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
히브리어 구약 본문 프로젝트의
중간 보고서와 최종 보고서의 내용 및
구조적 특징에 관한 고찰
박철우
(호서대학교신학부겸임교수, 구약학)
‘히브리어 구약 본문 프로젝트’의 목적 및 활동 개요
세계 성서공회 연합회에서는 세계 성서 번역자들을 돕는 많은 자료들을 출판하고 있는데, 그 중 70년대 이후 가장 중요한 자료들 중 하나가 ‘PIR 중간 보고서’(Preliminary and Interim Report on the Hebrew Old Testament Textual Project)이다.
세계성서공회연합회는 1969년 유진 나이다를 위원장으로 하고 6명의 위원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조직하여, ‘히브리어 구약 본문 프로젝트’(Hebrew Old Testament Textual Project, 이하 HOTTP)라는 연구를 시작하여 1년에 한 번씩 모여 11년 동안 히브리어 성서의 난해 본문 약 5,000여 곳을 검토하였다.
1973년부터 1980년 사이에, 5권의 ‘중간 보고서’가 나왔고, 현재까지 ‘최종 보고서’ 3권이 바르뗄레미(D.Barthélemy)에 의해 편집 출판되었다. 그리고 이 최종 보고서의 해설서의 출판이 진행중에 있다(Textual Handbook on Isaiah, Jan de Ward, 1994).
이 보고서는 키텔히브리성서(BHK)나 슈투트가르트히브리성서(BHS)에서 본문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본문들, 즉 난해 본문들을 뽑아내어 그 해결 방안을 번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문상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뽑은 본문들은 ①히브리어 본문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것, ②현재의 대표적 번역본인 영어표준개역(RSV, 1952), 불어역예루살렘성서(JB, 1956,신판 1973), 개정된 루터역 3판(RL, 1971), 새영어성서(NEB, 1970), 그리고 불어역에큐메닉성서(TOB, 1975) 등이 난해 본문으로 취급한 것들이다(PIR Vol. 1. p.V).
이 위원회에서는 히브리 본문의 발달 과정을 네 국면으로 구분한다(PIR. Vol. 1. pp.VI - VII).
(1) 제1 국면 -구전 또는 문서로 전승된 문학 본문으로서, 문학분석(literaryanalysis)으로밝힐수있는본래의본문(original text).
(2) 제2 국면 - 현존하는 본문으로서 본문 비평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는 최초의 분문, 즉 ‘가장 초기의 것으로 증명된 본문(the earliest attested text)’이다.
(3) 제3 국면 - A.D 70년 직후 유대교 학자들이 정리한 히브리어 구약 자음 본문(consonantal text)이다. 즉 일반적으로 원 마소라 본문(Proto - Massoretic Text)이라고 하는 국면이다.
(4) 제4 국면 - A.D 9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마소라 학자들에 의해서 확정된 마소라 본문(Massoretic Text)이다.
이 위원회에서는 본문상의 문제가 있는 본문들을 취급함에 있어 어떤 표현이 제2 국면에 해당되는 표현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중간 보고서(PIR)의 편집 내용과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1) 해당 문제 본문의 장절이 나오고
(2) 마소라본문(MT)이 주어진다
(3) 그 다음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본문 이독이나 추정 본문을 준다.
이 히브리어 표현이 각괄호(square brackets) 안에 들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히브리 증거 본문이 없는 관계로 본문이 재구축된 것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히브리 본문 형성 단계에서 제2 국면 즉 가장 초기의 것으로 증명된 본문 앞에는, 그 개연성의 정도를 표시하는 기호(A, B, C, D)가 나온다.
즉 히브리어 본문 형성 과정에서 제2 국면의 본문 개연성이나 가능성이 아주 높은 경우 A로 표현하고, B는 약간의 의혹이 있는 경우, C는 상당한 의혹이 있는 경우, D는 매우 의심스럽고 개연성이 아주 낮은 경우를 가리킨다.
그리고 문제 본문의 성격은 아래 요소들을 구별하여 규정한다.
평가 기준이 되는 세 요소(Factors of evaluation : 이에 대한 설명은 뒤쪽 2.3.3. ‘최종 보고서 약어 해설’ 참조)
(1) 한 본문 전통에서만 발견되는 異讀(Narrow basis for a variant form of the text) ; 예를 들어 헬라어역이나 시리아역이나 라틴어역 중 오직 한 번역에만 나타나는 이독.
(2) 여러 본문 전통에서 두루 나타나기 때문에 이본의 반영인 것 같으나, 실은 같은 해석의 경향을 보이는 이독(Deceptive broad basis for variant form of the text tradition).
(3) 이전의 한 본문 형태에서 생겨난 이독(Dependence of variaty of text forms upon one earlier form). 이 경우 열쇠 본문(key)을 찾는 것이 중요함.
수정된 본문의 수정 요인들
서기관이나 번역자들의 의식적 수정
(1) 본문의 단순화(Simplification of the text = easier reading).
(2) 병행 본문에 동화(Assimilation to parallel passages).
(3) 만족스러운 번역을 위해 해당 언어 구조에 맞게 재조정하는 경우(Translational adjustments to the text).
(4) 해석상의 필요에 의한 수정(Interpretative modifications).
(5) 언어학적 자료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야기된 것(Misunderstanding of linguistic data).
무의식적 또는 기술적 실수
(1) 역사적 자료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야기된 것(Misunderstanding of historical data).
(2) 비슷한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이 실수로 생략되는 경우(Accidental omission of similar letters, words, or sentences).
(3) 동일한 문자들을 실수로 반복하는 경우(Acciental repetition of identical sequences).
(4) 기타 서기관의 다른 실수들(other scribal errors).
(5) 서로 다른 본문을 융합하는 데서 생기는 오류(conflate reading and doublets).
난해 본문을 해석한 내용을, 난해 본문 옆 또는 아래 기록했던 것을 후대 번역자나 필경사가 본래의 본문으로 오인하여 생기는 본문 융합 또는 중복어.
그 이외의 요인들
(1) 추론적 본문(conjectural form of the text).
(2) 설명할 수 없는 본문들(Inexplicable texts).
HOTTP의 설립 배경과 연구 결과.
HOTTP의 설립 배경.
비록 이 프로젝트가 실제적으로 시작된 것은 1969년에 와서이나, 그 이전에 이와 유사한 시도는 있었다. 그 역사적 배경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Critique Textuelle de L'Ancien Testament, Vol I. pp 65 - 66, 이하 CTAT로 표기).
1720년 할레(Halle)에서, 그리고 1753년 파리(Paris)에서, 미키엘리스(J. H. Michaelis)와 우비강(Houbigant)에 의해 각각 히브리어 성서가 출판되었다.
그 후 미카엘리스(J. D. Michaelis)는 1956년 9월20일 괴팅겐(Göttingen)에서, 특히 구약 성서의 다양한 비평적 읽기를 더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학자들의 학문적 성과들을 정리할 목적으로 비평적 프로젝트를 주창했다. 그러나 몇 달 후, 7년 전쟁이 일어났고, 따라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1920년 폴쯔(Paul Volz)는 구약 성서의 원문 연구를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의했다.
1935년 괴팅겐(Göttingen)에서 개최된 구약학자들의 국제적 모임에서 폴쯔는 미카엘리스의 계획을 알게 되었고, 그 다음해 ‘구약 본문 비평연구 계획’(Arbeitsplan für die Textkritik des Alten Testaments)을 제시했다. 그는 국제적이고 초교파적인 본문 비평 전문지를 만들자고 제안하였다. 그는 이를 통해 비평 규칙을 세우고, 검증하고 비판하는 것을 우선적 목표로 하였다. 이 때 구약 성서 본문 비평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이 막 행해진 참이었다. 그러나 몇년 후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이 계획이 무산되었고, 폴쯔도 사망하였다.
폴쯔가 전문지에 관한 계획을 수립했던 해에, 니베르크(Henrik Samuel Nyberg)는 독자적으로, 호세아 연구(Studien zum Hoseabuche)에서 구약 본문 비평의 방법론적 문제를 고찰하였다(‘une contribution a le clarification du probleme de la critique textuelle de l'Ancien Testament’).
그리고 제2차대전이 끝난 지 얼마 안되어, 사해 사본들이 발견되었고, 이것은 뜻밖에 고대 구약 본문의 상태와 본문의 역사에 관해 많은 것을 알게 하였다.
이제 국제적이고 초교파적인, 거대한 방법론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때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69년에 세계성서공회연합회가 제안한 계획을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문화권의 6명의 개신교와 가톨릭 주석가들이 수용하였다.
이 연합회는 신약 번역자들에게 본문 비평을 돕는 비평적 작업을 막 끝낸 상태였다.
이것은 쿠르트 알란트(Kurt Aland), 매튜 블랙(Matthew Black), 까를로 마르티니(Carlo M. Martini), 브루스 메쯔거(Bruce M. Metzger)와 알렌 비크그렌(Allen Wikgren) 이렇게 5명의 위원들에 의해서 1,440개의 난해 본문에 행해진 작업이었다.
이제 이 세계성서공회연합회가 후원하는 150개 이상의 구약 성서 번역위원회에 이와 유사한 도움을 제공하려는 것이었다.
이렇게 이 위원회는 최근의 번역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약 5,000개의 난해한 마소라본문(MT)에 대한 비평적 판단을 요구하였다.
구약 히브리어 성서의 본문 분석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수용한 바르뗄레미(Dominique Barthelemy), 훌스트(Alexander R. Hulst), 로핑크(Nobert Lohfink), 맥하디(Willian D. McHardy), 피터 뤼거(H. Peter Rüger), 샌더스(James A. Sanders) 이 6명의 학자들은 이미 마소라본문(MT)의 공헌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여러 증거 본문들을 연구한 사람들이었다. (쿰란 사본들, 헬라어역본과 시리아어역본과 타르굼.)
그리고 이들은 히브리어 성서 편집과 성서 번역을 통해서 이미 본문의 문제들에 관한 그들의 의견을 제시한 바도 있었다. 이들은 슈트트가르트히브리성서(BHS), 네델란드어새번역(Nieuwe Vertaling), 영어새번역성경(New English Bible), 미국새번역성경(New American Bible), 불어역에큐메닉성경(Traduction Oecumenique de la Bible), 독일어공동번역성경(Einheitsübersetzung)과 관련된 작업을 하였다.
이들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속에서 경험했던 것들을 고찰하고자 했다.
특히 구약 성서의 본문 비평의 관점, 실제 작업과 방법론에 관한 포괄적 검토를 하고자 했다.
1969년 독일 아놀드샤인에서 6인들의 첫 번째 모임을 가진 이후, 이 위원회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한번에 4주씩 10회에 걸쳐서, 유진 나이다(Eugene Nida)를 위원장으로 하고, 두 명의 서기 아드리안 센커(Adrian Schenker)와 톰슨(John A. Thompson)이 선출되었다. 이들은 독일의 프로이덴슈타트(Freudenstadt)와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앤드류스(St. Andrews)에서 모였다.
이 위원회는 번역자들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따라서 그들은 가장 많이 보급된 번역 성경들의 각주나 본문 해석에 나타난 난해한 본문들을 그들의 작업의 출발점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이 성경들이 RSV. J. RL. NEB였다(후에 TOB도 포함되었음).
중간 보고서 출판.
그들의 연구 결과가 1973년부터 1980년까지 5권의 ‘Compte rendu Preliminaire et Provisoire sur le travail d'analyse textuelle de l'Ancien Testament Hebreu(PIR)’.
Vol. l : le Pentateuque, 317p, London, 1973.
Vol. 2 : Livres Historiques, 556p, Stuttgart, 1976.
Vol. 3 : Livres Poetiques, 620p, Stuttgart, 1977.
Vol. 4 : Livres Prophetiques I, 355p, New York, 1979.
Vol. 5 : Livres Prophetiques II, 443p, New York, 1980.
최종 보고서 출판.
최종 보고서의 내용 및 구조적 특징.
1982년부터 Critique Textuelle de L'Ancien Testament라는 제목으로 최종 보고서를 출판하기 시작했다. 이 책은 5권으로 되어 있으며 이 위원회의 연구 결과를 최종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의 편집자는 스위스 프리부르크 대학교 주석 교수인 바르뗄레미(Dominique Barthélemy)이고 제1권에서는 마소라본문(MT)의 역사서 본문으로서 961개의 난해 본문을 다루고 있고, 1982년 출판되었다.
이 1권은 위원회의 10년 동안의 작업과 3년 간의 출판 준비 과정을 거친 후 비로소 1982년에 출판된 책이다.
피터 뤼거(H. Peter Rüger)는 본문 증거와 관련된 문제를 담당하며 발표하였고, J.A.샌더스(James A. Sanders)는 쿰란 자료들, 바르뗄레미(Dominique Barthélemy)는 19세기까지의 주석 역사, 로핑크(Nobert Lohfink)는 금세기의 주석에 관한 자료들, 훌스트(Alexander, R. Hulst)와 맥하디(William D. McHardy)는 소장학자들의 제안들에 관한 비평적 조언을 담당했다(CTAT. Vol. 1, p, IX).
그리고 이어서 제2권은 1986년에 출판되었다. 2권의 편집자는 역시 바르뗄레미(D. Barthélemy)이고, 이 책에서는 이사야와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에 나오는 800개의 난해 본문을 다루고 있다(CTAT. Vol. 2, p, XI).
세계성서공회연합회 총무는 이사야, 예레미야와 애가와 관련하여 RSV, J123, RL와 NEB에 마소라본문(MT)을 바꾼 경우들을 뽑았다. 이러한 경우들 중, 이 위원회는 685개의 난해 본문들을 선택하였다. 이 경우들을 다룬 결과들이 1979년에 뉴욕에서 출판된 중간 보고서(PIR) 제4권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최종 보고서에서는 불어역에큐메닉성서(TOB)의 각주에 나타난 수정 본문도 참고하여 800개의 난해 본문들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 제2권의 중요한 특징은 1권보다 훨씬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비평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1권에서는 본문 비평 장치에 언급된 증거 본문에 관한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비평이 있었다. 그래서 위원회에 의해서 내려진 본문 선택(choix textuel) 앞에 고대 증거들(les temoins anciens)에 관한 소개를 다루었다.
이 최종 보고서의 목적이 번역자들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기 때문에, 본문에 대한 해석을 제안하는 부분을 설정하였다(interpretation proposee).
최종 보고서 제 2권과 제 3권의 본문 편집 구조는 다음과 같다.
① 본문 비평 장치(Apparat critique)
② 최초 번역문의 선택(Options de nos traductions)
③ 수정의 기원(Origines de la correction)
④ 고대 증거 본문(Les temoins anciens)
⑤ 본문 선택(Choix textuel)
⑥ 해석적 제안(Interpretation proposee)
각 최종 보고서의 서두에 본문 비평 장치(apparat critique : ①번 문제)의 구조에 관해 소개한다. 그리고 최종 보고서 제2권부터, 서론에서 이 다섯 개의 내용(②-⑥번 문제)을 상세하게 소개하는데, 제2권에서는 특히 위의 ②③번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options de nos traductions, origine de la correction). 그리고 제3권에서는 ‘증거 본문들’(④번: les temoins textuals = les temoins anciens)을 다룬다.
이 위원회는 본래 RSV, J, RL, NEB, TOB에 나타난 수정을 바탕으로 난해 본문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RSV와 NEB가 개정되어 NRSV(New Revised Standard Version)와 REB(Revised English Bible)로 출판되었다. 그러나 제3권의 출판 준비가 이미 너무 진행되어 여기에는 참고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4권과 5권에서는 이 최근의 두 번역의 선택도 참고가 될 것이다(CTAT. Vol. 3, p, XIX).
제3권은 1992년에 출판되었다. 제3권에서 에스겔, 다니엘과 12소예언서들을 다루고 있으며, 이것은 중간 보고서(PIR)의 제5권에 해당된다.
이 중간 보고서(PIR) 제5권에서는 883개의 난해 본문을 다루었으나 이 최종 보고서 제3권에서는 1075개의 난해 본문을 다룬다(CTAT. Vol.3, p, XVII). 이 책 역시 제2권과 마찬가지로 편집자는 바르뗄레미(D. Barthelemy)였다(CTAT. Vol. 3, p, XIX).
최종 보고서의 본문 비평 장치(Apparats critiques)의 구조(CTAT. Vol. 1, pp, XVI - XVII).
자료의 순서
1) 성서의 장절
2) “cor”(correction) - 이 약어는 위원회가 마소라본문(MT) 대신에 다른 표현을 선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 위원회가 가장 오래된 표현이라고 결정한 표현이 나온다.
4) 이렇게 결정된 표현에 등급을 매긴다.
A =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
B = 약간의 의문을 갖게 하나 매우 큰 가능성을 갖는 것.
C = 가능하긴 하나 상당한 의심이 가는 곳.
D = 약간의 가능성만을 갖고 있으며, 불확실한 것.
5) 이 표현을 지지해 주는 증거 본문의 약자들.
“bas”(bas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아무런 직접적 증거 자료는 없으나, 다른 읽기(les autres lecons)들이 나오게 된 배경적 표현으로만 간접적으로 검증되는 경우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crrp”(corrompu) - 이 읽기(reading)를 지지하되, 이미 훼손된 상태로만 남아 있는 본문을 가리킬 때.
6) 두 개의 사선이 나오는데, 이것은 채택된 읽기(reading)를 여기에서 갈라져 나온 다른 읽기(reading)와 구분해 준다. 가끔 화살표로 나오는데, 이것은 한 읽기(reading)가 다른 읽기(reading)에서 갈라져 나온 것임을 나타낸다.
7) 각 읽기(reading) 또는 유사한 읽기(reading)들은, 위원회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채택한 읽기(reading)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정 요인들을 먼저 언급한다.
이 요인들을 언급한 다음 ( : ) 표기가 나온다.
예문1) Josh 19:2
cor ע??וּ [B] G // assim 2b a : M g V S T עבשׁו
MT에서는 ע???로 되어 있으나, 70인역과 1 ch 4,28을 바탕으로 ע???대신에 ע??וּ로 수정한다(cor).
그리고 그 가능성 등급(자료의 순서 2.3.2.1.4에 해당)은 [B] 에 해당된다.
assim 2ba는 Jos 19,2 ba 와 동화되어 ע???가 되었음을 설명한다(자료의 순서 2.3.2.1.7에 해당)
8) 그리고 나서, 이 읽기(reading)를 지지하는 증거 본문들의 약자가 나온다. 그리고 이것들은 한 개의 사선에 의하여 약간만의 차이가 있는 증거 본문들이 이와 구별되어 나온다. 마찬가지로 고대 사본의 약자 앞에 콜론(:)과 수정 요인이 언급된다.
예문2) Jos 19:10
דירשׁ [C] M g (V) T // err : G ךידשׁ(?) / err : g(S) רידשׁ
9) i. 그 다음 MT의 2차적 형태가 인용된다. 번역본의 읽기인 경우, 그 읽기가 직접 인용되거나, “Clav”(clavis)라는 기호 아래, 번역자에게 영감을 주었을 히브리 표현을 소개한다.
예문3) Josh 21:35
cor ה??? [B] bas // err : M gV T הנמר / usu : g S
clav ןמר / homtel : G om
이독(les variantes)을 특징짓는 요인들을 가리키는 약어들
“lacun”(lacune) - 문제의 구절이 언급된 증거 본문에 없는 경우를 가리킨다.
“abst”(abstention) - 번역된 증거 본문들이 본문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을 가리킨다(예를 들어, 관사의 유무를 위해서 라틴어 번역을 사용할 수 없다든지, 동사의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기 위한 라틴어와 헬라어 번역을 사용할 수 없다든지 하는 경우).
“incert”(incertain) - 증거 본문들에 대한 해석이 불분명한 경우
“lit”(litteraire) - 가끔 본문의 차원보다 문학적 차원에서, 어떤 읽기(reading)가 다른 것들과 다른 경우
“transf”(transfere) - 어떤 표현이 필사자나 번역자에 의해서 다른 곳에서 옮겨진 것을 가리키는 경우
최종 보고서의 약어 해설.
본문의 성격을 규정하는 요인들은 중심으로 살펴본 약어들(CTAT. Vol. 1, pp, XVII - XX)
le facteur 1. (étroitesse de la base d'une variante textuelle) : 어떤 본문이 한 가지 전통에만 나타나면(예를 들어 타르굼, 시리아어역, 라틴어역 등), 여러 전통에 나타나는 것을 본래의 본문에 가까운 것으로 본다.
le facteur 2. (largeur trompeuse de la base d'une variante textuelle) :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많은 전통에 나타나는 본문이라 할지라도, 이 전통들이 초기의 필경사나 번역자들에 의해서 수정된 본문을 따른 것으로서 동일한 해석적 경향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이 필경사나 번역자들에게 우연적으로 주어졌다는 의미에서 “spont”(spontane) 기호를 사용하여 이 상황을 설명한다.
le facteur 3. (dependence de plusieurs formes textuelles a l'egard d'une forme unique plus primitive) : 본래의 본문이 매우 난해한 경우, 서로 다른 필경사나 번역자들이 서로 다른 해석을 하여 본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해석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었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핵심 본문을 찾는 것이 필요하고, 이 핵심 본문을 바탕으로 다른 이독에 대한 합리적 설명이 가능하다.
le facteur 4. (simplification du texte) : 난해 본문을 단순화시키는 경우
“facil”(facilitation)
facil - graph (facilitation graphique)
facil - semant (facilitation semantique)
facil - styl (facilitation stylistique)
facil - synt (facilitation syntaxique)
“schem”(scheme) - 잘 어울리지 않는 표현 구절을 단순화하는 경우
“usu”(usuel) -희귀하게 사용되는 표현이 많이 사용되는 표현에 의해서 대체되는 경우
le facteur 5. (assimilation à des passages paralleles) - 병행 구절과의 동화.
“assim” (assimilation)
Par ex.
ICh. 11, 15 : “assim 2S 23, 13G : g”
g(grecque secondaire) de ICh. 11, 15는 2S. 23, 13의 고대 헬라어 역본(“G”)에 동화된 것임을 나타낸다.
“assim - graph” (assimilation graphique)
“assim - ctext” (assimilation au contexte)
“assim - int” (assimilation interne)
assimilation, a l'interieur de la tradition textuelle.
“harm” (harmonisation) - 모순의 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시도
“harm - synt” (harmonisation syntaxique)
“harm - ctext” (harmonisation au contexte)
le facteur 6. (alterations textuelles requises par la traduction) : 번역상의 필요에 의해서 야기된 수정
“transl” (translationnel) - 번역 언어의 구조에 의해서 요구된 수정인 경우
“lic” (licence) - 번역 과정에서 수정된 경우로서 우리가 그 수정 이유를 간파할 수 없는 경우
“paraphr” (paraphrase) - 이러한 번역상의 자유로운 수정이 문학적 전개에 의해서 이루어진 경우
“transcr” (transcription) - 고유명사를 다른 언어로 음역할 때 오는 수정
le facteur 7. (modification du texte pour des motifs d'exegese) : 주석적 이유에 의해서 야기된 수정.
“exeg” (exegese) - 주석상의 원인.
“expl” (explicitation) - 함축적인 간결한 표현을 번역자가 설명한 경우
“abr” (abreviation) - 줄임
“abr - styl” (abreviation stylistique)
“abr - elus” (abreviation elusive) - 난해하게 만드는 자료를 없애버리는경우
“ampl” (amplification) - 확대
“ampl - styl” (amplification stylistique)
“ampl - midr” (amplification midrashique)
“emph” (emphase) - 번역자가 강조 표현을 사용한 경우
“attenu” (attenuation) - 의미를 약화시키는 경우
“modern” (modernisation) - 해석자가 시대에 맞지 않은 표현을 그 시대에 맞게 수정하는 경우.
“modern - graph” (modernisation graphique) 지리적 수정
“midr” (midrash) - 번역자가 미드라쉬 전통에서 영향을 받은 경우
“euphem” (euphemisme) 완곡어법
“theol” (theologique) 신학적 고려에 의한 수정
le facteur 8. (언어학적 차원에서의 오류)
“ign - ling” (ignorance linguistique)
“ign - lexic” (ignorance lexicographique)
“ign - gram” (ignorance grammaticale)
“ign - synt” (ignorance syntaxique)
“ign - styl” (ignorance stylistique)
“ign - vocal” (ignorance de la vocalisation)
le facteur 9. (역사적 자료에 대한 오류)
“ign - hist” (ignorance historique) - 역사적 자료에 대한 오류
“ign - geogr” (ignorance geographique) - 지리적 자료에 대한 오류
“ign - real” (ignorance des realia) - 사회학적, 또는 건축 등의 자료에 대한 오류
le facteur 10. (유사한 문자, 단어, 문장의 우연한 생략)
“hapl (ogr)” (haplographie) 중자탈오.
“hom” (homeoarcton ou homeoteleuton) 유사문두 또는 유사문미
“homarc” (homeoarcton) 유사문두
“homtel” (homeoteleuton) 유사문미
le facteur 11. (표현의 반복)
“dittogr” (dittographie) 중복오사
le facteur 12. (기타 서기관들의 실수)
“err” (erreur) 실수
“deform” (deformation) 변형
“deform - int” (deformation interne) - 특별한 본문 전통 안에서의 변형.
“err - graph” (erreur graphique)
“perm” (permutation) - 배치 전환
“err - divis” (erreur de division)- 단어 안에서 문자들을 나누는 데서 나타난 오류
“err - vocal” (erreur de vocalisation)
le facteur 13. (확대된 표현이나 이중어)
“dbl” (doublet) - 이중어
“confl(at)” (conflatio) - 확대된 표현, 즉 두 개의 증거 본문을 병렬한 경우
“mixt” (mixte) - 확인된 두 개의 표현을 혼합한 것
“glos” (gloses) - 주해적 첨가.
“substit” (substitution) - 대체.
“substit - synt” (substitution syntaxique)
“substit - lexic” (substitution lexicographique)
“substit - vocal” (substitution vocalique)
“rest” (restauration) - 복원
“rest - vocal” (restauration vocalique)
“const” (construction) - 어떤 구절을 새로 구축하면서 그 표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
“int” (interne) - 특별한 본문의 전통 안에서 일어난 일.
“elus” (elusive) - 문제점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진 일.
'◑ 자료 18,185편 ◑ > 자료 16,73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번역의 문화적 과제 (0) | 2022.02.23 |
---|---|
구약 성경 본문 전래 과정에 대한 고찰 (0) | 2022.02.23 |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서문 (0) | 2022.02.23 |
텍스투스 레셉투스의 정체(正體) (0) | 2022.02.23 |
성경원문연구 (0) | 2022.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