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료 18,185편 ◑/자료 16,731편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서문

by 【고동엽】 2022. 2. 23.
목록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서문

 

 

김창락 번역

(한신대학교교수, 신약학)

 

 

머리말

 

<그리스어 신약성서>(Novum Testamentum Graece)의 제27판은 원래는 다만 교정 잡은 것들만 담으려 했다. 제26판의 잇따른 여러 교정쇄들은 너무 방대해서 그것들을 모두 일목요연하게 개괄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그래서 제27판은 제26판의 교정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총괄해 냄으로써 그 복잡성에 종지부를 찍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이보다 더 본격적인 개정판을 내야겠다는 원망(願望)이 생겼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서문에(3쪽 이하)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다.

여기서는 다만 이 일에 참여하신 모든 분에게 심심한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자 한다. 맨 먼저 신약원문연구소의 동료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그들은 모두 어려 가지 다른 방법으로 이 작업에 참여하여 헌신적으로 그들의 고유한 과제를 감당했다. 누구보다도 먼저 밍크(Gerd Mink)와 쾨스터(Beate Köster)를 꼽아야 한다. 개개의 많은 물음에 이 두 사람의 비판적이며 건설적인 대화를 통한 기여가 없었더라면 이 제27판 ‘비평본은 생겨날 수 없었을 것이며 그 밖의 다른 일들도 또한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개별적으로 말하자면 다음 동료들은 특히 각각의 특수한 작업 분야에서 활동했다. 빗테(Klaus Witte)는 비평 자료를 원자료에 대조·검증하여 갱신했다. 이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는 유나크(Klaus Junack)가 26판에 이루어 놓은 업적을 바탕으로 삼았다. 바흐텔(Klaus Wachtel)은 리히터(Wolfgang Richter)와 함께 무엇보다도 파피루스 사본과 대문자 사본의 영역에서 빗테(K. Witte)를 강력히 지원했다. 동방어 번역본들과 관련된 개정 작업은 육켈(Andreas Juckel:시리이아어 담당)과 밍크(Gerd Mink) 및 슈미츠(Franz-Jürgen Schmitz:콥트어 담당)가 맡았다. 하게만(Ute Hagemann)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라틴 교부들과 그리스 교부들의 인용문에 대한 개정 작업을 떠맡았다. 사본목록은 벨테(Michael Welte:파피루스 사본과 대문자 사본 담담)와 쾨스터(B. Köster:소문자 사본 담당)가 확대시키고 정확하게 만들었다. 바흐만(Horst Bachmann)은 벤트(Gustav Wemdt)와 함께 지칠 줄 모르게 복잡한 특별 교정을 맡아보았다. 유스트(Marlene Just) 여사는 산더미처럼 밀어닥치는 어려운 필기 작업을 때로는 촉박한 시간의 압박을 받으면서 능숙하게 잘 처리해 냈다.

위에서 거명한 사람들 가운데 이제는 더 이상 우리 신약원문연구소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이 많다. 우리의 충심에서 우러나오는 감사의 마음이 이러한 방식으로라도 그들에게 전달되기를 바란다. 또 많은 학생 동역자들도 역시 그 사이에 우리 연구소의 일에서 떠나갔다. 학생들은 모두 특히 교부들의 인용문을 검증하고 발췌하는 일에서 그들의 몫을 훌륭히 감당했다. 그들의 헌신적 노력에 대해서 우리는 진심으로 감사한다.

로데스(Erroll F. Rhodes)는 서문을 다시 영어로 번역했다. 그에게도 또한 우리의 심심한 감사를 표한다. 그는 이 어려운 과업을 그의 본문 비평적 전문 지식으로써 잘 해냈다.

슈투트가르트(Stuttgart)에 있는 독일 성서공회와 그 성서 인쇄소는 다시금 조판 작업과 인쇄 작업을 탁월한 방식으로 능숙하게 수행했다. 이 독일 성서공회와 그에 속한 모든 동역자들에게 독자는 고마움을 느껴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신약성서 본문 연구의 진흥을 위한 헤르만 재단(Herrman Kunst- Stiftung)과 이 작업의 재정 지원을 담당한 뮨스터(Münster) 대학교에 대해서도 독자는 감사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는 이 작품을 심사하고 비평한 학자들에게도 역시 감사한다. 우리는 주의해서 그들에서 많이 배웠다. 우리가 모든 사용자들과 더불어 그들에게 부탁하는 바는 이 비평본을 끊임없이 개선하는 일에 계속 기여해 달라는 것이다. 우리는 신약성서의 학문적 연구의 발전을 기원하는 마음에서 이것을 부탁하는 바이다.

 

뮨스터, 1993. 2. 2.

바바라 알란트(Barbara Aland)

쿠르트 알란트(Kurt Aland)

 

서 문

 

 

I. 비평본

1. 비평본의 역사

2. 제27판

 

 

II. 비평본의 본문

1. 목표 설정과 방법

2. 본문 안에 사용된 비평 부호들

 

 

III. 비평 자료

1. 비평 자료 배열과 부호

비평 부호들

비평 자료의 구성 요소

변이형과 그 증거 표시

증거 제시

비평 자료란에 사용된 기타 약어들

2. 그리스어 사본 증거들

복음서를 위한 상비 증거들

사도행전을 위하여 항상 그리고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바울 서신을 위하여 항상 그리고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일반 서신을 위하여 항상 그리고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요한계시록을 위한 상비 증거들

3. 고대 번역들

라틴어 번역들

시리아어 번역들

콥트어 번역들

그 밖의 번역들

4. 교부들의 인용문

교부의 표시 약어

 

 

IV. 외측 난외와 내측 난외의 표시 사항

난외에 표시한 문서의 약어

 

 

V. 부록

부록 I: 그리스어 사본과 라틴어 사본의 목록

부록 II: 근소한 차이가 나는 변이형들(Variae lectiones minore)

부록 III: 다른 비평본들(Editionum differentiae)

부록 IV: 인용되었거나 암시된 것의 출처(Loci citati vel allegati)

부록 V: 부호, 기호, 약어(Signa, Sigla, Abbreviations)

 

 

 

서 문

 

 

I. 비평본

 

1. 비평본의 역사

 

<그리스어 신약성서>(Novum Testamentum Graece)라 이름하는 원문 신약성서의 비평본 초판이 발행된 것은 지금부터 거의 100년 전 1898년이었다. 발행인은 독일 학자 에버하르드 네스틀레(Eberhard Nestle(† 1913)이며 출판은 독일의 뷔르템베르그 성서공회(die Würtembergische Bibelanstalt)가 담당했다. 1904년에는 이 NTG가 영국성서공회(the British Bible Society)에서도 또한 채택되었다. 그 때부터 이 NTG는 수십만 부나 보급이 되었다. 네스틀레(E. Nestle)는 단순하지만 독창적인 그의 비평본을 내놓음으로써 탁월한 본문을 조성했다. 그는 19세기의 본문 연구의 훌륭한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업적을 이루었던 것이다. 그가 그 작업을 착수했을 때에는 그의 앞에는 티쉔도르프(Tischendorf), 웨스컷/ 호트(Westcott/ Hort), 웨이머쓰(Weymouth)가 각각 제작한 그리스어 신약성서 비평본 세 가지가 놓여 있었다. 그는 이 세 종류의 비평본을 서로 비교하여 그 가운데서 두 종류가 선호한 읽기를 자기의 비평본의 본문으로 채택하고 그 둘과 어긋나는 제3의 읽기를 비평 자료란에 실었다. (웨이머쓰의 비평본은 처음에는 1886년 간행본이 이용되었으나 1901년부터는 바이스[Weiss]의 1894/1900년 간행본이 이용되었다.) 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그의 비평본의 본문을 결정했기 때문에 그의 선배들이 범한 많은 극단적인 결정들을 피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연구와 교육에 유용한 하나의 탁월한 작업용(作業用) 본문(Arbeitstext)이 생겨났다. 유용한 작업본문을 제공하는 것, 이것은 네스틀레(Nestle)의 그 후의 모든 후속판들의 한결같은 목표이다.

네스틀레(Nestle)의 아들인 에르빈 네스틀레(Erwin Nestle)는 1927년에 간행된 제13판 비평본에 처음으로 본문비평적 자료를 첨부했다. 그의 부친 에버하르드 네스틀레가 몇몇 대문자 사본(특히 D)을 표시해 놓았을 뿐이었다. 새로 첨부된 이 비평 자료에 근거하여 독자는 본문구성에 대하여 독자적(獨自的)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몇몇 구절들은 또한 그때까지 적용했던 다수결에 의한 결정과 다르게 변경되었다.

1952년의 제21판과 더불어 쿠르트 알란트(Kurt Alland)가 이 비평본의 공동 발행인이 되었다. 에르빈 네스틀레의 소원에 따라서 쿠르트는 본문비평 자료란의 수록 내용을 원자료(Originalen)에 입각하여 검정했으며 새로운 증거자료를 첨가하여 비평 자료란을 확대했다. 그리하여 이 비평본은 마침내 1963년의 제25판과 같은 모습(Stand)을 띠게 되었다(1963). 이 제25판은 거듭 거듭 인쇄되었다.

50년대 초에 알란트는 에르빈 네스틀레(†1972)의 동의 아래 이 비평본의 본문을 근본적으로 개정하는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이 작업은 제26판에서 본문을 새로이 구성하고(Neukonstution) 비평 자료를 새로이 끼워 넣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것은 20세기에 이룩한 사본 발견의 현황, 특히 초기 파피루스 사본들의 발견을 감안할 때에 시급히 요청되는 일이었다. 1955년에 알란트(K. Alland)는 블랙(M. Black), 메츠거(B.M. Metzger), 윅그렌(A. Wikgren)과 더불어 새로운 작품인 <그리스어 신약성서>(the Greek New Testament)의 발행위원으로 초빙되었다. 이 위원회에는 뵈외부스(A. Bööbus)가 뒤이어 가담했고 그 후에 마르티니(C.M. Martini)가 가담했다. 1982년부터는 알란드(B.A. Alland)와 카라비도풀로스(J. Karavidopoulos)가 또한 합세했다. 이 위원회가 목표로 삼은 것은 전세계의 전문적 번역가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선별한 구절에 비평 자료를 첨부한 그리스어 본문의 성서를 마련하는 것이었다(1966년에 제1판, 1968년에 제2판 발행되었음). 독일의 NTG 비평본과 미국의 GNT 비평본을 위한 작업은 오랜 기간 병행해서 진행되었다. 수년간에 걸친 이 위원회의 열성적인 공동작업은 훌륭한 성과를 올렸으며 모든 참가자들에게 고무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알란트(K. Alland)는 자기의 NTG를 위한 준비 작업에서 마련한 본문 제안을 GNT에 반입시키기로 결심하였다. 그 때 이래로 두 비평본의 본문은 함께 조성되었다. 그리하여 NTG 제26판(1979)과 GNT 제3판(1975)부터 두 비평본은 같은 본문을 가지고 나타날 수 있었다.

두 비평본이 설정한 목표는 이전에도 그랬듯이 서로 다르다. GNT는 번역자들을 위하여 고안된 것이므로 단지 선발된 곳에서만 비평 자료를 제공한다. 이 비평 자료는 본문 전승의 갖가지 갈래를 현재 알려져 있는 만큼 널리 명시한다. 흔히 문제를 삼는 곳은 현대의 번역작업에서 번역상으로 차이가 나타나는 곳이다. 이렇게 한 것은 번역자에게 여기서 스스로 조사하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려는 것이다. 이와 달리 NTG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문 조성(Textgestaltung)을 죄다 비판적으로 재수행(再遂行)해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NTG는 본문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비평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비평 자료는 특히 초기 전승의 특색을 포착하게 한다. 그러나 비평 자료를 빠짐 없이 완벽하게 제공하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한 일은 무의미하기도 하다(여기에 관해서는 아래 8쪽과 9쪽을 보라).

두 비평본이 공유한 동일한 본문을 연합 성서공회(the United Bible Societies)가 채택했다. 이 본문은 바티칸과 성서공회 연합회 사이의 합의에 근거하여 모든 새로운 번역본과 개정본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파 사이의 대화라는 견지에서 확실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 작업용 본문(Arbeitstext)은 <네스틀레> 비평본의 100년의 전통에 비추어 볼 때에 고정된 어떤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약성서의 본문을 근거 짓고 확실하게 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는 사실은 너무나 자명하다. 그렇지만 현재의 제27판을 출판할 때에도 아직도 본문을 변경할 시점이 여러 가지 근거에서 도달하지 아니했다고 판단되었다.

 

2. 제27판

 

그리스어 신약성서(NTG) 27판의 목표는 26판의 목표와 변함없이 동일하다. 27판이 목표하는 바는 확정된 본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이 본문을 스스로 검정해 볼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비평본은 이러한 작업에 필요한 모든 변이형을 비평 자료란의 현재 허용된 틀이 수용할 수 있는 한 완벽하게 담고 있다. 또한 여기에 덧붙여서 이 비평본은 내용적으로 그리고 수용사적으로 보아서 중요한 변이형들을 제공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신약성서 본문의 전승 과정에서 변이형 구성의 원칙적 밀도, 이러한 변이형들의 총체적 특색, 이러한 변이형들이 생긴 동기와 원인에 대한 인상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비평본의 본문은 변경 없이 제26판의 본문 그대로다. 따라서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문단 나누기와 구두점도 또한 변경되지 아니했다. 이것은 가능한 쪽 나누기가 파괴되지 아니하고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처였다. 제27판의 본문은 이제까지와 같이 GNT의 본문, 현재로서는 제4 개정판에 나타나 있는 본문과 동일하다. 동일한 본문이 또한 어구색인 사전, 신약성서 사전, 4복음서 대조성경의 바탕에 깔려 있다.

제27판의 본문비평적 자료는 이에 반해서 현저한 변화를 겪었다. 그것은 위에서 지적한 목표를 더욱 성실하게, 유능하게,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기 위해서 비평 자료의 모든 구성 요소들을 광범위하게 수정했다. 비평 자료의 너무 복잡한 표기(예를 들면, 유 5?에서; 롬 15:8?에서)는 더욱 일목요연하게 개관할 수 있도록 고쳤다. 비평 자료를 표시할 곳의 선발은, 예외를 제외하고서는, 여러 가지 근거에서 그대로 유지했다.

제26판과 비교하여 제27판의 더 이상의 모든 개선점들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서 보고한다. 이것은 구판 사용자와 신판 사용자에게 이 양판의 차이점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개괄적으로 제공해 준다.

비평 자료란에 인용되는 증거 사본의 선발이 수정되었다. 그리하여 언명이 전체적으로 더 일목요연해졌다. 없어도 되는 것은 삭제했다. 그 대신에 몇몇 새로 채용된 더 설득력 있는 증거들을 보충해 넣었다. 이른바 ‘상비 증거들’(常備 證據)이라는 이름으로 지칭되는 수많은 대문자 사본의 단편들이 감소되었다.

상비 증거들 가운데서 대체로 그 내용 범위가 비교적으로 좁은 몇몇 대문자 사본의 단편들은 더 이상 인용되지 아니했다. 이것들은 그 본문 범위에 있어서 예외 없이 대다수 본문을 확증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속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R, 052, 053, 054, 061, 063, 064 (+ 074와 090), 065, 093, 0103, 0104, 0120, 0133, 0134, 0135, 0136 (+ 0137), 0197, 0253, 0255, 0265, 0272, 0273.

 

괄호 안에 기입한 번호는 그 괄호 앞에 놓여 있는 사본 번호의 일부분으로 동일시된다. 그래서 이것들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번호를 대표로 인용한다. 이러한 일괄식 결합 방식은 다른 곳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다음 사례를 참조하라: 0100은 현재 l 963; 0114는 현재 l 965; 0276은 현재 l 962). 이전에 사용된 사본 번호가 없어서 불편을 느끼는 사람은 언제나 <부록 I>에 제시된 사본 목록표를 대조해 보라. 거기서 행한 배열 순서는 알란드(K. Aland)가 발행한 <신약성서 그리스어 사본 요약 목록표>(제2판)의 배열 순서와 일치한다.

다음과 같은 대단히 작은 단편들도 또한 제외된다. 이것들은 이 비평본의 비평 자료란에서 코이네 본문을 제공하거나 확실하게 어느 변이형에 귀속시킬 수 없는 것들이다.

 

0174, 0230, 0263, 0264, 0267, 0268.

 

끝으로 다음과 같은 코이네 소문자 사본들은 더 이상 상시적으로 인용되지 아니한다:

 

28(마, 눅, 요에서)과 1010.

 

이것들은 제26판에서 M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인용된 상비 증거들에 속하는 것들이다.

그 대신에 일급 상비 증거들로써, 즉 항상 제시되는 증거들로써(이점에 관해서는 8쪽 이하를 참조하라) 지금까지 인용되었던 사본에 추가적으로 새로이 인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소문자 사본들이다. 이 소문자 사본들은 그 본문의 질, 연대 또는 발견 장소 때문에 흥미를 끌 수 있는 것들이다.

 

075(고전, 빌, 골에서), 0277, 0278, 0279, 0281, 0282, 0285, 0289, 0291, 0293, 0294, 0296, 0298, 0299, 0301.

 

여기에다가 파피루스 사본 P90, P91, P93-P98과 나아가서 이등급 상비 증거로써(이 점에 관해서는 9쪽을 참조하라)0292가 첨가된다.

소문자 사본들도 본문 구성(Textkonstitution) 또는 본문 역사에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경우에는 처음으로 상비 증거들 가운데 채택된다. 일등급 상비 증거들로 인용되는 것은:

 

소문자 사본 33, 1739, 1881(바울 서신에서)과 2427;

 

이등급 상비 증거들로 인용되는 것은:

 

소문자 사본 579와 2542 및 성구집 l 249, l 844, l 846과 l 2211. 그 밖에도 이제는 2495(15세기) 대신에 밀접히 관련이 있으면서도 상당히 더 오래된 1505(12세기)가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과 공동서신을 위하여 이등급 상비 증거들로 인용된다; 2495는 1505와 흥미로운 편차를 보일 경우에만 인용된다. 이 두 사본은 본문의 성격에 있어서 토마스 폰 하켈(Thomas von Hakel)이 616년에 그의 시리아어 번역(이번 제27판에서는 syh라는 부호로 인용됨)을 완성할 때에 사용한 헬라어 대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 두 사본의 본문 형태는 대단히 고대의 것이다.

 

나아가서 다음과 같은 점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했다:

 

사본들의 읽기가 비평 자료에 제시된 변이형과 아주 조금 편차가 있을 경우에는 그러한 사본들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 ) 안에 넣는다(마 25:29의 ⊤; 눅 22:34의 ? 등을 참조하라). 괄호 안에 제시된 증거들이 정확하게 어떻게 씌어 있는지는 <부록 II>(VARIAE LEKIONES MINORES)에 해답이 내려져 있다. 괄호 안에 제시된 변이형 자료를 이렇게 본래 그대로 재생시켜 봄으로써 개개의 변이형 복합체가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더 선명하게 개관할 수 있다. 그러니까 인용된 각 상비 증거의 읽기를 이제 정확한 글발대로 표기해 놓았다.

 

모든 파피루스 사본(P1 - P98)은, 그 본문을 선명하게 읽을 수 있는 것인 한, 비평 자료를 제시하는 모든 곳에서 그들의 특별한 읽기가 모두 제공된다. 파피루스 사본들이 증거하는 중요한 특별한 읽기는 이 전에 발행된 판들에서도 이미 비평 자료를 제시하는 자리에 표기되었었다. 이렇게 하여 파피루스 사본들은, 일반적 소원에 부응하여, 그 내용이 대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 만큼 풍부하게 인용된다. 말하지 않은 것을 근거로 하여(e silentio) 추론하는 논법을 동원하여 이미 제공되어 있는 것을 넘어서 결론을 도출하는 일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대체적으로 말하면 파피루스 사본의 중요한 읽기는 모두 표시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된다. 초기의 양피지 대문자 사본들의 경우에는 그것들의 모든 특별한 읽기와 단일한 읽기를 파피루스 사본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세하게 표시하는 것은, 비록 그 사본들이 파피루스 사본들과 동등한 중요성이 있다 하더라도, 이 비평본의 틀 안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필기 재료가 어느 사본의 중요성을 일차적으로 결정짓는다는 그릇된 결론을 내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P41, P66, P75의 새로운 단편들도 지금까지 표시되지 않던 P90, P91, P93-P98과 꼭 마찬가지로, 위에서 언급한 원칙에 따라, 이 27판에서 처음으로 기입되었다.

 

대규모의 대문자 사본인 א, B, C, D(05와 06)에 나타나 있는 다양한 수정자들을 가리키는 표시들을 통일시켰으며 이 전보다 더 정확하게 표현했다. 지금까지 의례히 그랬던 것처럼, 여러 수정자들의 수정 작업을 하나로 총괄해야 했다. 다음과 같은 부호가 사용된다:

 

א (01): א1 (4-6세기); א2 (약 7세기부터); אc (12세기);

B (03): B1 (B와 거의 같은 시기); B2 (6/7세기);

C (04): C1 (C와 거의 같은 시기); C2 (약 6세기); C3 (약 9세기);

D (05): D1 (6-7세기); D2 (거의 9세기); Dc (12세기);

D (06): D1 (거의 7세기); D2 (거의 9세기); Dc (연대는 확정할 수 없다. 그러나 나머지 수정자들보다는 후대이다).

 

이러한 정보 내용은 알란트(K. & B. Aland) 부부의 Der Text des Neuen Testaments, 제2판, 1989, 322-23쪽에 제시되어 있는 수정자에 대한 상세한 부호 대조표에 일치한다.

 

라틴어, 시리아어 및 콥트어 번역본들의 표기는 근본적으로 검토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교정되었다. 이 경우에 지금까지 이미 통용되던 원칙에 따라 처리되었다. 번역본은 번역의 대본으로 사용된 그리스어 원문을 번역본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만을 채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이에 관해서는 22쪽을 보라).

그리스 및 라틴 교부들의 신약성서 인용은 전적으로 새로이 손질되었다. 여기에 큰 변경이 가해졌다. 어떤 본문 형식의 시대와 장소를 확정짓는 것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전승상의 분지(分枝)인 경우에는 본문비평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용만을 표기한다는 데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선택의 원칙에 대해서는 31쪽을 참조하라).

 

끝으로 이 27판에 서문을 새로이 써넣었다. 그것은 필요한 정보를 될 수 있는 대로 일목요연하게 그리고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그것은 이 비평본의 사용자들에게 바라는 우리의 소원에 부합되는 일이기도 하다. 본문과 비평 자료를 철저하게 읽어라. 이 말은 언제나 유효한 최선의 조언이다. 그렇게 하면 많은 것이 자명해지며 몸에 베게 될 것이다. 참조를 해야 할 필요가 생길 때에는 이 서문이 더욱 손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II. 비평본의 본문

 

1. 목표 설정과 방법

 

비평본을 위하여 본문을 구성하는 기준은 전래적인 방식대로 이른바 내적 기준과 외적 기준이다. 이 두 기준은 언제나 적절하게 결합하여 적용해야 한다. 본문비평의 내적 기준은 주석적 작업을 통하여 끊임없이 개선된다. 주석적 작업은 신약성서 저자들의 사유 방식과 언어 형태를 전반적으로 또는 개개의 곳에서 이전보다 더 정확하게 이해하게 해준다.

외적 기준의 정밀화는 자료의 방대성 때문에 내적 기준의 발전과 보조를 맞출 수 없는 지경이다. 그렇지만 이 자료를 해명하는 작업이 어느 정도 진전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료가 훨씬 빈약했던 시대에 확립된 본문비평사적 원리들이 낡은 것으로 간주되게 되었다. 개개의 증거들과 증거 집단들의 발언 가치는 연이은 연구를 통하여 더 분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문에 대한 최신의 연구 결과를 모두 통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전승 이론을 작성하는 것은 아직 가능하지 않다. 그래서 이 비평본의 본문을 변경하지 않은 채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요청되는 일이기도 하다.

 

2. 본문 안에 사용된 비평 부호들

 

본문 안에 있는 비평적 부호들( ⃝, ⃞…\, ⌌등등)은 비평 자료를 지시한다. 이 비평 부호들에 관해서는 비평 자료를 설명하는 문맥에서도 설명이 된다(아래 10쪽 참조). 이 부호들은 에버하르드 네스틀레(E. Nestle)를 후계하는 비평본들이 언제나 사용한 표시들이다. 이 부호들은 비평 자료 안에 있는 변이형들을 간략하고도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다. 이들의 특별한 장점은 독자가 본문을 읽으면서 이 부호를 보면 어느 부분에 변이형이 있으며 또한 그것이 어떤 종류인지를 즉각으로 알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러면서도 본문만을 읽기 원하는 독자는 읽기의 흐름에 장애를 받지 않고 그 부호를 쉽사리 건너 뛰어넘어 갈 수 있다.

 

본문 안의 각괄호([ ])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부분은 본문에 수록해야 하는지 비평 자료란에 수록해야 하는지 현재의 지식 수준으로는 본문비평상으로 확실하게 결정지을 수 없었다는 사실을 표시한다(다음을 참조하라. 마 18:19; 행 16:1; 낱말의 위치에 관해서는, 고전 10:20). 이 부호가 붙은 곳들은 언제나 상세한 비평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문에 채용된 읽기는 일반적으로 발행자의 결단의 경향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실용적 근거에서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증거 자료에 대한 정보도 역시 본문에 채택된 읽기를 언제나 지시한다. 각괄호는 언제나 본문 결정에 있어서 특별한 어려움이 있었음을 표시한다!

본문 안의 겹각괄호([[ ]])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대체로 꽤 긴 본문 부분은 확실히 원래적 본문에 속하지 아니했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본문들은 대단히 이른 전승 단계에서 생성된 것이며 교회사에서 흔히 일찍부터 큰 역할을 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본문들은 비평 자료란에 옮겨 넣지 않았다.

구약성서의 인용은 이탤릭체로 인쇄했다.

 

 

III. 비평 자료

 

1. 비평 자료 배열과 부호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회중판에는 변이형들의 모든 차이점을 완전하게 담을 수도 없고 본문사적으로 중요한 증거들을 모두 실을 수도 없다. 이 두 가지 일은 대형 비평판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그 경우에도 역시 비평 자료를 선발해야 하는 것은 불가피할 것이다. 회중판을 근거로 해서 본문의 역사나 개별 사본들에 대한 특수 연구를 한다는 것은 원칙적으로 비교적 좁은 한계에서만 가능하다. 현재의 이 비평본은 사용자에게 무엇보다도 본문 연구를 위한 토대와 본문 구성에 중요한 변이형들의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넘어서 비평 자료는 본문 구성을 위해서는 단지 간접적으로 중요하지만 본문상의 문제점을 가끔 일깨워 주는 읽기를 풍부하게 기록한다. 그 밖에 좀 덜 중요한 변이형들의 연구를 위한 토대도 역시 수록되었는데 이것들은 도대체 무슨 근거와 동기에서 변이형 구성이 발생했는지를 가늠하게 해주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원칙적으로 증거 자료에 대한 두 종류의 표시를 구별해야 한다.

적극적 비평 자료에는 모든 기본적인 변이형들이 인용된다. 즉 이것들은 본문을 구성하는 데 특별히 중요한 변이형들이다. 즉 적극적 비평 자료에는 지지하는 증거와 반대하는 증거가 양쪽 다 제시된다. 이 경우에 이 비평본의 본문(=txt)에 대한 증거는 언제나 맨 끝에 나타난다.

소극적 비평 자료는 주로 본문사적 또는 본문해명적 관심 때문에 인용되는 증거들이다. 즉 여기에는 본문에 반대하는 증거만 제시된다.

 

그러므로 그리스어 사본들은 그때그때 본문 구성을 위한 중요성에 따라 상이한 정도로 인증(引證)된다. 즉 언제나 또는 자주 또는 가끔씩만 인증된다.

상비 증거들은 본문을 구성하는 데 최대의 의미가 부여되는 그리스어 사본들이다. 따라서 그 변이형들은 최대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이 사본들이 증거하는 것은 모든 비평적 자리에 고려된다.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은 우선적으로 본문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거나 내용적으로 흥미있는 변이형을 제공하는 사본들이다.

가끔 인용되는 증거들은 근본적인 본문 짜임새에 있어서 코이네(Koine) 본문에 속하는 것들이다. 이것들은 본문사적으로 또는 주석적으로 흥미있는 곳에서 코이네 본문과 다른 경우에만 제시된다.

상비 증거들은 그 질과 표시 방식에 근거하여 일등급 증거들과 이등급 증거들로 구분된다.

일등급 상비 증거들에 속하는 것은 파피루스 사본들, 비잔틴 코이네 사본과 구별되는 한도에서 대문자 사본들, 그리고 오래된 본문 형태를 제공하는 몇몇 소문자 사본들이다. 이등급 상비 증거들은 아주 중요한 코이네-대문자 사본들과 일연의 소문자 사본들이다. 이 소문자 사본들은 비잔틴 코이네 사본들의 본문에 가깝지만 본문사적으로 특별한 흥미가 있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적극적 비평 자료를 가진 곳에서는 이 이등급 상비 증거들을 대다수의 사본들처럼 기호 M(=Mehrheitstext, 대다수 본문; 이 점에 대해서는 아래 14쪽 참조) 또는 pm(=permulti, 대다수; 같은 쪽 참조)라는 부호를 사용하여 총괄하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개개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등급 상비 증거들과 이등급 상비 증거들의 표시는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적극적 비평 자료를 가진 곳에서는 언제나 먼저 일등급 상비 증거들이 명확하게 인용되고 이등급 상비 증거들은 M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명확하게 인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곳에서는 상비 증거들에 대하여 정보가 완벽하게 제공되는 셈이다.

소극적 비평 자료를 가진 곳에서는 모든 상비 증거들은 변이형이 있을 경우에만 명확하게 인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이등급 상비 증거들은 M으로 표시된 모든 사본들의 대다수와 동일한 변이형을 증거할 때에 명확하게 인용된다. 이로써 알 수 있는 것은 그러한 곳에서는 이 이등급 상비 증거들은 이 비평본의 본문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소극적 비평 자료를 가진 곳에서도 역시 상비 증거들의 모든 주요한 변이형과 기타 자료들이 충분히 제공된다. 그렇지만 이 곳에서는 빈틈없는 완벽한 정보를 기대할 수 없다.

사본은 그 본문을 판독할 수 있을 경우에만 인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사본 목록표(<부록 I>)에 상비 증거들의 본문에 상당히 큰 공백들이 있음이 표시되어 있다. 파편들인 경우에는 거기에 적힌 내용이 적극적 표현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본의 짧은 토막에 나타나 있는 결함들(예를 들면 물로 생긴 얼룩, 희미해진 글씨, 필기재료의 훼손)에 관해서는 지면의 제한 때문에 일일이 표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어떤 상비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을지라도 그것이 M에 포함되어 있지도 않고 이 비평본의 본문과 일치하지도 않는다는 결론을 배제할 수 없다.

언제나 인용되는 증거들과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의 전체 목록은 아래 16쪽 이하의 III.2에 실려 있다.

 

비평 부호들

 

본문과 비평 자료란에는 여러 가지 비평 부호들이 사용된다. 비평 자료란에 표시되어 있는 비평부호는 본문 안에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부분에 대한 찬반 또는 상이점을 증거하는 자료들을 지시한다. 이러한 비평 부호들은 표시된 각 절 단위로, 또는 드물게는 표시된 몇 절 단위로(눅 22:17-20 참조) 끊어서 사용된다. 본문에 사용된 이 비평 부호들은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변이형들의 정확한 소재지와 성격을 표시해 준다. 한 절 안에서 또는 한 단위로 취급된 절들 안에서는 동일한 부호가 거듭해서 사용되지 않는다. 가끔 나타나는 예외 현상은 문맥에서 쉽사리 해명된다(눅 20:25⊤ 참조). 본문에 표시된 아래와 같은 여러 비평 부호들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 이 부호는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이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사본들에서는 탈락되었음을 뜻한다.

 

⃞ 이 부호는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들, 어구, 문장 또는 문들이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사본들에서는 탈락되었음을 뜻한다. \ 표는 탈락된 토막이 끝나는 자리를 표시한다.

 

⌌ 이 부호는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이 비평 자료란에 표시된 사본에서는 다른 한 낱말 또는 여러 낱말들로 대치되었음을 뜻한다.

 

? 이 부호는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들이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사본들에서는 다른 낱말들로 대치되었음을 뜻한다. ? 표는 대치된 토막이 끝나는 자리를 표시한다.

이 때에 단지 낱말들의 위치 변경만 발생하는 수가 또한 종종 있다. 이 경우에 낱말 구성이 본문에 인쇄된 것과 일치하는 한 비평 자료란에서는 그 낱말들이 이탤릭체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된다. 이 숫자는 본문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그 낱말들의 각각의 위치에 상응한다(마 27:51 참조).

 

⊤ 이 부호는 이것이 표시된 자리에,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사본들에서는 한 낱말 또는 여러 낱말들이, 또는 이따금 한 절 전체가 삽입되었음을 가리킨다.

 

ʃ 이 부호는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들이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사본들에서는 그 어순이 바뀌어졌음을 뜻한다. ʅ 표는 해당 토막이 끝나는 자리를 표시한다.

위치가 바뀌어진 낱말들의 어순은 비평 자료란에서는 이탤릭체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는데 이 숫자는 본문 안에서 각 낱말이 차지한 위치에 상응한다(마 16:13 참조).

 

: 이 부호는 다른 글자보다 좀 높은 자리에 찍혀 있다. 이 부호는 그 곳에 구두점이 변경되었음을 가리킨다.

 

Ϛ͵ 이 부호는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 또는 단락이 비평 자료란에 표시된 자리로 옮겨졌음을 가리킨다(눅 6:5; 요 13:8 참조).

 

동일한 본문 단위 안에서 동일한 종류의 비평부호를 여러 번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 부호에 점을 찍거나 숫자를 붙여서 서로 구별한다.

 

⃝1 ⃝2 / ⃞1 ⃞2 ⌌͵ ⌌1 ⌌2 / ?͵ ?1 ?2 / ⊤͵ ⊤1 ⊤2 / ʃ1 ʅ2 / :1 :2

부호, ⃝…\ 부호, ?…?와 ʃ…ʅ 부호는 때때로 여러 절에 걸친 상당히 긴 단락을 포위한다. 이러한 단락의 범위는 해당되는 절 수를 표시하여 나타낸다(눅 3:23-31,38; 4:5-12 참조). 동일한 종류의 다른 변이형들과 겹치는 혼란은 원칙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사용자는 끝나는 자리 표시를 찾아내야 한다.

 

비평 자료의 구성 요소

 

비평 자료는 각 구절 단위로 나뉘어 분배되어 있다. 굵게 인쇄된 둥근 점(·)과 굵게 인쇄된 절 표시 숫자는 이 각 단위에 해당하는 비평 자료의 묶음을 구획 짓는다. 이 구획 안에서는 동일한 비평부호가 같은 모양으로 두 번 나타나지 않는다. 동일한 부호가 두 번 이상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부호에 점을 찍거나 숫자를 붙여서 서로 서로 구별되게 한다(이따금 나타나는 예외적 현상에 대해서는 위의 10쪽과 아래 15쪽 참조). 이 한 토막의 비평 자료가 담당하는 본문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한 절이다. 그러나 여러 절에 걸친 긴 변이형이 생긴 경우에는 이 비평 자료의 적용 범위를 그 절수들을 표시하여 나타낸다(눅 22:17-20 참조).

 

| 표시는 비평 자료를 제시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문제삼던 본문의 그 곳에 대한 비평 자료의 제시가 끝났음을 나타낸다. 동시에 이 표시는 본문의 새로운 곳에 대한 비평 자료의 제시가 시작함을 나타낸다. 즉 | 표시는 그 앞뒤에 제시된 비평 자료들이 각각 본문의 상이한 곳에 대한 비평 자료들임을 나타낸다.

 

¦ 표시는 본문의 동일한 곳에 대한 상이한 변이형들을 구분해 준다. 이 모든 변이형들은 하나의 변이형 묶음 또는 하나의 변이형 통일체를 이룬다.

 

txt(= textus)는 이 비평본의 본문을 지지하는 증거들의 제시가 시작함을 표시한다. 이 약자는 언제나 변이형 묶음 내지 변이형 통일체의 맨 끝자리에 나타난다.

 

변이형과 그 증거 표시

 

변이형의 글발은 일반적으로 충실한 형태로 제시된다. 글발을 축약하여 제시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무엇인지 그 자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축약형은 이 비평본의 본문 글발과 연관된다.

 

다음과 같은 축약형들이 나타난다.

 

처음 글자들(눅 19:43 ⌌참조)이나 끝 글자들(눅 19:37 ⌌, 마 2:23 ⌌ -ρεθ 참조)만이 제시된다. 간혹 변이형의 처음 글자와 끝 글자들이 인용되는 경우도 있다(마 1:10⌌ Μ-σσην | ⌌. Μ-σση). 긴 첨가가 있는 경우에는 축약형은 언제나 충실한 형태로 맨 첫번에 제시된 변이형의 글발과 연관된다(눅 19:45⊤ 참조).

 

세 개의 점(…)은 이 비평본의 본문이 변이형의 글발과 일치하는 경우에 이 비평본의 본문을 대표한다(눅 20:25⊤ 참조).

 

어순상의 변이형들은 이탤릭체로 쓴 숫자로 표시된다. 이 숫자는 본문 안의 어순을 지시한다(1 = 본문 안의 첫째 낱말 등등). 이와 같이 숫자를 사용하는 방식은 어순변화를 표시하는 자리(ʃ)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문제점에 대하여 여러 개의 변이형들로 구성된 하나의 변이형 통일체 안에서 그 읽기들 중의 하나가 새로운 낱말 구성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숫자를 사용하여 표시한다(요 12:18 ? 참조). ? 2 P75 ¦ 1 א 이라고 표시한 것은 눅 22:24의 δ κα라는 본문에서 P75는 κα만을, א는 δέ만을 제공한다는 것을 뜻한다.

 

단지 특정한 몇몇 경우에 으뜸 변이형에 대하여 하위 변이형이 근소한 차이뿐이라면 이 하위 변이형의 글발이 충실한 형태로 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이 하위 변이형의 증거가 그때그때 언급된다. 다음과 같은 표시 방식이 적용된다.

어떤 증거들이 그들이 지지하는 변이형과 약간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그것들을 ( ) 안에 묶어서 표시한다(마 9:27⌌에 있어서는 소문자 사본 700; 마 26:60⊤,에 있어서는 sys; 마 5:36?에 있어서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괄호 안에서 여러 개의 증거들이 콤마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증거들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막 9:17?에 있어서는 C, W 067 f1.13 2542가 그러하다). 어떤 사본의 최초의 필사자 또는 교정자에 의해서 생긴 근소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필사자를 표시하는 *표 또는 교정자를 표시하는 숫자를 ( )로 묶어서 사본 기호의 오른쪽 어깨에 붙인다(마 9:5⌌에 있어서는 א(*); 행 12:5?에 있어서는 D(2)).

이 괄호를 해체하는 것, 즉 괄호 안에 묶인 증거들의 정확한 읽기는 <부록 II>에 제시되어 있다. 거기서 사용자는 증거들의 완벽한 기록을 입수할 수 있다. 특별히 항상 인용되는 중요한 사본들의 기록도 입수 할 수 있다. 변이형들이 상당히 중요한 것들인 경우에는 괄호 안에서 이 변이형의 내용을 표시한다(마 7:21?; 마 24:48? 참조).

 

각괄호 [ ] 안에는 본문과 구두점에 관계되는 추측 사항을 끼워 넣는다.

본문에 대한 추측인 경우에는 저자를 거명하거나(마 5:6⃞ 참조) 총괄적으로 <>(= commentators, 주석가들)으로써 주석가들을 지시하기도 한다(엡 4:21「 참조). 구두점에 대한 추측인 경우에는(마 2:4의 :와 :1 참조) 저자를 거명하지 않는다.

 

증거 제시

 

변이형들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순서는 언제나 동일하다. 맨 처음에 그리스어 사본들이 나오고 그 다음으로 번역본들, 교부들의 인용문들이 잇따른다(이 세 증거 집단들은 콤마(;)를 사용하여 가른다). 그리스어 사본들은 파피루스 사본, 대문자 사본, 소문자 사본, 성구집의 차례로 제시된다. 고대 번역본은 라틴어, 시리아어, 아르메니아어, 게오르기아어,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슬라브어의 차례로 제시된다.

그리스어 사본들은 그리스어 사본목록에 따른 번호로써 인용된다. 각 사본에 대한 상세한 정보(연대, 소장 장소, 사본의 내용)는 <부록 I>(Appendix I)에 수록되어 있다.

 

사본번호의 오른쪽 어깨에 붙인 다음과 같은 표시들은 동일한 사본의 상이한 읽기를 지시한다. 또는 vid 표는 결정의 확실성을 제한한다는 뜻을 표시한다.

 

*는 교정을 가한 곳에 있는 원래의 본문을 가리킨다.

 

c는 후대 사람에 의한 교정, 때로는 또한 최초의 필사자에 의한 교정을 가리킨다.

 

1.2.3은 첫째 번, 둘째 번, 셋째 번 교정자를 지시한다.

 

v.l. (= varia lectio)는 그 사본 안에 표시된 하나의 대안적 읽기를 지시한다(v.l는 어깨표 txt에 상응한다.)

 

txt (= textus)는 (어깨표로서!) 어떤 사본에서 하나의 varia lectio를 지시하는 읽기를 가리킨다(txt는 v.l.에 상응한다).

 

mg (= in margine)는 사본의 난외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읽기를 가리킨다. 그것은 사본의 본문에 대한 교정으로 표시되어 있지도 않으며 대안적 읽기(varia lectio)로 표시되어 있지도 않은 것이다.

 

s (= supplementum)은 어떤 사본의 분실된 낱장들이나 훼손된 부분을 추후에 보충한 것에 입각한 읽기를 가리킨다. 이렇게 보충된 본문 토막은 상비 증거들에 대한 사본목록(<부록 I>)에 표시되어 있다.

 

vid (= ut videtur)는 어떤 사본이 어느 읽기를 증거하는지 확실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 붙이는 어깨표이다. 이것은 특히 파피루스 사본이나 재활용 재생 사본에 적용된다. 그 사본의 본래의 본문을 이제 명확하게 읽을 수 없을 경우에는 그것을 교정한 것에도 역시 vid 어깨표를 붙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vid 표시는 언제나 고도의 개연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왜냐하면 규칙상 그것은 남아 있는 글자들에 근거하여 재생해 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추론이 한 공백의 단순한 구간으로부터 도출해 낸 것인 경우에는 그 사본이 역시 다른 하나의 전승된 읽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권리로 인용될 수 없다는 사실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다음과 같은 총괄적 부호들을 사용한다(그 가운데서 맨 처음 언급하는 M은 특별히 중요하다).

 

M (= Mehrheitstext[대다수 본문], 여기에는 비잔틴 계열의 코이네 본문[die byzantinische Koine-Text]가 포함됨)은 모든 사본의 대다수 즉 좁은 의미에서 언제나 코이네 사본들의 대다수가 증거하는 변이형들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M은 코이네 본문의 읽기를 가리킨다. 여기에 추가해서 M은 그때 그때의 자리에서 코이네와 동일한 읽기를 담고 있는 이등급 상비 증거들의 읽기를 가리킨다. M은 자료란의 모든 곳에서 일등급 상비 증거들과 같이 취급된다. 따라서 이 사실은 단지 소극적 비판 자료만 제시된 곳에서도 역시, 즉 txt(=textus)를 지지하는 증거들을 제시하지 아니한 곳에서도 M의 지지를 추론해 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인용되어 있는 변이형을 M이 지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M의 읽기는 본문과 일치한다.

 

제25판까지 사용된 K(=Koine)라는 부호 대신에 도입한 M이라는 부호 사용은 그 옳음이 입증되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이등급 상비 증거들의 공간절약적 표시를 가능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pm(= permulti)은 대다수 본문(M)이 두 가지 (드문 경우에는 세 가지) 변이형으로 갈라져 있되 양쪽 모두 수적으로 거의 동일한 강도의 증거가 갖추어져 있을 때에 M이라는 부호 대신에 사용된다. 그러니까 pm이라는 약자는 규칙상으로 대다수 본문이 두 변이형으로 갈라지는 경우에 나타난다. 이 변이형 중의 하나가 txt-표시 없이 비평 자료를 제시하는 곳에서 본문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pm은 단지 한 번만 표시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 우리는, txt-표시 없이 M-변이형들을 제시하는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본문의 읽기를 지지하는 이등급 상비 증거들을 추론해 낼 수 있다.

txt-표시가 기록되어 있는 pm-변이형들의 경우에는 모든 이등급 상비 증거들은 명확하게 지칭된다(txt-표시가 기록되어 있는 M-변이형들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리스어 사본들을 명확하게 지칭하여 제시한 다음에 총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라틴어 약어들이 뒤따른다. 다음과 같은 약어들은 그 독법의 유포 범위에 대한 인상을 일으켜 준다.

 

pc = pauci는 소수의 사본들을 가리킨다. 이 사본들은 이 곳에서 명확하게 지칭한 사본들 이외에 대다수 본문과 다른 것들이다.

 

al = alii는 (pc라고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보다도 숫자가 더 많은) 몇몇 사본들을 가리킨다. 이 사본들은 이 곳에서 명확하게 지칭한 사본들 이외에 대다수 본문과 다른 것들이다.

 

pm = permulti는 대단히 많은 사본들을 가리킨다. 이것은 대다수 본문에 대한 증거가 양쪽으로 갈라지는 경우에 사용된다(위에 나온 설명을 보라).

 

rell = reliqui는 txt에 대한 증빙으로서 (M을 포함하여) 나머지 사본들을 가리킨다(눅 5:39 o 참조). rell 앞에 특별히 중요한 몇몇 증거들을 부각시켜 제시할 수 있다(요 8:16 o 참조).

 

비평 자료란에 사용된 기타 약어들

 

(!) = sic!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읽기의 글발을 정확하게 재생시켜 제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행 24:5? 참조).

 

h.t.(= homoioteleuton)는 두 개의 낱말, 어구, 또는 문장의 동일한 끝맺음 때문에 야기된 빠뜨림을 가리킨다(이것은 시각의 건너뜀 작용으로 생긴 현상이다. 즉 필기자가 동일하게 끝나는 낱말들이나 낱말 꼬리를 혼동함으로 말미암아 그 사이에 놓여 있는 본문의 토막을 탈락시켰다).

 

add. = addit/-unt는 ‘첨가하다’를 뜻한다.

 

om. = omittit/-unt는 ‘생략하다’를 것을 뜻한다.

 

+ -는 add.와om. 대신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부호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표시하는 경우에도 이 표시를 이해할 수 있는 자리에서 사용된다(롬 16:25-27과 Subscriptio를 참조).

 

pon. = ponit/-unt는 ‘두다; 자리를 옮기다’를 뜻한다.

 

a. = ante는 ‘앞에’(=before)를 뜻한다.

 

p. = post는 ‘뒤에’(=after)를 뜻한다.

 

id./ead. = idem/eadem은 ‘동일한 글발’(=the same wording)을 뜻한다.

 

ex err. = ex errore는 ‘착오로; 필기자의 실수로 생긴’을 뜻한다.

 

ex itac. = ex itacismo는 ‘동일한 발음의 낱말을 혼동함으로써 생긴’을 뜻한다.

 

ex lat? = ex versione latina?는 ‘아마 어떤 라틴어 번역본의 읽기에서 생긴’을 뜻한다.

 

bis는 ‘두 번’(=twice)을 뜻한다. 이것은 비평 부호 바로 다음에 나온다. 이것은 본문에 있는 두 개의 동일한 낱말과 그들의 변이형(들)을 지시한다. 그러므로 그 두 낱말은 예외적으로 동일한 비평 부호가 붙여진다(마 1:9⌌ ; 마 1:10⌌ 참조).

 

이 밖의 모든 라틴어 약어는 <부록 V>(Appendix V)에 해명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부호와 지시는 비평 부호 바로 다음에 나온다. 이러한 부호와 지시는 그 뒤에 제시된 변이형에 대한 해설을 제공한다.

 

십자표(†)는 25판과 비교하여 현재의 27판의 본문에 변경이 생겼음을 지시한다. 즉 †가 붙여져 있는 변이형은 25판의 본문에 실렸던 것이다(마7:18⌌와 ⌌. ; 마 20:18⌌ 참조). 이러한 곳에는 언제나 매우 어려운 본문 결정이 문제되고 있다. 사용자는 <부록 III>(Editionum differentiae)으로부터 여타 편집자들이 이러한 곳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를 알아 볼 수 있다.

 

p)는 복음서에 있는 병행절을 지시한다. 이 복음서 병행절은 해당 단락의 난외에 명기되어 있다.

 

변이형 앞의 괄호 속에 들어 있는 성서 장절은 신약의 다른 문서에 있는 병행절을 직접 지시한다(마 1:25⌌에서는 눅 2:7을 지시함). 예를 들어 (22:3)처럼 괄호 속에 성서의 문서 이름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면, 그것은 앞서 표시한 문서 안의 병행절을 가리킨다(행 21:39? 에서는 행 22:3을 지시함). 또 절수만 표시되어 있으면, 그것은 동일한 장 안의 병행절을 가리킨다(마 2:13?에서는 마 2:12를 지시함).

 

변이형 앞에 놓여 있는 괄호 안에 구절과 v.l.이 표시되어 있는 것은 그 변이형이 아마도 괄호 안에 지시한 구절의 달리 읽기(v.l.)에서 유래한 것임을 뜻한다(마 2:13? 참조. 13절에 제시된 어순 변화의 변이형의 유래가 19절의 별개 읽기에 있음을 지시함).

 

변이형 앞의 괄호 안에 70인역 성서의 구절이 표시되어 있으면, 그것은 70인역 성서의 본문에 있는 병행 문구를 지시한다(마 2:18⊤에서는 렘 38:15 G를 지시함).

 

2. 그리스어 사본 증거들

 

그리스어 사본들은 본문의 질, 표시 방식, 비평 자료란에서 고려되는 정도에 따라서 네 부류로 구분된다(이 점에 대해서는 8-9쪽 참조).

a) 일등급 상비 증거들

b) 이등급 상비 증거들

c) 자주 인용되는 사본들

d) 이따금 인용되는 사본들

다음 목록에는 a)-c) 부류에 속하는 사본들을 열거한다. d) 부류에 속하는 사본들은 <부록 I> (Appendix I)의 사본 목록에 표시되어 있다.

(!) 표시로써 강조된 파피루스 사본들과 대문자 사본들은 그 오랜 연령 때문에(그들은 모두 3./4.세기 또는 그 이전에 생긴 것이다) 특별한 중요성이 부여된다.

 

복음서를 위한 상비 증거들

 

a) 일등급 상비 증거들

 

파피루스 사본들

마태복음:P1(!), P19, P21, P25, P35, P37(!), P44, P45(!), P53(!), P62, P64(+67)(!), P70(!), P71, P73, P77(!), P83, P86, P96;

마가복음: P45(!), P84, P88;

누가복음: P3, P4(!), P7, P42, P45(!), P69(!), P75(!), P82, P97;

요한복음: P2, P5(!), P6, P22(!), P28(!), P36, P39(!), P44, P45(!), P52(!), P55, P59, P60, P63, P66(!), P75(!), P76, P80(!), P84, P90(!), P93, P95(!).

 

대문자 사본들

마태복음: א(01), A(02), B(03), C(04), D(05), L(019), W(032), Z(035), Θ(038), 058, 067, 071, 073, 078, 085, 087, 089, 094, 0102, 0106, 0107, 0118, 0128, 0148, 0160, 0161, 0164, 0170, 0171(!), 0200, 0204, 0231, 0234, 0237, 0242, 0249, 0271, 0275, 0277, 0281, 0293, 0298;

마가복음: א(01), A(02), B(03), C(04), D(05), L(019), W(032), Θ(038), Ψ(044), 059, 067, 069, 072, 083, 087, 099, 0107, 0126, 0130, 0131, 0132, 0143, 0146, 0167, 0184, 0187, 0188, 0213, 0214, 0269, 0274;

누가복음: א(01), A(02), B(03), C(04), D(05), L(019), T(029), W(032), Θ(038), Ξ(040), Ψ(044), 070, 078, 079, 0102, 0108, 0115, 0130, 0147, 0171(!), 0177, 0181, 0182, 0239, 0266, 0279, 0291;

요한복음: א(01), A(02), B(03), C(04), D(05), L(019), T(029), W(032), Θ(038), Ψ(044), 050, 060, 068, 070, 078, 083, 086, 087, 091, 0101, 0105, 0109, 0127, 0145, 0162(!), 0210, 0216, 0217, 0218, 0234, 0238, 0256, 0260, 0299, 0301.

 

소문자 사본 가족 f1과 f13은 모든 복음서에, 소문자 사본 33도 모든 복음서에, 소문자 사본 2427은 마가복음에 인증된다.

f1=1, 118, 131, 209, 1582 et al., cf. K. Lake, Codex 1 of the Gospels and its Allies, (Texts and Studies Ⅶ/3) Cambridge 1902, reprint 1967.

f13=13, 69, 124, 174, 230, 346, 543, 788, 826, 828, 983, 1689, 1709, et al., cf. K. and S. Lake, Family 13(The Ferrar Group), (Studies and Documents Ⅺ) London 1941 [=Mark]; J. Geerlings, Family 13 (The Ferrar Group), (Studies and Documents ⅪⅩ-ⅩⅩⅠ) Salt Lake City 1961-1962[=Matthew, Luke, John]; W.H. Ferrar, A Collation of Four Important Manuscripts of the Gospels, ed, T. K. Abbott, Dublin/London 1877.

 

f1과 f13이라는 표시로 총괄된 사본들은 단지 그들의 집단 기호로써 인용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이 가족 중의 개개 증거들이 그들의 가족 그리고 M과 차이가 날 경우에는 따로 따로 떼어서 인용된다(눅 11:25⊤ 참조. 거기서는 69번 사본이 f13과 낱말 구성은 동일하지만 어순이 다르다).

f1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별 규칙이 적용된다. 이 가족의 대표인 1번 사본이 그 가족의 나머지 사본들 및 M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단지 1번 사본만 인용된다. 이 경우에 f1이라는 기호는 사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가족의 나머지 사본들은 M과 일치하기 때문이다(눅 24:53⊤ 참조).

 

b) 이등급 상비 증거들

 

K(017), N(022), P(024), Q(026, 누가복음에), Г(036), Δ(037), 0292(마가복음에), 28(Ⅺ, 마가복음에), 565(Ⅸ), 579(ⅩⅢ), 700(Ⅺ), 892(Ⅸ), 1241(Ⅻ), 1424(Ⅸ/Ⅹ), 2542(ⅩⅢ,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에), l844(Ⅸ), l2211(Ⅹ).

 

복음서를 위해서는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이 없다. 따라서 이등급 상비 증거들의 수효가 그 대신으로 더 많다.

 

사도행전을 위하여 항상 그리고 자주 인용되는 상비 증거

 

a)일등급 상비 증거들

 

파피루스 사본:

P8, P29,(!), P33(+38), P41, P45(!), P48(!), P50, P53(!), P56, P57, P74, P91(!).

 

대문자 사본:

א(01), A(02), B(03), C(04), D(05), E(08), Ψ(044), 048, 057, 066, 076, 077, 095, 096, 097, 0140, 0165, 0166, 0175, 0189(!), 0236, 0244, 0294.

 

소문자 사본 33과 1739.

 

b)이등급 상비 증거들

 

L(020), 81(1044), 323(Ⅻ), 614(ⅩⅢ), 945(Ⅺ), 1175(Ⅺ), 1241(Ⅻ), 1505(Ⅻ).

 

c)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6(ⅩⅢ), 36(Ⅻ), 104(1087), 189(Ⅻ), 326(Ⅹ), 424(Ⅺ), 453(ⅪⅤ), 1704(1541), 1884(ⅩⅥ), 1891(Ⅹ), 2464(Ⅸ), 2495(ⅩⅤ).

 

바울 서신을 위하여 항상 그리고 자주 인용되는 상비 증거들

 

a)일등급 상비 증거들

 

로마서:

P10, P26, P27(!), P31, P40(!), P46(!), P61, P94;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Ψ(044), 048, 0172, 0209, 0219, 0220(!), 0221, 0278, 0285, 0289;

 

고린도전서:

P11, P14, P15(!), P34, P46(!), P61, P68;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075, 088, 0121, 0185, 0199, 0201, 0222, 0243, 0270, 0278, 0285, 0289;

33, 1739, 1881;

 

고린도후서:

P34, P46(!);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098, 0121, 0186, 0209, 0223, 0225, 0243, 0278, 0285, 0296;

33, 1739, 1881;

 

갈라디아서:

P46(!), P51;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62, 0122, 0176, 0254, 0261, 0278;

33, 1739, 1881;

 

에베소서:

P46(!), P49(!), P92(!);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I(016), Ψ(044), 048, 082, 0278, 0285;

33, 1739, 1881;

 

빌립보서:

P16(!), P46(!), P61;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I(016), Ψ(044), 048, 075, 0278, 0282;

33, 1739, 1881;

 

골로새서:

P46(!), P61;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075, 0198, 0208, 0278;

33, 1739, 1881;

 

데살로니가전서:

P30(!), P46(!), P61, P65(!);

א(01), A(02), B(03), D(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0183, 0208, 0226, 0278;

33, 1739, 1881;

 

데살로니가후서:

P30(!), P92(!);

א(01), A(02), B(03), D(06), F(010), G(012), I(016), Ψ(044), 0111, 0278;

33, 1739, 1881;

 

디모데전서:

P-;

א(01), A(02),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0241, 0259, 0262, 0285;

33, 1739, 1881;

 

디모데후서:

P-;

א(01), A(02),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33, 1739, 1881;

 

디도서:

P32(!), P61;

א(01), A(02), C(04), D(06), F(010), G(012), H(015), I(016), Ψ(044), 048, 088, 0240, 0278;

33, 1739, 1881;

 

빌레몬서;

P61, P87(!);

א(01), A(02), B(03), C(04), D(06), F(010), G(012), I(016), Ψ(044), 048, 0278;

33, 1739, 1881;

 

히브리서:

P12(!), P13(!), P17, P46(!), P79, P89;

א(01), A(02), B(03), C(04), D(06), H(015), I(016), Ψ(044), 048, 0122, 0227, 0228, 0243, 0252, 0278, 0285;

33, 1739, 1881;

 

b)이등급 상비 증거들

 

K(018), L(020), P(025), 81(1004), 104(1087), 365(Ⅻ), 630(ⅪⅤ), 1175(Ⅺ), 1241(Ⅻ), 1505(Ⅻ), 1506(1320), 2464(Ⅸ), l249(Ⅸ), l846(Ⅸ).

 

c)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6(ⅩⅢ), 323(Ⅻ), 326(Ⅹ), 424(Ⅺ), 614(ⅩⅢ), 629(ⅪⅤ), 945(Ⅺ), 2495(ⅩⅤ).

 

일반 서신을 위하여 항상 그리고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a)일등급 상비 증거들

 

야고보서:

P20(!), P23(!), P54, P74;

א(01), A(02), B(03), C(04), P(025), Ψ(044), 048, 0166, 0173, 0246;

33, 1739;

 

베드로전서:

P72(!), P74, P81;

א(01), A(02), B(03), C(04), P(025), Ψ(044), 048, 0206, 0247, 0285;

33, 1739;

 

베드로후서:

P72(!), P74;

א(01), A(02), B(03), C(04), P(025), Ψ(044), 048, 0156, 0209, 0247;

33, 1739;

 

요한일서:

P9(!), P74;

א(01), A(02), B(03), C(04), P(025), Ψ(044), 048, 0245, 0296;

33, 1739;

 

요한이서:

P74;

א(01), A(02), B(03), P(025), Ψ(044), 048, 0232;

33, 1739.

 

요한삼서:

P74;

א(01), A(02), B(03), C(04), P(025), Ψ(044), 048, 0251;

33, 1739;

 

유다서:

P72(!), P74, P78(!);

א(01), A(02), B(03), C(04), P(025), Ψ(044), 0251;

33, 1739.

 

b)이등급 상비 증거들

 

K(018), L(020), 81(1044), 323(Ⅻ), 614(ⅩⅢ), 630(ⅪⅤ), 1241(Ⅻ), 1505(Ⅻ).

 

c)자주 인용되는 증거들

 

69(ⅩⅤ), 322(ⅩⅤ), 623(1037), 945(Ⅺ), 1243(Ⅺ), 1846(Ⅺ), 1852(ⅩⅢ), 1881(ⅩⅣ), 2298(ⅩⅡ), 2464(Ⅸ), 2495(ⅩⅤ).

 

요한계시록을 위한 상비 증거들

 

요한계시록의 사본 전승은 신약성서의 여타 문서들의 사본 전승과 대단히 다르다. 하나의 특이한 성격은 비잔틴적 대다수 사본이 두 갈래의 다른 전승 흐름으로 갈라졌다는 것이다.

MA: 가이사랴의 안드레아가 저작한 계시록-주석서가 딸려 있는 많은 수의 사본들

MK: 본래적 코이네 사본들

M: MA와 MK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

소문자 사본 2344번과 2377번은 보존 상태가 나쁘기 때문에 자주 인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사본들에 있어서는 침묵으로부터 결론을 추출해 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a)일등급 상비 증거들

 

P18(!), P24, P43, P47(!), P85, P98(!);

א(01), A(02), C(04), 051, 0163, 0169, 0207, 0229.

 

b)이등급 상비 증거들

 

P(025)는 MA와 다른 경우에만 개별적으로 인용된다.

046은 MK와 다른 경우에만 개별적으로 인용된다.

1006(Ⅺ), 1611(Ⅹ), 1841(Ⅸ/Ⅹ), 1854(Ⅺ), 2030(Ⅻ), 2050(1107), 2053(ⅩⅢ), 2062(ⅩⅢ), 2329(Ⅹ), 2344(Ⅺ), 2351(Ⅹ), 2377(ⅪⅤ).

 

c)요한계시록만을 위하여 자주 인용되는 증거들은 없다.

 

3. 고대 번역들

 

현재의 학문적 회중판 신약성서의 본문비평에 중요하게 이용되는 고대 번역본은 라틴어, 시리아어 및 콥트어 번역본이다. 이 번역들은 직접으로 그리스어 대본으로부터 이른 시기에 번역한 것임은 의심할 필요가 없다. 이 번역들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연구가 아주 잘 되어 있는 형편이다. 무엇보다도 신약성서의 그리스어 본문 전승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이 번역들이 차지하는 증거 가치에 대해서 수십년 이래로 논의되고 있는데 그 가치성이 점점 더 명백하게 드러난다. 이 밖의 나머지 번역들에 대해서는 그렇게 말할 수 없다(이에 대해서는 아래 29쪽을 보라). 위에서 말한 세 번역은 본문 구성을 규명하는 데 이용되는 중요한 증거들이 된다. 이 번역들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변역본에서 본문비평의 증거로 끌어 댈 수 있는 곳은 제한적이다. 즉 그들의 번역 대본으로 사용된 그리스어 사본의 본문을 확실하게 재구성할 수 곳만 인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번역본들이 인용되는 곳은 해당 읽기가 또한 다른 그리스어 증거들이나 다른 독립적 번역 증거들을 통하여 증명되는 곳뿐이다. 오직 드문 경우에만(약 1:17? 참조) 번역본이 그리스어 변이형을 증명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제시된다. 그리스어 대본과 번역본의 언어 사이의 언어 구조상의 차이를 주의 깊게 투시해야 한다. 관용구 또는 번역 문체로 말미암아 생긴 차이점들은 증거 자료로 고려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번역본들은 그들의 그리스어 대본의 상세한 내용을 단지 다소 제한된 수준으로만 재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번역본은 증거로 제시되지 않는다.

번역들은 이른 시기의 그리스어 증거들을 대변하기 때문에 본문비평적 판단을 내리는 데 여전히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파피루스와 양피지에 적힌 그리스어 사본들이 20세기에 대량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번역들의 본문비평적 가치는 이전 시대에 비하여 상대화되었다.

 

라틴어 번역들

 

신약성서의 라틴어 번역은 두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하나는 2세기부터 생긴 고대 라틴어 번역들이다. 다른 하나는 4/5세기에 그리스어 본문에 입각하여 개정한 번역이다. 이 개정은 제롬(Jerome)의 이름이 관련되어 수행된 것인데 중세기 이래로 불가타(Vulgata, 영어로는 Vulgate) 성서라 불리어진다.

라틴어 증거들의 인용은 다음과 같은 출판물들에 바탕을 둔다.

 

복음서에서:

Itala. Das Neue Testament in altlateinischer Überlieferung Nach den Handschriften hrsg. von A. jülicher, durchgesehen und zum Druck besorgt von w.Marcus-Evangelium2 1970, Bd. Ⅲ Lucas-Evangelium2 1976, Bd. IV Johannes-Evangelium 1963);

 

바울 서신에서:

für Eph­Kol Bd. 24/1-2 der Vetus Latina, hrsg. von H. J. Frede, 1962-1971, für 1Thess-Hebr Bd. 25/1-2 der Vetus Latina, hrsg. von H. J Frede, 1975-1991;

 

공동서신에서

Bd. 26/1 der Vatus Latina, hrsg. von W. Thiele 1956-1969.

 

사도행전, 로마서-갈라디아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위한 정보는 <부록 I>에 기입되어 있는 사본들의 대조에 근거한다.

 

라틴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은 약자로 인용된다.

it(= Itala)는 고대 라틴어 증거들의 모두 또는 대다수를 총괄한다.

 

개개의 고대 라틴어 사본들은 재래적인 약자와 문자로 표시된다. <부록 I>을 보라. 숫자는 뷰론(Beuron)이 매긴 사본목록 번호이다.

 

vg(= Vulgata)는 불가타 번역본의 가장 중요한 간행본들이 동일한 그리스어 읽기를 지지하는 경우에 표시된다.

개개의 불가타 간행본은 다음과 같은 약자로 표시된다.

 

Biblia Sacra Vulgatae Editionis Sixti Quinti Pont Max. iussu recognita atque edita(vgcl= Editio Clementina), Rom 1592.

Biblia Sacra Vulgatae Editionis ad concilii Tridentini praescriptum emendata et a Sixto V. P. M. recognita et approbata(vgs=Editio Sixtina). Rom 1590(wird nur bei Abweichung von vgcl genannt).

Novum Testamentum Domini Nostri Iesu Christi Latine Secundum Editionem Sancti Hieronymi, ed. J. Wordsworth, H. J. White et al., Oxford 1889-1954(vgww=Wordsworth/White).

Biblia Sacra iuxta Vulhatam versionem, adiuvantibus B. Fischer OSB cum sociis H. J. Frede, J. Frede, J. Gribomont OSB, H. F. D. Sparks, W. Thiele, Stuttgart 1983(vgst=Vulgata Stuttgartiensis).

 

vgms/mss는 vg와 차이가 나는 몇몇 불가타 사본을 가리킨다.

 

latt는 전체 라틴어 번역 전승이 동일한 그리스어 읽기를 증거하는 경우에 사영된다.

 

lat(t)는 전체 라틴어 번역 전승이 단지 몇몇 증거만 예외로 하고 동일한 그리스어 읽기를 증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 예외적인 증거들은 번역본 내적으로 조건지어진 차이를 나타낸다.

 

lat는 고대 라틴어 번역의 일부와 불가타(Vulgata)가 증거하는 읽기를 지칭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시리아어 번역들

 

시리아어 번역본에는 Vetus Syra(약 3/4세기), Peschitta(약 4/5세기), Philoxeniana(507/08년), Harklensis(515/16년)가 있다. 이들은 번역의 의도가 각각 다르다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초기에는 대단히 자유로운 의역이 실시되었으나 나중에는 시리아어의 표현으로는 어색할 정도로 그리스어 대본에 될 수 있는 대로 부합하는 번역으로 나아갔다. 이 번역본들을 그리스어 본문의 증거들로 이용할 때에는 이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후대의 자구적, 형식적 번역이 비교적으로 가장 자주 인용된다. 왜냐하면 이 번역이 가장 명확하게 그 대본을 재구성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시리아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Vetus Syra는 두 가지 사본으로 보존되어 있다. 그 하나는 Syrus Sinaiticus이며 다른 하나는 Syrus Curetonianus이다. 이 두 사본은 본문상의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이들은 언제나 따로따로 떼어서 인용된다. 그들은 변역 문체가 동일하며 일치점들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이 사복음서의 가장 이른 시리아어 번역임을 입증한다. Syrus Curetonianus는 Syrus Sinaiticus에 담겨 있는 더 오래된 번역의 개정된 형태를 제공한다. 이 사본들은 다음과 같은 간행본에 의거하여 인용된다.

sys(=Syrus Simaiticus). The Old Syriac Gospels or Evangelion da-mepharresh , being the text of the Sinai or Syro-Antiochene Palimpsest, ed. by Agnes Smith Lewis. London 1910.

이 복음서 사본(4/5세기의 재생 사본)은 다음과 같이 공백이 있다.

마6:10-8:3; 16:15-17:11; 20:25-21:20; 28:7-끝, 막1:1-12; 1:44-2:21; 4:18-41; 5:26-6:5. 눅1:16-38; 5:28-6:11. 요1:1-25; 1:47-2:15; 4:38-5:6; 5:25-46; 14:10-11; 18:31-19:40.

 

syc(=Syrus Curetonianus). Evangelion da-mepharresh . The Curetonian Version of the Four Gospels, ed. by F. Crawford Burkitt. Cambridge 1904.

D. L. McConaughy, "A recently discovered folio of the Old Syriac(Syc) text of Luke 16:13-17:1" Biblica 68(1987): 85-88.

이 복음서 사본(5세기의 양피지 사본)도 역시 결함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공백을 보인다.

마8:23-10:31; 23:25-끝까지; -막1:1-16:17 -눅1:1-2:48; 3:16-7:33; 24:44-51 -요1:42-3:5; 8:19-14:10; 14:12-15; 14:19-21,24-26; 14:29-끝까지.

 

syp (=Peschitta). Peschitta는 시리아 지역에서 가장 강력히 유포된 번역이다. Peschitta에는 비교적으로 짧은 공동서신들과 요한계시록이 정경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Peschtta는 영국 해외 성서공회의 간행본에 의거하여 인용된다.

J. Pinkerton and R. Kilgour, The New Testament in Syriac, London 1920(frequently reprinted).

이 간행본에는 비평 자료가 없다. 그러나 이것은 다음에 지칭한 비평적 간행본의 본문을 채택한다.

Ph. E. Pusey and G. H. Gwilliam, Tetraevangelium Sanctum iuxta simplicem Syrorum versionem, Oxford 1901.

이 밖에 Peschitta에 관한 정보는 아래(26쪽) syh로 표시된 항목에서 언급한 간행물을 참조하라. ANTT 7, 104-110쪽과 ANTT 14, 47-59쪽에 실린 Aland 및 Aland/Juckel의 글과 서론.

 

syph (= Philoxeniana)는 최초의 단권 시리아어 성서 번역이다. 이것은 507/508년에 Mabbug이 Philoxenos 주교가 번역하게 한 것이다. 이것은 통째로 분실되었고 다만 짧은 일반 서신들(벧후, 요이/삼, 윧)과 요한계시록이 몇몇 사본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 사본들이 Philoxenia 번역본을 가리키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어쨌든 이것은 6세기의 번역이다. 이것은 다음 간행본에 의거하여 인용된다.

John Gwynn(ed.), Remnants of the Later Syriac Versions of the Bible, PartⅠ: New Testament, the Four Minor Catholic Epistles in the Original Philoxenian Version, London/Oxford 1909(Amsterdam 1973).

John Gwynn(ed.), The Apocalypse of St. John in a Syriac version hitherto unknown, Dublin/London 1897(Amsterdam 1981).

이 밖에 Philoxenia 번역본에 관한 정보는 아래(26쪽) syh로 표시된 항목에서 언급된 간행물을 참조하라. ANTT 7, 128-36쪽에 실린 B. Aland의 글과 서론. Philoxenia 번역본은 짧은 일반서신들과 요한계시록 외에는 결국 Philoxenos의 후기 문서에서 끌어 낸 것이다.

 

shh (= Harklensis)는 Harkel의 Thomas가 번역한 것이다. 발행 연도는 616년부터이다. shh는 신약성서 전체가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시리아어 번역이다. 이것은 상당히 많은 부문을 아직도 옛 Editio princeps 판에 의거하여 인용해야 한다. Editio princeps 판에는 본질적으로 New College 333(Bodleian Library, Oxford)이 바탕에 깔려 있다. 편집자 J. White가 착오로 이 New College 333을 Philoxenia 번역본과 동일시했다.

Sacrorum Evangeliorum versio Syriaca Philoxeniana cum interpretatione et annotationibus(Oxford 1778). Actuum Apostolorum et Epistolarum tam Catholicarum quam Paulinarum versio Syriaca Philoxeniana cum interpretatione et annotationibus(Oxford 1779-1803).

White가 대본으로 사용한 사본은 히브리 11:27에서 끝난다. 히브리서의 나머지 부분과 요한계시록은 다음 간행판에 의거해서 인용된다.

R. L. Bensly, The Harklean Version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Chap. Ⅺ.28-ⅩⅢ.25. Cambridge 1889.

A. Vööbus, The Apocalypse in the Harklean version. A facsimile Edition of MS. Mardin Orth. 35, fol. 143r-159v(CSCO 400/subs. 56), Louvain 1978.

 

Harkel 번역본의 로마서와 고린도전서 및 긴 공동서신들은 다음의 새 간행판에 의거하여 인용한다. 이 간행본에는 시리아 교회의 저작자들에게서 발견되는 가장 중요한 인용들을 포함하여 신약성서의 시리아어 번역 전승의 전체가 기록되어 있다.

B. Aland, in conjunction with A. Juckel, Das Neue Testament in syrischer Überlieferung Ⅰ. Die Grossen Katholischen Briefe, hrsg. und untersucht, ANTT 7, Berlin-New York 1986.

B. Aland, A. Juckel, Das Neue Testament in syrischer Überlieferung Ⅱ. Die Paulinischen Briefe, Teil 1: Römer-und 1. Korintherbrief, hrsg. und untersucht, ANTT 14, Berlin-New York 1991.

 

Harkel 번역본에는 비평 자료가 들어 있다. 번역자가 비평 부호 또는 난외에 그리스어 본문의 변이형들의 읽기를 제공함으로써 자기가 번역에 사용하는 그리스어 대본과 차이가 나는 것들을 명시했다. 시리아어 번역에 제시된 이 변이형들은 대부분 아마도 Versio Philoxeniona(이 점에 대해서는 ANTT 14, 36-39쪽을 보라)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이 변이형들은 다음과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syhmg는 Harklensis의 난외 읽기를 가리킨다. 이것은 Harkel 번역본의 본문 속에 번역된 읽기와 차이가 나는 그리스어 읽기에 소급하는 것이다.

 

syh**는 비평 부호(별표와 metobelos)를 사용하여 Harklensis 본문 안에 포함시킨 읽기를 가리킨다. 그렇게 표시된 읽기는 번역자의 그리스어 대본과 일치하지 않는다.

 

시리아어 번역본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총괄 기호가 이용된다.

 

sy는 문제된 곳에 존재해 있는 모든 시리아어 번역들이 상응하는 그리스어 변이형을 증거한다는 것을 뜻한다. 괄호를 친 것은, 그리스어 사본의 경우에서처럼(12쪽을 보라), 그들이 증거하는 변이형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sy)는 문제된 곳에 존재해 있는 모든 시리아어 사본들이 상응하는 그리스어 변이형을 증거하되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표시한다.

 

sy(p)는 문제된 곳에 존재해 있는 모든 시리아어 번역들이 상응하는 그리스어 변이형을 증거하지만 오직 괄호 안에 들어 있는 번역본만이 이것과 약간 차이가 있음을 표시한다.

 

(sys), (syc) 등등은 괄호 안에 들어 있는 시리아어 번역본이 상응하는 그리스어 변이형과 약간의 차익 있음을 표시한다.

 

 

콥트어 번역들

 

이른바 콥트어는 여러 가지 방언들로 구성되어 있다. 콥트어는 기독교 시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문서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신약성서의 번역들은 3세기에 시작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방언들이 사용되어 있다.

ac = Akhmimic

ac2 = Subakhmimic(=Lycopolitanic)

bo = Bohairic

mae = Middle Egyptian(=Mesokemic)

mf = Middle Egyptian Fayyumic

pbo = Proto-Bohairic

sa = Sahidic

전체 신약성서의 번역은 Sahid 방언과 Bohair 방언으로 된 것이다. 아마도 Faijum 방언과 중부 이집트 방언으로 된 신약성서의 번역본들도 있었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다. Sahid 번역본과 Bohair 번역본은 서로 의존하지 않고 그리스어 사본의 본문으로부터 직접 옮겨진 것이다. 어쨌든 이 두 번역본이 서로 의존함이 없이 어느 범위에까지 나머지 방언들로 생기게 되었는지를 확정할 수 없다.

 

부가적인 표시를 붙이지 아니한 부호는 각각 그 해당 방언의 사본 전승 전체를 지시한다. ac, ac2 등등.

 

콥트어 번역본들을 총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총괄 기호가 사용된다.

 

co는 문제된 곳에 존재해 있는 모든 콥트어 번역본들이 제시된 그리스어 변이형을 증거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Sahid 번역본과 Bohair 번역본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어깨표를 첨가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사본들이 제시된 읽기를 대변하는지를 표시한다. Sahid 번역본의 증거는 그 수가 빈약하고 Bohair 번역본의 증거는 그 수가 풍부하기 때문에 거기에 동일한 어깨표를 붙이더라도 그것이 의미하는 수량은 각각 다르다.

sams, boms는 한 Sahid 사본 또는 한 Bohair 사본이 제시된 변이형을 증거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samss는 둘 또는 그 이상의 Sahid 사본들이 제시된 변이형을 증거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bomss는 두 서너 개의 Bohair 사본들이 제시된 변이형을 증거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bopt (= bopartim))은 다섯 또는 그 이상의 Bohair 사본들이 제시된 변이형을 증거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Horner(아래 설명을 보라)가 발행한 간행본에서 총괄 기호(어깨표를 달지 아니한 약자 기호)를 사용하여 같은 소속임을 표시한 모든 Bohair 사본들은 한 개의 증거로 평가된다. Horoner가 그들을 구별하는 경우에만 그들은 여러 개의 증거로 간주된다.

 

boms/ms 또는 bomss가 나머지 Bohair 전승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이것은 bo라는 약어로써 표시된다. bopt가 나머지 Bohair 전승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그 나머지도 마찬가지로 bopt라는 약어로써 표시된다.

Sahid 전승은 일반적으로 말해서 그 증거물의 수가 상대적으로 더 적다. 그러므로 sams 또는 samss가 나머지 Sahid 전승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그 나머지도 역시 sams 또는 samss로 표시된다.

 

( ) 표: 어떤 번역본이 괄호 안에 묶여 있으면 그것은 그 번역본의 그리스어 대본은 그 번역본이 지지하는 변이형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간혹 한 가지 번역본이 동일한 곳에 이러 저러한 여러 변이형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시 방법이 사용된다.

 

bo? sa? 등등: 의문 부호가 붙은 번역본은 제시된 변이형을 아주 확실하게는 증거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sa? - sa? / bo? - bo? 등등: 한 곳에서 어떤 번역본의 한 가지 표현의 밑바탕에 두 개의 상이한 변이형이 놓여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부호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하나의 제3 가능성은 확실하게 배제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마 5:32 ?͵ 참조).

 

이 표시는 괄호 안에 들어 있는 것이 으뜸되는 변이형과 약간의 차이만 있을 경우에는 사용되지 아니한다(본보기로 막 1:1? txt 참조; 괄호 안에 묶인 종속 변이형인 경우에는 번역본들에 ?표를 붙이지 아니한다. 비록 이 번역본들이 또한 그 종속 변이형을 지지한다 하더라도 말이다.

 

콥트어 번역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 간행본들과/또는 사본들에 바탕을 둔 것이다.

 

사히드 방언:

G. Horner, The Coptic Version of the New Testament in the Southern Dialect, otherwise called Sahidic and Thebaic, 7 vols., Oxford 1911-1924.

R. Kasser, Papyrus Bodmer ⅪⅩ, Évangile de Matthieu ⅪⅤ, 28-ⅩⅩⅤⅢ, 20; Ép tre aux Romains, Ⅰ, 1-Ⅱ,3 en sahidique, Geneva 1962(used for Mt, Ⅳ/Ⅴ cent.).

H. Quecke, Das Markusevangelium saïdisch. Text der Handschrift PPalau Rib. Inv. Nr. 182 mit den Varianten der Handschrift M 569, Barcelona 1972(MK, V cent.).

H. Quecke, Das Lukasevangelium saïdisch. Text der Handschrift PPalau Rib. Inv. Nr. 181 mit den Varianten der Handschrift M 569, Barcelona 1977(LK, V cent.).

H. Quecke, Das Johannesevangelium saïdisch. Text der Handschrift PPalau Rib. Inv. Nr. 183 mit den Varianten der Handschriften 813 und 814 der Chester Beatty Library und der Handschrift M 569, Barcelona 1984(Jn, V cent.).

H. Thompson, The Coptic Version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Pauline Epistles, Cambridge 1932: Chester Beatty Codex A/B(Ac and Paul, A ca. 600, B Ⅶ cent.).

K. Schüssler, Die Katholischen Briefe in der kopitschen(sahidischen) Version, [Pierpont Morgan M 572], CSCO 528/529, Louvain 1991 (Catholic letters, Ⅸ cent.)

 

보하이르 방언:

G. Horner, The Coptic Version of the New Testament in the Northern Dialect, otherwise called Memphitic and Bohairic, 4vols., Oxford 1898-1905.

 

아크밈 방언:

F. Rösch, Bruchstücke des ersten Clemensbriefes nach dem achmimischen Papyrus der Straßburger Universitäts-und Landesbibliothek mit biblischen Texten derselben Handschrift, Straßburger Universitäts-und Landesbibliothek mit biblischen Texten derselben Handschrift, Straßburg 1910(Jn, Jas, Ⅳ cent.).

 

아크밈 방어 방계:

H. Thompson, The Gospel of St. John according to the earliest Coptic manuscript, London 1924(Jn, Ⅳ cent.).

 

중부 이집트어:

H.-M. Schenke, Das Matthäus-Evangelium im mittelägyptischen Dialekt des Koptischen(Codex Scheide), Berlin 1981(Mt Ⅳ?/Ⅴcent.).

H.-M. Schenke, Apostelgeschichte 1, 1-15,3 im mittelägyptischen Dialekt des Koptischen(Codex Glazier, G67), Berlin 1991(Ac, Ⅴ cent.).

 

중부 이집트 파윰방언:

E. Husselman, The Gospel of John in Fayumic Coptic(P. Mich Inv. 3521), Ann Arbor 1962(Jn, Ⅳ/Ⅴ(?)cent.).

 

원 보하이르 방언:

R. Kasser, Papyrus Bodmer Ⅲ, Évangile de Jean et Genèse Ⅰ-Ⅳ,2 en bohaïrique, CSCO 177, Louvain 1958(Jn, Ⅳ/Ⅴ(?)cent.).

 

그 밖의 번역들

 

아르메니아어, 게오르기아,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고대 교회계 슬라브어 번역들은 이 비평본에서는 단지 예외적인 경우에만 인용된다. 그런데 그것도 특별히 그들의 증거가 어떤 곳의 복잡다단한 변이형 안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지니고 있을 경우에 그러하다(막 16:8 참조). 이러한 처리 방식은 다른 중요한 증거들이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에 정당하다고 할 것이다. 지난 몇 십년 동안에 아르메니아어, 게오르기아어, 에티오피아어, 고대 교회계 슬라브어 번역본의 몇몇 중요한 특별 간행본들이 나타났다. 그러나 그 각 언어의 번역 전체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완결되지 아니했다. 특히 그리스어 본문 전승에 대한 각 번역본의 관계와 그 번역본들의 생성 과정은 해명되지 아니했기 때문에 이러한 번역본들의 철저한 인용은 아직 단념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번역본들에는 다음과 같은 간행본들이 중요하다.

 

아르메니아어:

Yovhannes Zöhrapean, Astuacaun‘ Matean Hin ew Nor Ktakaranac', Ⅳ, Ⅴenice 1805.

Fr. Macler, L'Évangile arménien. Édition phototypique du manuscrit n0 229 de la Bibliothèque d'Etchmiadzin, Paris 1920.

Beda O. Künzle, Das altarmenische Evangelium. Part Ⅰ. Edition: Part Ⅱ. Lexikon, Bern 1984.

 

게오르기아어:

Robert P. Blake, The Old Georgian Version of the Gospel of Matthew from the Adysh Gospels with the Variants of the Opiza and Tbet' Gospels, ed. with a Latin translation(PO ⅩⅩⅣ, 1), Paris 1933.

_, The Old Georgian Version of the Gospel of Mark… (Po ⅩⅩ, 3), Paris 1928.

_,and Maurice Brière, The Old Georgian Version of the Gospel of John…(PO ⅩⅩⅥ, 4), Paris 1950.

Maurice Brière, La version géorgienne ancienne de l'Évangile de Luc, d'après les Évangiles d'Adich, avec les variantes des Évangiles d'Opiza et de Tbet', éditée avec une traduction latine.(PO ⅩⅩⅦ, 3), Paris 1955.

Gérard Garitte, L'ancienne version géorgienne des Actes des Apôtres d'après deux manuscrits du Sinai(Bibliothèque du Muséon 38), Louvain 1955.

K'. Dzocenidze and K'. Daniela, Pavles epistolet'a k'artuli versiebi, Tiflis 1974.

K' Lort'kip'anidze, Kat'olike epistolet'a k'art'uli versiebi Ⅹ-ⅪⅤ saukunet'a helnacerebis mihedvit', Tiflis 1956.

I. Imnaivili, Iovanes gamoc'hadeba da misi t'argmaneba. Dzveli k'art'uli versia, Tiflis 1961.

 

고트어:

W. Streitberg, Die gotische Bibel (Germanische Bibliothek Ⅱ, 3), Heidelberg 1908(2nd revised ed. 1919; 5th ed. revised by E. A. Ebbinghaus 1965).

 

에티오피아어:

Petrus Aethiops, Testamentum Novum cum Epistola Pauli ad Hebraeos, Rome 1548.

T. Pell Platt, Novum Testamentum Domini nostri et Salvatoris Jesu Christi Aethiopice, London 1830.

L. Hackspill, "Die äthiopische Evangelienübersetzung(Math. Ⅰ-Ⅹ)", Zeitschrift für Assyriologie 9 (1896)117-196; 367-388.

Rochus Zuurmond, Novum Testamentum Aethiopice. The Synoptic gospels.

General Imtroduction, Edition of the Gospel of Mark(Äthiopistische Forschungen 27), Stuttgart 1989.

J. Hofmann, Die äthiopische Übersetzung der Johannes-Apokalypse(CSCO 281/282, script. aeth. 55/56), Louvain 1967.

S. Uhlig and J. Hofmann, Novum Testamentum Aethiopice. Die Katholischen Briefe(Äthiopistische Forschungen 29), Stuttgart 1993.

 

고대 교회 슬라브어:

V. Jagi, Quattuor evangeliorum codex glagoliticus olim Zographensis nunc Petropolitanus, Berlin 1879(Graz 1954).

_, Quattuor evangeliorum versionis palaeoslovenicae codex Marianus glagoliticus, Berlin 1883(Graz 1960).

J. Vajs, Evangelium sv. Matoue. Text rekonstruovaný, Prague 1935.

_, Evangelium sv. Marka. Text rekonstruovaný, Prague 1935.

_, Evangelium sv. Lukáe. Text rekonstruovaný, Prague 1936.

_, Evangelium sv. Jana. Text rekonstruovaný, Prague 1936.

_, and J. Kurz. Evangeliarium Assemani. Codex vaticanus 3. slavicus glagoliticus. 2 vols. Prague 1929/1955.

V. Sepkin, Savvina kniga, St. Petersburg 1903(Graz 1959).

Ae. Kaluniacki, Actus epistolaeque apostolorum palaeoslovenice ad fidem codicis Christinopolitani, Vienna 1896.

G. A. Il'inskij, Slepenskij apostol Ⅻ veka, Moscow 1912.

D. E. Stefanovic, Apostolos-Lektionar aus Sisatovac in der Fruska Gora aus dem Jahre 1324[forthcoming].

R. Kovaevi and D. E. Stefanovi, Matiin-Apostol(13. Jn.), Belgrade 1979.

Arch. Amfilochij, Apokalipsis ⅪⅤ veka Rumjancevskago muzeja Moscow 1886.

 

4. 교부들의 인용문

 

교부들의 글에 인용된 신약성서의 글귀를 근거로 하여 추론하면 그 인용된 본문 유형이 사용되던 시기와 지역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인용문들은 본문의 역사와 본문의 구성을 탐구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그렇지만 저술가가 인용한 그 신약 본문을 가능한 한 어떻게 해서든지 포착하는 것이 필요하지 그 저술가가 즉석에서 자의로 변경한 부분을 알아내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 비평본에서는 교부들의 인용문을 채택하는 데 두 가지 으뜸되는 기준을 적용했다. 첫째, 인용문은 본문비평 작업에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 즉 그 저술가가 인용한 신약성서 본문 바로 그대로의 모습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인용하는 저술가의 손에서 생겨난 풀이, 변경, 단순한 변죽울리기는 일반적으로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비평본의 비평 자료란에 수록될 가치가 없다. 둘째, 한 인용문은 분명하게 신약성서의 어느 곳에서 인용한 것인지를 확인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공관복음서 분야에서 비슷한 구절들을 맞물려 인용한 것들이나 서로 조화시켜 인용한 것들은 고려되지 아니했다. 사용자는 어떤 개개의 곳에 꼭 필요한 정보가 없어서 안타까운 경우에도 위의 사실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제한적 조처를 취함으로써 생기는 장점은 제시된 증거에 더욱 더 큰 신빙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서 교부들에 대한 본문비평적 정보 전체를 최신의 학문적 간행본에 의거하여 검정했다. 그러나 아직도 오로지 그리스 교부들과 라틴 교부들만 제시되었다. 시리아 교부들과 콥트 교부들에서 유래한 정보는 언급되지 아니했다. 왜냐하면 그들의 증언이 충분히 대변되지도 못했으며 또한 그들의 언명이 그리스어 본문 전승을 규명하는 데 차지하는 가치가 명백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6-8세기에 속하는 몇몇 후기 그리스 교부들도 더 이상 고려되지 아니했다. 선발의 중점은 특별히 중요한 초기 그리스 교부들에게 두었다. 제한적 채택 기준이 유효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자료가 제공되었다.

이레니우스(Irenaeus)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가 인용한 성서 구절들은 비평 자료가 제시된 모든 곳에 완벽하게 채택되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본문비평적 관점에서 이 교부들의 작품을 전체적으로 새로이 대조 조사하는 작업이 그 밑바탕에 놓여 있다. 히폴리투수(Hipolytus), 오리게네스(Origenes), 메토디우스(Methodius),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 에피파니우스(Epiphanius)가 인용한 성서 구절들은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철저하게 제시되었다. 다만 낡아 못쓰는 옛 판들 안에 들어 있는 그들의 몇몇 작품들은 여기에서 예외이다. 1739번 그리스어 사본의 난외주에 표시되어 있는 교부들의 읽기들이 새로 채택되었다. 마찬가지로 2세기의 이른 저술가의 인용문둘도 명확하게 신원이 밝혀진 본문을 지시하는 한 새로 제시되었다. 부호표에 명시된 나머지 모든 저술가들에 대해서는 매 인용마다 점검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새 간행본들에 따라 수정을 했다. 그리고 또한 가능한 한 정보를 증대시켰다. 그러나 회중판 비평성서의 자료란에 이미 허용되어 있는 공간 때문에 여기에 한계가 그어질 수밖에 없다.

다른 교부들이 인용한 글을 통하여 단지 간접적으로 전해진 저술가들은 그들의 원천을 어깨표로 지시하여 표시된다(Mar[cus]/Marcosiiir 참조).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영지주의자 테오도투스(Theodotus)이다. 그는 ClexThd라는 부호로 표시되는데 그것은 Excerpta ex Theodoto라는 그의 저작품 안에 들어 있는 원래의 인용과 클레멘트의 편집자적 가필 사이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었다는 것을 뜻한다.

마르시온(Marcion)이 기록한 것에서 인용된 것은 누가 인용한 것인지 그 출처를 밝혔다. 즉 그 정보가 테툴리안(Tetullian) 또는 에피파니우스(Epiphanius) 또는 아다만티우스(Adamantius)에게서(McionT/E/A 참조) 채용된 것인지를 그때그때 표시했다. 이처럼 본문의 전승을 바로 가려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는 이로써 어떤 정보의 신빙성에 대하여 독자적인 판단을 스스로 내릴 수 있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마르시온(Marcion)의 발행물이 어떤 본문을 제공했었느냐는 물음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해명되지 아니했다. 그리스어 신약성서 27판에서는 마르시온(Marcion)에 대한 표시는 위에서 언급한 직접적 원천에만 국한했다. 나머지 그리스 문헌과 라틴 문헌에서 얻어 낸 마르시온의 글 인용은 다만 이따금씩 고려했을 따름이다.

라틴 교부들이 인용한 것들도 그리스 교부들의 인용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다루어졌다. 여기서 무엇보다도 테툴리안(Tertullian)과 키프리안(Cyprian)은 새롭게 손질되었다. 중요한 인용 자료를 가진 저술가들에게 있어서는 8세기에 이르기까지의 교부들에게서 얻어 낸 정보를 채택했다.

 

교부들의 인용문들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약어들과 부호들이 사용되며 그 뜻은 다음과 같다.

 

( ): 괄호 안에 제시된 것은 그것이 지지하는 변이형과 약간 차이가 있다.

 

ms,mss: 그 제시된 변이형을 지지하는 신약성서 사본들의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어떤 교부가 알고 있다.

 

txt-com: 교부들의 주석서를 인용하는 경우에는 해석을 하도록 앞서 놓여 있는 성서 본문(txt)과 주석 부분에 근거하여 구성해 낸 본문의 글발(com)이 구분된다. 전자를 또한 레마(lemma)라 부르기도 한다.

lem: 이 읽기는 레마(lemma), 즉 잇달아서 제시된 성서 본문에서 나온 것이다. 주석 부분으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표시는 그 교부의 성서 본문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된다(이러한 표시가 있는 곳에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pt/pt(partim/partim): 어떤 교부가 동일한 성서 구절을 여러 번 인용함에 있어서 그것을 여러 가지 변이형으로 제시한다. 이 양쪽 부호는 서로 서로 보완한다. 그래서 가능한 곳에서는 언제나 둘 다 표시된다.

한쪽을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이유가 다음 둘 중의 하나이다. 즉 본문 안에 제시된 읽기가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하나의 변이형으로 입증이 되지 않거나 또는 그 교부가 이 비평 자료란의 변이형 제시의 틀에 적합하지 않는 또 하나의 읽기를 더 알고 있기 때문이다.

 

vid(videtur): 이 부호는 그 교부가 그 제시된 변이형을 아마도 증거하는 듯이 보인다는 뜻이다. 이러한 표시를 붙여 제공된 정보는 충분하게 확실히 근거지을 수 없다.

 

v.l.(varia lectio): 어떤 교부의 사본 전승에서 단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본이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그 변이형을 증거한다.

 

1739mg: 1739번 그리스어 사본의 난외주에 기록되어 있는 어떤 교부의 읽기(예를 들면, 엡 3:18).

 

교부의 표시 약어

Acac
Ad
Ambr
Ps Ambr
Ambst
Apr
Arn
Ath
Athen
Aug
BasilCl
Bas
Bas A
Bea
Beda
Cass
Chr
Cl
Cllat


ClexThd
Clhom
2Cl
Cn
Cyp
Cyr
아카시우스
아다만티우스
암브로스
위(僞) 암브로스
암브로시아스터
아프링기우스
(젊은) 아르노비우스
아다나시우스
아데나고라스
어그스틴
바실리데스(클레멘트에 따른)
가이사랴의 바실
앙카라의 바실
베아투스
존엄한 베다
카시오도루스
요한 크리소스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클레멘트(라틴어 번역에 따른)


클레멘트(데오도투스에서 발췌된)
위(僞)-클레멘트의 설교
클레멘트 2서
요한 카시안
시프리안
시릴(알렉산드리아의)
Acacius Caesariensis
Adamantius
Ambrose
Ps Ambrose
Ambrosiaster
Apringius Pacensis
Arnobius the Younger
Athanasius of Alexandria
Athenagoras
Augustine
Basilides according to Clement
Basil of Caesarea
Basil of Ancyra
Beatus of Liébana
The Venerable Bede
Cassiodorus
John Chrysostom
Clement of Alexandria
Clement of Alexandria,
Latin translation
Clement ex Theodoto
Ps-Clementine homilies
Ⅱ Clement
John Cassian
Cyprian
Cyril of Alexandria
†366
300/350
†397


366-384
531-548
†p. 455
†373
a.180
†430

†379
†ca. 374

†735
†p.580
†407
†a. 215






Ⅳ?

†ca. 435
†258
†444
CyrJ
Didache
Did
Dion
Epiph
Eus
Firm
Fulg
GrNy
Hes
Hier
Hill
Hipp
Ir
Irlat


Irarm


JulCl


Ju
Lact
Lcf
McionT/E/A




Marc
MarIr
MVict
Meth
Nic
Nil
Nov
OphitesIr lat
Or
Orlat
Ors



시릴(예루살렘의)
12사도의 교훈집
디디무스(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알렉산드리아의)
에피파니우스(콘스탄틴의)
유세비우스(가이사랴의)
피르미쿠스
풀겐티우스
니사의 그레고리
헤시키우스
제롬
힐라리두스
히폴리투스
이레네우스
이레네우스
(라틴어 번역에 따른)
이레네우스
(아르메니아어번역에따른)
쥴리우스카시아누스
(클레멘트에따른)
순교자 져스틴
락탄티우스
루시퍼
마르시온(테툴리안, 에피파니우스, 아다민티우스에 따른)


마르쿠스 에레미타
마르쿠스(이레네우스에 따른)
마리누스 빅토리누스
메토디우스(올림푸스의)
니케타스(레메시아나의)
닐루스(앙카라의)
노바티아누스
오피테스(이레네우스에 따른)
오리겐
오리겐(라틴어 번역에 따른)
오리겐 보충물



Cyril of Jerusalem
Didache
Didymus of Alexandria
Dionysius of Alexandria
Epiphanius of Constantia
Eusebius of Caesarea
Firmicus Maternus
Fulgentius
Gregory of Nyssa
Hesychius
Jerome
Hilary
Hippolytus
Irenaeus
Irenaeus, Latin translation


Irenaeus, Armenian translation


Julius Cassianus according to
Clement
Justin Martyr
Lactantius
Lucifer
Marcion according to Tertullian,
Epiphanius, Adamantius Marcus
Eremita
Marcus/MarcosiansaccordingtoIrenaeus
Marius Victorinus
Methodius of Olympus
Nicetas of Remesiana
Nilus of Ancyra
Novatian
Ophites according to Irenaeus
Origen
Origen, Latin translation
(이 보충물은 오리겐의 요한 복음 주석서에 보충해 넣은 긴 성서 본문(요 2:12-25)
†386
ca. 100
†398
ca. 264/265
†403
†399/340
†p. 360
†527?
†394
†p. 451
†420
†367
†235

a. 395


Ⅳ/Ⅴ





†ca.165
†p.317
†ca.371





†p.430

†p.363
†p.250
†p.414
†ca.430
†p.251


†254







Oros
Pel
Polyc
Prim
Prisc
Prosp
Ptol
PtolIr
Qu
Spec


Tert
Thret
Theoph
Tit
Tyc
Vic
Vig
오로시우스
펠라기우스
폴리갑(서머나의)
프리마시우스
프리스길리아누스
프로스퍼
프톨레미
프톨리메(이레네우스에 따른)
콰드불트데우스
스펙쿨룸 문서(위[僞]-어그스틴 문서)
터툴리안
테오도레투스(키루스의)
테오필루스(알렉산드리아의)
디도(보스트라의)
티코니우스
빅토리누스(페타우의)
비길리우스(탑수스의)
Orosius
Pelagius
Polycarp of Smyrna
Primasius
Priscillian
Prosper
Ptolemy
Ptolemy according to Irenaeus
Quodvultdeus
Speculum, Ps-Augustine


Tertullian
Theodoret of Cyrrhus
Theophilus of Alexandria
Titus of Bostra
Tyconius
Victorinus of Pettau
Vigilius of Thapsus
†p.418
†p.418
†156
†ca.567
†385/386
†p.455
a.180


†ca. 453
V


†p.220
†ca. 466
†412
†a. 378
†p. 390
†304
†p. 484

 

 

IV. 외측 난외와 내측 난외의 표시 사항

외측 난외에 제시된 자료는 신약성서 문서에 있는 병행절들 및 뜻이 같은 표현들을 지시한다. 그 밖에도 그것은 구약성서의 인용구절들 및 암시된 것들을 지시한다. 개개의 문서를 지칭하는 약어는 재래적인 것보다 더 간결하게 만들어졌다.,

 

난외에 표시한 문서의 약어

 

I. 구약성서의 문서들

 

Gn (Genesis, 창세기)

Ex (Exodus, 출애굽기)

Lv (Leviticus, 레위기)

Nu (Numeri, 민수기)

Dt (Deuteronomium, 신명기)

Jos (Josua, 여호수아)

Jdc (Judicum, 사사기)

Rth (Ruth, 룻기)

1Sm (1. Samuel, 사무엘 상)

2Sm (2. Samuel, 사무엘 하)

*(Septuaginta[70인역 그리스어 구약성서]에서는 사무엘 상하를 각각 1Rg [1. Regnorum, 첫째 열왕기], 2Rg [2. Regnorum [둘째 열왕기]라 부른다)

1Rg (1. Regnorum, 열왕기 상)

2Rg (2. Regnorum, 열왕기 하)

*(Septuaginta에서는 열왕기 상하를 각각 3. Regnorum [셋째 열왕기], 4. Regnorum [넷째 열왕기]라 부른다)

1Chr (1. Chronik, 역대기 상)

2Chr (2. Chronik, 역대기 하)

*(Septuaginta에서는 역대기 상하를 각각 1. Paralipomenon, 2. Paralipomenon이라 부른다)

Esr (Esra, 에스라)

Neh (Nehemia, 느헤미야)

*(Seputuaginta에서는 Esdrae 2:1-10 = Esra, Esdrae 2:11-23 = Nehemia라 부른다).

Esth (Esther, 에스더)

Job (Hiob, 욥기)

Ps (Psalmen, 시편)

Prov (Proverbia, 잠언)

Ecc (Ecclesiastes, 전도서)

Ct (Canticum, 아가)

Is (Isaias, 이사야)

Jr (Jeremia, 예레미아)

Thr (Threni, 애가)

Ez (Ezechiel, 에스겔)

Dn (Daniel, 다니엘)

Hos (Hosea, 호세아)

Joel (요엘)

Am (Amos, 아모스)

Ob (Obadja, 오바댜)

Jon (Jona, 요나)

Mch (Micha, 미가)

Nah (Nahum, 나훔)

Hab (Habakuk, 하박국)

Zph (Zephania, 스바냐)

Hgg (Haggai, 학개)

Zch (Zacharja, 스가랴)

Ml (Maleachi, 말라기)

 

II. 구약성서의 경외전과 위전

 

3Esr (3. Esra, 셋째 에스라)

4Esr (4. Esra, 넷째 에스라)

*(Septuaginta에서는 Esdrae 1 = 셋째 에스라)

1Mcc (1. Machabaeorum, 첫째 마카비서)

2Mcc (2. Machabaeorum, 둘째 마카비서)

3Mcc (3. Machabaeorum, 셋째 마카비서)

4Mcc (4. Machabaeorum, 넷째 마카비서)

Tob (Tobit, 토비트)

Jdth (Judith, 유딧)

Sus (Susanna, 수산나)

Bel (Bel et Draco, 벨과 용)

Bar (Baruch, 바룩)

EpitJer (Epitel Jeremias, 에레미야의 편지)

Sir (Jesus Sirach, 시락서)

Sap (Sapientia, 솔로몬의 지혜서)

Jub (Liber Jubiaeorum, 희년서)

MartIs (Martyrium Isaiae, 이사야의 순교)

PsSal (Psalmen Salomos, 솔로몬의 시)

Hen (Henoch, 에녹서)

AssMosis (Assumptio Mosis, 모세의 승천)

BarAp (Baruch-Apokalypse, 바룩의 묵시)

ApcEliae (Apokalypse des Elias, 엘리야의 묵시)

(열 두 족장의 유언)

TestRub (Testamentum Rubens, 구벤의 유언)

TestLev (Testamentum Levi, 레위의 유언)

TestSeb (Testamentum Seblons, 스블론의 유언)

Test.Dan (Testamentum Daniels)

TestNaph (Testamentum Naphalis, 납달리의 유언)

TestJos (Testaemtum Joseph, 요셉의 유언)

TestBenj (Testamentum Benjamins, 벤자민의 유언)

VitAd (Vita Adae et Evae (아담과 이브의 생애)

 

III. 신약성서의 문서들

 

Mt (마태복음)

Mc (마가복음)

L (누가복음)

J (요한복음)

Act (Actus Apostolorum, 사도행전)

R (로마서)

1K (고린도전서)

2K (고린도후서)

G (갈라디아서)

E (에베소서)

Ph (빌립보서)

Kol (고로새서)

1Th (데살로니가전서)

2Th (데살로니가후서)

1T (디모데전서)

2T (디모데후서)

Tt (디도서)

Phm (빌레몬서)

H (히브리서)

Js (야고보서)

1P (베드로전서)

2P (베드로후서)

1J (요한일서)

2J (요한이서)

3J (요한삼서)

Jd (유다서)

Ap (요한계시록)

 

이 약어는 또한 <부록 I>에서도 사용된다.

 

이 밖에 다음과 같은 기호들이 있다.

 

외측 난외에 본문과 상응하는 병행단락(Parallelperikpen)과 관련구절 (Einzelverweise)이 적혀 있다. 병행단락은 좀 더 큰 글자로, 관련구절은 좀 더 작은 글자로 표시되어 있다. 본문의 병행단락 범위는 이탤릭체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마 1:2의 외측 난외에 다음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2-17: L 3:23-38

여기서 ‘2-17’은 마태복음 1장 2-17절을 가리키며 ‘L 3:23-38’은 누가복음 3장 23-38절을 가리킨다. ‘2-27: L 3,23-38’이라고 표시된 것은 마 1:2-17과 눅 3:23-38은 병행단락임을 뜻한다.

마 1:3의 외측 난외에는 다음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3-6a: Rth 4,12.18-22

'3-6a: Rth 4,12.18-22' 라는 표시가 뜻하는 것은 마태복음 1장 3-6 상반절과 룻기 4장 12절,18-22절은 관련이 있는 구절이므로 참조하라는 것이다.

 

신약성서의 어떤 문서의 외측 난외에서 그 문서의 어느 곳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그 문서의 명칭을 생략하고 장과 절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같은 장 안에서 어느 절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장을 생략하고 절만 표시한다. 예를 들면 마태복음 5장 20절의 외측 난외에 6,1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 6장 1절을 가리킨다. 마태복음 2장 12절의 외측 난외에는 22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 2장 22절을 가리킨다.

 

절(節) 표시 다음에 붙어 있는 P는 그 절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절을 찾아가 보면 거기에 공관복음 병행구절이 적혀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요한복음 6장 71절의 외측 난외에 Mt 26,14p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마 26:14-16절과 그것에 병행구절을 이루는 막 14:10-11과 눅 22:3-6을 함께 참조하라는 뜻이다.

 

감탄부호(!)는 그것이 붙어 있는 성서 구절의 외측 난외에 그 구절과 내용적으로 관련이 있는 구절들이 가득 표시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마태복음 4장 1절의 외측 난외에 공관복음 병행구절이 제시되어 있고 그 밑에 H 4,15!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히 4:15는 마 4:1-11과 막 1:12-13과 눅 4:1-13의 관련구절이며 거기에는 또 관련구절들이 더 표시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즉 히 4:15는 관련구절들 또는 암시구절들의 복합체를 대표하는 구절로서 제시된 것이다.

 

구약성서의 전거 표시는 특별히 달리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히브리어 성서(Biblia Hebraica)의 본문과 장절에 따라 표시한다.

 

G 는 70인역 그리스어 구약성서(Septuginta)를 가리킨다. 이 경우에 때때로 특정한 사본들의 별다른 일기들을 또한 제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G (A) 는 Codex Alexandrinus 사본(02번 사본)에 수록된 Septuaginta를 가리킨다. 그것은 신약성서의 그 본문은 Codex Alexandrinus 사본의 Septuaginta에 있는 한 읽기에 일치한다는 것을 뜻한다.

 

Aqu, Symm, Theo는 각각 Aquila, Symmacus, 또는 Theodotion이 번역한 그리스어 구약성서를 가리킨다.

 

구약성서의 직접적 인용은 본문 안에서도 이탤릭체로 두드러지게 인쇄되어 있으며 난외에서도 그 전거 표시가 이틸릭체로 인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마 2:6의 외측 난외에 Mch 5,1.3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미가 5장 1절과 3절이 마태복음 2장 6절에 직접적으로 인용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마 4:4의 난외에는 Dt 8,3; Sap 16,26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 4장 4절에는 신명기 8장 3절이 직접적으로 인용되어 있으며 솔로몬의 지혜서 16장 26절은 마 4:4에 암시적인 관련구절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외측 난외에 제시하는 참조 구절은 해당 구절과 수평적인 위치에 표시된다.

 

수직선(|)은 동일한 구절에 관련된 구절들의 표시가 끝마쳤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반드시 요청된다. 즉 어떤 구절에 상당히 많은 수의 관련 구절들을 표시할 때에 지면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것들을 모두 해당 구절과 같은 높이에 나란히 배열할 수 없어서 줄을 바꾸어 계속해서 나열한 것이 그 다음 절의 관련 구절 표시란까지 침범했을 경우이다( 마 6장 9절과 10절의 외측 난외주를 참조하라).

 

높이 올려 찍은 점( . )은 같은 절의 다른 부분에 관련되는 구절들의 표시 사이를 나눈다.

 

성서 구절의 장과 절을 표기할 때에 콤마(,)는 장을 표시하며 점(.)은 동일한 장 안에서 여러 절을 나열하는 경우에 절을 표시한다. 세미콜론(;)은 동일한 문서 안에서 장들을 나눌 때에 사용된다.

(*그리스어 성서 및 독일어 성서의 장절 표시 방법과 한국어 성서 및 영어 성서의 장절 표시 방법이 다르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 5장 1절을 표기할 때에 한국어에서는 각각 마 5:1이라고 하며 영어에서도 Mt 5:1이라고 쓴다. 이와 달리 그리스어 성서에서는 M 1,5로, 독일어에서도 Mt 5,1이라고 표기한다. 또 마태복음 5장 3절과 10절을 표기할 때에는 한국어와 영어에서는 각각 마 5:3,10 그리고 Mt 5:3,10이라고 쓴다. 이와 달리 그리스어 성서와 독일어에서는 M 5,3.10 그리고 Mt 5,3.10이라고 쓴다.)

 

s/ss ( = sequens/sequentes)는 그 다음의 한 절 또는 몇 절이 여기에 포함된다는 것을 가리킨다(이것은 영어 또는 독일어에서 사용되는 f./ff.에 해당한다). 즉 마태복음 5장 1-2절을 그리스어 성서에서 표기할 때에 M 5,1s라 하며 5장 3절에서부터 그 이하의 몇 절을 표기할 때에는 5,3ss라 한다. (마 6:5의 외측 난외주를 참조하라. 거기에 23,5sp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 23장 5-6절과 거기에 제시되어 있는 병행절들을 참조하라는 것을 뜻한다.)

 

app는 그 구절에 속한 비평 자료를 관련 구절 안에 포함시킨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마 11:15의 난외주에 13,9p.43; 25,29app라고 표시되어 있다. 25,29app는 마 25:29의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것이 마 11:15에 관련구절을 이룬다는 것을 뜻한다.

 

의문부호(?)가 어떤 구절 표시 앞에 놓여 있으면 그것은 그 구절과 본문의 해당 구절과의 관계가 의심스러워 보인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마 1:2의 외측 난외에

2-17: L 3,23-38

1 Chr 1,34 . Gn

25,26; . 29,35

라고 표시되어 있다. 첫째 줄은 눅 3:23-38이 마 2:-17에 병행절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와 셋째 줄은 마 1:2와 관계가 있는 구약성서의 관련구절들을 가리킨다. 1 Chr 1,3과 Gn 25,26 사이에, 그리고 Gn 25,26과 29,35 사이에 높이 올려 찍은 점(.)으로써 분리되어 있다. 그것은 그 구절들이 마태복음 1장 2절의 다른 부분들과 각각 관련된다는 것을 뜻한다. 25,26에는 성서의 문서 이름이 표시되어 있으나 29,35에는 문서 이름을 표시하지 않고 25,16과 29,35 사이에 세미콜론(;)만 찍혀 있다. 이 세미콜론은 29장 39절이 25장 16절과 마찬가지로 창세기(Gn)에 속한 것임을 나타낸다.

또 마 1:20/21의 외측 난외에는

18!ㅣGn 17,19

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 1장 18절은 마태복음 1장 20절과 관련이 있으며 창세기 17장 19절은 마태복음 1장 21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내측 난외에 이탤릭체로 표기된 아라비아 숫자(1 2 3 4 등등) 사본들에 표기되어 있는 장들의 구분을 나타낸다. 장 구분 표시에서 주의할 것은 각 문서의 맨 첫 구획에는 장 표시가 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여기에 예외는 사도행전, 요한계시록, 그리고 몇몇 서신들이다). 예를 들면 마가복음은 1장 23절에서 1장이 시작하여 28절에서 끝난다. 또 마태복음은 2장 1절에서 1장이 시작하여 13절에서 끝난다. 즉 막 1:1-22와 마 1:1-25는 둘 다 장 표시가 되어 있지 않다.

 

각 복음서의 내측 난외에는 정자체(正字體)로 쓴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 숫자가 위 아래로 세워져 표시되어 있다.

(보기를 들면 1 2

III X 등등이다.)

아라비아 숫자는 각 복음서의 문단 또는 단락을 지칭하는 번호이며 로마 숫자는 그 각 단락이 다른 복음서의 단락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복음서의 단락을 유형별로 분류한 번호이다. (이 체계에 대한 해설은 카프리안[Caprian]에게 보낸 유세비우스[Eusebius] 의 편지에 잘 나타나 있으며 복음서의 분류도표는 84-89쪽에 실려 있다.) 유세비우스는 각 복음서를 작은 의미 단위로 세분하여 번호를 달았다. 그리고 모든 단락들을 다른 복음서에 있는 단락들과의 내용적 관련성에 근거하여 열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I에서 X까지 번호를 붙였다. 다시 말하면 아라비아 숫자는 단락으로 분할된 토막 토막의 번호이며 로마 숫자는 각 단락을 다른 복음서의 단락과의 관계성에 따라 분류한 유형 번호이다. 유세비우스는 I, II, III, IV, V,…X에 속하는 단락들을 도표로 작성해서 제시하고 그 도표를 각각 Canon I, Canon II, …Canon X으로 명명했다. Canon I은 모든 네 복음서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병행단락들을 가리킨다. Canon II-IV번은 어느 세 복음서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병행단락들을 가리키며 Canon V-IX은 어느 두 복음서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병행단락들을 가리킨다. Canon X은 네 복음서 가운데 각각 어느 하나에만 들어 있는 특수 자료를 가리킨다. 각 복음서의 매 단락을 지칭하는 아라비아 숫자와 각 단락의 유형별 성격을 분류한 로마 숫자는 언제나 문단 또는 단락이 시작하는 곳의 내측 난외에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마 1:1의 내측 난외에

1

III

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의 1번 단락(마 1:1-16)은 정경 분류표 III번에서 병행단락들을 찾아 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정경 분류표 III번(87쪽)을 참조하면 마태복음의 1번 단락은 누가복음의 14번 단락(= 눅 3:23-38)과 요한복음의 1번, 3번, 5번 단락(= 요 1:1-5; 1:9-10; 1:14)과 병행을 이룬다는 것을 뜻한다.

 

마 1:17의 내측 난외에는

2

X

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것은 마태복음의 2번 단락(마 1:17)은 정경 분류표 X번에 속한다는 것을 뜻한다. 즉 2번 단락은 마태복음서에만 있는 특수 자료이다.

 

본문 안에 찍혀 있는 별표(*)는 사본에 표시되어 있는 장 구분이나 유세비우스가 제시한 단락 구분이 Nestle-Aland 27판의 문단 구분이나 장 구분과 다르게 나누어진 곳을 가리키기 위하여 붙여져 있다(예를 들어 눅 2:48; 딤전 5:4 참조).

 

유세비우스가 고안한 단락의 번호 달기와 복음서의 분류 번호 달기에 관한 복음서의 상호 대조적 연구 체계는 복음서에 대한 주목할만한 연구 업적이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것은 유용하다. 왜냐하면 그 체계는 많은 사본에 사용되었으며 거기서 그것은 연속 본문을 그 순서의 파괴 없이 그 내용적 성격에 따라서 분류·조직하는 데 대단히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사본들을 대조 조사하는 데 그것은 꼭 필요한 하나의 길잡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것은 이 비평본의 사용자에게도 역시 유용할 것이다.

 

 

V. 부록

 

부록 I: 그리스어 사본과 라틴어 사본의 목록

 

<부록 I>에 있는 목록표는 본판에 사용된 모든 사본들을 망라한다. 소문자 사본들 가운데는 지금까지 그 번호가 이중적으로 붙여졌거나 a, b, c 따위의 부호가 덧붙여진 것들이 있다. 이러한 소문자 사본들은 이제 알란트(K. Aland)가 발행한 Kurzgefaßte Liste der griechischen Handschriften des Neuuen Testaments, 제2판에 매겨져 있는 새 번호가 붙여졌다(예를 들면, [2ap]: vide 2815 참조). 그러나 본판의 비평 자료란에서는 옛 번호가 아직 보유되었다.

 

상비 증거들은 다음과 같은 부호가 사본 번호 앞에 붙여서 표시된다

 

*는 일등급 상비 증거들에 붙인다.

 

(*)는 이등급 상비 증거들에 붙인다.

 

[*]는 사본 전체가 아니라 사본의 어떤 부분들이 일등급 또는 이등급 상비 증거들인 경우에 그 사본 번호 앞에 붙인다. 그러나 사본 목록표의 넷째 칸에서 사본의 내용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이 해당 부분들을 * 또는 (*)를 붙여서 표시한다. 이 경우에 *가 표해진 부분은 일등급 상비 증거이며 (*)가 표해진 부분은 이등급 상비 증거이다(692쪽에 수록되어 있는 P/025 사본 참조).

 

e a p r은 사본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나타낸다(e = 복음서들, a = 사도행전과 공동서신들, p = 바울 서신들, r = 요한계시록을 가리킨다).

 

act, cath는 사도행전과 공동서신들 사이를 구분해야 필요가 있을 경우에 각각 사도행전 및 공동서신들을 가리킨다.

 

vac. (vacat = 결하다)는 공백 자리를 표한다. 사본의 내용 가운데서 결손된 부분의 범위를 정확하게 장절로 표시하고 그 앞에 이 약어를 붙인다(W/032 사본 참조). 그러나 본문의 범위가 근소한 몇 조각만 남아 있는 사본들의 내용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현의 간결성을 위하여 거기에 들어 있는 내용을 적극적으로 표시한다. 남아 있는 내용을 표시함에 있어서 한 절 안에 단 하나의 글자만이라도 보존되어 있으면 그 절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 사실은 비평 자료란에 상비 증거들을 제시한 자리에서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 (= 결함이 있는)는 비상비 증거들에 있어서 지적된 내용 범위의 보존 상태가 불완전함을 표시한다. 이 표는 내용 범위의 표시 뒤에 붙인다(본보기로 X/033: eK† 참조).

 

K는 총괄적 내용 표시 부호 뒤에 붙인다. 그것은 하나의 주석서 사본임을 가리킨다.

 

l은 비잔틴 교회의 성서 독법에 입각하여 복음서 본문으로 편집한 성구집이다.

 

성구집을 지칭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특수한 약자를 덧붙이기도 한다.

 

la는 Apostolos(사도)의 본문(즉 사도행전, 공동서신, 바울 서신)으로 편집한 성구집이다.

 

l+a는 사도의 본문과 복음서의 본문으로 편집한 성구집이다.

 

U-l은 대문자로 쓴 성구집이다.

le는 한 주간의 나날(βδομδες)에 읽도록 편집한 성구집이다.

lesk는 부활절에서 성령 강림절까지의 주간에 나날이 읽을 것과 다른 주간의 토요일과 주일(σαββατοκυριακα)에 읽을 것을 담은 성구집이다.

lsk는 단지 토요일과 주일에만(σαββατοκυριακα) 읽을 것을 담은 성구집이다.

lesI (Jerus.)는 예루살렘 규정에 입각하여 선별한(selectae) 날들에 읽을 것을 담은 성구집이다.

 

비잔틴 사본의 총괄적 목록표(713쪽 <<ad m pertinent>>를 보라)에 수록된 사본들에 대하여 다음과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 제시한 모든 사본들은 비잔틴적 본문 유형(Koine)에 속한다. 그렇지만 비평 자료로 제시되는 각 곳에서 그들이 M의 본문을 제공한다는 추론을 앞의 사실에서 끌어 낼 수 없다. 코이네(Koine) 사본들도 역시 그들의 각각의 대본들을 완전무결하게 복제된 것이 결코 아니기 때문에 그들도 M과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사정이 비평 자료란에서 표시되지 않는다. 그것은 이 그리스어 성서의 편집 원칙에 따른 것이다(그러나 8쪽에 기술된 이따금 인용되는 사본들에 대한 해설 참조). 그렇지만 언급된 사본들은 일반적으로 M과 일치한다고 상상해도 된다.

따라서 비잔틴 사본의 목록표는 본판에서 확장하지 아니했다. 그것은 또한 의식적인 조처이기도 하다. 왜냐 하면 목록표를 확장했다 하더라도 비평 자료에 아무런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코이네(Koine)에 속하는 사본들의 범위에 관하여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은 다음 저서를 참조하라.

K. Aland (ed.), Text und Textwert der griechischen Handschriften des Neuen Testaments: Katholissche Briefe (ANTT 9-11), Paulinische Briefe (ANTT 16-19), Apostelgeschichte (ANTT 20-21).

 

부록 II: 근소한 차이가 나는 변이형들(Variae lectiones minore)

 

이 부록은 이번 판에 새로이 첨가한 것이다. 비평 자료란에서 변이형을 제시할 때에 제시된 변이형과 근소한 차이만을 보이는 사본을 괄호로 묶어서 표시했다(12쪽 참조). 이 부록에서는 그 차이점을 명확하게 풀어서 제시했다. 사용자는 괄호에 묶인 사본의 차이나는 글발을 알기 위해서 <부록 II>에서 그것이 나타난 문서의 장, 절과 그것을 인도한 비평 부호를 찾아가 보면 된다.

 

부록 III: 다른 비평본들(Editionum differentiae)

 

이 부록은 현대에 간행된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아주 중요한 비평본들이 이 Nestle-Aland 27판과 비교하여 본문 판단을 어떻게 다르게 했는지를 개관하게 해 준다. 장절 표시 및 비평 부호는 비평 자료란에서 문제삼고 있는 곳을 가리킨다.

다음과 같은 간행본들을 점검했으며 T, H, S, V, M, N 이라는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했다.

 

T Tischendorf, Editio octava critica maior, 1869/72;

H Westcott/Hort, 1881;

S von Soden, 1913;

V Vogels, 1922 (41955);

M Merk, 1933 (101968);

B Bover, 1943 (51968);

N Nestle/Aland, 251963).

 

Westcott/Hort의 간행본을 언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별해서 말해야 한다.

 

H 는 난외에 동등한 가치를 지닌 하나의 대안적 읽기를 제시하지 아니한 Westcott/Hort 본문이다.

 

(H) 는 난외에 동등한 가치를 지닌 하나의 대안적 읽기를 제시한 Westcott /Hort 본문이다.

 

h 는 Westcott/Hort 판의 난외에 제시된 동등한 가치를 지닌 하나의 대안적 독법이다.

 

[ ] 는 어느 간행본이 그 본문에서 하나의 읽기를 각괄호에 넣어서 제공했을 경우에 그 간행본을 묶는 부호이다.

 

기술 실례들

Mt 1:6⊤ V: Vogels 의 간행본은 Nestle-Aland 27판의 Mt 1:6에 표시가 있는 자리에 그것에 관련한 비평 자료란에 제시된 βασιλες를 첨가한다는 뜻이다.

 

Mt 1:7/8⌌͵ bis VB: Vogels와 Bover 의 간행본은 (Mt 1:7과 1:8에서) ̓Ασφ 대신에 두 번 ̓Ασ로 읽는다는 뜻이다.

 

Mt 1:5⌌ bis SVMB ut M : von Soden, Vogels, Merk, Bover 의 간행본은 M 과 일치하여 두 번 Βοζ로 읽는다는 뜻이다.

 

Mt 4:2? TMN ut א : Tischenforf, Merk, Nestle 25판은 여기서 א와 함께 κα τεσσερκοντα νκτας로 읽는다는 뜻이다.

 

Mt 1:25⃝ [HN]: Westcott/Hort 의 비평본과 Neste 25판은 여기서 οὗ를 생략하지만 그들의 본문에는 [οὗ]로 표기되었다는 뜻이다.

 

Mt 1:24⃝ TS; [HN] ut txt: Tischendorf와 von Soden은 여기서 ̓Ιωσφ 앞에 를 생략하지만 Westcott/Hort와 Nestle 25판은 [] ̓Ιωσφ으로 읽는다는 뜻이다.

 

부록 IV: 인용되었거나 암시된 것의 출처(Loci citati vel allegati)

 

이 부록에는 구약성서, 구약외경, 그리고 비기독교적 그리스 저술가들로부터 인용한 것과 그러한 것을 암시해 주는 것에 대한 색인표가 담겨 있다. 이 색인표는 이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외측 난외에 제시된 전거들을 총괄한 것이다. 직접적으로 인용된 것은 이탤릭체로 표기되었으며 암시된 것은 정상체로 표기되었다.

장 매김과 절 매김은 Biblia Hebraica 에 따랐다. Septuaginta를 인용한 것과 Septuaginta를 암시한 것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Biblia Hebraica 의 장절 매김 방법이 바탕을 이룬다(다만 그리스 본문으로만 전승된 것은 예외이다). 구약성서의 문서에서 Biblia Hebraica 의 장절 매김이 Septuaginta 또는 다른 번역들과 다른 경우에는 이 차이점의 대조표를 인용 목록표 앞에 제시되었다.

 

부록 V: 부호, 기호, 약어(Signa, Sigla, Abbreviations)

 

이 부록에서는 서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부호와 약어를 목록으로 작성하여 간략하게 설명을 붙였다. 라틴어 약어는 원래의 라틴어로 풀어썼다.

 

카피안에게 보낸 유세비우스의 편지와 대조표 I-X

 

유세비우스는 주 안에서 사랑하는 형제 카피안에게 문안한다.

알렉산드리아의 암모니오스는 많은 노력과 열정을 바쳐서 4복음서 공관서를 우리에게 남겨 주었다. 그의 노력과 열정은 적절한 것이었다. 그는 마태복음에다가 나머지 복음서에서 뜻이 같은 단락을 옆에 배치했다. 그 결과로 어쩔 수 없이 나머지 세 복음서의 일관된 순서가 파괴되어서 그것들을 연속해서 읽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그래서 나는 암모니오스의 연구와는 별도로 전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각 복음서의 개개의 단락이 진리에 대한 사랑에 촉발되어 같은 것을 진술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는 나머지 세 복음서의 전체적 내용과 순서를 유지하면서도 복음서들 사이에 그러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 개에 이르는 대조표를 당신에게 제시하는 바이다. 그 가운데서 제1표는 마태, 마가, 누가, 요한의 네 복음서가 같은 것을 진술하는 단락들을 지시하는 숫자를 제시한다. 제2표는 마태, 마가, 누가의 세 복음서가, 제3표는 마, 누가, 요한의 세 복음서가, 제4표는 마태, 마가, 요한의 세 복음서가, 제5표는 마태, 누가의 두 복음서가, 제6표는 마태, 마가의 두 복음서가, 제7표는 마태, 요한의 두 복음서가, 제8표는 누가, 마가의 두 복음서가, 제9표는 누가, 요한의 두 복음서가 같은 것을 진술하는 것을 표시한다. 제10표는 네 복음서가 각각 독자적으로 무엇을 기록한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하위 대조표이다.

이 대조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각 복음서에 무슨 숫자가 앞에 놓여 있는데 1부터 시작하여 그 다음에 2, 3 이라는 숫자가 연속하면서 문서의 끝에 이르기까지 각 단락 앞에 놓여 있다. 각 숫자 밑에 붉은 색으로 쓴 글자가 적혀 있는데 이것은 그 위에 있는 숫자가 그 10개의 대조표 중에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 글자가 I이면 그것은 제1표에, II이면 제2표에, 이런 식으로 제10표까지 표시된다.

그래서 당신이 네 복음서 가운데 어느 것이나 하나를 펼쳐서 어느 장을 상세히 연구하고 다른 복음서에서 어느 것이 유사한 것을 진술하고 있는지를 알고자 하거나 또는 같은 것을 다루고 있는 특정한 단락을 보고 싶으면 당신이 다루고 있는 그 단락에 붙어 있는 붉은 색으로 쓴 글자가 지시하는 대조표 안에서 그 수를 찾아 보면 된다. 당신은 대조표의 목록을 보고 얼마나 많은 단락이 또는 다른 복음서의 어느 단락이 당신이 추구하는 단락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는지를 곧 알 수 있게 된다. 대조표에서 당신이 찾아보려고 하는 숫자에 나란히 적혀 있는 다른 복음서의 숫자를 찾아서 각 복음서의 그 해당 단락을 펼쳐보면 당신은 그 단락들이 유사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대조표 Ⅰ: 네 복음서 병행

Mt
8
11
11
11
11
14
23
23
23
70
87
87
98
98
294
295
295
300
300
302
304
306
306
310
313
Mc
2
4
4
4
4
5
27
27
27
20
139
139
96
96
175
176
176
181
181
183
184
187
187
191
194
Lc
7
10
10
10
10
13
17
34
45
37
250
250
116
116
281
282
282
285
285
287
289
290
290
297
294
Ioh
10
6
12
14
28
15
46
46
46
38
141
146
40
111
161
42
57
79
158
160
170
162
174
69
172
Mt
98
98
98
98
133
141
142
147
166
166
209
211
220
220
314
314
315
318
320
320
325
326
326
328
331
Mc
96
96
96
96
37
50
51
64
82
82
119
121
122
129
195
195
196
199
200
200
204
205
205
206
209
Lc
116
116
116
116
77
19
21
93
94
94
234
238
239
242
291
291
292
300
302
302
310
311
313
314
315
Ioh
120
129
131
144
109
59
35
49
17
74
100
21
77
85
166
168
175
176
178
180
184
188
194
196
197
Mt
220
244
244
274
274
274
276
280
284
284
284
284
289
291
332
334
335
336
336
343
348
349
352
352

Mc
129
139
139
156
156
156
158
162
165
165
165
165
170
172
210
212
214
215
215
223
227
228
231
231

Lc
261
250
250
260
260
260
74
269
266
266
266
266
275
279
318
321
324
317
319
329
332
333
336
336

Ioh
88
141
146
20
48
96
98
122
55
63
65
67
126
156
197
201
199
198
198
204
206
208
209
211

대조표 Ⅱ: 세 복음서 병행

 

Mt
15
21
31
32
32
50
62
62
63
67
69
71
72
72
73
74
76
79
80
82
82
83
83
85
85
88
88
92
Mc
6
10
102
39
39
41
13
13
18
15
47
21
22
22
23
49
52
29
30
53
53
54
54
55
55
141
141
40
Lc
15
32
185
79
133
56
4
24
33
26
83
38
39
186
40
85
169
86
44
87
110
87
112
88
114
148
251
80
Mt
94
94
103
114
116
116
116
121
122
123
130
131
135
137
143
144
149
149
153
164
168
168
170
172
174
176
178
178
Mc
86
86
1
24
25
25
25
32
33
34
35
36
38
44
57
59
66
66
69
79
83
83
85
87
91
93
95
95
Lc
97
146
70
41
42
165
177
127
129
147
82
76
78
167
90
12
35
43
36
144
95
206
96
98
99
101
102
217
Mt
179
190
192
193
193
194
194
195
198
199
201
203
205
206
208
217
219
223
225
226
229
229
242
242
243
248
248
249
Mc
99
105
106
107
107
108
108
109
110
111
112
114
116
117
118
127
128
130
134
133
135
135
137
137
138
143
143
144
Lc
197
195
216
121
218
152
219
220
221
173
222
270
224
232
233
240
241
243
245
244
137
246
237
248
249
209
253
254
Mt
251
253
258
259
264
269
271
278
281
285
285
296
296
301
308
312
316
317
322
338
339
340
342
344
346
353
354

Mc
146
148
150
151
155
154
42
160
163
166
166
177
177
182
189
193
197
198
202
218
219
220
222
224
225
232
233

Lc
255
204
257
258
156
228
230
263
268
265
267
280
284
286
305
299
293
295
309
322
325
327
323
328
330
337
338

대조표 Ⅲ: 세 복음서 병행

Mt
1
1
1
7
7
59
Lc
14
14
14
6
6
63
Ioh
1
3
5
2
25
116
Mt
64
90
90
97
111
111
Lc
65
58
58
211
119
119
Ioh
37
118
139
105
30
114
Mt
111
112
112
112
112

Lc
119
119
119
119
119

Ioh
148
8
44
61
76

Mt
112
112
112
112
146

Lc
119
119
119
119
92

Ioh
87
90
142
154
47

 

대조표 Ⅳ: 세 복음서 병행

Mt
18
117
117
150
161
161
204
Mc
8
26
26
67
77
77
115
Ioh
26
93
95
51
23
53
91
Mt
204
216
216
216
216
277

Mc
115
125
125
125
125
159

Ioh
135
128
133
137
150
98

Mt
279
279
287
293
297
299

Mc
161
161
168
174
178
180

Ioh
72
121
152
107
70
103

Mt
307
321
323
329
329
333

Mc
188
201
203
207
207
211

Ioh
164
192
183
185
187
203

 

대조표 Ⅴ: 두 복음서 병행

Mt
3
10
12
16
25
27
28
30
34
36
38
40
41
43
Lc
2
8
11
16
46
48
47
49
194
162
53
52
55
123
Mt
46
47
48
49
51
53
54
55
57
58
60
61
65
66
Lc
153
134
191
150
59
125
54
170
61
60
171
64
172
66
Mt
68
78
84
86
93
95
96
96
102
104
105
107
108
110
Lc
105
108
111
109
145
160
182
184
69
71
193
73
115
118
Mt
119
125
127
128
129
132
134
138
156
158
162
175
182
182
Lc
126
62
128
132
130
81
120
168
57
226
161
200
187
189
Mt
183
187
197
213
221
228
231
231
232
234
236
237
238

Lc
198
199
272
235
181
139
179
215
142
136
135
138
140

Mt
240
241
255
256
257
261
262
265
266
266
267
270
272

Lc
141
175
202
205
213
207
212
157
155
157
158
229
231

 

대조표 Ⅵ: 두 복음서 병행

Mt
9
17
20
22
44
77
100
139
Mc
3
7
9
11
126
63
98
45
Mt
145
148
152
154
157
159
160
163
Mc
60
65
68
71
72
73
76
78
Mt
165
169
173
180
189
202
214
215
Mc
80
84
89
100
103
113
120
124
Mt
224
246
247
250
252
254
260
263
Mc
131
140
142
145
147
149
152
153
Mt
275
282
286
288
290
292
298
305
Mc
157
164
167
169
171
173
179
185
Mt
309
311
330
337
341
347
350

Mc
190
192
208
217
221
226
229

 

 

대조표 Ⅶ: 두 복음서 병행

Mt
5
19
Ioh
83
19
Mt
19
19
Ioh
32
34
Mt
120
185
Ioh
82
215
Mt
207

Ioh
101

 

 

대조표 Ⅷ: 두 복음서 병행

Lc
23
25
27
Mc
12
14
16
Lc
27
28
84
Mc
28
17
48
Lc
89
91
100
Mc
56
61
75
Lc
103
247

Mc
97
136

Lc
277
335

Mc
216
230

 

 

대조표 Ⅸ: 두 복음서 병행

Lc
30
30
262
262
Ioh
219
222
113
124
Lc
274
274
274
303
Ioh
227
229
231
182
Lc
303
303
307
307
Ioh
186
190
182
186
Lc
307
312
312
312
Ioh
190
182
186
190
Lc
340
340
341
341
Ioh
213
217
221
223
Lc
341





Ioh
225





 

대조표 Ⅹ: 마태 특수 단락

 

2
4
6
13
24
26
29
33
35
37
39
42
45
52
56
75
81
89
91
99
101
106
109
113
115
118
124
126
136
140
151
155
167
171
177
181
184
186
188
191
196
200
210
212
218
222
227
230
233
235
239
245
268
273
283
303
319
324
327
345
351
355

 

 

 

대조표 Ⅹ: 마가 특수 단락

 

19
31
43
46
58
62
70
74
81
88
90
92
94
101
104
123
132
186
213

 

 

 

대조표 Ⅹ: 누가 특수 단락

 

1
3
5
9
18
20
22
29
31
50
51
67
68
72
75
104
106
107
113
117
122
124
131
143
149
151
154
159
163
164
166
174
176
178
180
183
188
190
192
196
201
203
208
210
214
223
225
227
236
252
256
259
264
271
273
276
278
283
288
296
298
301
304
306
308
316
320
326
331
334
339
342

 

 

대조표Ⅹ: 요한 특수 단락

 

4
7
9
11
13
16
18
22
24
27
29
31
33
36
39
41
43
45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1
73
75
78
80
81
84
86
89
92
94
97
99
102
104
106
108
110
112
115
117
119
123
125
127
130
132
134
136
138
140
143
145
147
149
151
153
155
157
159
163
165
167
169
171
173
177
179

181
189
191
193
195
200
202
205
207
210

212
214
216
218
220
224
226
228
230
23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