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음동사 (Guttural Verb)
이제부터 불규칙동사들에 대해서 공부하기로 한다. 불규칙동사에는 후음동사와 약자음동사(약동사) 그리고 두자음동사의 세 종류가 있다.
불규칙동사는 발음상의 특성상 규칙 동사와 약간 다르게 변화될 뿐이지 별다른 것이 아니므로 부담을 느낄 필요가 없을 것 같다.
1. 후음동사의 특성과 종류
후음동사란 동사어간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이 후음으로 된 동사를 말하며, 이 후음 때문에 몇 가지 조정이 일어나므로 불규칙동사라고 부르는 것이다.
후음에는 א(알렢), ה(헤), ח(헤트), ע(아인)외에 ר(레쉬)도 포함시킨다. 후음으로 인한 특성으로는 후음자신에다 이중점을 찍을 수 없는 것과 단순 쉐와를 갖지 못하고 합성쉐와를 취해야 하는 것 그리고 자신 뿐 아니라 앞의 문자까지 파다 (ַ)모음을 받게 하는 것 등이 있다.
후음동사의 종류는 후음 문자가 동사 어간 중에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에 따라서 세 종류로 구분한다. 종류를 구분할 때는 특별한 용어가 사용된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대로 פָּעַל(파-알, 행하다)이라는 동사를 본보기로 어간의 첫 자음을 פ(페)라고 부르고, 중간 자음을 ע(아인)이라고 부르기로 하며, 끝 자음을 ל(라멛)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동사 첫 자음인 פ자리에 후음이 오면 ‘페-후음’이라고 부르고, 중간 자음인 ע자리에 후음이 오면 ‘아인-후음’이라고 부르며,
끝 자음인 ל자리에 후음이 오면 ‘라멛-후음’이라고 부른다
후음동사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א(알렢)과 ה(헤)가 끝 어간 즉 단어 끝에 위치할 때는 ‘라멛-후음’동사가 아니라 약동사인 ‘라멛-헤’동사와 ‘라멛-알렢’동사인 것이다. 또한 א의 경우는 단어 초두에 올 때 ‘페-후음’동사인 것도 있고 약동사인 ‘페-알렢’동사로 사용되는 것도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אָסַף(아-쌒, 완) 모으다 → יֶאֱסֹף(예에쏲, 미) 모을 것이다 ※ א이 침묵하지 않으므로 페-후음 동사이다. אָמַר (아-마르, 완) 말하다 → יֹומַר(요-마르, 미) 말할 것이다 ※ א이 침묵하므로 약동사인 페-알렢 동사이다. |
이상 세 종류의 후음동사들은 또다시 제각기 동사 7형태별로 변화를 하게 된다. 각각의 변화는 지면 관계상 생략하니 부록의 동사 변화표를 참고하기 바라며, 본서에서는 발음의 특성상 발생되는 중요한 문법 사항들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2. 페-후음동사 (Pe Guttural Verb)
1) 페-후음 동사에는 칼, 닢알, 힢일, 홒알의 4가지 동사 형태가 나타나며, 강의형은 나타나지 않는다. 부록의 동사 변화표를 참고하라.
2) 페-후음 동사는 첫 어간이 후음이므로 강음점을 받지 못하는 대신 앞 모음을 길게 보상해 준다.
עָמַד (아-맏, 완) 서다 → יַעָמֵד(예-아-메-드, 미) 설 것이다 חָלַק(하-ㄹ랔, 미) 나눠주다 → תֵּחָלֵק(테-하-ㄹ레-크, 미) 나눠줄 것이다 |
※ 위의 예의 동사들은 נָתַן(나-탄, 주다) 류의 동사들로서 닢알형 미완료형에서 주도 모음이 ֵ(에-)로 되고, 첫 자음이 강음점을 갖는 것들이다.
3) 쉐와와 관련된 법칙
① 페-후음 동사의 후음이 쉐와를 취할 때는 대부분 하텝파다( ֲֲ )하나, א의 경우는 하텝세골( ֱ ) 을 많이 취한다. 단, א의 경우도 액센트에서 멀어질 때는 하텝파다를 취한다.
הָלַךְ (하-ㄹ랔, 완) 걷다 → הֲלֹקְ(할로-크, 명) 걸어라 אָמַד(아-맏, 완) 서다 → עֲמֹד (아모드, 명) 서라 אָסַף (아-쌒, 완) 모으다 →אֱסֹף (에쏘-프, 명) 모아라 אָסַף (아-쌒, 완, 3남단) 모으다 אֲסָפָה (아싸-파-, 완, 3여단) 모으다 אָכַל (아-칼, 완, 3남단) 먹다 → אֲכַלְתֶּם (아칼템, 완, 2남복) 먹다 |
② 페-후음 동사의 후음 바로 앞에 단모음 또는 메텍이 올 경우에는 그것과 맞먹는 합성쉐와를 취한다.
אָמַד(아-맏,완) 서다 → נֶעֱמַד(네에맏, 완,3남단) 세워지다 אָמַד(아-맏,완) 서다 → הָעֳמַד (호오맏, 완) 서게되다 |
③ 페-후음 동사의 후음이 ח(헤트)일 경우엔 단순쉐와를 취한다.
הָכַם(하-캄,완) 지혜롭다 → יֶהְכַּם(예흐캄, 미) 지혜로울 것이다 הָמַד(하-맏,완) 원하다 → יַהְמֹד (야흐모-드, 미) 원할 것이다 |
4) 후음 자음 앞에 단모음 ‘이(ִ )’가 와야할 경우에 그 단모음 ‘이’를 ‘에’( ֶ )나 ‘아’(ַ )로 변화시킨다.
עָבַד(아-받, ) 봉사하다 → יַעֲבֹד (야아보-드, 미) 봉사할 것이다 אָהַב (아-합, ) 사랑하다 → יֶאֱהַב (예에합, 미) 사랑할 것이다 |
5) 페-후음동사의 힢일 완료형이 와우계속법으로 사용되어 부액센트가 발생했을 때는 힢일 접두어의 הֶ 가 הַ로 바뀐다.
הֶאֱכַלְתָ(헤에칼타-, 완, 2남단) 먹다 → הַאֲכַלְתָ(웨하아칼타-, , 2남단) 그리고 먹다 |
6) 페-후음동사에서 유래한 명사
페-후음동사에서 유래한 명사는 제1변화 명사와 제2변화 명사의 두 종류가 있다.
① 제1변화 명사(카메츠명사)
הָכָם(하-카-ㅁ, 지혜)를 예로 들면 다음 표와 같으며, 같은 류의 명사들로는 אֲדָמָה(아다-마-, 지면), מַאֲכָל(마아카-ㄹ, 양식) 등이 있다.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הָכָם (하-캄-, 지혜) |
הֲכַם (하캄, ~의 지혜) |
הֲכָםִים (하카-미-ㅁ, 지혜들) |
הַכְמֵי (핰메-, ~지혜들) |
② 제2변화 명사 (세골명사)
עֶבֶד(에벧, 종)을 예로 들면 다음 표와 같으며, 같은 류의 명사들로는 עֶגֶל(에-겔, 송아지), הֹדֶשׁ(호-데쉬, 달) 등이 있다.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עֶבֶד (에벧, 종) |
עֶבֶד (에벧, ~의 종) |
עֲבָדִים (아바-디-ㅁ, 종들) |
עַבְדַי (압데-, ~의 종들) |
3. 아인-후음동사(Ayin Guttural Verb)
1) 아인-후음동사는 칼, 닢알, 피엘, 푸알, 힡파엘의 5가지 동사 형태를 가지며 사역형이 없다.
2) 중간 자음이 후음인 아인-후음동사는 칼형 미완료 시제와 명령법 등에서 ‘아’모음을 많이 취하는데, 이는 후음이 파다( ַ ) 모음을 즐겨 취하기 때문이다.
שָׁהַט (솨 -핱, 완) 도살하다 → יִשְׁהַט(이쉬핱, 미) 도살할 것이다 זָעַק(자-앜, 완) 부르짖다 → זְעַק (제앜, 명) 부르짖어라 |
3) 쉐와와 관련된 법칙은 페-후음동사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4) 아인-후음동사에 접미대명사가 붙어서 액센트가 뒤로 이동했을 때에는 후음이 가지고 있던 단모음이나 합성쉐와가 장모음으로 바뀐다.
בְהָן(베한, 명) 시험해라 → בְּהָנֵנִי ¶(베하-네-니, 명,1공단) 나를 시험하라 שָׁאֲלוּ(솨 알루-, 완) 그들이 묻다 → שָׁאָלוּנִי (솨 -아-ㄹ루-니-, 완,1공단) 그들이 나에게 묻다 |
5) 아인-후음동사 중에 피엘형에서 ֵ (에-) 대신 ַ (아)를 취하는 것이 있다.
נִהַם (니함, 완) 후회하다 → נִהַם(니함, 완) 위로하다 |
※ 피엘형이 파다( ַ ) 모음을 취하다 보니 닢알형과 피엘형의 모양이 같아졌다.
6) 아인-후음동사의 푸알형은 첫 자음이 ֻ (우)모음 대신 ֹ ֹ (오)모음을 취한다.
בָּרַךְ (바랔, 완) 복주다 → בֹּרַךְ (보랔, 완) 복받다 |
7) 아인-후음 동사에서 유래한 명사
아인-후음동사에서는 제1, 제2, 제3변화의 모든 종류의 명사가 유래되었다.
① 제1변화 명사 (카메츠명사)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נָהָר (나-하-르, 강) |
נְהַר (네하르, ~의 강) |
נְהַרִים (네하리-ㅁ, 강들) |
נְהֲרֵי (나하레-, ~의 강들) |
② 제2변화 명사 (세골명사)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נַעַר (나아르, 소년) |
נַעַר (나아르, ~의 소년) |
נְעָרִים (네아-리-ㅁ, 소년들) |
נַעֲרֵי (나아레-, ~의 소년들) |
③ 제3변화 명사 (체레명사)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כֹּהֵן (코-헤-ㄴ, 제사장) |
כֹּהֵן (코-헤-ㄴ, ~의 제사장) |
כֹּהֲנִים (코-하니-ㅁ, 제사장들) |
כֹּהֲנֵי (코-하네-, ~의 제사장들) |
④ 아인-후음명사 중에는 후음이면서 파다 대신 세골( ַ )을 가지는 명사들이 있다.
רֶהֶם (레헴, ) Womb לֶהֶם (ㄹ레헴, ) 떡 אֹהָל (오-헬, ) 장막 כֹּהֵן (코-헤-ㄴ, ) 제사장 |
4. 라멛-후음동사 (Lamedh Guttural Verb)
1) 라멛-후음동사는 7가지 동사 형태를 모두 가진다.
2) 라멛-후음동사는 어간 끝 자음이 후음인 동사를 말하나, 이중에서 א(알렢)과 ה(헤)인 경우는 라멛-후음동사가 아니라 약동사로 취급함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끝 자음에 ח(헤트), ע(아인), הּ(흐) 등이 나타날 때만 라멛-후음동사라고 일컫는 것이다.
3) 라멛-후음동사의 후음 앞에 순장모음이 올 때는 순장모음을 파다( ַ ) 모음으로 바꿀 수 없으므로 선입파다를 취하게 된다.
זָרַע (자-라, ) 씨뿌리다 → מַזְרִיעַ (마즈리-아으, 분) 잉태하다 פָּתַח (파-타흐, 완) 열다 → פָּתוּחַ (파-투아흐, 분) 여는 |
4) 라멛-후음동사의 후음 앞에 억양 장모음 ‘오-’( )나 ‘에-’( ֵ )가 와야할 경우에 그것들을 단모음 ‘아’( ַ )로 바꾼다.
שָׁלַח (솨-ㄹ라흐, 완) 보내다 → שְׁלַח (쉘라흐, 명) 보내라 לָקַח (라-카흐 완) 취하다 → הִלָֹקַה(힐라-카흐, ) 자신을 취하다 |
5) 라멛-후음 동사에 자음접미 음절이 덧붙여졌을 때 ח(헤트)와 ע(아인)은 자음접미 음절 바로 앞에서 단순쉐와를 취하여 자신을 포함한 음절을 폐음절로 만든다. 그러나 ךָ (카-)와 כֶם (켐) 등의 접미대명사가 붙을 때는 후음이 합성쉐와를 취한다.
·יָדַע(야-다, 완, 3남단) 알다 → יָדַעְתִּי ·(야-다으티-, 완, 1공단) 알다 פָּקַח(파-카흐, 완, 3남단) 눈을 뜨다 → תִּפָּקַהְנָה(티파-카흐나-, 미, 3여복) 눈을 뜰 것이다 שָׁלַח (솨 -ㄹ라흐, 완) 보내다 → שְׁלָחֲךָ(쉘라-하카-, 명,2남단,) 너를 보내라 |
6) 라멛-후음동사에서 유래한 명사
이에도 3가지 명사 변화가 모두 있다.
① 제1변화 명사 (카메츠명사)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רָשָׁע (라-솨 -, 악) |
רְשַׁע (레솨 , ~의 악) |
רִשָׁעִים (리솨 -이-ㅁ, 악들) |
רִשְׁעֵי (리쉬에-, ~의 악들) |
② 제2변화 명사 (세골명사)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זֶרַע (제라, 씨) |
זֶרַע (제라, ~의 씨) |
זְרָעִים (제라-이-ㅁ, 씨들) |
זַרְעֵי (자르에-, ~의 씨들) |
③ 제3변화 명사 (체레명사)
단 수 | 복 수 | ||
독 립 형 | 연 계 형 | 독 립 형 | 연 계 형 |
מִזְבֵּחַ (미즈베-아흐, 제단) |
מִזְבַּח (미즈바흐, ~의 제단) |
מִזְבְּחוֹת (미즈베호-트, 제단들) |
מִזְבְּחוֹת (미즈베호-트, ~의 제단들) |
'◑δεδομένα 18,185편 ◑ > उपदेश सामग्री 16,73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연계형' (0) | 2011.02.28 |
---|---|
【향기 】예화 모음 18편 (0) | 2011.02.26 |
히브리어 '수사/숫자' (0) | 2011.02.26 |
히브리어 '동사의 용법' (0) | 2011.02.26 |
히브리어 '동사의 기본 개념' (0) | 2011.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