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사, 칼형 (Strong Verb, Qal)
강동사는
어간이 모두 일반 자음으로 구성된 가장 보편적인 형태의 동사들로서 규칙 동사라고도 하는데 단순형, 강의형 및 사역형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고 했다. 이 세 가지는 다시 태에 따라 일곱 가지로 세분되어 지는데, 여기서는 단순형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칼형에 대해 동사의 개념편에서 배운 순서대로 하나씩 구체적인 문법을 학습하기로 한다. 이후 각과에서 배우게 될 모든 형태의 동사에 관한 문법은 모두 같은 순서를 따라 전개될 것이다.
1. 시제 (Tense)
히브리어 시제는 완료시제와 미완료 시제의 두 가지 종류 밖에 없으며, 여기서는 직설법의 시제부터 살피기로 한다.
1) 완료시상(Perfect)
인칭 | 성수 | 단 수 | 인칭 | 성수 | 복 수 |
3 |
남 |
קָטַל 그가 죽였다(카-탈) | 3 |
공 |
קָּטְלוּ그들이 죽였다(카-텔루-) |
여 |
קָּטְלָה그녀가 죽였다(카-텔라-) | ||||
2 |
남 |
קָטַלְתָ 네가 죽였다(카-탈-타-) | 2 |
남 |
קְטַלְתֶּם 너희가 죽였다(케탈템) |
여 |
קָטַלְתְּ 네가 죽였다(카-탈-트) |
여 |
קְטַלְתֶּן 너희가 죽였다(케탈텐) | ||
1 |
공 |
קָטַלְתִּי 내가 죽였다(카-탈-티-) | 1 |
공 |
קָטַלְנוּ 우리가 죽였다(카-탈-누-) |
※ 암기요령은 3인칭 여성 단수부터 접미요소만 떼어서 ‘아, 타, 트, 티, 우, 템, 텐, 누’의 순으로 외운다. 2인칭 복수에서 단어 초두가 쉐와로 변한 것은 끝음절이 액센트를 가 진 무거운 음절이 되므로 억양 장모음이 쉐와로 약화된 것이다. ※ 동사의 어미
가
ָה(아-),
ִי이-) ,
וּ(우-)
일 때 그 앞의 음절은 반개음절이므로 3인칭 여성 단수와 3인칭 공성에 나타난 쉐와는 유성쉐와이다.① 변화표의 순서가 3인칭 남성 단수부터 시작하는 것은 히브리어에서는 3인칭 남성 단수가 동사의 원형이기 때문이다.
② 완료형 동사는 인칭 대명사가 접미요소로 붙는다. 단, 3인칭의 경우는 단, 복수 모두 인칭대명사와 모양이 다르다.
③ 접미요소 결합에 따른 모음 변화
㉠ 3인칭 접미요소
ָה (아-)와 וּ (우-)
는 자신들이 액센트를 취함으로써 앞의 중간 어간(ט)의 모음을 쉐와(모음약화로 인한 유성쉐와)로 만든 다. 그러나 초두의 장모음은 그대로 남는데 메텍을 표시함으로써 카 메츠하툽과의 혼동을 피하게 해준다.㉡ 자음 접미요소인
תָ (타-), תְּ (트), תִּי (티-)와נוּ
(누-)
는 액센트를 갖 지 못하기 때문에 모음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ל(라멛)이 쉐와 를 가진 것은 단순히 접미요소를 연결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생긴 것으로 분절쉐와라고 부른다.㉢ 중접미요소인
תֶּם
(템)과 תֶּן(텐)
는 자신들이 액센트를 가지면서 초두 의 개음절 장모음을 쉐와로 만든다.
④ 완료형은 동작이 끝난 모든 종류의 시상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완료형이 나타낼 수 있는 시상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이다.
㉠ 단순과거 : ∼가 ∼하였다.
㉡ 현재완료 : ∼가 이제 막 ∼하였다.
㉢ 과거완료 : ∼가 ~하였었다.
㉣ 미래완료 : ∼가 ∼하였을 것이다.
2) 미완료시상(Imperfect)
인칭 | 성수 | 단 수 | 인칭 | 성수 | 복 수 |
3 |
남 |
יִקְטֹל그가 (잌토-ㄹ) 죽일 것이다 | 3 |
남 |
יִקְטְלוּ 그들이 (잌텔루-) 죽일것이다 |
여 |
תִּקְטֹל그녀가(팈토-ㄹ) 죽일 것이다 | 여 |
תִּקְטֹלְנָה 그녀들이(팈토-ㄹ나-) 죽일 것이다 |
||
2 |
남 |
תִּקְטֹל 네가 (팈토-ㄹ) 죽일 것이다 | 2 |
남 |
תִּקְטֹלוּ 너희가 (팈텔루-) 죽일 것이다 |
여 |
תִּקְטְלִי 네가 (팈텔리-) 죽일 것이다 |
여 |
תִּקְטֹלְנָה 너희가 (팈토-ㄹ나) 죽일 것이다 |
||
1 |
공 |
אֶקְטֹל 내가 (엨토-ㄹ) 죽일 것이다 |
1 |
공 |
נִקְטֹל 우리가 (닠토-ㄹ) 죽일 것이다 |
※
암기요령은 3인칭 남성 단수부터 접두자음과 접미요소를 떼어서 단수는 ‘이, 티, 티, 티-리, 에’로 외우고 복수는 ‘이-우, 티-나, 티-우, 티-나, 니’로 외운다.① 미완료형 동사에는 완료형에서와 같은 접미요소 뿐 아니라 접두자음이 붙는다. 미완료형에 붙는 접미요소는 단수에는 2인칭 여성에만 붙고, 복수에는 모두 붙는다. 접두자음은 빠짐 없이 붙는다.
② 칼형의 미완료 시상의 주도 모음(어간의 중간 자음의 모음)은 세 종류가 있다.
㉠ 일반 동사는
ֹ
(오-)이다. : יִקְטֹל(
잌토-ㄹ, 그가 죽일 것이다)㉡ 상태 동사(자동사)는
ַ (아)이다. : יִכְבַּד(잌받, 그는 무거우리라)㉢
נָתַן
(나-탄, 주다)류의 동사는 ֵ (에-)나ֶ
(에)를 가진다. :יִתֵּן
(잍테-ㄴ, 그가 줄 것이다)
③ 접두자음과 접미요소 결합에 따른 모음 변화
㉠ 접두자음은 바로 뒤에 오는 자음과 함께 폐음절을 이룬다. 따라서 바 로 뒤에 오는 어간의 첫 자음의 모음을 무성쉐와로 만든다.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요소인
ִי
(이-)와 복수 3, 2인칭 남성 접미요 소인 וּ (우-)는 완료형에서와 같이 자신들이 액센트를 취함으로써 앞 의 중간 어간(ט)의 모음을 유성쉐와(반개음절)로 만든다.㉢ 복수 3, 2인칭 여성 접미요소
נָה(나-)는 액센트를 갖지 못하며, 따라 서 아무 영향도 주지 못한다. ל(라멛)의 쉐와는 분절쉐와이다.
④ 2인칭 여성 단수나 3, 2인칭 남성 복수처럼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를 가진 미완료형 동사의 끝음절을 폐음절로 만들기 위해 마지막에
ן(눈)이 첨가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첨가
נ(눈)이라고 부른다.
תִּדְּבְּקִי → תִּדְּבְּקִין “네가 좇아 가리라” (틷베키-) (틷베키-ㄴ 미, 2여단) תִּשְׁמְוּע → תִּשְׁמְוּען “너희가 들을 것이다” (티쉬메우-) (티쉬메우-ㄴ 미, 2남복) |
⑤ 미완료형은 동작이 끝나지 않은 모든 종류의 시상을 표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의미들을 나타낸다.
㉠ 현재 : ∼가 ∼한다.
㉡ 미완료과거 : ∼가 ∼하고 있다.
㉢ 미래 : ∼가 ∼할 것이다.
㉣ 기타 명령법, 희구법, 가정법 등에서 아직 완료되지 않는 행동
2. 법 (Moods)
히브리어의 4가지 법 중에서 완료시제와 미완료시제로만 되어 있는 직설법(Indicative)은 앞에서 이미 학습했다. 나머지 법에는 명령법과 희구법과 가정법이 있다.
1) 명령법 (Imperative)
명령법은 2인칭을 대상으로 명령이나 간구 또는 권고를 나타내는 법으로서 동사 7형태 중에서 능동형(칼, 피엘, 힢일)과 재귀형(닢알, 힡파엘)에 사용되며 수동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인칭 | 성수 | 단 수 | 인칭 | 성수 | 복 수 |
2 |
남 |
קְטֹל 너는 죽여라(케토-ㄹ) | 2 |
남 |
קִטְלוּ 너희는 죽여라(키텔루-) |
여 |
קִטְלִי 너는 죽여라(키텔리-) | 여 |
קְטֹלְנָה 너희는 죽여라(케토-ㄹ나-) |
① 동사의 명령형은 미완료형 2인칭에서 접두자음을 떼어낸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② 칼형의 명령형의 주도 모음 역시 미완료형에서와 같이 오(
ֹ
), 아(ַ
), 에(ֵ
)의 3종류가 있다.
㉠ 일반동사는 오(
ֹ
)를 취한다. : קְטֹל (케토-ㄹ, 너는 죽여라)㉡ 상태동사는 아(
ַ )를 취한다. : שְׁכַב (쉐캅, 너는 누워 있어라)㉢
נָתַן
(나-탄, 주다) 동사류는 에( ֵ또는 ֶ )를 취한다. : תֵּן(테-ㄴ, 너 는 주어라)
③ 모음변화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요소인
ִי
(이-)와 2인칭 남성복수 접미요소인וּ
(우-)는 같이 자신들이 액센트를 취함으로써 앞의 어간 중간자음(ט) 의 모음을 유성쉐와(반개음절)로 만든다.
㉡ 명령형의 2인칭 남성단수와 2인칭 여성복수의 첫 어간의 모음은 쉐 와를 취하는데, 첫 어간이 일반 자음일 때는 단순쉐와를 취하지만 첫 어간이 후음문자일 경우에는 합성쉐와를 취한다.
שָׁבַר → שְׁבֹר(솨 -바르, 완, 3남단, 그가 부셨다) (쉐보-르. 명, 2남단, 부셔라) : 단순쉐와 עָבַר → עֲבֹר(아-바르, 완, 3남단, 그가 지나갔다) (아보르, 명, 2남단, 지나가라) : 합성쉐와 |
2) 희구법 (Optative)
히브리어는 말을 길게 하거나 혹은 빠르고 짧게 함으로써 화자의 의향의 정도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독특한 어법이 있는데, 말을 길게 하여 권고나 의욕이나 요구 등을 나타내는 것을 연장형이라고 하고, 말을 짧게 끊듯이 하여 소원의 절박성을 나타내는 것을 단축형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 화법이 헬라어의 희구법과 유사하다고 하여 히브리어에서도 희구법이라고 부르고 있다.
① 연장형 (Cohortative)
연장형은 미완료형의 1인칭이나 명령형 뒤에 연장 어미 ָ
ה(아-)를 붙임으로써 화자의 의향이나 권고, 결심, 청원이나 소원을 나타내며 다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연장어미 ָ
ה(아-)가 붙음으로써 앞의 중간 어간의 모음(오,아,에의 3 가지 종류)은 모두 유성쉐와로 변한다.
אֶשְׁמֹר “내가 지킬것이다” → אֶשְׁמְרָה “내가 지키겠나이다”(에쉬모-르, 미, 1공단) (에쉬메라-, 연, 1공단) שְׁמַע “네가 들어라” → שִׁמְעָה “당신이 들으소서”(쉐마- 명, 2남단) (쉬메아- 연, 2남단) |
㉡ 연장형은 부정의 뜻을 가진 접속사
אַל(알)이나 간청의 뜻의 감탄사인
נָה(나-)와 함께 흔히 사용된다.
אַל־אֵבוֹשָׁה “나로 부끄럽지 않게 하소서” (알 레-보-솨 - , 연, 1공단) נַעְבְרָה־נָה “우리로 제발 통과하게 하소서” (나으베라-나-, 연, 1공복) |
㉢ 명령형이 연장형으로 사용될 때는 특별한 의미상의 구별이 어렵다. 그러나 강동사가 아닌 불규칙 동사의 명령형이 연장형으로 사용될 때는 보다 강한 명령을 나타낸다.
קוּם “일어나라” → קוּמָה “어서 일어나라” (쿠-ㅁ, 명, 2남단 ) (쿠-마-, 연, 2남단) |
② 단축형 (Jussive)
단축형은 미완료형의 3인칭에 주로 사용하여 강한 소원을 나타내며, 2인칭에서는 부정의 접속사와 함께 사용하여 강한 부정을 나타내며 다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모음을 가능한 짧게 만듦으로써 급한 발음을 유도한다. 그러나 실제 로는 미완료형의 끝음절이 단축형에서 변하지 않고 그대로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지 힢일 동사에서
ִי (이-)가 ֵ (에-)로 단축되는 것과 ֵ
(에-)가
ֶ(에)로 단축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단축 현상이 일어나 지는 않는다.
<미완료 형> <단축형> יִקְטֹל (잌토-ㄹ, 그가 죽일 것이다) → יִקְטֹל (잌토-ㄹ, 그가 죽여주셨으면)יַקְטִיל (얔티-ㄹ, 그가 죽게 시킬 것이다) → יַקְטֵל (얔테-ㄹ, 그가 죽이게 시키셨으면)יֵשֵׁב (예-쉐-브, 그가 앉게 될 것이다) → יֶשֵׁב (예쉐-브, 그가 앉아 주셨으면) |
㉡ 3인칭의 단축형은 간구를 포함한 간접 명령으로 사용된다.
יִשְׁמָרֶךָ “그가 너를 지키실 지로다”(이쉬마-레카-, 축, 3남단, 2남단) אוֹר יְהִי “빛이 있을지어다”(오-르, 빛) (예히-, 축, 3남단) |
㉢ 2인칭의 단축형은 부정의 접속사인
לאֹ (로-)나אַל
(알) 등과 함께 사 용되어 강한 금지를 나타낸다.
תִּגְנֹב לאֹ “너는 절대 도둑질하지 말라” (틱노-브, 축, 2남단) תִּקְצֹף ־ אַל “너는 절대 화내지 말라” (팈초-프, 축. 2남단) |
3) 가정법 (Subjunctive)
히브리어의 가정법은 별도의 어형이 없이 완료형과 미완료형 그리고 분사가 의미상으로만 가정의 뜻으로 사용된다. 간혹
אִם (이-ㅁ)이나 לוּ (루-) 또는לוּלְי
(루-ㄹ레-)가 함께 사용되어 가정법임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나, 아무것도 없이 가정법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때는 문맥상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다.
אוֹתָם הַהֲיִתֶּם לוּ “너희가 그들을 살렸더라면” (오-타-ㅁ, 그들을) (하하이-템, 가, 2남복) אִישׁ יוֹכַל אִם “만일 사람이 셀수 있다면” (이-쉬, 사람) (유-칼, 가, 3남단) |
3. 분사와 부정사
1) 분사 (Participle)
분사는 동사이면서 동시에 형용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동사적 형용사인데, 때로는 독립적으로 명사의 역할도 담당한다. 분사는 일종의 형용사이므로 형용사(명사)처럼 성, 수에 따라 변화한다.
한편 동사의 성질을 내포하고 있어서 동사처럼 시제와 태를 취할 것으로 여겨지나, 칼형만이 능동태와 수동태로 구분되는 것 이외에는 시제와 태의 구분이 없다. 따라서 헬라어에서처럼 복잡한 변화가 없기 때문에 매우 단순하게 여겨진다.
① 분사의 변화(칼형)
칼형을 제외한 모든 동사의 분사는 태의 구분 없이 성, 수의 구분만 있으나, 칼형만은 능동태와 수동태의 구별이 있다.
태, 성, 수 | 단 수 | 복 수 | |
능동태 | 남 | קוֹטֵל (코-테-ㄹ) קֹטֵל (코-테-ㄹ) | קוֹטְלִים (코-텔리-ㅁ) |
여 | קוֹטְלָה (코-텔라-) קֹטֶלֶת (코-텔렡) | קוֹטְלוֹת (코-텔로-트) | |
수동태 | 남 | קָטוּל (카-투-ㄹ) |
קְטוּלִם (케투-ㄹ리-ㅁ) |
여 | קְטוּלָה (케투-ㄹ라-) | קְטוּלוֹת (케투-ㄹ로-트) |
㉠ 강동사 칼형의 능동 분사형은 중간 자음이 체레모음을 가지고 있어 서 제3변화 명사 변화 형태를 취한다는 것을 명사 변화에서 이미 설 명했다. 이 체레모음은 뒤에 액센트 음절이나 접미가 오면 쉐와(유성 쉐와)로 약화된다.
㉡ 강동사 칼형의 수동 분사형은 페널트(전 종음절)에 카메츠(
㰚¼) 모음 을 가지고 있음으로 제1변화 명사와 같은 변화를 한다. 카메츠 모음 은 초두인 안티페널트 음절에서 유성쉐와로 약화되었다.
② 분사의 용법
히브리어 분사도 영어나 헬라어에서처럼 형용적, 서술적 그리고 독립적 용법의 3가지 기본적 용법이 있으며 그 밖의 용법들이 있다. 분사에 붙는 접미 대명사의 용법은 이 과(課)의 마지막 부분에서 한꺼번에 다루기로 한다.
㉠ 형용적 용법
이는 형용사의 형용적 용법과 같이 명사 다음에 위치하여 명사를 수 식하는
것으로서 명사가 관사를 가지고 있으면 분사도 관사를 갖는다.
אֹכְלָה אֵשׁ “삼키는 불”(오-켈라-, 분능, 여단) (에-쉬, 불)הָאֹהֲבִים הַנְּבִיאִים “그 사랑하는 선지자들” (하-오-하비-ㅁ, 분능,남복)(한네비-이-ㅁ, 그 선지자들) |
㉡ 서술적 용법
서술적 용법은 거의 동사적 역할이므로 관사 없이 사용하며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과 비슷하나 서술적 형용사가 대부분 주어 앞에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서술적 분사는 주어 다음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 나 때로는 주어 앞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시제의 구분이 없으므로 문맥으로 시제를 파악해야 한다.
אֶת־יַעֲקֹב אֹהֶבֶת רִבְקָה(엩 야아코-브, 야곱을) (오-헤벹, 분능. 여단) (립카-.리브가)“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하고 있었다” אַרוּר אָתָה(앝타-, 너는) (아-루-르, 분수, 남단) “너는 저주를 받을 지어다” |
㉢ 독립적 용법
이는 분사가 명사적으로 사용되는 용법으로서 ‘∼하는 사람 또는 ∼하 는 것’ 등의 의미를 갖고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가 된다.
רוּהַ בֹרֵא¬“영을 창조하신 분”(루-아흐, 영) (보-레-, 분능, 남단)כְתוּבִים “기록되어진 것들” (케투-비-ㅁ, 분수, 남단) |
㉣ 연계형 분사의 용법
이는 분사의 명사적 용법이므로 독립적 용법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구별하여 설명한다. 분사는 명사의 특성도 있으므로 명사처럼 연계형으로 사용되어 소유격의 표현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때 표현 방식은 연계형이지만, 분사 뒤에 나오는 독립형을 목적어처럼 번역하 여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목적어처럼 번역할 수 없고 적당한 전치사 를 넣어서 해석해야 할 경우도 있다.
וָרָה טוֹב יוֹדְעֵי “선과 악을 아는”(와-라-, 그리고 악) (토-브, 선) (요-데에-, 분능, 연, 남복) שְׁמֶךְ אֹהֲבֵי “ 당신의 이름을 사랑하는 자들”(쉐멬, 당신의 이름) (오-하-베-, 분능, 연, 남복) בוֹר יוֹרְדֵי“구덩이 안으로(into) 내려간 자들”(보-르, 구덩이) (요-레데-, 분능, 연, 남복) |
2) 부정사 (Infinitive)
부정사는 동사와 명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는 일종의 동사적 명사(Verbal Noun)이다. 그러나 동사와 같이 시제, 태의 구분이 없을 뿐 아니라 명사와 같이 성, 수의 구분도 없고, 단지 절대형과 연계형의 2종류로 구분하여 나타날 뿐이다. 부정사의 절대형과 연계형은 명사의 독립형과 연계형의 개념과는 전혀 다르다.
부정사의 절대형과 연계형의 구분은 부정사 자체가 어떤 것과 결합할 수 있는 지 없는 지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즉, 부정사 절대형은 아무것도 취하거나 첨가할 수 없고, 부정사 연계형은 전치사나 접미대명사 등을 취할 수 있다.
동사의 7형태는 모두 부정사를 가지는데, 대부분 절대형과 연계형의 2가지를 가지고 있으나 수동태인 푸알형 동사와 홒알형만은 절대형 부정사만 가진다.
① 칼동사의 부정사
부정사 절대형 | 부정사 연계형 |
קָטוֹל (카-토-ㄹ) 또는 קָטֹל (카-토-ㄹ) |
קְטֹל (케토-ㄹ) |
② 부정사 절대형의 용법
부정사 절대형은 명사적, 부사적, 동사적 용법의 세 가지로 사용된다.
㉠ 명사적 용법
영어나 헬라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히브리어 부정사도 명사의 역할을 하며, 주어 또는 목적어로 사용된다.
טוֹב לֹא דְבַּשׁ אָכֹל(토-브, 좋다) (로-, not) (데바쉬, 꿀) (아-코-ㄹ, 부절) “꿀을 먹는 것은 좋지 않다” |
㉡ 부사적 용법
동질 동사의 앞 또는 뒤에서 동사를 강조하거나 동사의 행동의 계속 되는 관념을 표현한다.
אֶפְקֹד פָּקוֹד “내가 꼭 방문할 것이다” (엪코-드, 미, 1공단) (파-코-드, 부절) תִּשְׁמְרוּ שָׁמוֹר “너희는 힘써 지킬지니라” (티쉬메루-, 미, 2남복) (솨 -모-ㄹ, 부절) |
㉢ 동사적 용법
앞에 나온 동사의 어법을 이어 받아 같은 투의 동작을 부정사 절대형 으로 표현한다. 때로는 명령형의 대용으로도 사용된다.
וְעָזוֹב יָלְדָה “그녀가 낳았다. 그리고 버렸다” (웨아-조-브, 부절) (야-ㄹ레다-, 완, 3여단) הַשַּׁבָּת יוֹם־אֶת זָכוֹר “안식일을 기억하라” (핫솨 바-트, 안식) (엩 요-ㅁ, 날을) (자-코-ㄹ, 부절) |
※부정사 절대형일지라도 비분리 접속사ו(웨)로 연결 할수있다.
③ 부정사 연계형의 용법
부정사 연계형은 명사적으로만 사용되며 다음의 용법이 있다.
㉠ 부정사 절대형과 마찬가지의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된다.
לְבַדּוֹ הָאָדָם הֱוֹית בוֹט־לֹא (레바도-, 홀로) (하-아-다-ㅁ, 사람) (헤요-트, 부연) (로- 토-브, 좋지 않다)“사람이 홀로 있는 것이 좋지 않다” וָבֹא צֵתא אֵדַע לֹא (와-보-, 부연) (체-트, 부연) (에-다, 미, 1공단) (로-not) “나가는 것과 들어오는 것을 알지 못했다” |
㉡ 전치사의 목적어
부정사 연계형은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되어 전치사구나 부사구를 이룬다.
הַכּוֹכַבִים־אֶת לִסְפֹּר “별들을 세기 위하여” (엩 하코-카-비-ㅁ, 별들을) (리쓰포-르, . 부연) הַשֶׁמֶשׁ עֲלוֹת עַל “해가 뜨기까지” (하쉐메쉬, 해) (알로-트, 부연) (알, 까지) |
※ 전치사와 부정사가 결합하는 첫음절은 완전한 밀착으로 인한 폐음절을 이루므로 부정 사의 첫 자음의 쉐와는 무성쉐와이다.
㉢ 부정사 연계형은 접미대명사를 취하는 데, 이에 대해서는 이 과(課) 의 마지막 부분에서 함께 다룬다.
4. 와우 계속법
접속사
ו
(와우)로 계속 이어지는 여러 개의 동사들은 모두 같은 시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처음에만 제대로 된 시제의 동사를 써주고 ו로 이어지는 후속 동사들은 반대되는 시제의 동사들을 쓰는데, 이를 와우 계속법이라고 부른다. 와우 계속법은 ו로 이어지는 동사들의 시제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미완료형 와우 계속법과 완료형 와우 계속법의 두 종류로 나눈다.
1) 미완료형 와우 계속법
이는 문장의 첫 동사가 완료형일 때
ו로 이어지는 후속 동사들의 시제가 미완료형인 경우를 말한다. ו로 이어지는 미완료형 동사들은 단축형이 사용되며 처음에 나타난 완료시제에 종속되어 모두 완료형으로 해석한다. 미완료형 와우 계속법의 접속사는 וַ (와)이며, 이 때 결합되어지는 미완료형 접두자음 י(요드)는 강음점을 가지게 된다. 1인칭 공통 단수의 접두자음 א(알렢)은 강음점을 못가지므로 접속사 ו의 모음을 장모음으로 보상하여וָ
(와-)로 만든다.
וַיִקְטֹל רָאָה “그가 보았다 그리고 죽였다” (와잌토-ㄹ, , 미, 3남단) (라-아-, 완, 3남단) וָאֶקְטֹר חָלַכְתִּי “내가 걸었다. 그리고 죽였다” (와-엨토-ㄹ, , 미. 1공단) (하-ㄹ랔티-, 완, 1공단) |
2) 완료형 와우 계속법
완료형 와우 계속법은 문장의 첫 동사가 미완료형일 때
ו로 이어지는 후속동사들의 시제가 모두 완료형이며, 이들의 해석은 첫 동사의 시제와 같이 미완료형으로 하는 것이다. 완료형 와우 계속법에는 접속사וְ
(웨)가 모음 법칙대로 사용된다.
וְזָעַקְתִּי אֶקְבֹּר (웨자-앜티-, , 완, 1공단) (엨보-르, 미, 1공단) “내가 매장할 것이다 그리고 울부짖을 것이다” וַאֲכַלְתֶּם תִּקְטְלוּ(와아칼템, , 완, 2남복) (팈텔루-, 미, 2남복) “너희가 죽이리라 그리고 먹으리라” |
5. 동사에 붙는 접미대명사
이는 원래 대명사 편에서 다루어져야 하나, 동사의 개념을 파악한 뒤에 학습하는 것이 이해하는데 용이하므로 여기서 다룬다.
동사에 붙는 접미대명사는 완료 시제와 미완료 시제에 붙은 주격 인칭접미와는 다르며, 모든 형태의 동사에 접미되어서 인칭을 나타내는 목적격 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이는 결국 목적격 인칭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하는 것이다. 동사에 붙는 접미대명사는 단수명사용 접미대명사와 형태가 거의 같으며, 시제에 따라 완료형에 붙는 것과 미완료형에 붙는 두 종류가 있다. 완료형과 미완료형은 거의 같은 형태이나, 완료형은 연결 모음이 ‘아’형이고, 미완료형의 연결모음은 ‘에’형이다.
1) 완료형 동사에 붙는 목적격 접미대명사
수 | 인칭 | 성 | 접미대명사 | 뜻 | 예 |
단 수 |
1 | 공 | ַנִי (아니-) |
나를 | קְטָלַנִי그가 나를 죽였다(케타-ㄹ라니) |
2 | 남 | ְךָ(에카-) |
너(男)를 | קְטָלְךָ 그가 너를 죽였다(케탈레카-) | |
여 | ֵךְ (에-크) | 너(女)를 | קְטָלֵךְ그가 너를 죽였다(케탈레-크) | ||
3 | 남 | וֹ (오-) ָהוּ (아-후) | 그를 | קְטָלוֹ그가 그를 죽였다(케타-ㄹ로-) | |
여 | ָהּ (아-흐) | 그녀를 | קְטָלָהּ 그가 그녀를 죽였다(케타-ㄹ라-흐) | ||
복 수 |
1 | 공 | ָנוּ (아-누-) | 우리를 | קְטָלָנוּ 그가 우리를 죽였다(케타-ㄹ라-누-) |
2 | 남 | ְכֶם (에켐) | 너희(男)를 | קְטָלְכֶם그가 너희를 죽였다(케타ㄹ레켐) | |
여 | ְכֶן (에켄) | 너희(女)를 | קְטָלְכֶן 그가 너희를 죽였다(케타-ㄹ레켄) | ||
3 | 남 | ָם (아-ㅁ) ָמוֹ (아-모) | 그들을 | קְטָלָם 그가 그들을 죽였다(케타-ㄹ라-ㅁ) | |
여 | ָן (아-ㄴ) | 그녀들을 | קְטָלָן그가 그녀들을 죽였다(케타-ㄹ라-ㄴ) |
※ קָטַל 동사에 접미 대명사가 붙으면 액센트의 이동으로 초두 개음절의 장모음이 쉐와 로 바뀐다. ※ 2인칭 남성단수와 복수 2인칭 남, 여성 쉐와는 유성쉐와로서 그앞의 글자와 합하여 반개음절을 만든다.
완료형 동사에 붙는 목적격 접미 대명사는 위의 표와 같으나, 이 접미 대명사들이 동사 어미에 붙을 때는 동사 어미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는 동사 어미 자체가 인칭과 성, 수에 따라 서로 다른 어미를 갖고 있는 데다가 또 다시 접미대명사가 붙음으로써 결합되는 발음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해하기 쉽게
קָטַל동사 칼형의 완료시제에 접미대명사가 붙을 때 인칭 성, 수에 따른 완료 시제 각각의 어미 변화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인칭 | 성수 | 단 수 | 인칭 | 성수 | 복 수 |
3 |
남 |
קְטָל 그가( 케타-ㄹ) ~를 죽였다 |
3 |
공 |
קְטָלוּ그들이( 케타-ㄹ루) ~를 죽였다 |
여 |
קְטָלַת 그녀가( 케타-ㄹ랕) ~를 죽였다 |
||||
2 |
남 |
קְטַלְתָ 네가 ( 케탈타-) ~를 죽였다 |
2 |
남 |
קְטַלְתּוּ 너희들이( 케탈투-) ~를 죽였다 |
여 |
קְטַלְתִּי 네가( 케탈티-) ~를 죽였다 |
여 |
קְטַלְתּוּ 너희들이( 케탈투-) ~를 죽였다 |
||
1 |
공 |
קְטַלְתִּי 내가 ( 케탈티-) ~를 죽였다. |
1 |
공 |
קְטַלְנוּ우리들이 ( 케탈누-) ~를 죽였다 |
※ ‘∼가 ∼를 죽였다’에서 ‘∼를’에 해당하는 것이 접미대명사이며 이 접미대명사가 붙기 전의 완료형 동사 변화의 형태를 보인 것이다.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법칙을 발견하게 된다.
① 3인칭 여성단수 어미인
ָה (아-)는ַת
앝)이나ָת
(아-트)로 된다.② 2인칭 남성단수 어미
ָת
(타-)는 그대로 있거나,תְּ
(트)로 된다.③ 2인칭 여성단수 어미
תְּ (트)는 תִּי (티-)로 된다.④ 1인칭 공통단수 어미
תִּי (티-)는 변하지 않는다.⑤ 3인칭 공통복수 어미
וּ (우-)도 변하지 않는다.⑥ 2인칭 남성복수 어미
תֶּם (템)은 תּוּ (투-)로 바뀐다.⑦ 2인칭 여성복수는 접미대명사를 취하지 않고, 남성과 동형으로 사용되었다.
⑧ 1인칭 공통복수 어미
נוּ(누-)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이다.
2) 미완료형 동사에 붙는 목적격 접미대명사
수 | 인칭 | 성 | 접미대명사 | 뜻 | 예 |
단 수 |
1 | 공 | ֵנִי (에-니-) | 나를 | יִקְטְלֵנִי 그가 나를(잌텔레-니-) 죽이리라 |
2 | 남 | ְךָ (에카-) | 너(男)를 | יִקְטָלְךָ 그가 너를 (잌톨레카-) 죽이리라 | |
여 | ְךְ (에-크) | 너(女)를 | יִקְטְלֵךְ 그가 너를 (잌텔레-크) 죽이리라 | ||
3 | 남 | ֵהוּ (에후-) | 그를 | יִקְטְלֵהוּ 그가 그를(잌텔레-후-) 죽이리라 | |
여 | ֶהָ (에하-) | 그녀를 | יִקְטְלֵהָ 그가 그녀를(잌텔레하-) 죽이리라 | ||
복 수 |
1 | 공 | ֵנוּ (에-누-) | 우리를 | יִקְטְלֵנוּ 그가 우리를(잌텔레-누) 죽이리라 |
2 | 남 | ְכֶם (에켐) |
너희(男)를 | יִקְטָלְכֶם 그가 너희를(잌톨레켐) 즉이리라 | |
여 | ֶכֶן (에켄) |
너희(女)를 | יִקְטְלֵכֶן 그가 너희를 (잌텔레켄) 죽이리라 | ||
3 | 남 | ֵם (에-ㅁ) ֵמוֹ (에-모-) | 그들을 | יִקְטְלֵם 그가 그들을(잌텔레-ㅁ) 죽이리라 | |
여 | ֵן (에-ㄴ) | 그녀들을 | יִקְטְלֵן 그가 그녀들을(잌텔레-ㄴ) 죽이리라 |
※ 2인칭 남성단수와 복수 2인칭 남, 여성 쉐와는 유성쉐와로서 그 앞의 글자와 합하여 반개음절을 만든다.
미완료형 동사에 접미대명사가 붙을 때는 동사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요령이 적용된다.
① 칼 미완료형에서 יִקְטֹל (잌토-ㄹ, 미, 3남단, 그가 죽일 것이다)과 같이 ֹ (오-)음이 주도 모음인 동사가 접미대명사와 결합할 때는 ֹ 음이 쉐와로 바뀐다.단, ְךְ 나 ְכֶם 처럼 쉐와를 연결 모음으로 갖고 있는 경우에는 ַ 음이 단모음인 카메츠하툽 ָ (오)으로 바뀐다. 완료형에서와 같은 יִקְטֹל 의 인칭,성, 수에 따른 변화표는 생략한다. 예는 위의 표에 나오는 예문을 참고하라.
② 주도 모음이 ַ
(아)인 동사는 접미대명사와 결합 시 ַ 음이 장모음 카메츠 . ָ (아)로 바뀐다. 이는 명령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יִלְבָּשֵׁם (일바-쉐-ㅁ, 미, 3남단, 3남복) 그가 그것들을 입으리라 שְׁלָהֵנִי (쉘라-헤-니-, 명, 2남단, 1공단) 나를 보내소서 |
③
ֵ
(에-)음이 주도 모음인 동사나 피엘 동사의 완료형과 미완료형은 접미대명사와 결합 시
ֵ음이 쉐와로
약화되며,
ְךָ나 ְ
כֶם 앞에서는 단모음 세골(
ֶ)로 짧아진다.
תּֽלַמְּדֵם (텔람메데-ㅁ, 미, 2남단, 3남복) 너는 그들을 꼭 가르치리라 קְבֶּצְכֶם (킵베체켐, 완, 3남단, 2남복) 그가 너희들을 모았다 |
④ 미완료 시제의 3인칭 여성복수와 2인칭 여성복수 어미인
נָה(나-)는 접미대명사와 결합 시 탈락되고 2인칭 남성복수 어미인
וּ
(우-) 또는
ֻ(우)로 변한다.
תִּקְטְלֻנִי (팈텔루니-, 미, 2남복, 1공단) 너희들이 나를 죽이리라 |
⑤ 첨가
ן(눈) 중에서
וּן(우-ㄴ)으로 끝나는 미완료형에는 첨가
ן(눈)을 떼지 않고 접미대명사와 결합한다.
יִקֽרָוּאנְנִי (잌라-우-네니-, 미, 3남복, 1공단) 그들이 나를 부르리라 |
3) 강세
נ(눈)이 첨가된 접미대명사
어떤 동사가 접미대명사와 결합할 때 의도적인 강세를 주기 위해 연결 모음에다
נ(눈)을 첨가시킴으로써 발음상으로도 강세를 주는 것을 말한다. 이는 완료형 동사보다 미완료형 동사에 붙을 때 더 많이 나타나며, 첨가된 강세 נ(눈)은 대부분 뒷 자음에 동화되어 강음점으로 들어간다.그러나 남, 녀 모두 3인칭 단수에서는 후음인
ה(헤)가 들어 있어서 강음점을 못 받으므로 נ이 그대로 머물게 됨과 동시에 ה가 자신의 원래 모음을 נ에게 양도하고 자신은 소실되거나 침묵한다. 이상의 내용을 표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칭 | 성수 | 단 수 | 인칭 | 성수 | 복 수 |
1 | 공 | ַנִּי (안니) ֶנִּי (엔니-) | 1 | 공 | ֶנּוּ (엔누-) |
2 | 남 | ֶךָ (엨카-) ֶכָּה (엨카-) | 2 | 남 | 없음 |
여 | 없음 | 여 | 없음 | ||
3 | 남 | ֶנּוּ (엔누-) |
3 | 남 | 없음 |
여 | ֶנָּה (엔나-) |
여 | 없음 |
4) 명령법 동사에 붙는 접미대명사
명령형에 붙는 목적격 접미대명사는 미완료형에 붙는 접미대명사와 형태가 같다.
קֽטֹל (케토-ㄹ, 명, 2남단) 너는 죽여라 קָּטְלֵנִי (카-텔레-니, 명, 2남단, 1공단) 너는 나를 죽여라 שְׁלַח (쉘라흐, 명, 2남단) 너는 보내라שְׁלָהֵנִי (쉘라-헤-니, 명, 2남단. 1공단) 너는 나를 보내라 |
5) 분사에 붙이는 접미대명사
분사에 붙이는 접미대명사는 형태는 명사용 접미대명사(소유격 표현)를 취하면서 뜻은 목적격을 나타낸다. 때로는 미완료형 동사에 붙는 목적격 접미대명사를 취하기도 한다.
דֹבְרָוּי (도-브라-우, 명사용 접미대명사) 그것을 말하는 자들※‘그의 말씀들’로 해석하지 않는다 בֹּרַאֲךָ (보라아카-, 명사용 접미대명사) 너를 창조한 분※‘당신의 창조한 것들’로 해석하면 안 된다 עְשֵׁנִי (에세-니-, 동사용 접미대명사) 나를 만든 분※ עָשָׁה에서 ה가 소실됨. |
6) 부정사에 붙이는 접미대명사
부정사 절대형은 접미대명사와 결합될 수 없고, 부정사 연계형만이 접미대명사와 결합될 수 있다. 부정사 절대형이 대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때는 독립된 목적격 인칭 대명사를 목적어로 가질 수는 있다.
부정사 연계형에는 단수 명사용 접미대명사가 붙어서 주격이나 목적격을 나타낸다. 그러나 1인칭 단수의 목적격을 나타낼 때만은 미완료형 동사에 붙는
접미대명사인
ֵנִי (에-니-)가 붙는다. 또한 3인칭 단수의 목적격을 나타낼 때도동사용 접미대명사 ֵהוּ
(에-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그 밖의 경우는 모두 단수 명사용 접미대명사와 결합된다.
זָכְרוֹ לִפְנֵי “그가 기억하기 전에(주격)” (좈로-) (맆네) “그를 기억하기 전에 (목적격)” ¶ בְּפָקְדֵנִי (베׀파케׀데-니-) “나를 권고하던 때 (목적격)” בְּפָקְדִי (베׀파케׀디-) “내가 권고하던 대에(주격)” |
'◑δεδομένα 18,185편 ◑ > उपदेश सामग्री 16,73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동사의 기본 개념' (0) | 2011.02.26 |
---|---|
히브리어 '동사' (0) | 2011.02.25 |
히브리어 '두자음 어간동사' (0) | 2011.02.16 |
나들목사랑의 교회 (0) | 2011.02.04 |
히브리어 '의문사' '관계사' (0) | 201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