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설교〓/설교.자료모음

19. 이민족의 개종~31. 종교개혁의 선구자

by 【고동엽】 2022. 8. 30.
19. 이민족의 개종 ~31. 종교개혁의 선구자
 
 
 
19. 이민족의 개종                                                                      
종족 개종 시기 대표적인 선교사와 지배자
고트 340년경 울필라(아리우스파)
720년경 보니페이스(인프리트)(가톨릭)
픽트 400년경 니니안
아일랜드 435년경 패트릭
프랑크 496년경 클로비스
스코틀랜드 563년경 콜룸바
앵글로색슨 600년경 켄터베리의 어거스틴, 에델베르
프리즐랜드 690년경 윌리브로르드
 
 
20. 교회와 국가 (754-1309년)                                                  
시기 연도 주요 사건 지도자 주요 사실
샤를마뉴의
신성로마제국
754-962 754년 : 피핀의 교황령 기증8세기 중엽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서(후대에 위조로 밝혀짐)800년 : 샤를마뉴 대관식9세기 중엽 : 위(僞)이시도르 문서(위조로 판명됨)840년 : 샤를마뉴의 손자들에 의한 제국의 분할 피핀  (714년경-768년)샤를마뉴(742-814)니콜라스 1세  (800년경-868년) 교황려의 탄생은 교황이 세속의 통치자가 되게끔 만들었다.샤를마뉴의 대관식은 교회와 국가간의 권력투쟁의 계기가 되엇다.봉건적인 사회의 분권화현상이 나타났다.제국의 말기 교황권은 로마 귀족들의 지배하에서 불경건한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오토대제의
신성로마제국
962-1059 962년 : 오토1세가 교황에 의해 황제로 즉위됨1044-1046년 : 교황의 대분열1054년 : 동방과 서방교회의 대분열 오토 1세(912-973)레오 9세(1002-1054) 이 시기는 이탈리아 내정과 교황권에 대해 독일의 부단한 간섭이 있었던 것이 특징이다.교황들은 대체로 미약하여 이탈리아와 독일 대군주의 꼭두각시에 불과하였다.클뤼니수도원 개혁운동은 교회가 강한 지도력을 갖게 했다.
교황지배권의 확대 1059-1216 1059년 : 추기경단에 위임된 교황 선거 실시1077년 : 헨리4세의 카놋사의 굴욕1095년 : 십자군운동 시작1122년 : 보름스협약1215년 : 제4차 라테란회의 힐데브란트(그레고리7세)(1021년경-1085년)우르반 2세  (1042-1099)헨리 4세(1050-1106)인노센트 3세  (1161-1216) 힐데브란트 식(式)의 개혁은 점차로 교황권의 확대를 가져왔다.평신도 서임논쟁은 절정에 다다랐으며 파문과 금령(禁令)은 교황권의 적절한 조치로 사용되었다.교황권은 절대적인 성속(成俗)의 권위를 주창한 인노센트 3세때에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교황지배권의 쇠퇴 1216-1239 1291년 : 아크르의 함락, 십자군의 종말1302년 : 교황칙서(하나의 거룩한 교회)1309년 : 교황의 바빌론 유수(교황권을 프랑스의 아비뇽으로 천도함)(교황의 아비뇽 유수라고도 일컬음) 보니파시우스 8세  (1234년경-1303년)필립 4세(1268-1314) 교황들은 세속권력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했으나 점차로 교황권은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교황권도 결국에 가서 그 지배권을 프랑스에 넘겨주고 말았다.
 
 
21. 중세 초기의 교회 지도자                                                        
이름 연도 사역지 대표 저서 주요 사실
보에티우스 480년경-524년 아테네이탈리아
  • 철학의 위안
  • 논문집(전 5권)
동고트 왕 데오드릭을 섬기고 있었으며 그의 철학은 인간이 신(神)에게 도달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중심으로 삼고 있으며 결국 그는 반역죄로 고소되어 사형되었다.
대(大) 그레고리 540-604 로마
  • 대교육론(Magna Moralia)
  • 대화론(Dialogues)
귀족가문에서 출생, 베네딕트 수도원에서 교육받은 후 최초로 로마교황이 된 그는 로마교황의 권위를 전(全) 서방교회에 천명하였으며 중세교회에 영향을 끼친 대중신학을 기초하였고 영국에 대한 선교의 열정을 지녔으며 로마를 롬바르드 족(族)으로부터 보호하였다.
이시도르 560년경-636년 세빌
  • 알레고리 성서론
  • 유대인에 대한 보편 신앙론
  • 품사론(어원학)
  • 문장론(전3권)
600년에 세빌의 대주교가 되었으며 633년 톨레도회의의 의장이 되었고 중세에 의심스러운 위(僞) 이시도르 문서의 편집자가 되었다.
베데 673년경-735년 노덤브리아
  • 영국 교회사
  • 린디스판의 성(聖) 쿠트베르트전기
7세에 수도원생활을 시작하여 그의 출생지로부터 몇마일 밖으로 여행해본 적이 없었으며 그의 지식은 수도원의 도서관에서 홀로 습득하였다.
다메섹의 요한 675년경-749년 다메섹팔레스틴
  • 설교집
  • 지식의 원천
기독교 가정에서 출생하여 이슬람 칼리프의 궁정에서 생활하였다.성상숭배론자로서 수도원에 들어가 헌신하였으며 동방교회에 적합한 정통신학을 체계화시켰다.
알퀸 735-804 요오크아헨투우르
  • 삼위일체론
  • 성(聖) 윌리브로르드의 생애
귀족가문의 태생으로 요오크의 성당학교에서 공부한 후 성당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사를마뉴 궁전의 가정교사로 초빙되었고 양자설을 배격하였으며 제롬의 라틴어성서(Vulgate)를 개정하였다.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
785년경-865년 소숀삭소니
  • 성찬론(그리스도의 몸과 피)
  • 동정녀 탄생론
어린시절 고아로 성장한 후 베네딕트 수도원에 들어간 그는 화체설이론의 옹호자로서 경건왕 루이의 친구였고 고트샬크(Gottschalk)를 배격했다.
고트샬크 805-868 라임
  • 데오돌루스의 목가
부모에 의해 어린시절 수도원에 들어온 후 성인이 된 다음에는 수도원을 떠나기를 희망했으나 결국 그의 뜻이 받아들여지지를 않았다.어거스틴의 예정설의 교리 옹호자로서 때로는 정죄시되거나 투옥되기도 하였다. 20년간의 옥고 끝에 잔인하게 죽임을 당했고 그의 유해조차 기독교식으로 묻히지 못하였다.
요한 스코투스
에리게나
810-877 아일랜드프랑스
  • 예정론
  • 삼위일체론(본성에 관하여)
아일랜드 태생으로 프랑스 샤를왕의 궁정에서 생활하였고 범신론적 경향을 지닌 자로서 신플라톤주의자가 되었다.예정론과 성찬론의 논쟁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22. 1054년 동서교회 분열의 주요 사항                                         
원인 동방 교회 서방 교회
정치적인 경쟁대상 비잔틴제국 신성로마제국
교황권의 주장 콘스탄티노플의 대주교는 그 서열상 로마대주교 다음에 있었다. 로마 대주교는 모든 교회의 최고권을 주장하였다.
신학논쟁 발전 칼케돈회의 이후 정체되었다. 끊임없는 논쟁의 전개 속에서 성장과 변화가 지속되었다.
삼위일체 논쟁 성령은 성부로부터 기인한다고 선언하였다. 성령은 성부와 성자로부터 기인한다고 선언하였다.
성상숭배 논쟁 120년 동안 예배시 사용된 성상(聖像)에 관한 논쟁을 전개하면서 마침내 그들은 조상(彫像)사용을 금지하였다. 동방교회와의 부단한 논쟁 끝에 조상(彫像) 사용을 허용하였다.
언어와 문화의 차이 그리스어(동방) 라틴어(서방)
성직자 독신문제 하급 성직자의 결혼은 허용되었다. 모든 성직자는 독신생활을 하게 되었다.
외부세력 회교도들의 압력과 동방교회에 대한 지속적인 침입이 감행되었다. 서방의 이민족은 기독교화하여 서구교회에 동화되었다.
1054년 상호파문 결정 미카엘 케룰라리우스는 교황 레오 9세에 의해 파문당한 후 교황을 저주하였다. 레오 9세는 콘스탄티노플의 미카엘 케룰라리우스 대주교를 하였다.
 
 
23. 십자군 운동                                                                         
십자군 연도 주요 제창자 대표적인 참가자 목표 결과
제 1차 1096-1099 우르반 2세은자 피터 위터 산사브와은자 피터고트샬크투울루즈의 레이몽갓프리탄크레드노르망디의 로베르트 터어키 치하(治下)예루살렘의 자유선포 십자군들은 니케아, 안디옥, 에뎃사, 예루살렘을 차례로 탈환한 후 그곳에 봉건왕국을 세움
제 2차 1147-1148 클레르보의  베르나르에우게네 3세 콘라드 3세루이 7세 터어키로부터 에뎃사 탈환 서방 십자군과 동방 수비대간의 불화는 결과적으로 많은 군사를 잃었고 다메섹 탈환도 실패하였다.
제 3차 1189-1192 알렉산더 3세 프리드리히 1세존엄왕 필립리챠드 1세 살라딘과 사라센 치하예루살렘의 재탈환 프리드리히는 익사하고 필립왕도 귀국하였으며 리차드는 아크르와 욥바를 탈환했으나 살라딘의 계략에 말려 포로가 되어 실패하고 말았다.
제 4차 1200-1204 인노센트 2세 샹파뉴의 티보블루와의 루이플란더즈의 볼드윈시몬 드 몽포르헨리 단돌로 이집트를 침공함으로써 사라센 세력의 약화 기독교권의 자라 도시가 베니스 상인의 농간으로 약탈을 당하였는데 이 당시 십자군은 읻르에게 교통수단을 확보하려고 하였을 뿐이었으나 결과적으로 교황에게 파문당하였고 그러자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시를 약탈하였다.
소년 십자군 1212 니콜라스스데반   순전한 마음으로 성지회복을 위한 출전 대다수의 어린이들이 익사하였고 그중 일부는 살해되거나 노예로 팔렸다.
제 5차 1219-1221 호노리우스 2세 홀란드의 윌리암브랜느의 존 이집트를 공격함으로써 사라센 세력을 약화 십자군은 이집트의 라미에타 지역을 일시적으로 점령했으나 곧 탈환당하고 말았다.
제 6차 1229   프리드리히 2세 예루살렘의 재탈환 십자군은 술탄과 계약을 맺어 예루살렘의 지배권을 얻었으나 이 일로 프리드리히는 파문당하였다.
제 7차 1248   루이 9세 이집트 침공으로 성지 회복 십자군은 이집트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24. 이슬람의 정복과 십자군                                                         
비교 영역 이슬람의 정복 십자군
연 도 633-732 1095-1291
착 수 마호메트의 죽음 클레르몽 회의
결 말 투우르 전투 아크르의 몰락
동 기 성전(聖戰) (지하드)을 통해 불신자들에게 그들의 참다운 신앙을 전파하기 위함이다. 순례자를 보호하고 신의 영광과 이교도 터어키족으로부터 성지(聖地)를 탈환키 위함이다.
동기 유발 전투에 직접 참가한 자에게 사망시 낙원을 보장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죄를 사면받아서 전투 중에 죽는 자는 바로 천국에 들어가며 그밖의 모든 사람들에게도 죄의 짐과 세금감면의 혜택을 부여했다.
타민족(他民族)에 대한 처우 이교도는 코란을 받거나 죽음을 택했으며 우대인과 기독교인은 그들의 종교를 지킬 수 있어서 일정한 세금을 내고 개종하지 않아도 되었다. 정복된 회교도는 무차별하게도 처단당했으며 유대인 거주민들은 학살되었다.
결 과 팔레스틴, 시리아, 소아시아, 이집트, 북아프리카, 스페인은 정복되었지만 그리스 문헌은 "암흑시대"속에서도 보존되었다. 영속적인 영토를 확보할 수 없었고 고전 그리스와 로마문화는 회복되었으며 동방과 서방교회, 기독교인, 유대인 , 회교도인 간의 분열은 심화되었다.
 
 
25.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 존재 증명논쟁                                   
논쟁점 관찰 관련성 결론
운동의 원인 세계의 운동은 그 자체로는 시작할 수 없으나 운동 가운데 부동(不動)의 원동자(原動者)에 의해 움직여야만 한다. 운동자의 무한한 연결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초운동자는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 없이는 어떠한 운동도 발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운동의 무한한 연결은 최초의 동인(動因)을 필요로 한다. 움직일 수 없는 최초 운동의 제 1동인을 신(神)이라 부른다.
인과율의 원인 분명한 사건들은 최초사건과 관련성을 지닌다. 곧 이것이 그들 자신의 원인이다. 위와 같이 인과율의 연쇄고리는 무한정일 수 없다. 영원한 제 1원인을 신(神)이라 부른다.
가능성의 원인 반드시 사물들은 유한하며 그들의 존재는 필요에 의한 것보다 가능성에 있다. 존재의 부차적인 연쇄고리는 유한하지만 필요에 의해 자존하는 존재로서 그들의 원천은 밝혀져야만 한다. 이 자존하는 필연적 존재를 신(神)이라 부른다.
불완전성의 원인 인간은 다른 것보다 완전의 정도를 적게 지닌 사물을 판단한다. 상대적인 평가에서는 절대적으로 완전한 기준을 요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진리에 있어 가장 위대한 것이 가장 위대한 존재이다. 이 절대기준인 신(神)은 반드시 존재해야만 한다.
설계자 원인 생명없는 사물은 정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작동한다. 이 현상은 우연성을 배제하며 합리적인 설계자를 요청한다. 이 합리적인 설계자를 우리가 신(神)이라고 부른다.
 
 
26. 대표적인 스콜라 신학자                                                         
이름
연대
목회지
주요 저서
신앙과 이성에
 대한 견해
우주의 본성에
대한 견해
주요 사실
안셀무스 1033-1109 이탈리아프랑스켄터베리
  • 독백론
  • 대화론
  • 왜 하나님이 인간이 되셨나?
"신앙은 지식에 선행(先行)한다." 실재론자-보편은 개별적 물체에 앞서 실재한다. 이탈리아 태생으로 프랑스 수도원에 입문하여 1093년 켄터베리의 대주교가 되었다. 평신도 서임을 반대하였으며 신(神)존재논쟁에서 존재론적인 주장을 창안해내었으며 그리스도 속죄의 핵심적인 견해를 선언하였다.
피터 아벨라르 1079-1142 프랑스
  • 긍정과 부정
  • 기독교 신학
  • 불행의 이야기
"이해될 때까지 아무것도 믿을 수 없다." 보편실재론자-보편은 개별적물체 속에 있다. 어린 시절부터 지도교사들과 논쟁하였으며 이후 파리 성당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엘로이즈와의 결혼생활로 아버지가 되었으나 엘로이즈의 삼촌에 의해 거세되었다.수도원에 은거하였으나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를 선동한 죄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1090년경-1153년 프랑스
  • 겸손과 교만의 단계들
  • 하나님 사랑
"하나님은 사랑이신 분으로 알려진다." 신비론자 귀족 계층 출신으로 시토수도원에 1113년 입문하여 이후 클레르보에 수도원을 세웠다. 제2차 십자군운동에 앞장섰으며 아벨라르의 격렬한 반대자로 찬송시도 많이 작사하였다.
피터 롬바르드 1095년-1159년경 이탈리아파리
  • 명제집(전 4권)
신앙의 갈등은 이성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보편실재론자 북이탈리아 태생으로 아벨라르의 제자로 파리의 주교가 되었다. 그의 명제집은 중세 조직신학의 교과서가 되었으며 7성사를 강조하였다.
성(聖) 빅토르
위고
1096년경1142년 삭소니파리
  • 대명제집
신앙은 확실히 "경험보다 위이고 학문보다는 아래이다." 신비론자 삭소니 태생으로 파리의 성(聖) 빅토르 학교에 입학하여 후에 교장이 되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1200년경-1280년 바바리아파두아파리꼴로뉴
  • 본성체계론
  • 마리아 찬가
"신학은 참된 의미에서의 학문이다." 보편실재론자 바바리아에서 태어나 도미니코수도회에 입문하였고 아퀴나스의 스승으로 레겐스부르크의 주교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깊은 식견을 지녔고 마리아 숭배를 찬양하였다.
존 보나벤투라 1217년경-1274년 이탈리아
  • 그리스도의 빈곤
  • 성프란시스의 생애
  • 연설록(문집)
  • 신(神)의 마음에 이르는 길
참된 지식은 신(神)과의 명상에서만 얻을 수 있다. 신비론자 투스카니 태생으로 17세에 프란시스코 수도회의 책임자가 되었으며 마리아 숭배의 예찬론자로서 주옥같은 찬송시를 지었다.
토마스 아퀴나스 1225년경-1274년 이탈리아파리꼴로뉴
  • 신학 대전
  • 대이방인 대전
  • 대 그리스 오류론
자연이성은 인간을 "신앙의 문"으로 안내한다. 보편실재론자 아퀴노의 귀족가문 태생으로 5세에 몬테카시노수도원에 입문하였고 19세에 도미니코수도원에 다시 입문하였다. 스승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에게 사사를 받았으며 파리, 꼴로뉴, 이탈리아 등지에서 설교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어거스틴의 저작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의 신학체계를 세웠다.
존 둔스
스코투스
1266년경-1308년 영국파리꼴로뉴
  • 옥스포드 저작집
  • 논제집
신(神)에 대한 지식은 이성으로가 아니라 교호의 권위에 근거해 수용해야만 한다."한가지 사물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철학에서는 진리이지만 신학에서는 그렇지 않다." 보편실재론자 영국 태생으로 프란시스코수도회에 입문하였고 옥스퍼드에서 연구와 교수생활을 하였다. 파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아퀴나스의 적수가 되었다.성모 마리아의 정결교리(무흠설)에 영향받았다. 후에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그는 저능아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윌리암 옥캄 1280년경-1349년 영국파리뮌헨
  • 논리학 대전
  • 스승과 제자의 대화록
"교리는 독특함이란 계시된 신학이 순수이성의 증거에 민감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유명론자-보편은 사물이 있은 뒤에 실재한다. 서레이 태생으로 프란시스코수도회에 입문하였고 둔스 스코투스에게 사사를 받았다. 파리대학 교수생활을 하였으나 그의 이론으로 인하여 파문당하게 되었다.특히 교항무오설에 반대하였고 교회의 일반적 권위를 배격하였다.
 
 
27. 중세의 대표적인 수도회단체                                                   
분류 교단 설립자 설립연도 발생지 핵심 인물 주요 사실
  베네딕트수도회 누르시아의베네딕트 529 이탈리아의몬테카시노 베데보니페이스 최초 수도원으로 베네딕트계율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




성(聖)요한 기사수도회(병원기사단) 레이먼드 드 페이 1113 예루살렘   순례자들의 보호처로 후대에 십자군의 싸움터가 되었다. 수도회 본부는 1530년 몰타섬으로 옮기었고(몰타기사단)1798년 나폴레옹에 의해 폐쇄되었다가 1834년에 재건되었다.
성전기사수도회 위고 드 페이앙성(聖) 오메르갓프리 1119 예루살렘   무력으로 순례자들의 안전을 보호하여 부(富)와 권력을 얻었으나 1312년 폐쇄되었다.
튜튼기사수도회 독일 순례자들 1190 아크르   성지(聖地)의 병원과 경비를 담당하였고 독일지방에서 선교활동을 펼쳤으며 1523년 와해되었으나 동 프리시아 지역에 진출하여 융커지주의 조상이 되었다.




클뤼니수도회 아퀴텐느의 윌리암 910 프랑스의클뤼니 그레고리 7세우르반 2세 베네딕트파 개혁의 결과로 발생하였으며 베네딕트계율을 충실히 이행하였다.(클뤼니 개혁)
시토수도회 로베르 몰렘 1098 프랑스의시토 에우게네 3세베네딕트 12세클레르보의 베르나르 베네딕트계율 추종, 트래피스트 수도회는 이 수도회의 일파였다. 1790년 와해되었다.




어거스틴수도회       토마스 아 켐피스게르하르트 그루테마르틴 루터리미니의 그레고리 성(聖) 어거스틴의 가르침을 신봉하였으며 이들중 몇몇은 탁발수도사가 되었다.
프레몽트르수도회 노르베르 1119 프랑스의프레몽트르   성(聖) 어거스틴의 가르침을 준수하였다.


카르투지오수도회 브루노 1082년경 프랑스의카르투지오 린컨의 위고 카르투지오 계율에 충실하여 매우 엄격하며 자신의 몸을 채찍질하는 고행을 일삼았다.
갈멜수도회 비톨드 1156 갈멜산 아빌라의 테레사 미확인된 엘리야 선지자(구약성서 참조)의 업적을 추모하였으며 후대에 탁발 수도사가 많이 배출되었다.




도미니코수도회 도미닉 구즈만 1216 스페인 토마스 아퀴나스알베르투스 마그누스존 타울러바르톨로메오 드 라 카사지롤라모 사보나롤라토마스 드 토르케마다 어거스틴의 가르침을 전수하였고 교황에 힘입어 이단학설에 대항하였으며 종교재판소를 주관하였다.
프란시스코수도회 아씨시의 프란시스 1223 이탈리아 보나벤투라둔스 스코투스윌리암 옥캄로저 베이컨리라의 니콜라스 이들의 근본규칙과 가르침은 성서에 기인하였다. 절대적인 빈곤생활을 서약하였고 1525년 캐퓨친수도회를 설립, 운영하게 되었다.
  예수회(제수이트파) 이그나티우스로욜라 1540 로마 프란시스 싸비에르로베르 드 노빌리마테오 릿치 이들의 규칙은 로욜라의 영성훈련에 기인하며 이들은 선교와 교육사업에 전력을 다하였고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을 박멸하는 일에 앞장섰으며 1773년 와해되었다가 1814년 재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8. 중세의 비국교도 및 이단                                                        
단체 가르침의 특징 주요 사실
바울파 이원론과 가현설, 바울서신의 강조 및 영지주의자 말시온의 가르침과 유사하며 구약성서와 베드로서신을 거부함과 동시에 모든 외형적인 종교훈련을 배척하였고 극도의 금욕주의생활을 강조하였다. 7세기에 발생하여 동방교회에 한정되어 만연되다가 동방교회의 박해를 받았으며 12세기에 쇠퇴하였다.
보고밀파 이원론에 입각한 철저한 고행생활을 강조하였고 삼위일체논쟁에서 양태론(사벨리안)을 표방하였으며 성찬을 거절하였다. 유키테스의 영향 아래 성장하여 동유럽의 현저한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카타리파
(파타리파,알비겐파)
이원론과 가현설의 주장 및 성찬의 거부를 내세우며 철저한 독신주의를 표방하며 마니교와 유사하였다. 그들만이 참된교회를 나타내며 참신자와 거짓신자를 구분하며 연옥, 면죄부를 거절함과 동시에 종종 금식을 통해 죽음을 맞이하였고 영혼재래설을 믿으며 평화를 애호하는 자들이었다. 11세기 초에 발생하여 바울파와 보고밀파의 영향 아래 성장하였고 추종자들은 유럽 도처에서 화형을 당하였으며 한때 남프랑스 지역에서 커다란 세력을 형성하였으나 여러 차례 종교재판소와 십자군의 공격대상이 되어 점차 쇠퇴하였다.
왈도파 간단한 공동체생활 및 각 지방어로 성서를 전하였고 특히 산상수훈(마태복음 5~7장)을 강조하였으며 평신도설교를 형요하였고 여성설교자를 인정하였으나 연옥을 부정하였다. 피터 왈도(1215년경 사망)에 의해 남프랑스 지역에서 발생한 이들은 리용의 빈자(貧者)"라는 별명이 주어졌으며 교회의 동의없이 하였던 이들의 설교는 저주받았고 북이탈리아 및 오스트리아에서 박해를 당하였다. 1532년 종교개혁에 적극 나섰다.
롤라드파 평신도 설교자의 양성과 화채설의 부정 및 영국민의 평화에 성서의 사용을 강조하였다. 순례여행, 고해성사, 성상숭배를 비난하였고 연옥 및 성직자 독신주의를 부정하였다. 존 위클리프의 추종자들이 결성한 모임으로 다수가 순교하였지만 박해가 시작되자 많은 사람이 국교도로 개종하였다.
후스파 교회보다 성서의 권위 강조와 평신도에게 성찬의 완전한 참여보장요구 및 화채설, 성인(聖人)숭배, 면죄부, 고해성사의 전면부정 그리고 각 지방어로 성서를 읽을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존 후스의 추종자들이 결성한 모임으로 후에 보헤미아 형제단의 원형이 되었다. 이들을 섬멸하기 위한 다섯 차례의 종교전쟁이 있었으며 바젤회의에서 국교도와 타협점을 모색했다. 왈도파에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오늘날 모라비안교도 형성에 깊이 관여하였다.

 

 
 
30. 중세교회의 회의                                                                   
회의 연도 관련 인물 결정 사항
제1차 리테란 1123 칼리스투스 2세 보름스협약을 확정하였다.성직자의 결혼을 금지하였다.십자군 참전자에 대한 면죄부를 승인하였다.
제2차 리테란 1139 인노센트 2세 반(反)교황주의자 아나클레투스 2세의 추종자를 정죄하였다.대분열집단을 비난하였다.제1차 라테란회의의 결정사항을 재확인하였다.
제3차 리테란 1179 알렉산더 3세 카타리파를 비난하였다.교황 선출시 추기경외의의 2/3찬성을 원칙으로 하였다.
제4차 리테란 1215 인노센트 3세 종교재판소 설치와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선출의 승인 및 대헌장의 비난 그리고 화채설의 규정을 정하였다.프란시스코 종단을 승인한 반면 카타리파와 왈도파를 비난하였다.제5차 십자군 출정을 결의하였다.
제1차 리용 1245 인노센트 4세 황제 프리드리히 2세를 폐위하였다.성지 예루살렘이 이슬람에게 정복되었음을 애도하였다.
제2차 리용 1274 그레고리 10세 삼위일체 조항 재확인 및 새로운 수도원 신설금지, 그리고 동방과 서방교회의 재통합을 추진하였다.추기경단은 교황선거기간 동안 급료를 받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비엔나 1311-1312 클레멘트 5세 성전 기사단 폐지 및 새로운 십자군 창설에 노력했으나 실패하였다.베긴수도회와 베가르트수도회를 비난하였다.
피사 1409 피터 달리피터 필라르기귀 드 마제즈 교황권의 중재안 승인 및 로마의 그레고리 12세와 아비뇽의 베네딕트 13세의 파문 결정 및 알렉산더 5세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였다.이 결정으로 세 명의 교황이 존재하여 교황권의 막대한 타격을 안겨 주었다.
콘스탄스 1414-1418 요한 23세지기스문트피터 달리존 거슨 세명의 대립교황을 파문하고 마르틴 5세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여 대분열의 막을 내렸다.존 후스의 사형이 결정되었고 회의의 권위는 교회에 대해 절대적이 되었고 교회 결정사항이 필요로 하는한 회의가 소집되는 선례를 남겼다.
바젤 1431-1449 마르틴 5세에우게네 4세줄리안 케사르니쿠사의 니콜라스 교황이 회의를 해산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인 결과 회의의 권위는 더 한층 강화되었다.교황은 자신의 권위를 재확인하고자 회의의 분열을 조장하였고후스파와의 타협점을 모색하였다.
 
 
31. 종교개혁의 선구자                                                                
이름 연도 교회에 도전한 요소 신상명세
토마스 브래드워딘 1290년경-1349년 구원에 있어서 신(神)의 은총을 강조함     영국의 신학자이며 수학자로 1349년 켄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되었으나 그해 흑사병으로 사망하였다.
리미니의 그레고리 ?-1358 구원에 있어서 신(神)의 은총을 강조함     이탈리아 철학자이며 어거스틴수도회 수도사였다.
존 위클리프 1329년경-1384년 화채설을 부인함 교회의 부(富)의 축적, 면죄부 판매를 반대함 성서의 권위를 강조함 옥스포드대학 교수로 1381년 농민반란과 연루되어 해직되었고 라틴어성서 대부분을 영어로 번역하였으며 그가 죽은 후 그의 시체는 발굴되어 1428년 화형을 당하였다.
존 후스 1373년경-1415년 교회를 성사(聖事)보다 그리스도인답게 사는 자들의 모임으로 규정지음 면죄부 판매, 성상숭배 반대함 성서의 권위를 강조함 보헤미아의 사제로서 프라하대학 교수였으며 콘스탄스회의의 결정에 의해 화형에 처해졌다.
베젤의 존 1420년경-1489년 화채설을 부인함 면죄부 판매, 성직자 독신주의에 반대함 성서의 권위를 강조함 독일 신학자로 공동생활의 형제단 일원으로 개종한 후 이단으로 정죄되어 투옥생활 끝에 사망하였다.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1452-1498   교황의 부도덕성을 공박함   이탈리아 도미니코수도사로 플로렌스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화형을 당하였다.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1466년경-1536년   교회내 성직자의 위선과 모순을 지적함   화란의 인문주의자로 루터가 사용한 그리스어 신약성서를 편찬하였으며 그의 명저 "우신 예찬(In Praise of Folly)"은 교회의 무능력함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