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국 종교개혁(제16, 17세기)
1. 영국 종교개혁의 의의.
제16세기 종교개혁 운동의 마지막 활동이 영국에서 일어나고 개신교의 한 형태인 영국 국교회
(the Anglican Church)의 성립으로 세계 교회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다. 영국이 개신교 신앙의 수호국이 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발달과 함께 대영제국을 이루게 됨으로, 마치 초대교회를 로마 사람들이 중세교회를 독일인들이 주도한 것처럼, 현대교회는 영국사람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2. 영국 종교개혁의 예비적 단계.
(1) 종교개혁의 불씨가 오래 전부터 계승되어 왔다. 제10세기 던스탄(Dunstan 908-988)의 수도원 개혁운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에 반기를 든 던스 스코투스(Duns Scotus C. 1264-1308)와 윌리암 오캄(William of Occam C. 1300- 1340) 의 신 스콜라 신학의 발달, 그리고 위대한 종교개혁의 선구자 요한 위클리프(John Wycliff c. 1320-84)와 그의 “롤라드 운동(Lollards)들이 벅써 제14세기에 개인적 신앙, 절대적 권위를 가진 성경관, 하나님의 선택 에 대한 바른 신앙을 가지고, 로마 교황과 신부들의 종교행사가 비성경적음을 가려내어 공격 하였다.
한동안 폅박을 받았으나 제15세에 이르러 큰 사회적, 동교적 세력이 되었다. 제16세기 초에는 기독교 인문주의자들이 나타나서 종교개혁의 길을 열게 되었다.
(2) 1531년 토마스 빌네이(Thomas Bilney C.1495-1531)는 루터의 종교개혁사상에 힘입어 개혁을 주장하다가 순교하였다. 루터의 저작이 케임브릿지와 옥스퍼드 대학에서 읽혀졌고, 에라스무스 의 희랍어 성경과 라틴어 역본이 옃향을 미쳤다. 휴 라티머(Hugh Latimer C. 1485-1555)는 빌네이의 감화를 받아 영국 종교개혁 은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3) 1536년에는 유명한 성경 번역가인 위리암 틴테일(William Tyndale C. 1494-1536)이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는 대룩에 건너가서 신 . 구약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였느데 (첫 출판은 1525년 콜론느와 보름스에서 함) 신약은 에러스무스의 라틴역, 루터역, 벌게트역을 참고로 하 고, 구약은 70인역과 루터역을 참고하여, 원어에서 직선적이고 생동감이 넘치는 영어로 번역하 였다. 이것이 나중에 흠정역 성경(the Authorized Version)의 기초가 되었다. 루터의 이신득의 교리와 성경의 최고 권위성을 가르쳣으며, 성찬론은 쯔윙글리의 주장을 따랐다.
3. 영국 종교개혁 당시의 류더 왕가의 계보.
영국 종교개혁에 류더왕가(the House of Tudor 1485-1603)의 역할이 컸다.
(1) 헨리 7세(Henry Ⅶ, 1485-1509)
(2) 헨리 8세(Henry Ⅷ, 1509-1547) : 종교개혁을 주도한 왕이며 6명의 왕비를 차례로 맞았다.
(3) 에드워드 6세(Edward Ⅵ, 1547-1553) : 왕비 진세무어(Jane Seymour)의 아들로 개신교인이다.
(4) 메리여왕(Queen Elizabeth 1558-1603) : 둘째 왕비 안 볼레인의 소생으로 개신교도이며, 영국 국교회를 확립하였다.
4. 핸리 8세의 종교개혁과 영국 국교회의 독립
(1) 영국 종교개혁의 제일 중요한 특성은 국가교회가 한 단위가 되어 로마 카토릭교회로 부터 독립한 것이다, 따라서 루터나 칼빈의 개혁운동이 민중에서 시발이 되었음에 반하여, 영국의 개혁운동은 교회와 정치의 수장인 왕으로부터 시발되었다. 타락한 로마 카토릭 교회를 대신하여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그리스도의 교회를 계승하며, 교리와 교회 제도를 성경의 규범에 따라 새롭게 하려 하였다.
(2) 성립과정: 국왕 헨리 8세의 정치적 야망과 개인적 경건이 크게 작용하였다. 본래 성직자가 되려고 옥스퍼드에서 신학공부를 하였으나, 형 아서의 죽음으로 1509년에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아버지 헨리 7세의 정력으로 교황의 제가를 얻어 형수 케더린과 결혼하였다. 캐더린은 신성 로마제국 황제로 선임된 (1591년) 찰스 5세의 고모로서 강력한 카토릭 세력을 배경으로 삼고 있었다. 영국의 독립을 열망하는 헨리 8세는 스페인 세력의 견제를 위하여, 아들을 못낳는다는 구실로 캐더린 왕비와 이혼을 원하였다. 당시 신성 로마제국 황제의 영향햐에 있던 교황 클레멘트 6세가 이혼 허가를 보류하자, 헨리 8세는 토마스 크렌머(Thomas Cranmer 1498-1556)를 기용하여 영국 교회 독자적으로 캐더린과의 결혼이 무호임을 선언하고, 교화의 권위를 부정하고 영국 교회의 수장은 왕 자신이며, 국교회의 독립을 이루었다. 1530년에 켄터베리 대회(the Convocation)를 열고 국왕의 최고권위(the Royal Supremacy)를 선언하고, 1532년에는 의회가 로마 교황청에 납부하는 성직 수입세(the annates)를 폐지하고, 1532년에 크렌머가 켄터베리 대주교가 되자, 1533년에 헨리 8세는 총회 안 볼레인과 정식 결혼하였다. 이때 교황은 캐더린의 결혼이 유효함을 선언하고 헨 리를 파문시켰다. 1534년에 의회는 피텅설를 페지하고 국화을 “교회의 최고 수장” (the Supreme head of the Church)임을 공포하였다.
(3) 로체스터의 감독 존 피셔(John Fisher)와 토마스 모아(Thomas More)가 끝까지 국왕의 교회 수장권에 반대하다가 처형당하였다.
5. 헨리 8세의 개혁 내용
(1) 왕권 대리자(Vicegerent)인 토마스 크롬웰(Thomas Cromwell)은 1540년까지 모든 수도원 을 폐쇠하고 순례 행위를 금지할 목적으로 더함의 쿠트버트(Cuthbert at Durham) 와 켄터 베리의 성 베케트의 무덤을 헐어버렸다. 수도원 제산을 대학교육, 새교구 설립, 수도사와 수녀의 재활기금으로 사용하고, 또 한편 귀족들과 국왕의 수입으로 삼았다.
영국 교회의 오랜 전통이며 사회구조의 중요한 제도이었던 수도원의 붕괴와 더불어 회의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종교생활은 교구(Parish) 중심이 되고, 수도원의 경제활동은 시민의 수중으로, 교육 및 사회구제 활동은 국가의 활동으로 이관되었다.
(2) 헨리 8세 시대의 종교 개혁중 교리적인 문제를 루터교리가 절충적인 성격을 띄게 되었다.
1536년 10개신조(Ten Articles)에는 성례의 종류를 성찬, 세례, 참회(Penance)등 세 가지로 정하고, 믿음과 행위로 의롭게 된다고 하였다. 1539년에 공포한 6개신조에서는 화체설을 다시 주장하였다.
(3) 이 시대에 카버데일역 성경이 출간되고(소위 Coverdale Version), 매류설을 개역한 대 성경(the Great Bible)이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비치되고 사용되었다.
6. 에드워드 6세의 종교개혁
(1) 1547년 9세의 어린 나이로 등극하였으나 개신교도인 외삼촌 소머셋 공작(Duke of Somerset)의 섭정으로 영국 종교개혁 운동이 실질적으로 결실하게 되었다.
6개신집를 철회하고, 우상제거, 평신도에게도 두가지(떡과 포도주)성찬을 주고, 신부들의 결혼을 허용하였다. 대륙에서 피터 마터(Peter Martyr), 오키노(Ochino), 마틴부서(Martin Bucer)등의 개혁파 신학자를 초청하여 개혁신앙을 교회의 신학으로 받아드렸다.
지금까지 영국교회의 신학은 개혁신앙(Reformed faith)이 기조를 이루고 있다.
(2) 에드워드 6세의 “제일 기도서” (the Book of Common Prayer, 1549)를 작성하여 의회의 통일령(the Act of Uniformity)으로 모든 교회에서 사용하게 하였다. 1552년의 개정판 제2 기도서에서 “제단” (altar)이란 말대신에 “상(table)" "신부”(priest)란 말대신에 “성직자 또는 목사”(minister)등으로 고쳐 쓰고, 통일령으로 평신도의 주일성수를 명령하고 어길때에 엄벌하였다.
크렌머는 1553년에 42개신조(the Forty-two Articles of Reoigion)를 작성하고 왕명으로 공포하여 그 당시 영국 국교회의 공식 신조가 되었다. 에드워드 6세의 종교개혁은 개혁파 노선을 따랐으며 독특한 영국적 성격이 가미되었다.
7. 메리 여왕(여왕)(Queen Mary 1553-1558)의 반동정책.
에드워드 6세가 재위 6년만에 죽자 캐더린의 소생인 메리가 여왕이 되었다.
이에 카톨릭 세력의 복귀로 신교도들은 대륙르로 피난가서 쭈리히, 스트라스부르그, 바 젤, 네바, 하이델베르그 등지에서 신교 “종교교육”의 수련을 쌓게 되었다.
피난을 가지 않은 신교도들이 유명한 라티머(Latimer), 리들리(Ridley), 크렌머 (Cranmer)등과 함께 순교하였다.
이 대 박해 때에 라티머는 리들리에게 “리들리 선생, 위로를 받아요, 하나님의 은혜로 오늘 우리가 영국에 아무도 끌 수 없는 촛불을 켜게 되었도” 하며 순교하였고, 크렌머는 1556년에 화형을 받을 때에, 만인이 보는 앞에서 7번이나 개혁신앙을 저 버리는 문서에 서명한 자기 오른손을 타오르는 불길 속에 던져 넣어 태우면서 불신을 회개하였다고 한다.
멜리 여왕은 궁중에 다시 로마 카톨릭 예배의식을 회복시키고, 감독들을 복권시켰으며, 의회는 몰수한 재산은 변상하지 않았으나, 여왕의 뜻대로 통일령의 철폐, 공동기도서의 사용금지, 신부의 결혼 금지 등 카톨릭 종교법을 재활용하였다. 그러자 교황청은 영국교회를 세계의 카톨릭교회로 복귀시킨다는 칙령을 발표하였다.
8. 엘리자벳 여왕(Queen Elizabeth 1558-1603)의 종교정책.
(1) 메리 여왕의 병사후, 엘리자벳이 계승하여 이후 반 세기간의 집정으로 영국 국교회는 다시 개신교회로 확립되고, 종교 문제의 안정과 함께 국력이 신장되고 문화가 발달하여 그의 치세기는 영국, 역사상 황금기를 이루었다.
(2) 종교정책은 개혁신앙을 기초로 하되 국내의 카돌릭적 요소와 신교적 요소를 조화시켜 가장 현실적으로 유용한 형태인 영국 국교회를 제도적오로 확립시키었다. 아버지 헨리 8세의 정치적 종교적 이상을 구체화시킨 “아들보다 귀한 딸” 이었음을 증명하였다,
1559년에 수장령(the Act of Supremacy)을 선포하고 교황의 권위를 인정치 않고 교황청에 대한 세금과 고소를 금하였으며, 다시통일령(the Act of Uniformity)을 내려 개정판 공동기도서 사용과 주일성수, 성직매매 금지, 성상 성화 파괴, 신부 결혼을 명령하였다.
(3) 영국 국교회는 처음으로 교화의 임명대신, 주교(감독)들이모여 파커(Mathew Farger)를 켄터베리 대주교로 성별시키고 사도적 계승에 따른 영국 국교회의 대감독으로 임직케 하였다. 로마 교회는 1896년에야 영국 국교회제도를 불법이라 정죄하였다.
(4) 신조로서 39개신조(the Thirty-nine Articles)를 영국 교회의 신조로 공포하였다.
(5) 리챠드 후커(Richard Hooker c.1554-1600)등은 감독제도(Episcopalism, / Anglicanism)릎 찬성하였으나 아직 소수이긴하나 청교도들(puritans)과 독립교회 교인들(Incependents)은 엘리자벳의 국교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국민은 종교적 안정을 원하였으며, 다른 서구 제국에 비하여 안정세격을 빨리 구축하여 근대국가로 발전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9. 리차드 후커의 감독제도 옹호론.
(1) 1559년 엘리자벳 여왕의 종교문제 확정을 계기로 영국교회의 감독제도는 확립되었으나, 로마(Rome)와 제네바(Geneva)의 반발을 받게 되었다. 이때에 리차드 후커등은 소위
“중도론”(Via Media /the Middis Way)을 펴 감독교회의 입장을 밝히게 되었다. 특히 청교도들은 감독교회정치(감독주의, Episcopalism)가 완전한 개혁에 미치지 못하는 미완성이라고 비난을 가하였다.
여기에 대하여 감독주의 변증가들은 성경, 교부들의 저작, 전승(tradition),역사 인간의 이성에 근거하여 타당성을 변호하였다.
(2) 후커의 선배, 존 주월(John Jewel 1522-1571)은 “영국교회 변증” (Apologia Ecclesia Anglicane, 1562)을 써서 일반적 종교개혁의 필요성과, 교부들에 근거하여 감독제도의 합법성을 변증하였다. 여기에 힘입어 후커는 “교회정치법에 관한 논설”(Treatise on the Laws of Ecclesiastical Polity, 1594-1662)을 통하여 감독정치를 옹홍하였다. 여기에 깊은 철학적 신학이 전개되고 있다.
(a) 청교도들의 성경주의에 반하여, 자연법, 즉 하나님의 이성에 근거하고 세계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 법칙이 최고의 권위이며 여기에 따라 성경을 해석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교회의 형태와 제도는 불변의 것이 아니며 역사적 형편에 따라 변화한다.
교회도 사회와 같이 시대적 형편에 따라 교회법을 제정할 수가 있으며, 가장 합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비록 영국교회가 개혁은 되어도, 중세교회와 기본적인 연속성은 있다고 하였다.
(b) 청교도들이 장노정치(Presbyterianism)가 성경적 원리이며 교회형태의 규범임을 주장함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후커는 감독임직(episcopal ordination)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등 감독주의의 절대성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다만 역사적 편의와 개체교회의 교회실증법 제정 권리를 주장하였다.
10. 엘리자벳기의 청교도들의 성격.
(1) 발생: 메리 여왕의 박해서, 대륙으로 피난갔다가 돌아 온이들이 엘리자벳여왕의 종교문제 해결에 불만을 표시하고, 제네바개혁의 모형대고 영국 국교회를 완전히 정화(purify) 하여 모든 비성경적 요소를 배제하고자 하였다.
(2) 종류 : 청교도들은 특정한 조직을 갖추지 않았으며, 국교회 내부에서 철저한 개혁을 시도 하였다.
(a) 성복논쟁(Vestiarian controversy)을 통하여, 신앙양심에 어긋나는 성복 착용을 간제합 에 반대하는 청교도들이 있었다. 이것은 만인제사장 원리에 어긋난다고 하였다.
(b) 성찬을 받을 때 무릎을 꿇게 하는(kneeling)예배의식에 대하여 반대하는 무리들이 있 었으며
(c) 마지막으로 장노 정치제도가 성경적이라 하여 감독주의를 반대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교인들의 목사 선출권을 주장하고 감독, 신부, 목사의 직분의 동등성을 주장하였다.
(3) 신학 : 철저한 성경주의를 취하고 문자적, 일상적 해석을 하였다.
신학체계는 칼빈주의이며 점차 계약신학파(covenant theology / 또는 Federal Theology)경향을 취하게 되었다. 은혜계약과 행위계약을 구분하였으며, 인간의 하나님께 대한 “의무”(duty)를 항상 강조하였다. 거기에 따라 인간상호간의 계약과 의무이행, 국민과 국가간의 계약관계까지 생각하였다. 실천을 강조한 신학이며, 생의 전영역에 미치는 “ 신앙생활”을 강조하였다.
(* ⓐ후기에는 엄격한 칼빈주의보다 중도적 칼빈주의로, 그 다음에는 알미니안적 신학을 받아 드리는 이들이 많아졌다
ⓑ 행위를 강조하다가 교리를 소홀히 해서 알미니안주의가 일어났다. )
(4) 초기의 청교도들:
(a) 토마스 카트라이트(tomas Cartright 1535-1603):
16세기 청교도들중에 가장 유능한 인물이었다. 켐브리지의 신학교수로 있으면서 엘리자벳의 감독주의를 비판하고 의회에 대하여 장노체재를 택할 것을 건의하였다.(1572) 추방,투옥등 수많은 고난을 당하였으나 에리자벳 사후(사후) 제임스 1세의 왕위 계승시 천인청원(the millenary petition 1602)을 작성 하였다
(b) 왈터 트레브스(Walter Travers):
켐브리지 교수였으며, 대륙에서 베자와 교유한 후 귀국하여 영국교회의 개혁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39개신조를 승인하지 않으므로 설교권을 얻지 못하고 대륙에 가서 화란 영국교회 담임모교사가 되었다. 그의 주저(주저) “교회 권징”은 장로제를 변증한 청교도들의 지침서이었다
(c) 윌리암 퍼킨스(?-1602):
켐브리지의 교수, 영국 청교도의 사도.
11. 초기의 독립파
청교도들이 교회내의 정화운동을 펴 나가려함에 대하여, 독립파(Independents) 또는 분리주의자(Separatists)들은 “믿는 이들” 만으로 구성된 독립교회를 주장하였다
교회관에 있어서 한 개의 단위교회의 독립을 주장하고 교인간의 약속과 그리스도의 성약(holy covenant)에만 근거하여 모이고, 그 중에서 철저한 민주적 방식으로 목사와 직분들을 선출하였으며 , 개교회는 타 교회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으려했다. 이들이 나중에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urches)의 시초가 되었다.
초기의 분리주의자로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e ?-1633)이 있다. 브라운파라고 불리워 졌다
12. 제 17세기 영국 왕실의 형편과 교회사의 의의.
제17세기에 들어서자, 스투아트 왕가의 치세가 시작되며, 스투아트 왕가의 왕권신수(divine right)과 청교도들의 신앙의 마찰로 청교도혁명(puritan Revolution 1642-1649)이 일어나며, 그후에 왕정복고(the Restoration, 1660)그리고 명예혁명(the Glorious Revolution, 1688)등의 사건이 연속되고 영국에 개신교가 완전히 정착하며 다른 교파들도 종교자유를 허용받게 된다.
<스투아트 왕가의 연보> (the House of Stuart, 1603-1714)
(1) 1603-1625 : 제임스 일세(James 1 )
(2) 1625-1649 : 찰스 일세(Charles 1 )
* 1649-1660 : 공화정(Republic)
(3) 1660-1685 : 찰스 이세(Charles Ⅱ )
(4) 1685-1688 : 제임스 이세(James Ⅱ )
(5) 1689-1702 : 윌리암과 메리(William Ⅲ and Queen Mary, 제임스 이세의 딸)
(6) 1702-1714 : 앤 여왕(제임스 이세의 딸)
13. 제임스 일세의 종교정책.
(1) 보래 장노교회에서 교육을 받아 제임스 6세로서 스콧트란드의 왕이 되었으나 1603-1625 까지 영국 왕을 겸하게 되자 수많은 청교도들의 기대와는 달리, 영국 곡교회의 감독주 의 노선을 취하여 “감독없이는 국왕도 없다” (No bishop no king)는 원리를 따랐다.
(2) 로마 카퇵측에서 왕과 왕자를 폭살시키려는 “폭약음모” (Gunpowder plot)가 있는 이후, 국민 감정이 반 카노릭으로 점차 굳어지므로 정책적으로 카토릭에 보인 호의를 포기하 고 1640년 신부를 추방하였다.
(3) 청교도들이 점차 세력이 커지게 되고, 국왕이 1618년 유희서(the Book of Sports)를 발 표하여 주일에 춤추고 경기하며 민속놀이를 권장하자 국왕의 비성경적 문화정책에 반대 하였다, 청교도들은 “일요오후 강의” (Lecturships for Sunday afternoons)를 통하여 주 일 성수, 성경 읽기, 가정예배 깨끗한 도덕생활을 가르치고, 시편찬송가를 애창하게 하였 다.
14. 흠정역 성경
(1) 흠정역 성경(the Authorized Version)또는 제임스 국왕역(King James Version)성경은 1604년 청교도들과 감독들이 헴턴궁에(Hampton Court)모여 새왕의 취임과 교회 정화를 의논하던 중에 공동 성경번역에 합의하게 되었다.
(2) 국왕 제임스 일세가 54명의 성경학자를 임명하고 6대로 나누어 번역하게 하고 최종적으 로 14명의 위원이 검토하여 출간하게 하였다. 번역은 1607년에 시작하여 1611년에 출판 되었다. 루터설과 달리 어느 한 사람의 번역이 아니고, 54명의 학자들이 한 마음이 되 어 번역한 것이며, 기존의 감독성경(Bishop's Bible)제네바 성경(Geneva Bible), 루터역 등 수 많은 번역본을 참고하고, 새 시대를 위한 참신한 성경을 원어에서 번역해 내었다.
문체는 장중하고 음율적이며, 그 당시로서는 현대적이며 일상적 언어로 역출되었다.
그 후에 개역이 있었으나, 영국교회의 표준성경이 되었다. 기독교회의 보물이 되었다.
15. 침례교회(Baptist Churches)의 설립
(1) 제임스 일세 치하에 1612년 처음으로 침례교회가 섰다.
먼저 화란 암스텔담에 영국인 존 스미스(John Smyth ? -1612)가 처음 침례교회를 세웠는데, 그는 회중교회에 속한 분리주의자로서, 회중교회가 엄격한 칼빈주의 노선을 따르고 유아세례를 실시하자 거기서 분리하여 알미니안 교리를 따르며 성인세례를 주장하는 독립교회를 세우게 된 것이다. 1612년 그가 죽자 일부는 화란의 메노파와 합하고, 일부가 토마스 헬위스(Thomas Helwys)의 지도로 영국에 돌아와 런던에 교회를 세웠다.
(2) 알미니안 교리를 가진 침례교인들을 “보편” 침례교인(“General" Baptist)이라 부르며, 이와 별도로 영국 내에서 회중파 교회에서 분립하여 계속 칼빈주의 교리를 따라 특별 선택을 주장하는 ”특별“ 침례교인(”Particular" Baptists)들의 교회가 생겨났다. 그러나 모두 성인 세례와 독립교회(free churches)를 주장하는 점은 같다.
16. 찰스 일세와 영국교회의 고교회(고교회, the High Church)화.
(1) 찰스 일세(1625-1649)때에는 벌써 청교도들의 세력이 커졌으며 정치적 경제적 활동이 컸다. 이들의 여망을 무시하고 고교회 정책을 썼다. 국교회의 교리와 제도를 로마 가톨릭쪽으로 선회시키는 정책이었다. 켄터베리의 대 감독 윌리암 라드(William Laud, 1573-1645)는 송교재판소(the High Commissnters)를 강제로 고교회 교리와 제도를 따 르게 하였다.
(2) 특 성 :
(a) 신학적으로 알미니안 교리와 로마교회의 교리를 따름
(b) 소위 아름다운 예배를 중시하며, 정교한 의식을 개발하려함.
(c) 감독 직의 중시
(d) 다시 교회용어 가운데 “성찬대(상)”를 “제단” 이라 성직자를 “신부”라 고쳐 부름
(e) 왕권신수설을 옹호하고 정치적으로 왕당파에 속함.
(3) 이러한 정책의 결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 청교도들과 크게 마찰이 생기게 되었다.
라드 대감독은 “일요오후 강의”를 폐지시키기까지 하였던 것이다.
17. 청교도 혁명.
(1) 청교도 혁명(Puritan Revolution 1642-1649)의 발단 :
(a) 역국내부에는 종교개혁이후 두 개의 사상이 발달하였는데, 하나는 영국 국교회의 감독 주의를 따르고 국왕의 절대권(Absolutism / 또는 Divine Right)주장에 동정적인 보수적 사상과 : 하나는 주로 청교도들과 독립파들의 사상으로 정치 및 종교적으로 공화적 민 주제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영국은 불란서와 달리 온전한 절대군주 사상과 함께 전통 적으로 계약에 의한 통치라는 계약사상의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평화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찰스일세가 고교회 정책과 절대권(Absolutism)를 강력히 행사하여 다시 로마 카토릭 교회제도와 절대 군주국으로 영국을 이끌어 가려 하자, 이미 의회내에 다수 세 력을 차지한 청교도들과 둑립교인들이 혁명을 일으키게 되었다.
(b)또 한편 137년 찰스 일세가 스콧트란드(Scotland)에 감독제도와 공동기도서를 사용하도 록 강요하도록 강요하자 스콧트 인들이 국민계약(the National Covenant, 1638)을 맺고 찰스 일세에 대한 무력 한쟁을 벌려 이것이 내란(civil war)으로 변하였다.
(c) 찰스 일세는 영국 의회를 불신하여 1629년에서 1640까지 의회를 소집하지 않다가 스 콧 트란드 반란을 진압할 목적으로 소위 “단기의회(the Short parliament, 1640)를 소집하 였다가 해산하고, 다시 소집된 ” 장기의회“ (the Long parliament 1640-1653)는 오히려 국왕의 정책에 반대하고 나중에는 혁명을 주도하였다. 1640-1653년 기간동안은 의회의 최고 통치자이며 행정수반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장기의회는 1642년에 올리버 크롬웰의 시민군을 조직하여 국왕과 대항하게 하고, 1643 년에 스콧트란드의 “신성동맹” (The Solemn League and Covenant) 조약을 받아드리 고, 올리버 크롬웰은 스콧트군대와 함께 찰스 일세의 군대를 격파하여 (1645-1646) 청 교도 혁명을 성공시켰다. 찰스왕은 나중 1649년에 처형되었다.
(2) 결과: 장노제가 승리하고, 감독제도와 공동기도서 사용금지, 올리버 크롬웰의 공화정치 시대가 되었다. 교회적으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 소 요리문답서 및 정치조례가 체택 되고, 종교적 자유가 선포되었다.
18. 웨스트민스터 총회.
(1)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 1643)는 장기의회가 영국교회 rour을 위하 여 수집하도록 명한 종교회의이었다. 30명의 평신도와 121명의 목사들이 모이도록 되 었는데, 목사들 중에는 장로교인이 다수이고, 국교회 목사들은 소수 이였으며, 그 외 소 수의 독립교회의 목사들이 있었다. 1643년 7월1일 회의가 개최되었을 때에는 국교회 목사들은 찰스 왕에 대한 충성 때문에 참석을 거부하였다. 늦게 스코틀란드에서 8명의 위원들이 참석하였다. 1643년에서 1649년까지 계속되었는데 무려 1163회의 회의를 하 였으며, 그 후에도 간혹 교회 재판을 열기도 하다가 공식적인 폐회 없이 끝났다.
(2)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The Westminster Confession, 1646) : "신성 동맹“ 의 조건에 따라 영국 스톳트란드 아일란드 삼국에 맞는 공동 신앙 고백서를 제정할 필요를 느껴 1643에서 1646에 이르기까지 27개월간에 작성된 신앙고백서이다. 전문 36장으로 되었 으며 칼빈주의 신학이 기초가 되고 있다. 선택교리와 계약교리, 그리고 교회론이 특출 하고, 신앙행위로는 주일성수와 휴식이 강조되고 있다. 영국 의회는 1648년에, 스콧트 란드 장노교회 총회는 1647년에 공식교리로 인정하였다.
(3) 웨스트민스터 대 . 소 요리문답(Westminster Catechisms, 1647) : 주로 웨스트민스터 신 앙고백서의 내용을 간결한 문답 형식으로 작성하여 기독교 교육에 사용하였다.
대 요리문답(Larger Catechism)보다 소 요리문답(Shorter Catechis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요리 문답 제일 문이 훼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전 장노교인들의 신앙생활의 특색을 잘 나타내는 명구이다.
(4) 웨스트민스터 공중 예배서(Westminster Directory for the Public Worship of God, 1645) : 영국 국교회의 예배서인 공동기도서(The Book of Common Prayer)를 대치하여 장노교 원칙에 따른 예배서를 작성하였다. 일반적 원칙만 설명하고 정해진 형식이나 의 식을 강요하지 않는다. 예배는 기도로 시작하여, 두 번의 교훈(또는 공부), 시편노래, 설 교 순으로 하며, 오전 예배 후에 성찬을 필요에 따라 행하도록 하였다. 그 외에 세례, 환자 방문, 그리고 결혼 예식에 관한 지시을 하며, 장례는 의식 없이 행하도록 하였다.
주일 외에는 다른 종교절기를 다 폐하고 지키지 못하게 하였다.
19. 크롬웰 공화정치와 영국교회의 형편
(1)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1599-1658) :
지방귀족 출신(토마스 크롬웰의 후손)으로 어릴 때부터 청교도 교육을 받고 1628년에는 광신에 가까울 정도의 격열한 경건 생활을 하였다. 1628 하원의원이 되었으며, 1642 시민군의 총수가 되었다. 스스로 기독 시민군을 정병화하여 내전에서 승리하고 이어 군대의 힘으로 혼란기를 수습하였으며, 의회가 강력한 행정력을 행사하기 힘든 차제에 독립군의 지지로 1653년 장기의회를 해산시키고 호민관(호민관 Lord Protector)이 되었다.
(2) 크롬웰은 엄격한 장노주의 보다 열열한 독립교회를 좋아하였으며, 1653년에 장노주의자들이 다스를 차지한 장기의회를 해산시키고, 독립파(Independents)의 경건한 사람들(수위“saints" )을 국회희원으로 임명하였다. 크롬웰의 정치에 ”아멘“ 으로 협조하였다 하여 ”성자 의회“ (Parliament of saints)또는 ”마른 뼉다기 의회“ (Barebone Psrliement, 1653)라 불렀다. (참고의원중 한 사람의 이름이 Praise-God Barebone이었다 함)
크롬웰은 전노주의자들의 불관용성과 국교적 태도(state-church mentality)를 싫어하고, 종교의 개인적 성격과 개신교 교단간의 융화를 강주하엿다. 그 결과 영국에는 종교적 관용주의(Tolersnce)와 교단 주의(denominationolism)가 확립되었다. 장노교, 침례교, 회중교회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천주교, 영국 국교 및 광신적인 신교종파에 대하여서는 제제를 가하였다.
(3) 크롬웰의 공화정치는 그 자신의 개인적 신앙양심과 경건에 따른 사실상의 일인 독제정치이었다. 개인의 종교적 신념(즉 하나님의 뜻)과 국가적 이익이라는 목적이 독제정치의 근거이었다. 이것은 찰스 일세의 왕권신수설을 신념으로한 전제와 큰 차이가있다.
그러나 영국국민들은 권력이 한 개인과 그의 양심에 집중되는 것을 불안스럽게 생각하였다. 크롬웰은 한개 국가적 차원에서 “?정” (Theocracy)을 시도하였다고 평하는 사람들도 있다.
(4) 공화정 시기에 영국은 대륙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크롬웰은 모든 면에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였다. 국민 도덕의 향상을 위하여 음란한 유희를 금하고, 주일성수, 예배참석을 법으로 명영하였다. 사회개혁도 급진적 개혁을 반대하고 점진적인 생활향상을 도모하였다.
(5) 크롬웰읁 대외적으로 강력한 신교보호자가 되었다.
10. 크몸웰 시대에 발생한 신교과격파들.
크롬웰의 혁명성공과 함께 개신교내의 과격한 종교사상이 혁명의 열풍과 함께 대두하였다. 이것은 신비적이고, 열광적(enthusiastic)이고 재세레파(anabaptistic)적 성격을 띄었다. 크롬웰은 이들을 정치, 사회적으로 불안한 요소로 보고 강력히 단속하였다.
(1) 평등주의자(the Levellers) : 런던의 소상인들이 존 릴번(John Lilburne)의 지도로, 주권재민(주권재민)과 만인평등(만인평등)사상을 가졌다. 의회는 계급과 재산여하에 상관없이 모든 국민중에서 그 의원을 선출하라하고, 연임을 금하고, 의회의 기능은 행정과 경찰력 행사 뿐이라 하였다.
(2) 제 5왕국주의자(the Fifth Monarchy men) : 다니엘서의 예언을 따라 그리스도의 왕국이 임하여 천년간 계속될 것이라하여, 무력으로 왈국건설을 주장하였다.
그 중에 일부는 자연걱 도래를 기다렸다.
(3) 퀘이커 교도(Quakers) : 정식 이름은 형제회(Society or Friends)로서 1650-1690년에 영국에서 일어난 신비적 경향을 띤 종교운동이다. 지금도 성하고 있다.
(a)창시자 조지 팍스(George Fox 1624-1691)는 청교도들의 영향으로 자랐으나 이미 후기의 청교주의가 침체에 빠져 가르침과 행함이 일치하지 않음을 느끼고 19세에 구도의 길에 나섰다고 한다. 1647년 어느 날 “자기 현 ” (his condition)에 찾아 오신 그리스도를 발견하고 영적 경지에 들어갔다. 자기 속에 있는 “육적 광명” (the Inner Light)을 통하여 하나님께 직접 접근하고, 모든 사람들이 그 빛의 인도를 받으면 모든 악을 이길 수 있고, 능력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b)퀘이커의 주요한 주장들 : 절대 평등의 민주 정치, 호칭의 단일화(“thou") 종교자유, 전쟁반대, 검소한 의복과 생활, 정직한 언어, 여자의 설교 허용, 맹세를 금함 등이다.
이러한 주장 때문에 팍스와 제자들은 수없이 투옥되고 추방되며 순교하였다.
공화정시기의 제일 열렬한 운동이었다.
(c)제 이 지도자로 윌리엄 펜(William Penn, 1644-1718)은 미국 펜실바니아 주를 창설하 고 핍박받는 퀘이커 교도들을 이주시키고, 대륙의 개신교도들과 나중에는 스콧트란드 장노교인들까지 대거이주 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식민지 안에서는 유일신을 믿는 한 누구에게나 종교자유를 허락하였다. 그는 전통적인 삼위일체 교리, 대속 교리, 칼빈주 의가 설명하는 의인교리등을 반대하다가 수 차례 투옥되었다.
로버트 바클레이(Robert Barclay, 1648-1690)은 퀘이커 신학자로 “내적 광명” 은 굳 “ 내재하는 그리스도” 리도 하였으며, 성도들은 설교가 필요없으며 내적 광명과 음성에 귀를 기울이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역사성에 대하여 무관심하여 성례에 무 관심, 역사적 예수 교리와 신앙고백서의 필요성을 부인하였다.
21. 크롬웰 공화정시기의 대표적 청교도들
(1) 존 오웬(John Owen, 1616-83) : 청교도 목사(Puritan divine)로서 후기의 청교도들이 엄격한 칼빈주의 노선을 버리고 점차 알미니안적 경향으로 나아감에 반하여, 가장 공정하고 관용적 입장에서 알미니안주의와 대결하여 정통교리를 보수하였다.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교회적으로는 독립교회에 속하였다. 크롬웰 정부에 협조하였다. 의ㅚ에서 여러번 설교도 하고, 크롬웰의 군목으로서 고문(adviser)으로 일하였으나 크롬웰을 왕으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하다가 그와 멀어졌다.
그는 리처드 맥스터(Richard Baxter, 1615-1691) : 유명한 청교도 목사이자, 비국교도(Dissenter)이었다.
(2) 리처드 백스터(Richard Baxter, 1615-1691) : 유명한 청교도 목회자로서 1641-1660동안
약20년간 키더민스터(Kidder minster)에서 성공적인 목회를 하였다. 장노교, 국교회, 독립교회 사이의 중요하지 않는 차이점들은 극복하면서 목회의 협동을 도모하였다.
백스터의 신앙과 생활은 “온건” (Moderation)이 중심적 태도이었다. 과격한 장노주의와 크롬웰의 종교적 견해에 반대하였고, 왕정 복구 후에 국교회 감독직을 거부하여 목회지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그의 신학은 엄격한 칼빈주의를 떠나 “온건” 한 알미니안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백스터에게 기독교신안은 실천적 종교이었다. 교구내의 도덕을 향상시키고, 교인들의 생활을 성경말씀의 원리대로 지도하였으며, 경건생활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a) "성도의 영원한 안식“ (Saints' Everlasting Rest) : 신앙서적
(b) “개혁교회 목사론” (Reformed Pastor)
(c) 기독교인 지침(Christian Directories)등 수많은 저작을 남겼다.
(3) 존 번연(John Bunyan 1628-1688) : "천로역정“ 의 저자는 청교도 혁명 때 의회군으로 참하였다.(1544-1646), 가난하고 무식한 어린 시절을 보내었으나 성경과 신앙서적을 탐독하여 훌륭한 베드포드 독립교회 설교자가 되었다(1657). 왕정 복구후에 투옥되어(1660-1672까지) 옥중에서 천로역정을 저술하였다고 한다.
주요저작 : (a)천로역정(Pilgrim's Progress, 1678)
(b)거룩한 전쟁(Holy War, 1682),
(c)“넘치는 은혜”(Grace Abounding to the Chief of Senners, 1666)등이 있 다.
(4) 존 밀턴 (John Milton, 1608-1672) : 올리버 크롬웰정부의 라틴어 비서로 공화정의 대변인이 되었다. 혁명이전부터 시적 재능이 나타났으며, 혁명 기간중에는 주로 영국 국교회의 감독주의에 대한 반론과 장노체제를 찬성하는 글을 쓰거나, “이혼론(Docrine and Discipline of Divorce)“출판 자유론”(Areopagitica, 1644)등을 저술하였다. 왕정 복구 후에 일시 투옥되었으나 풀려 나온 다음에 1658-1665에 걸쳐 “실락원” (Paradise Lost, 1667)을 쓰고 이어서 1671년 “복락원(Paradise Regained)", 그리고 ”투사 삼손(Samson Agonistes)"를 저작하였다.
밀턴은 처음 장노교 사상을 가졌으나 나중에 독립교회로 기울어지고, 신학적으로는 점차 알미니안적 요소를 가지게 되었다. 인간의 자유와 독립의 옹호자이었으나 질서와 조화를 모색하였다.
22. 독립교회의 성립.
독립교회(lndependents)는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ircjes)라고도 불리어지는데, 교회정치형태상으로 개 지방교회(each local churoh)의 자율과 독립을 주장한다. 교회정치원리는 민주정치를 원리로 하고, 그리스도를 유일한 그리스도 교회의 수장으로 삼는다.
분리주의자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e)이 개 교회가 국가로부터 독립하고, 자율적 행정을 해야한다고 주장한 이후 수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뒤에 크롬웰 시대에 와서 교회들은 숫자적으로 증가하고 중요한 종교세력이 되었다.
1658년 120처의 개 교회들이 사보이 긍(Palace of Savoy)에 모여 온건한 형태의 회중교회 교리와 정치원리를 선언하였다. 이것이 “사보이 선언문” (The Savoy Declaration,1658)이며 회중교회의 기본문서이다. 여기에 교리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일부 수정하여 받아드리고, 그들의 정치조례를 첨가하였다. 선언문에는 개혁고회의 제 분파가 획일적인 로마 카토릭에 비하여 활기 있는 교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변증을 하면서 회중교회 형태를 장노교회 형태와 같이 공인해 달라고 하였다.
이후에 수많은 교인들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뉴 잉글란드지방은 회중교회의 영역이 되었으며, 영국에 남은 교리들은 18세개 차츰 지방 법의회(Associations)를 남들고 1832년에는 “영국과 웨일스의 회중교회 연합회”(The Congre gational Union of England and Wales)를 창설하였다. 이것은 입법기구는 아니고 교회간의 연락 조정협력기구이며 첫 사업으로 “신앙과 예배 선언”(A Declaration of Faith and Order)를 작성 공포하였다.
23. 왕정복구(the Restoration)와 감독주의의 부활
(1) 크롬웰의 사후(1658), 그의 아들 리차드가 호민관직을 승계하였으나 군대를 통활하지 못하여, 군대의 요구로 사임하고 자유선거를 통하여 구성된 양 의횡에서 폴란드에 머물고
있던 찰스 이세를 불러 왕으로 모시었다.(1660년).
(2) 의회가 감독제도를 부활시키고, 종교 집회령(the Conventicle Act, 1664)을 내려 공동 기도서를 사용하지 않는 5인 이상의 집회를 금지하고, 1665년에는 “5마일 령” (the Five Mile Act)을 내려, 비국교회 목사가 정부와 교회전복을 꾀하지 않는다는 서약이 없이는 어떤 마을(town)이나 도시(city)에 5마일 이내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였다. 1670년에 “제 이 집회령” 1673년 “시험령(Test Act)” 를 내려 일반시민에게 관리가 될려면 국왕에게 선서하게 하고 국교회 의식을 따라 헝찬을 받게 하였다.
(3) 왕정 복구로 말미암아 수많은 청교도들과 독립파들이 해외로 이주하였다.
이 무렵 윌리엄 젠이 펜실바니아에 퀘이커 교도를 이주시켰다.
24. 명예 혁명(the Glodrious Revolution, 1688)의 교회사적 의의.
(1) 로마 카토릭 정치세력의 최종적 저지가 이루어졌다. 불란서왕 루이14세가 대륙내의 신교세력을 파하고 (독일 팔라티네트를 로마세력권에 넣고, 스위스 왈도파 교인을 박해하고, 1685년에 낭뜨칙령을 철회하여 불란서 개혁교도를 추방시키었음)
영국의 제임스이세를 통하여 커토릭 세력을 확장허려 하였다. 그러나 장노교인인 화란의 윌리암삼세와 메리가 개신교의 종교적, 정치적, 세력의 회복을 위하여 영국 희회의 간청을 수락하고 영국에 진주하여 왕위에 올랐다. 제임스이세는 불란서로 도피하였다가 나중에 아일란드에 건너가서 아일란드의 왕이 되려하다가 1690년 보인(Boyne)에서 패하고 재차 불란서로 도망하여 일생을 마쳤다. 그는 찰스일세의 아들로서 영국을 재차 로마교회로 이끌어 가려하다가 명예혁명(1688)으로 왕위에서 축출당하였다.
(2) 1689년 종교 관용령(The Tolerance Act)을 발표하고 비국교도(Non-conformista / 또는
Dissenters)들에게 법적보호를 보장하였다. 국교회는 형식적으로 제국교회이나 실제적으로는 대교단으로서, 비 국교도들의 교회와 동등 지위에 있게 되었다. 국가는 종교문제와 신앙양심의 문제에 대해서는 중립적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이 관용령으로 인하여 종교적자유사상이 대두하고, 더욱 검열제도가 폐지되자 자유로운 문화활동이 전개되었다.
(3) 윌리암과 메리(The Presbyterian Kirk of Scotland), 1707년에는 영국과 스콧트란드가 연합하여 대영제국이 되었다. 따라서 한 영국왕이 스콧트란드에서는 장로교인이 되고, 영국에서는 수장이 되는 전통을 세우게 되었다.
25. 비 국교도(Non-conformists)들의 영국사회에 미친 영향.
(1) 비 국교도 또는 국교 반대자(Dissentera)들은 예민한 신앙양심을 통하여, 도덕율에 근거한 시민사회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이들이 “양심”을 하나의 정치. 사회세력으로 등장시켰으며, 이것이 영 . 미 정치의 도덕적 성격을(Polftical moralism)형성하게 하였다.
양심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개인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고, 강한 준법정신으로 근대 시민사회의 정신적 기반을 굳게 하였다. 따라서 비 국교도의 정신적 유산은 정치적 민주주의이며, 미국 독립운동(1774)의 강격한 근거가 되었다.
(2) “비 국교도 양심” 은 경제생활에도 영향을 미쳐 근대 자본주의 발달과 근대 기업정신과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근면, 정직, 정확, 적당한 이윤, 실용주의, 개척정신 등). 그들의 교리 중“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예정” 교리는 신앙양심에 위배되지 않는 한 그 들의 기업 활동에 자신과 확신을 주었다.
비 국교도에게 관계 진출의 길이 막히고 국교회 성직자의 진로가 없으므로, 자연 상업과 산업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이 직업을 심각한 삶의 현실로 간주하게 되었다. 그 결과 영국, 하란, 미국등지의 이들 칼빈주의자들은 17,18세기에 걸쳐 상업과 기술을 독점하다시피 하게 되었다.
(3) 비 국교들은 관학(관학)보다 실용학문을 강조하여 런던 대학등 실용학문, 즉 자연과학, 수학, 각종 전문학과(법율, 의학)를 가르치는 대학을 세우게 되었으며, 또한 “국교 반대자 학원”(Dissenting Academy)을 세워서 목회자를 양성하고 또한 보다 실제적인 교육을 시켰다.
'◑δεδομένα 18,185편 ◑ > उपदेश सामग्री 16,73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받은 사명을 위하여(행 20:17-24) / 이종윤 목사 (0) | 2021.12.28 |
---|---|
정직하여 복된 나라(시 112:1 - 10) / 이수영 목사 (0) | 2021.12.28 |
자녀사랑과 훈계의 채찍(잠 23:12-14) / 이수영 목사 (0) | 2021.12.27 |
하나님의 전신갑주(엡 6:10-18) / 이수영 목사 (0) | 2021.12.27 |
하나님의 백성의 표(출 4:24-26) / 이수영 목사 (0) | 2021.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