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해편◑/정통 교리사41

신학(神學, theology) 하나님이 계시하신 진리를 신앙과 이성으로 파악하려는 학문적 노력.원래는 고대 그리이스 철학자들이 신들에 대한 이야기, 혹은 신개념에 대한 철학적 논설에 쓰이던 말이었는데 기독교 교리를 설명하는 용어로 채택되었음. 출발점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이며, 협의로 본다면 하나님의 존재와 본질만을 취급하나, 광의로 생각하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제반 문제를 다룸.신학의 소재는 성경.신학은 그 원리에 따라 주경신학(성경신학), 조직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등으로 구분됨.신학에는 기본적인 세 가지 틀이 있음. 정통, 자유, 급진적 신학이 그것인데, 이 세 가지 틀들은 기독교 신앙의 각기 다른 시대에 형성된 세 채의 집들과도 같음. 1. 정통신학그 출발점은 성경이며 교의학적 전통을 말함.정통주의라고 할 때 이 말.. 2023. 1. 22.
45. 영국의 이신론(理神論)~52. 세계교회협의회의 발전 45. 영국의 이신론(理神論)~52. 세계교회협의회의 발전    45. 영국의 이신론(理神論)                                                            이름연도대표적인 저서주목할 만한 논쟁점이신론의청년기토마스 홉스1588-1679리바이어던(Leviathan)비히모드(Behemoth)모든 지식은 감각과 이성의 산물이다.성서는 이성에 반대되지 않는다.존재는 물질에만 종속되어 있다.존 로크1632-1704기독교의 합리성인간오성론계시는 이성에 반대되지 않는다.관념의 백지상태를 주장하였다.지식은 감각의 투영이다.아이작 뉴턴1642-1727수학의 원리그의 기계론적 우주관은 이신론자들에 의해 지지를 받았다.이신론의장년기에드워드 허버트(체버리경)1583-1648진리에 관.. 2022. 8. 30.
77. 조직신학과 교회사의 발전구조 ~ 84. 대표적인 프로테스탄트 교회사가 77. 조직신학과 교회사의 발전구조  ~84. 대표적인 프로테스탄트 교회사가    77. 조직신학과 교회사의 발전구조                                                 조직신학 개요교회사발전 대조표Ⅰ.성서학-성서의 교리영지주의와 신약성서 정경화작업(2~4세기)Ⅱ.신학정론-하나님에 대하여Ⅲ.기독론-그리스도에 대하여Ⅳ.성령론-성령에 대하여삼위일체 논쟁(4세기)기독론 전쟁(5세기)Ⅴ.인간론-인간에 대하여펠라기우스 논쟁(5~7세기)Ⅵ.구원론-구원에 대하여종교개혁 : 프로테스탄트 대 가톨릭(16세기)                개혁파(칼빈주의) 대 알미니안파(17세기)Ⅶ.교회론-교회에 대하여종교개혁 : 프로테스탄트 대 가톨릭(16세기)                루터파와 개혁파.. 2022. 8. 30.
교리사 제2장 교리의 예비적 발전 .   2장 교리의 예비적 발전 1. 사도 교부들과 그 교리적 견해교부란 누구를 말하는가?: 2세기 이후 기독교 신학의 주춧돌을 놓은 교회 지도자들을 일컫는다. 교부는 2세기에서 8세기에 걸쳐 기독교의 이론을 세우고 또한 이단과의 열띤 논쟁을 벌여 사도로부터 계승된, 거룩한 보편교회를 수호하는 데 앞장섰다. * 교부들의 구분사도 교부: 사도들의 제자 혹은 그들의 가르침을 직접 들은 교부 (1세기 말 - 2세기초).니케아 공의회 이전의 교부 (2 - 3세기).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교부 (4 - 8세기). 1) 사도 교부들이 썼다고 하는 저작들바나바- 바울의 동료로 알려진 바나바와 동일인물로 추정됨. 바나바 서신이 있다.헤르마스- 롬 16:14에 나오는 허메로 추정됨. 헤르마스의 목자서: 일련의 묵시들, 명.. 2022. 3. 5.
교리사 제 3장 삼위일체론 제 3장 삼위일체론1. 삼위일체 논쟁1) 배경a. 삼위일체 논쟁의 출현아리우스와 나타나시우스의 싸움으로 전면에 대두된 삼위일체 논쟁은 사실 그 이전에 뿌리를 두고 있다. 터툴리안이 하나님의 세 위격을 분명하게 말햇고 이 세 위격이 본성상으로 단일하다고 최초로 주장했다. 그 이후에 하나님의 단일성과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하는 군주신론이 등장했다.b. 오리겐의 삼위일체론그는 영원한 발생이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성부와 성자의 관계를 설명한 최초의 인물이었지만 본질과 관련해서 제 2위가 제 1위게 종속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했다. 성부는 성자에게 ‘호 데오스’(유일신)이 아니라 ‘데오스’(일반적인 신)이라고 할 수 있는 열등한 신성을 주었다. 그래서 성자는 이류신으로 불렸다.또다른 결함은 성자의 발생이 성부의 필연.. 2022. 3. 5.
교리사 제4장 기독론 제 4 장 기독론1. 기독론 논쟁들교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했다.a. 그리스도의 참되고 고유한 신성. b. 그리스도의 참되고 고유한 인성 c. 한 인격 안에서의 신성과 인성의 연합 d. 한 인격 안에서의 신성과 인성의 고유한 구별1) 논쟁의 제 1단계(1) 배경A. 기독론적 문제의 발생에비온파, 알로고스파, 역동적 군주론자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했고,가현론자, 영지주의자들, 양태론자들은 그리스도의 인성을 부정했다.아리우스파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육신되 성자-로고스가 절대적 신성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부정했다.B. 아폴리나리우스주의라오디게아의 감독(390년경에 죽음). 그는 그리스도의 참되고 고유한 인성을 부정했다. 그는 인간이 몸과 혼과 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로고스가 인간의 영을 대.. 2022. 3. 5.
교리사 제 5장 죄론과 은혜론, 그리고 관련된 교리들 제 5장 죄론과 은혜론, 그리고 관련된 교리들 1. 교부시대의 인간론1) 인간론적 문제들의 중요성인간론적 문제들은 죄와 은혜, 자유의지, 신적인 예정과 같은 문제들인데 이런 문제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은 곳에서는 참된 경건이 많이 나타나지 않았고, 참된 경건이 약해지면 인간론의 오류가 늘 나타났다.2) 헬라 교부들의 인간론(1) 헬라 교부들의 죄론그들은 아담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을 때에 인간의 윤리적 완전성은 거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단지 인간 본성이 도덕적으로 완전해질 수 있는 가능성만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강조했다. 아담은 범죄할 수 있었고 실제로 범죄하였기 때문에 사탄과 죽음과 죄악된 타락의 세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런 육체적 타락은 인류 속에서 유전되었지만 그 자체가 죄는 아니고.. 2022. 3. 5.
교리사 제 6장 속죄론 제 6장 속죄론1. 안셀무스 이전의 속죄론1)헬라 교부들의 신학(1) 사도 교부들의 구속론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 인간의 죄는 형벌받아 마땅하다. 하나님이 죄를 위한 대속물로 자기 아들을 주셨다. 그 결과 그리스도의 의로 말미암아 죄가 덮어졌다. 마귀의 세력으로부터 구속을 가져다 주는 구속주로 묘사된다.영지주의 체계들 속에서는 그리스도의 구속은 어둠의 나라, 물질의 세계로부터의 구속이다.마르시온- 그리스도의 죽음은 사랑의 하나님이 세상의 창조주로부터 사람들을 살 때에 지불한 댓가다.(2)이레니우스의 속죄론인간이 어둠의 권세에 의해서 종이 되었다고 봄. 구속은 부분적으로 사탄의 권세로부터 건져내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켜서 인간을 해방시키는 것이다. 발생반복설(총괄갱신설-r.. 2022. 3. 5.
아우구스티누스의 죄론과 은혜론 아우구스티누스의 죄론과 은혜론 - 펠라기우스 논쟁을 중심으로 - * 목 차1. 들어가는 말2.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3. 펠라기우스 논쟁1) 펠라기우스 논쟁의 발발과 전개 2) 펠라기우스의 사상4. 아우구스티누스의 죄론1) 원죄와 유전 2) 유아의 죄 문제와 세례5. 아우구스티누스의 은혜론 1) 인간의 전적 타락과 원죄 2) 하나님의 은혜(1) 은혜의 수단과 효과(2) 선행하는 은혜(3) 값없이 주시는 무상의 은혜(4) 하나님의 절대 주권(5) 불가항력적 은혜(6) 견인의 은혜 3) 예정 4) 예지와 예정 5) 자유의지6. 나가는 말 1. 들어가는 말 기독교 역사는 한마디로 이단들과 정통적 신앙간의 계속되는 도전과 응전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이단들이 발호하였을 때마다 공의회는 이들 이단들을 정죄.. 2022. 3. 5.
반틸(C. van Til;1895- ) 코르넬리우스 반틸  - 개혁주의(칼빈주의)입장에서 볼 때 다 옳은 것은 아니지만 기독교 변증에 있어서 아주 큰 일을 감당해 낸 사람.목사,신학박사,1895년 화란 태생. 1927-1928년 사이에 미시간 주 스프링 레이크에서 목회하였고, 1929년 이 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변증학 교수를 역임했다.반틸의 변증학은 흔히 전제주의 (presuppositionalism)라고 불리운다.  =================================반틸은 말하기를, "성경의 내용을 연구하여 체계적 총전을 조직하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우리의 의무이다"고 했다.=================================="중립(neutrality)은 없다" 유명한 기독교 변증학자 '코르넬리우스 반틸'이 한 말입.. 2022. 3. 5.
교회 성장과 평신도 교육 Ⅰ. 서론  1.연구 목적  현대는 다원화되고 전문화되어 있다. 그래서 목회자 혼자 교회라는 하나의 공동체를 이끌어 가는데 있어서 어려움들이 많이 있다. 아무리 목회자의 역량이 유능하고 훌륭하다 할지라도 그것만으로 교회를 성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역량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평신도를 훈련시켜 함께 사역을 감당해 나아갈 때 부흥될 수 있다. 또한 현대의 평신도들은 전문인력들이 많이 있고, 또한 각자의 달란트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러한 고급인력과 각기 다른 달란트들을 계발하여 적재 적소에 잘 활동하게 한다면 교회성장을 이룩하는데 큰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의 목회는 목회자가 평신도들을 그 목회에 참여하게 하며 교회의 사명을 위하여 그들을 얼마나 활동하게 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려.. 2022. 2. 23.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김영규 목사)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김영규 목사)그리스도의 만족교리가 점점 더 파괴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헤르만 바빙크의 역사적 진단에 귀를 기울어야 한다. 즉 "그리스도가 모든 인간들을 위해 죽으시되 그들 편에서의 신앙과 회심의 조건 위에서 죽으셨다 하는 아미랄두스(Amiraldus)의 가설적 보편주의가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많은 장로교 학자들 사이에도 동의를 얻게 되었고, 용서는 독특하게 그리스도의 만족에 의존하였던 것이 아니라, 그의 귀감적인 고난에서 그것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창조하였다고 하는 그로티우스(Grotius)의 이론에 길을 준비하였으며 웨슬레적인 아르미니안주의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에 의해서 성경적이고 바르다고 포용되었다"는 점이다. 그와같이 코케이우스의 전통신학에.. 2022. 1. 12.
19.김회권 교수의 기독교교리사 기독교 교리사(3/2 목요일)-강의(김회권 교수) 초대교회사-신약성경과 사도행전의 역사I. 서론: 누가복음의 속편(續篇)인 사도행전은 일어난 일들(facts)을 질서정연하게 기술하여 데오빌로가 배운 바 복음의 기초신앙을 확실하게 다져주려는 목적으로 저술되는 책이다. 사도행전은 그리스도의 해 받으신 후 승천하신 이후부터 로마제국의 심장부까지 진출하는 복음의 세계적 확장사이자 성령충만한 신자들의 영적 분투의 기록이다(1:1-14). II. 아직 성취되지 않은 약속인 성령에 대한 약속이 상기되고 이 성령강림 약속을 중심으로 제자들은 한 공동체를 이룬다. 그들은 마가의 다락방에서 성령강림을 대망하며 전혀 기도에 힘쓴다. 그들은 마침내 예수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의 의미를 각성하고 예수를 죽인 사람들 한 복판에서 .. 2021. 11. 29.
니케아신조와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의 비교 서론초대 기독교가 갖고 있는 최대의 주제는 "주 예수 그리스도"였다. 초대 기독교의 배경 속에서도, 그리고 속사도, 변증가, 교부들의 글 속에서도 그리스도는 핵심 주제였다. 과연 그리스도는 어떤 존재인가? 그는 정말 하나님이신가? 만일 그리스도가 하나님이라면 창조주 하나님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성부도 하나님이고 성자도 하나님이라면, 둘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리스도의 신성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은 초대 교회 수세기 동안 줄곧 쟁점이 되어 왔다.그러던 중 4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의 감독 알렉산더(Alexander)와 장로 아리우스(Arius) 사이에서 시작된 성부와 성자 관계에 대한 논쟁은 초대 교회 역사상 가장 큰 논쟁으로 비화되기에 이르렀는데, 이것이 이른바 아리우스 논쟁이다.니케아 종교 회의는 .. 2021. 11. 18.
개혁주의 입장에서 본 삼위일체론 연구 목록가기  개혁주의 입장에서 본 삼위일체론 연구  차 례 서 론1. 연구의 목적 및 의의2. 전개방법 본 론1. 삼위일체론의 역사적 고찰1.1. 삼위일체론에 관한 3세기 이전의 견해1.2. 삼위일체론에 대한 이단의 견해1.2.1. 단일신론(monarchianism)1.2.2. 아리안주의(arianism)1.2.2.1. 아리우스 주장1.2.2.2. 아리우스 주의의 역사적 발전1.2.2.2.1. 종속주의(subordinationism)1.2.2.2.2. 전형적인 아리우스주의(arianism proper)1.2.2.2.3. 소시니안주의(socinianism)1.2.2.2.4. 유니테리안 주의(unitarianism)1.2.3. 사벨리안주의(sabellianism)1.2.3.1. 성부고난설(partripassi.. 2021. 11. 12.
조직신학의 7가지 주제들 ★ 조직신학의 7가지 주제들조직신학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들에 대한 체계적 지식이며, 기독교 복음의 자세한 해설이다. 조직신학의 7주제들은 다음과 같다.1. 서 론--기독교 교리의 기초가 되는 성경에 관하여(신학의 개념, 역사, 방법)1. 신학의 개념과 분야들1-1. 신학의 개념신학(神學, theology)은 말 그대로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학(學) 혹은 학문(science, 과학)이란 "체계적 연구에 의해 얻어진 사실들이나 원리들에 대한 지식" 즉 어떤 주제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학이란 하나님과 그의 진리들에 관한 체계적 지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을 다른 말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엄격한 의미에서 신학은 조.. 2021. 11. 10.
대신교단 정체성과 신학 노선 재천명 - 김재규목사| 대신교단 정체성과 신학 노선 재천명 04/10/29신학위원 : 김재규 목사 Ⅰ. 서언1517년 마틴 루터의 비덴 베르거의 반박문 95개조를 시작으로 종교개혁 487주년과, 오늘의 대신교단 신학의 기초 석을 놓은 대한신학으로부터 안양대학교 신학까지 56년의 세월이 흘렀고 교단 창설 43년이 되었다. 하나님 앞과 한국교회 앞에 그리고 세계교회 앞에 떳떳이 내 놓을 수 있는 칼빈주의 개혁과 정통신학의 유지와, 자부심을 가질 만한 세계적 개혁파 신학의 보존 및 교단으로 발돋음하는 이때를 즈음하여 학생들은 새 자각으로 학문에 임하고 더 깊은 개혁파 신학의 진수를 계승하고, 대신의 목회자들은 긍지와 자신감으로 뜨거운 사명을 갖고 목회하며 학자들은 학문연구와 오늘의 개혁파 신학의 현장화를 위한 새 비전으로 임할 결단.. 2021. 11. 10.
개혁주의 교회론 / 서철원교수 - 서철원먼저 제1장에서는 교회의 설립과, 교회의 발생에 대하여 살펴본다.우리가 흔히 교회라고 통상적으로 호칭하는 이 "에클레시아"는 '개교회'(Local Church) 곧 지역교회를 지칭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즉 개교회란 일정한 지역에 있는 신자들의 모임(육체적 연합체 : Physical unity)을 말한다. 성경은 항상 지상의 교회들을 개교회와 연관하여 언급하였다.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받은 사람들의 집합체 혹은 공동체이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 곧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선포하면 발생한다. 이 선포에 의해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자기들의 구주로 믿고 고백한다. 이 신앙고백으로 사람들이 믿는 사람들로 있는 것이 아니라 교회를 구성한다. 사람들이 예수를 믿으면 믿은 신자로 있는.. 2021. 11. 9.
칼빈주의 정통신학자들 칼빈주의 정통신학자들1. J. Calvin(1509~1564)- 1536~1559 : 1권)신론, 2권)기독론, 3권)성령론, 4권)교회론- 1537 , 1542 , 요한계시록을 제외하고 성경전체를 주석했다.- 칼빈의 신학사상은 모든 종교개혁자들과 같이 어거스틴의 사상을 재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칼빈은 오직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역사적 기독교회의 공동신조(사도신경)의 기초 위에 있는 어거스틴의 신앙과 신학사상에 입각하여 기독교의 교리체계를 확립했다. 단, 하나님의 절대주권, 성경의 유일무오, 예정, 하나님의 섭리, 인간의 타락, 신앙칭의, 구원의 단계, 교회제도 등은 칼빈만의 독특한 교리들이다.2. T. Beza(1519~1605)- 제네바아카데미 초대원장이자 칼빈의 후계자로서 칼빈 이후 40년간 .. 2021. 11. 7.
어거스틴 삼위일체론 목록가기  어거스틴 삼위일체론1. 어거스틴의 생애어거스틴은 사도 바울 이후 가장 위대한 기독교 신자이다. 그는 서방교회의 아버지이다. 그의 사상은 중세 시대를 지배했다. 16세기의 종교개혁과 캐톨릭의 반동종교개혁 둘 다가 어거스틴에 대한 재발견이었다.TONY LANE, 기독교 사상사, 삼판 (서울: 나침반사, 1987), p. 87.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아우렐리우스 어거스틴(Aurelius Augustine)은 354년 오늘날 알제리인 타가스테에서 이교도인 부친과 정통 그리스도인인 어머니(모니카) 사이에서 태어났다. 371년 그는 교육을 받기 위해서 카르타고에 보내졌다. 그곳에서 그는 완전히 방탕한 생활을 계속하다가 키케로(Cicero)의 호르텐시우스(Hortensius)를 읽게 된것이 그로 하여금 철학(.. 2021. 11. 6.
헤르만 바빙크의 삼위일체론 목록가기  서론아다나시우스는 그의 동시대 인물 중 어느 누구보다 기독교가 그리스도의 신성과 삼위일체에 대한 고백 여하에 따라 서기도 하고, 폐해지기도 한다고 했다. 바빙크 또한 삼위일체의 신앙조항이 우리 고백의 핵심이요 기독교의 구별하는 표요 모든 참된 기독교인들의 영광이요 위로라고2) 고백하고 있는데, 그것은 만물이 그로부터, 그로 말미암아, 그에게 돌아가기 때문일 것이다. 창조와 재창조에 있어서 하나님은 시작이요 완성자인 것이기 때문이다.바빙크는 이러한 고백으로부터의 이탈이 다른 교리 내용에 있어서 잘못 인도하며, 하나님의 큰일을 참되게 전파할 수 있는 것은 신자가 그것들을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큰 역사로 인식하고 고백할 때뿐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이것만으로도 삼위일체론의 중요성은 충분히 드러냈으리라.. 2021. 11. 6.
한국 장로교 보수주의 조직신학의 계보 본인은 장로교 목사로서 신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론신학(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과 실천신학' 전반에 관한 기본적인 소양이 있어야 한다고 확신,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기초로한 칼빈주의 장로교 가운데 성경의 축자영감과 절대무오를 토대로한 보수주의 장로교의 정통사상을 사수하고 보급하기 위해서라도 이 일에 생명을 걸어야 합니다. 이러한 신학가운데 초석이 되는 것이 이론신학이요, 이론신학 가운데 조직신학은 신학의 뼈대를 이루기에 매우 중요한 분야의 신학입니다. 이와같은 사상을 토대로한 조직신학의 계보에 대해 나름대로 정리,설명합니다.1. 유럽의 정통 조직신학(1)초대교회의 조직신학사도적 정통신학에 입각한 조직신학의 체계를 세운분중 대표적인 사람이 '동방교회의 아타나.. 2021. 11. 5.
고대교회사 고대교회사- 헬레니즘과 로마문명에서의 교회역사 -V. 1.1 독일에서는 교회사를 5 시대로 구분한다:고대 교회사 – 중세사 – 종교 개혁사 – 근대사 – 현대사 (혹은 근대사와 현대사를 하나로 묶이도 한다)참고문헌:독일어 문화권의 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교회사에 교리사와 기독교 사상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회사 책을 읽으려면 철학적 기본지식이 요구된다. 교리와 철학을 많이 다루므로 책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별도로 집필된 교리사 교과서도 있다. 독일의 교회사가들은 대체로 철학이나 문화사에 정통한 사람들이다.Armin Sierszyn(아민 저진): 2000 Jahre Kirchengeschichte. 1권 고대 교회사가 1995년에 나옴으로서 독일어권 복음주의권에서는 처음으로 대학 교과서로 사용될 수.. 2021. 11. 4.
교리사 서론 교리사 서론 Ⅰ. 교의(敎義 Dogma)의 의미 1. 어원적 의미 헬라어 δοκέω 에서 인출된 말이다δοκέω μοι 라는 표현은 It seem to me (내게 그래 보인다) I think it as established through (내 의견은 그렇다),‘나는 그 결론에 도달하였다’‘나는 확실히 안다’‘그것은 내 확신이다’ 는 뜻이다dogma 란 말은 ‘철학에서는 확립된 진리란 의미로, 법률에서는 공포된 법령, 정부에서는 왕(王)의 훈령,종교에서는 ’신적 증언’ 이란 의미로 쓰였다  2. 성경 용어에서의 의미 에스더3:3 단3:13 6:8 눅2:1 행17:7 (70인경) 에서는 정부의 법령으로엡2:15 골2:14 에서는 구약의 법도로행 16∶4에서는 규례, 회의 결과, 교회적 결정이란 의미로 쓰였.. 2021. 11. 3.
교리사 제1장 서론 교리사제 1장 서론 1. 개념 정리1) 교회사와 교리사의 차이교회사- 기독교의 교리와 신학과 역사적인 배경, 신앙과 문화와의 관계, 예배, 선교 등 교회의 삶과 교회에 속한 제반 사항을 역사적으로 조명함.교리사- 성경의 교리에 대한 이해, 즉 신학과 교회의 교의에 중점을 두고 그것을 역사적으로 다루는 학문.2) 기독교 교리사와 기독교 사상사의 차이기독교 교리사는 역사적인 연구를 통해 기독교의 교리를 추구하는데 반해, 기독교 사상사는 신학자들의 기독교 교리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더 관심을 둔다.3) 교리와 교의의 차이교리는 넓은 의미로 어느 종교가 가르치는 도리나 이치를 말한다. 불교 교리는 불교의 가르침이고 기독교 교리는 기독교의 가르침이다. 교의는 특정한 주제의 교리를 두고 교회가 공의회를 열어서 논의.. 2021. 11. 3.
교리와 교리사 / 서철원. 총신대신대원 조직신학 교수 교리와 교리사1. 교리와 교리사1.1. 교리와 교리사“교리란?”교리는 “기독교의 기본진리”다. 기독교는 특별계시에 근거한 구원종교이기 때문에 근본진리를 갖게 되는데, 이 근본진리를 인정하면 기독교가 되고 부정하면 기독교가 되지 못한다. 기독교의 교리는 계시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권위를 갖는다. 교리는 교회의 근본 신앙 조목(articuli fidei)이며 하나님의 구원진리를 신적 권위에 근거하여 신앙고백 형식으로 표현한 명제가 교리가 된다. 교리 중에서 교회 존립에 필수적인 것을 교회가 신앙고백 형식으로 채택한 신앙 조항들이 교리로 공식화되었다. 교리는 성경 계시에서 유래하므로 교리는 반드시 믿고 순종해야 할 문장들이다. (sententiae quibus credi aut obtemperari necess.. 2021. 11. 3.
0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1) 헤겔 (Georg W.F.Hegel,1770-1831).(1) 생애a. 시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출생하여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했다.b. 가정교사,예나 대학 강사, 신문기자,고교 교장 등을 거쳐서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교수가되었다가 베를린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2) 사상a. 관념론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범신론을 주장했다.b. 셀링(Schelling)의 세계관을 근거하여 체계화 하려고 시도하였고,논리와 형이상학을 동일시하였으며,실재를 활동과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c. 라이프니쯔의 주지설을 발전시켜 이성과 절대자를 동일시하고 이성은 논리적과정 그 자체라고 했다.d. 변증법적 과정에 있어서 3가지 요소를 제시했.. 2021. 11. 3.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 목록가기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삼위일체론은 신학 교과서에만 있는 지식인가? 비록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신자들은 일상적인 삶에서 사실상 '단일신론'을 따르고 있다. 우리는 매주일마다 성부, 성자, 성령께 송영을 돌려드리며, 삼위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면서 예배를 마치지 않는가. 그렇지만 삼위일체론이 거짓으로 판명되어진다 하여도 기독교 경건 서적의 대부분 바뀌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처럼 삼위일체론이 창조론, 기독론, 은혜론 뿐만 아니라, 성도들의 경건과는 거의 분리되어 있다. 성령 안에서 성자의 이름으로 성부께 기도를 하루에도 몇번씩이나 드리며,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사역을 차례로 고백하는 사도신경을 고백하면서도, 성도들의 머리에.. 2021. 11. 2.
삼위일체 목록가기  삼위일체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조직신학세부분야관련학문기독교의 신의 신성(神性)삼위일체(三位一體, 고대 그리스어: Τριάδος 트리아도스[*], 라틴어: Trinitas 트리니타스[*])란 그리스도교에서 성경적으로 또한 신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교리이다. 하나님은 본질에서 한 분이시며 위격(位格, 고대 그리스어: ὑπόστασις 휘포스타시스[*])에서는 세 분으로 존재하신다는 것이다.[1] 삼위일체에 대해서 동방교회는 본질에 한 분이신 하나님께서 세 위격으로 되는 신비를 지지했고, 서방교회는 세 위격으로 존재하는 하나님이 동일본질로 한 분 하나님이 되는 신비를 지지하며 신학적 관점의 차이를 보였다.[2]목차1기원2기독교2.1찬성 견해2.2반대 견해2.3다양한 해석2.4기독교.. 2021. 11. 2.
1)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생애 1)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생애하르낙은 1851년 5월 7일 리보니아(Livonia)에 있는 도르팟(Dorpat)에서 출생하였다. 선조때 독일에서 러시아로 이거(移居)했으며 외조부는 도르팟대학의 교수와 도르팟 교구의 목사였었다. 부친도 동대학에서 실천신학과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다가 독일 에어랑겐 대학으로 옮겨 13년동안 교수로 봉직하다가 다시 도르팟으로 돌아와 1889년에 별세하였다.이런 훌륭한 가문에서 성장한 하르낙은 에어랑겐과 도르팟에서 공부하다가 1872년 10월에 집을 떠나 라이프찌히(Leipzig) 대학으로 갔다. 그는 그 곳에서 1874년부터 교리사(敎理史) 강사 생활을 시작하여 1876년에는 시간강사로 강의하였다.그는 1879년에는 기센(Giesen) 대학의 교수로 임.. 2021.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