의 논쟁에서 변증된 가설이다. 타락 전 선택론자들은 하나님의 주권에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통괄하려고 노력한 것이다. 우리는 타락 전 선택설이 등장 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타락 후 선택설’을 주장하는 측에서 제기하는 ‘타락 전 선택설’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①목적이 수단을 정당화 시켰다.

②타락 전 선택설에서 인간은 타락 전 일 때 선택되는 것이므로 인간에게 있어서 구원이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일 수 없다.

③타락 전 선택설은 선택 교리만을 편협하게 주장하게 되어 아직 아무런 죄를 범하지 않은 자를 정죄하기로 작정해 버리는 모순을 초래한다. 결국 하나님의 은혜와 의로우심을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타락 전 선택론자들은 하나님의 주권을 훼손되는 것을 두려워했고, 타락 후 선택론자들은 하나님을 인간들의 죄의 협력자로 보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타락 전․후 선택론 모두 중요하며 훌륭한 배경을 갖고 있는 것이다. 네덜란드 유트레트 총회(1908년)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정사항을 공포한다. “전택설로 하여금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교리를 대표하도록 허용할 수 없지만, 그 견해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을 괴롭히는 것도 마찬가지로 허용할 수 없다.”

 

 

 

구원의 확신

16세기 말과 17게기 유럽 개혁 신학자들이 논쟁했던 문제가운데 또 다른 하나는 믿음을 가지면 본질적으로 구원의 확신을 가지게 되느냐에 관한 것이다. 참된 그리스도인이라면 자신의 구원에 대해 확신 할 수 있을 것이고, 선택과 마지막 날까지 하나님의 지켜 주심에 대해 자신도 확신 할 수 있어야 할 것이 아니냐는 토론이 제기 되었다. 또한 믿음에 확신을 포함하느냐의 문제에 대해 칼빈과 그의 후예들은 동일한 관점을 갖고 있느냐의 문제가 제기 되었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 되어야 할 문제들이다.

칼빈은 믿음에 대해 개념 정의를 하면서 구원의 확신 부분을 언급한다. 칼빈에게 있어서 믿음은 확신을 포함한다. 또한 믿음은 성령의 역사로 인해서 인간의 영혼이 조명 받는 것(enlightenment)이다.

칼빈은 성령의 내적 증거를 주장한 최고의 신학자이며, 최고의 신학자 이다. 칼빈에게 있어서 성령의 내적인 역사는 자기 자아만이 체험하였다고 자랑할 주관적인 것이 아니요, 성경으로부터 나오는 객관적인 것이다. 성경 기자들에게 주셨던 그 성령과 동일한 성령께서 선택자들에게 믿음의 선물은 성경을 통해 주시는 것이다. 결국 성경 없이는 중생도 없고, 믿음도 없다. 이러한 원리는 칼빈에게 있어서 믿음과 확신의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된다.

칼빈에게 있어서 중요한 또 다른 가르침이 있다. ‘선택의 거울’로서의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확신의 근거이며 믿음의 근거이다. 칼빈은 나를 위해서 그리스도가 죽으셨다는 지식을 통하여 확신이 주어진다고 보았다. 속죄는 복음의 핵심이며, 복음은 믿음과 확신을 가져다준다. 확신은 다음과 같은 인식을 가져다 준다.

 

그리스도는 나를 위해 죽으셨다.

그리스도는 나를 위한 분이시다.

만일 그분이 나를 위해 오신 분이라면, 나를 대적하실 수 있을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와 함께 모든 것을 나에게 주실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주시는 방식으로 계획하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는 선택되었고, 앞으로 보호 받을 것이다.

 

‘높은’ 칼빈주의자들은 항상 믿음과 확신을 서술하는 방식을 타협적으로 만들어 놓았다. 즉 이들은 믿음에 있어서 확신은 성령의 내적증거라는 질적인 면과 함께, 그 믿음에 수반되는 외적인 행위도 동시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높은’칼빈주의자들은 성령의 내적증거 보다는 행위를 더욱 강조함으로 확신이 믿음에 포함된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는 의미가 된다.

 

실천적 삼단논법

‘높은’칼빈주의자들은 확신이란 믿음의 반사작용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주장은 어떤 사람에게는 믿음은 있으나, 확신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칼빈은 확신이 없다는 말은 결국 믿음이 없는 사람이라고 말하려 했을 것이다. 베자는 확신이 없다면 어떤 행동을 통해서 더 분명한 확신을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격려하는 반면에, 칼빈은 믿음을 얻고 확신을 갖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하기 앞서 먼저 그리스도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베자의 실천적 삼단 논법(syllogimus practicus, Practical syllogism)은 믿음의 근거로서 성령의 내적 증거를 기본으로 하면서 칭의와 성화라는 배경에서 이해하려는 독특한 사상을 말한다. 베자의 실천적 삼단논법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지닌다.

 

나는 선행을 하고 있다.

오직 신자들만이 선행을 한다.

따라서 나는 참된 신자이다.

 

베자는 칼빈보다 믿음에 따른 선행을 더욱 강조한다. 베자는 구원에 확신에 있어서 성령이 주시는 증거와 경험사이에 긴장이 있다고 말하기까지 한다. 즉 믿음의 확신이란 일정부분 성령의 내적증거에서 오며, 일부분은 행위에서 온다고 본 것이다. 이는 이 양자 사이에서 얼마만큼의 증거를 얻어야 하는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결국 자신에게 나타난 효과를 보고 구원의 확신을 얻을 수 있다는 논리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베자가 실천적 삼단논법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칼빈의 경건과 헌신적인 삶의 교리를 추상에 빠지지 않게 하고, 이성적으로 빠지지 않게 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도 있다.

‘높은’칼빈주의자들의 또 다른 문제점은 믿음의 본질적 요소로서 그리스도께서 나를 대신 해서 죽으셨다는 지식을 부정하는 데 있다. 이들은 성경이나 복음을 통해 직접적으로 그리스도가 나를 위해 대신 죽으셨다는 지식을 얻을 수 없다고 말한다. 먼저 선택으로부터 추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모든 믿는 자는 선택을 받았다. 나는 선택을 받았다.

그리스도는 오직 선택받은 사람만을 위해서 죽으셨다.

따라서 그리스도는 나를 위해 죽으셨다.

 

칼빈과 ‘높은’칼빈주의자들의 차이점이 드러났다. 칼빈에게 있어서 구원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갖는다.

①그리스도를 바라보면서 믿음의 대상으로 삼음

②구원의 확신을 갖게 됨

③자신이 선택받은 사실을 깨닫게 됨

④나중에 그리스도의 속죄에 대해서 감격함

 

반면에 ‘높은’칼빈주의자들의 그 순서를 바꾸어 생각한다.

①자신을 돌아보아 그 증거를 찾음

②그 증거를 통해 자신이 선택받은 자임을 확신하게 됨

③그리스도의 속죄에 대해 감격함

 

‘높은’칼빈주의자들이 주장했던 ‘타락 전 선택설’과 ‘구원의 확신’의 대한 논리적 구조를 따라 올라간다면, 결국 우리는 구원에 대한 확신 여부가 희미해진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