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울 연구 총정리〓/바울 서신

2012년 바울서신 강의안2

by 【고동엽】 2023. 2. 26.

1.png
0.25MB

 

2012학년도 바울서신 강의안 2 “바울과 서신: 일반적인 개관” 1. 배경 바울은 우리에게 도서관이나 연구실에서 조직적으로 쓴 신학 책이나 논문을 남겨 주지 않았다. 그가 남긴 것은 자신이 직접 개척했거나 혹은 개인적으로 깊은 관심을 갖고 있던 교회들에게 보낸 13개의 서신들뿐이다.1) 물론 이것이 바울이 그의 생애 동안 13서신만을 썼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적어도 4번 이상 편지를 보냈고, 그리고 라오디게아교회에도 편지를 보냈다(골 4:6). 그러나 현존하고 있는 바울의 편지들은 13개의 서신뿐이다. 13개 서신중에서 빌립보서, 빌레몬서, 에베소서, 골로새서는 옥중서신으로, 디모데전∙후서, 디도서는 목회서신으로 불리어진다. 반면에 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 데살로니가전·후서 등은 교리선신으로 불리어지지만 이러한 분류는 어떤 의미에서 인위적이다. 왜냐하면 바울의 모든 서신들이 목회적인 관점에서 쓰여졌지만 동시에 교리적이고 신학적인 내용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이 서신들을 통해서 자신의 메시지를 교회에 전달하고 교회들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했다.2) 더구나 고대 사회는 오늘날처럼 통신 수단이나 교통이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편지의 비중이 막중했고, 심지어 편지가 그 편지를 써서 보내는 사람의 인격적 임재를 대신하기도 했다.3) 따라서 우리는 바울이 각 서신들을 쓸 때 자신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심사숙고한 다음 매우 용의주도하게 편지를 썼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당시에는 편지의 여러 가지 유형 및 양식과 표현 기법들이 발달되어 있었으므로, 바울은 이러한 표현 양식과 기법들을 독창적으로 활용해 자신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려고 노력했을 것이다.4) 현대 사회에서 편지를 쓰는 데는 종이, 펜, 컴퓨터,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만 있으면 되지만, 바울이 활동했던 고대 헬라-로마 사회에서 편지를 쓰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종이, 잉크, 펜, 서기(secretary) 등 4가지가 필요했다.5) 주전 54년 7월 키케로(Cicero)는 자기 동생 Quintus가 보낸 편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 1)우리는 이 서신들을 통해서 바울의 신학, 그의 인격, 습관, 문체, 어법 등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서신들은 우리가 바울을 아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2)바울이 교회들에게 헬라어로 편지를 썼다는 사실은 바울 자신뿐만 아니라 편지의 수신자인 교회가 헬라어로 쓰여진 편지를 읽거나 듣고 이해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물론 주후 1세기 헬라-로마 문화권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헬라어를 읽고 쓸 수 있었는가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10-20%의 사람들은 헬라어를 읽고 쓸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바울 당대 헬라-로마 사회의 교육에 관해서는 Henri I. Marrou, A History of Education in Antiquity (New York: Sheed & Ward, 1956); William V. Harris, Ancient Literac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Harry Gamble, Books and Readers in the Early Church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5)을 보라. 3)이것은 우리 동양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예를 들어, 동양사회에서 임금의 칙서는 바로 임금의 인격적 인재를 대변했다. 그래서 임금의 칙서를 받는 신하는 임금이 계신 궁전을 향해 3번 절하고 칙서를 받아야만 했다. 4)바울 당대 헬라-로마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편지 양식들이 발달되었다. 편지의 종류로는 친구 간에 주고받는 우정의 편지, 가족들 간의 가족 편지, 어떤 사람을 칭찬하거나 비난하는 편지 등이 있었다. 바울의 편지 유형과 유사한 권면이나 충고 편지에는 권면, 설득, 충고, 책망, 위로, 중재, 변증 등 여러 종류의 편지들이 있었다. 보다 자세한 것은 Stanley K. Stowers, Letter Writing in Greco-Roman Antiquity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1989), 49-174를 보라. 5)서신은 고대로부터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발달되어 온 것 같다. 1935-38년에 시리아 남쪽에 있는 마리(Mari)에서 기원 - 2 - 은 답신을 보냈다. 이 편지를 위해서 나는 좋은 펜과 잘 혼합된 잉크와 상아색으로 염색된 종이를 사용하겠네. 왜냐하면 자네가 보낸 편지에 내가 지난번에 보낸 편지를 거의 읽을 수 없었다고 기록했기 때문일세. 그러나 이보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자네가 나의 사랑하는 동생이기 때문일세. 나는 그 동안 분주하지도 않았고, 충격 받은 일도 없었고, 다른 사람과 싸운 일도 없었네. 나의 가장 일상적인 습관은 내 손에 좋은 펜이 잡히는 대로 편지를 쓰는 것이었네(Cicero, Letters to His Brother Quintus, 1:15b, 1). 당시에 펜은 주로 갈대로 만든 펜(calamus)이 활용되었는데,6) 이집트에서 만든 것이 최상품으로 평가되었다(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 16:157). 잉크는 주로 검은색이 사용되었으며, 우리가 사해문서에 볼 수 있는 것처럼(4QNum b) 제목 등을 위해서 가끔 빨간색도 사용되었다. 잉크는 주로 불을 땐 굴뚝에 묻어 있던 검은 매연을 원료로 만들었다. 종이는 나일강 늪지에서 자라는 식물인 파피루스 뿌리를 넓혀 만든 것이 사용되었다.7) Pliny에 따르면, 가장 좋은 종이는 그 넓이가 약 24.7cm나 되었고, 나쁜 종이는 17cm정도 되었다. 그러니 평균 크기는 요즘 A4용지 정도 된 것 같다. 종이를 서로 연결해 두루마리로 만들었는데, 한 두루마리에 50종이까지 사용되곤 했다.8) 편지를 쓰는 데 있어서 종이, 잉크, 펜과 함께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전문적인 서기(書記)였다. 대다수의 고대 편지들이 전문적인 서기에 의해 대서되었다.9) 키케로는 종종 자신의 편지 서두에 전문적인 서기(관)에게 자기 편지를 대신 쓰도록 했음을 언급하고 있다.10) 키케로처럼 분명하게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바울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우리가 로마서 16:2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로마서는 서기 더디오에 의해 쓰여졌음이 분명하다. 그밖에 바울이 종종 자신의 편지 가운데 특별히 자신의 손으로 어떤 부분을 쓰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데(살후 3:17; 갈 6:11; 빌레몬 6:19; 고후 16:21; 골 4:18), 이것은 편지의 다른 부분은 바울의 서기에 의해 쓰여졌음을 암시한다.11) 물론 바울이 자신의 편지를 서기에게 대서시켰다고 해서, 그것이 곧 그가 편지를 쓸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거나 혹은 편지의 내용에 책임이 없다는 말은 아니다. 우리는, 바울이 비록 서기에게 자신의 편지를 대서시켰다고 할지라도, 그가 편지의 모든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확인했다고 볼 수 있다.12) 하지만 바울 서신에 동원된 서기의 역할과 범위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Richard는 주후 1세기의 서기의 기능을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첫째, 편지를 보내는 사람이 불러주는 대로 받아 적는 ‘필사가’(recorder), 둘째, 편지를 보내는 사람으로부터 편지를 받는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요지만을 전달받아 그것을 편지 전체 문장으로 편집하는 ‘편집자’(editor), 셋째, 편지를 보내는 사람을 대신하여 공동 이름으로 직접 편지를 쓰는 ‘공동 저자’(substitute author).13) 이 세 가지 유형의 서기관 중 편지의 내용과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는 ‘서기’의 책임전 2000년 전에 쓰여 졌다고 보아지는 약 5천 개 이상의 편지 단편들이 발굴되었다. 그리고 1887년 가을에 에집트 카이로 남쪽 약 180마일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Amenophis에서 한 여자 양치기에 의해 기원전 1377-1366년 사이에 쓰여 진 수백 종류의 편지들이 발견되었다. 6)금속으로 만든 펜은 주후 3-4세기부터 활용되었고, 새털로 만든 펜은 7세기부터 활용되었다. 7)종이를 영어로 paper라고 하는데 이 말은 본래 헬라말 papyrus에서 유래되었다. 파피루스로 종이를 만드는 과정은 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 13:68-83에 잘 기술되어 있다. 8)현존하는 바울 서신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주후 200년경에 만들어진 Chester Beatty Papyrus(P46)인데 이 두루마리 책에는 52장의 종이가 사용되었다. 이 사본에는 디모데전후서, 디도서를 제외한 모든 바울 서신들이 수록되어 있다. 9)G.J. Bahr, “Paul and Letter Writing in the First Century,” CBQ 28 (1966): 465-77; E.R. Richards, The Secretary in the Letters of Paul (WUNT 2/42; TŒbingen: Mohr, 1991); Jerome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Writer. His World, His Options, His Skills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5), 6. 10)예를 들어, Cicero, Letters to Atticus 4:16.1: “내 편지가 서기의 손에 의해 쓰여지고 있는 이 사실이 내가 얼마나 바쁘다는 것을 당신에게 보여 줄 것입니다.” 11)Richards, The Secretary in the Letters of Paul, 173, 176-77. 12)Jerome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Writer, 7. 13)Richards, The Secretary of the Letters of Paul. - 3 - 이 제일 작고, ‘공동 저자’의 책임이 제일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바울이 활용한 서기는 어떤 유형에 속하는 것일까? 아마도 바울 자신이 뛰어난 문필가이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바울의 경우에는 서기가 제 1유형인 필사가의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바울이 쓴 편지 중에서 로마서, 에베소서, 디모데전후서, 디도서의 경우에는 바울 단독의 이름으로 보내진 반면에, 다른 편지들은 다음과 같이 자신의 이름과 다른 사람의 공동 이름으로 보내졌다: ․데살로니가전후서 실바누스와 디모데 ․고린도전서 형제 소스데네 ․고린도후서 형제 디모데 ․빌립보서 디모데 ․빌레몬 형제 디모데 ․갈라디아서 나와 함께 있는 모든 형제들 ․골로새서 형제 디모데 그렇다면, 이들 공동 이름의 사람들은 바울의 편지에서 서기의 역할을 했으며, 따라서 바울이 쓴 편지 내용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고 보아야 하는가? 우리는, Cicero가 자신의 편지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이 다만 편지의 수신자와 관련해 공동 이름으로 편지를 보낸 경우를 보아, 바울 서신에 나타나는 공동 이름도 편지의 내용에 대한 공동 책임을 강조하기보다도 오히려 편지를 받는 수신자들과의 관계 때문인 것으로 본다.14) 즉 우리는, 바울이 그의 서신에서 종종 공동 이름으로 편지를 보내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더라도, 이들이 편지의 내용에 대해 바울과 함께 공동 책임이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 2. 구성 바울의 편지들은 문학적 장르상 어떻게 분류되는가? 19세기 말 Adolf Deissman은 바울 당대의 편지들을 특별한 문학적 특징을 갖지 않은 순수한 사적인‘편지’(letter)와 특별한 문학적 형태를 지닌 공적인‘서신’(epistle)으로 나누고, 바울의 편지들을 전자로 분류했다.15)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의 학자들은 바울의 서신들을 Deissmann의 분류를 따라 나누지 않는다.16) 바울의 서신들은 어떤 특별한 목적을 갖고 특수한 사람들에게 보내졌다. 그런 점에서 바울의 편지들은 ‘편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바울의 편지들이 개인이 아닌 주로 공동체에 보내진 것임을 고려한다면, 그것들은 ‘서신’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늘날 바울 서신들은 ‘편지’로도, 그리고 ‘서신’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17) 바울의 편지들은 당대 일반적인 편지의 3가지 구성 요소인 ‘서두 인사’(Address), ‘본론’(Body), 그리고 ‘결언’(Farewell)을 지니고 있다. 1) 서두 인사(Address) 바울 당대 편지의 전형적인 서두는 대단히 짧다. 사도행전 23:26에 나오는 글라우디오 루사아가 총독 벨릭스에게 보낸 편지의 서두 인사, “글라우디오 루시아는 총독 벨릭스 각하에게 문안하나이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당시 서두 인사의 필수적인 두 요소는 편지를 보내는 발신자와 14) J.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Writer, 16-19. 15) A. Deissmann, Bible Studies. Contributions Chiefly from Papyri and Inscriptions to the History of the Language, the Literature, and the Religion of Hellenistic Judaism and Primitive Christianity (Edinburgh: Clark, 1901), 3-59. 16) Stowers, Letter Writing in Greco-Roman Antiquity, 17-20; Jerome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 Writer, 42-45; C.B. Cousar, The Letters of Paul (Nashville: Abingdon, 1996), 23-26. 17) Terence L. Donaldson, "Introduction to the Pauline Corpus," The Pauline Epistles, edited by John Muddiman and John Bart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5-46. - 4 - 편지를 받는 수신자의 이름이었다(역시 행 15:23; 엡 1:1).18) 그리고 짧은 문안인사였다. 그러나 바울의 서두 인사는 아래와 같이 편지를 보내는 발신자와 수신자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 그리고 긴 헬라적-히브리적 문안 인사 등 주로 3가지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그 형태도 수신자의 상황과 관련해 다양한 형태를 보여 준다. (1) 로마서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발신자),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로 말미암아 그의 아들에 관하여 약속하신 것이라 로마에 있어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입고 성도로 부르심을 입은 모든 자에게(수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인사)”(1:1-7). (2) 고린도전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로 부르심을 입은 바울과 및 형제 소스데네는(발신자)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곧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자들과 또 각처에서 우리의 주 곧 저희와 우리의 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모든 자들에게(수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인사)”(1:1-3). (3) 고린도후서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된 바울과 및 형제 디모데는(발신자)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와 또 온 아가야에 있는 모든 성도에게(수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인사)”(1:1-2). (4) 갈라디아서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와 및 죽은 자 가운데서 그리스도를 살리신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도된 바울은 함께 있는 모든 형제와 더불어(발신자) 갈라디아 여러 교회들에게(수신자) 우리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인사)(1:1-3). (5) 에베소서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된 바울은(발신자) 에베소에 있는 성도들과 그리스도 예수 안의 신실한 자들에게(수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찌어다”(인사)(1:1-2). (6) 빌립보서 “그리스도 예수의 종 바울과 디모데는(발신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는 감독들과 집사들에게(수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로서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 찌어다”(인사)(1:1-2). (7) 골로새서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된 바울과 형제 디모데는(발신자)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 곧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에게(수신자) 우리 하나님 아버지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찌어다”(인사)(1:1-2). (8) 데살로니가전서 18) 예를 들어, “Cicero to Trebatius”(Cicero, Letters to His Friends, 7:14-15). - 5 -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발신자)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게(수신자)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찌어다”(인사)(1:1). (9) 데살로니가후서 “바울과 실라우노와 디모데는(발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게(수신자)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찌어다”(인사)(1:1-2). (10) 디모데전서 “우리 구주 하나님과 우리 소망이신 그리스도 예수의 명령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된 바울은(발신자) 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에게(수신자)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찌어다”(인사)(1:1-2). (11) 디모데후서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대로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된 바울은(발신자)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수신자)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찌어다”(인사)(1:1-2). (12) 디도서 “하나님의 종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바울 곧 나의 사도된 것은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영생의 소망을 인함이라 이 영생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영원한 때 전부터 약속하신 것인데 자기 때에 자기의 말씀을 전도로 나타내셨으니 이 전도는 우리 구주 하나님의 명대로 내게 맡기신 것이라(발신자) 같은 믿음을 따라 된 나의 참 아들 디도에게(수신자)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찌어다”(인사)(1:1-4). (13) 빌레몬서 “그리스도 예수를 위하여 갇힌 자된 바울과 및 형제 디모데는(발신자) 우리의 사랑을 받는 자요 동역자인 빌레몬과 및 자매 압비아와 및 우리와 함께 군사된 아킵보와 네집에 있는 교회에게 편지하노니(수신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찌어다”(인사)(1-3). 위에 제시된 바울의 여러 서신의 서두 인사가 보여 주는 것처럼, 바울의 각 서신에 나타나는 서두 인사는 정확하게 모두 동일하지 않다. 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골로새서, 디모데전∙후서에는 바울이 자신의 사도됨을 강하게 언급하고 있으나, 빌립보서, 데살로니가전∙후서, 빌레몬서 등에는 전혀 사도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바울이 빌립보서, 데살로니가전∙후서, 빌레몬서 등에서 자신의 사도됨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 것은 편지의 수신자들에게 그것을 언급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고, 반면에 다른 서신에서 자신의 사도됨을 강하게 언급한 것은 수신자들에게 자신을 그렇게 소개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19) 편지의 수신자들에 대한 소개도 마찬가지다. 데살로니가전후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에는 수신자가 ‘교회’(ejkklhsi va) 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빌립보서, 로마서, 골로새서, 에베소에는 교회의 구성원인 일반 ‘성도들’로 소개되어 있고, 디모데전후서, 디도서에는 개인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고 있다. 반면에 서문에 나타나는 바울의 인사 내용은 거의 동일하다. 바울은 한결같이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오는 ‘은혜’와 ‘평강’을 인사의 주 내용으로 삼고 있다. 이런 점에서 그의 인사는 헬라-로마 사회의 표준적인 인사인 ‘기뻐하라’나 유대적 인사인 ‘살롬’(평강)과는 다르다. 19)Jerome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Writer, 46-49. - 6 - 2) 감사 문단(Thanksgiving) 바울 서신의 특징 중 하나는 편지의 서두 인사와 본론 사이에 소위 하나님께 대한 ‘감사문단’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즉 갈라디아서, 디모데전서, 디도서를 제외하고는 모든 서신들이 감사 문단을 갖고 있다(롬 1:8; 고전 1:4; 고후 1:3; 엡 1:4; 빌 1:3; 골 1:3; 살전 1:2; 살후 1:3; 딤후 1:3; 빌레몬 1:4).20) 교회들에게 보낸 편지들 중 유일하게 갈라디아서에 감사에 대한 언급이 생략된 것은 아마도 갈라디아 교회의 상황이 바울로 하여금 감사 대신 책망을 할 수밖에 없도록 했었기 때문일 것이다.21) 바울은 종종 이 감사 문단을 통해서 수신자들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또한 자신이 수신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간략하게 피력한다. 그런 점에서 감사 문단은 바울의 편지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2) 3) 몸체(Body) 바울 서신의 중심부를 이루는 본론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바울 서신의 본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우리가 다음 장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지만, 주로 바울 서신에 대한 고대 헬라-로마의 수사학적-서신적 접근에 집중되어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대로 수사학은 고대 헬라-로마의 가장 기본적인 교육의 내용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의 수사학과 퀸틸리안(AD 35-95)의 수사학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고대 헬라-로마의 수사학은 크게 다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권면적 수사학 목적: 상대방의 행동이나 습관을 바꾸도록 하려는 것, 즉 상대방으로 하여금 어떤 것을 취하거나 버리도록 하려는 것 방법: 설득 혹은 단념 청중: 행동의 결단 시간: 미래 (2) 법정적 수사학 목적: 자신의 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것 방법: 공격, 방어 청중: 행동의 결단 시간: 과거 (3) 시위적 수사학 목적: 어떤 사람이 존경받을 만 하다는 것을 입증하여 공동 가치를 축하하려는 것 방법: 칭찬 혹은 비난 청중: 단순한 목격자 시간: 현재 20)바울 서신에 나타난 감사 구분의 특징, 범위, 의미 등에 대해서는 P. Schubert, Form and Function of the Pauline Thanksgivings (BZNW 20; Berlin: Topelmann, 1939); Peter T. O'Brien, “Thanksgiving within the Structure of Pauline Theology,” in Pauline Studies: Essays Presented to Professor F.F. Bruce on His Seventieth Birthday, ed. D.A. Hagner and M.J. Harris (Grand Rapids: Eerdmans, 1980), 54-60를 보라. 21) G.W. Hansen, Abraham in Galatians: Epistolary and Rhetorical Contexts (JSNTSS 29: Sheffield: JSOT Press, 1989), 33. 22)Peter T. O’Brien, “Thanksgiving within the Structure of Pauline Theology,” in Pauline Studies, Essays presented to Professor F.F. Bruce on his 70th Birthday, 54-63. - 7 - 물론 이 세 가지 유형의 수사학은 때로 서로 혼합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유형의 수사학은 그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의 구성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Exordium, Narratio, Digressio, Propositio, Confirmatio, Peroratio. 물론 이것은 모든 수사학적 연설문이 한결같이 이 여섯 가지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갖고 있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우리말로 ‘이유’ 혹은 ‘설명’ 등으로 번역되는 Exordium은 연설문의 도입 부분이다. 이 도입 부분의 주 기능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연설의 내용에 대하여 청중들의 호감과 관심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주로 이 부분은 연설가 자신에 대하여 소개하거나, 자신이 말할 수밖에 없는 당위성을 천명하거나, 반대자들을 비평하거나, 청중들을 칭찬하거나, 혹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주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말로 ‘설화’, ‘이야기’ 등으로 번역되는 Narratio는 연설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배경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때로 이 부분은 연설가 자신이 청중으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연설가가 청중에게 잘 알려져 있고, 신뢰를 받고 있다면, 이 부분은 간략하게 언급될 수도 있다. 우리말로 ‘여담’으로 번역되는 Digressio는 연설문의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고 연설가가 자신의 연설문의 핵심 부분에 들어가기 직전에 청중들로 하여금 자신의 다음 말에 대해 관심과 호감을 갖도록 청중들에게 그 중요성을 상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말로 ‘논제’로 번역되는 Propositio는 연설가가 청중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가장 중요한 논지를 가리킨다. 우리말로 ‘논증’, ‘증명’ 등으로 번역되는 Cofirmatio(이 말은 때로 Probatio, Argumantatio로 표현되기도 한다)는 연설문의 가장 중요한 본론을 형성하는데, 주로 논제 부분을 증명하고 설명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권면적인 연설문의 경우에는 때로 논증 부분 후반부에 청중들의 감동과 결단을 불러일으키는 ‘권면’ 혹은 ‘훈계’(Exhortatio)가 첨가되기도 한다. 우리말로 ‘결론’으로 번역되는 Peroratio는 연설문의 가장 마지막 부분을 형성하는데, 연설가가 자신이 말한 주된 논증의 핵심 부분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청중들로 하여금 자신을 지지하도록 유도하거나 혹은 자신에 동의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울 당대에 이와 같은 수사학의 기법이 보편화되어 있었다면, 과연 바울은 편지를 쓸 때 그런 수사학적 기법들을 활용했을까? 최근에 적지 않은 학자들은 바울이 자기 당대에 통용되는 수사학의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편지들을 썼다고 보고 바울의 개별 서신들의 구조를 수사학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로마서 ▸ W.H. Wuellner23) Exordium: 1:1-15; Transitus: 1:16-17; Confirmatio: 1:18-15:13; P e r o r a t i o : 15:14-16:23 ▸ G.A. Kennedy24) Exordium: 1:8-15; Propositio: 1:16-17; Confirmatio: 1:18-11:36; E x h o r t a t i o : 12:1-15:13; Peroratio: 15:14-23. ▸ R. Jewett25) Exordium: 1:1-12; Narratio: 1:13-15; Propositio: 1:16-17; Confirmatio: 23)W.H. Wuellner, “Paul's Rhetoric of Argumentation in Romans: An Alternative to the Donfried-Karris Debate over Romans,” CBQ 36 (1976): 330-51. 24) G.A. Kennedy,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through Rhetorical Criticism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4), 153-54. 25)R. Jewett, “Following the Argument of Romans,” Word-World 6 (1986): 382-89. - 8 - 1:18-15:13; Peroratio: 15:14-16:23. (2) 고린도전서 ▸ M. Mitchell26) Epistolary Prescript: 1:1-3; Exordium: 1:4-9; Propositio: 1:10; Narratio: 1:11-17; Confirmatio 1:18-15:57; Peroratio: 15:58; Epistolary Conclusion: 16:1-24. (3) 갈라디아서 ▸ H.D. Betz27) Epistolary prescript (1:1-5); Exordium: 1:6-11; Narratio: 1:12-2:14; Propositio: 2:15-21; Confirmatio: 3:1-4:31; Exhortatio: 5:1-6:10; Epistolary postscript: 6:11-18. ▸ R.G. Hall28) Exordium: 1:1-5; Propositio: 1:6-9; Confirmatio: 1:10-6:10; Peroratio: 6:11-18. ▸ G.A. Kennedy29) Exordium: 1:6-10; Confirmatio: 1:11-5:1; Exhoratatio: 5:2-6:10; Peroratio: 6:11-18. ▸ F. Vouga30) Exordium: 1:6-11; Narratio: 1:12-2:14; Propositio: 2:14-21; Confirmatio: 3:1-4:31; Exhortatio 5:1-6:10. (4) 에베소서 ▸ A.T. Lincoln31) Exordium: 1:1-23; Narratio: 2:1-3:21; Exhortatio: 4:1-6:9; Peroratio: 6:10-20 (5) 빌립보서 ▸ D.F. Watson32) Exordium: 1:3-26; Narratio: 1:27-30; Confirmatio: 2:1-3:21; Peroratio: 4:1-20. (6) 골로새서 ▸ A.N. Aletti33) Exordium: 1:3-23; Confirmatio: 1:24-4:1; Peroratio: 4:2-6. (7) 데살로니가전서 26) M. Mitchell, Paul and the Rhetoric of Reconciliation. An Exegetical Investigation of the Language and Composition of 1 Corinthians (HUT 28; Tübingen: Mohr, 1991). 27)H.D. Betz, Galatians (Philadelphia: Fortress, 1979), 16-23. 28)R.G. Hall, “The Rhetorical Outline for Galatians: A Reconsideration,” JBL 106 (1987): 277-87. 29)G.A. Kennedy,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through Rhetorical Criticism, 148-51. 30)F. Vouga, "Zur rhetorischen Gattung des Galaterbriefes," ZNW 79 (1988): 291-92. 31)A.T. Lincoln, Paradise Now and Not Yet: Studies in the Role of the Heavenly Dimension in Paul's Thought with Special Reference to Eschat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xli-ii. 32)D.F. Watson, “A Rhetorical Analysis of Philippian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Unity Question,” NovT 30 (1988): 57-88. 33)A.N. Aletti, Saint Paul. Epitre aux Collossiens (EBib. Paris: Gabalda, 1993), 39. - 9 - ▸ R. Jewett34) Exordium: 1:1-5; Narratio: 1:6-3:13; Confirmatio: 4:1-5:22; Peroratio: 5:23-28. ▸ G.A. Kennedy35) Exordium: 1:2-10; Refutatio: 2:1-8; Narratio: 2:9-3:13; Confirmatio: 4:1-5:22; Peroratio: 5:23-28. (8) 데살로니가후서 ▸ R. Jewett36) Exordium: 1:1-12; Partitio: 2:1-2; Confirmatio: 2:3-3:5; Exhortatio: 3:6-15; Peroratio: 3:16-18. (9) 빌레몬서 ▸ F.F. Church37) Exordium: 4-7; Confirmatio: 8-16; Peroratio: 17-22. 최근의 신학자들이 시도한 바울 서신들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을 우리는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바울이 그의 고향 다소에서 초등 및 중등교육을 받을 동안이나 그후 예루살렘에서 바리새파 랍비 교육을 받을 동안 수사학과 관련된 정규 교육을 받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길은 없다. 그러나 바울 당대에 수사학이 초등교육의 필수적인 내용이었고, 많은 사람들에게 수사학이 알려져 있었다면,38) 바울과 그의 독자들이 수사학을 어느 정도 알고 활용했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없을 것이다. 사실상 바울의 독자들이 수사학을 알고 있었다면, 바울은 자신이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그들에게 익숙한 수사학의 기법을 사용했을 것이다. 더구나 바울 서신들이 주로 교회에서 구두로 낭독되었다면, 청중들이 보다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요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익숙한 수사학적 혹은 서신적 기법을 활용했을 것으로 추론하는 것은 타당할 것이다.39) 그러나 우리는, 최근의 적지 않은 학자들의 주장처럼, 바울이 당대의 수사학 교과서의 규범에 따라 편지를 썼다고 보지는 않는다.40) H. D. Betz는 바울이 갈라디아서를 당대의 수사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수사학 기법 중 하나인 법정적 수사학의 원리를 따라서 썼다고 주장하지만, 그는 고대의 법정적 수사학 기법으로 쓰여 진 서신들 중 갈라디아서와 유사한 단 하나의 예도 제시하지 못한다. 더욱이 갈라디아서의 후반부인 5-6장의 내용은 법정적 수사학과는 전혀 맞지 않는다.41) 그러므로 우리는 고대 헬라-로마의 수사학의 기법을 지나치게 과신하거나 남용하여 바울의 모든 서신들을 수사학의 범주로 설명하려고 시도해서는 안 될 것이다.42) 바울은 우리에게 수사학 책이 34) R. Jewett, The Thessalonian Correspondence. Pauline Rhetoric and Millenarian Piety (Philadelphia: Fortress, 1986), 72-76. 35) G.A. Kennedy,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through Rhetorical Criticism, 142-44. 36) R. Jewett, The Thessalonian Correspondence. Pauline Rhetoric and Millenarian Piety, 82-85. 37)F.F. Church, “Rhetorical Structure and Design in Paul's Letter to Philemon,” HTR 71 (1978): 17-33. 38)S.E. Porter, Handbook of Classical Rhetoric in the Hellenistic Period 330 B.C.-A.D. 400 (Leiden Brill, 1997). 39)Ben Witherington III, “Paul the Writer and Rhetor,” in The Paul Quest, 93-94. 40) 수사학 접근의 장단점에 대하여서는 R.D. Anderson, Ancient Rhetorical Theory and Paul (Kampen: Korpharos, 1996); S.E. Porter, “Paul of Tarsus and His Letter,” in Handbook of Classical Rhetoric in the Hellenistic Period 330 B.C.-400, 538-85을 보라. 41) 자세한 문제는 다음 장을 보라. 42)D.L. Stamps, “Rhetorical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Ancient and Modern Evaluations of Argumentation,” in Approaches to New Testament Study, ed. S.E. Porter and Tombs (Sheffield: Academic Press, 1995), 129-69. - 10 - 아니라 목회적인 서신들을 남겼던 것이다.43) 그리고 바울 서신에는 수사학의 기법은 물론 서신적 기법과 유대 문학의 특징인 ABCA'B'C' 등의 병행법, ABCDC'B'A' 등의 교차대구법 등도 자주 나타난다. 따라서 우리는, 바울이 설령 수사학의 기법을 알았다고 하더라도, 그가 그것을 기계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서신의 목적, 수신자들의 상황 등을 고려해 창의적으로 활용했으리라고 본다. 바울 서신들이 똑같은 문학적 형태가 아니라 각각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해 준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특정한 수사학이나 그밖의 문학적 형태에다 바울의 각각의 서신들을 기계적으로 짜 맞추려하기보다는, 오히려 각각의 서신들이 어떤 문학적 형태를 갖고 있는가를 세심하게 살펴보고 그 서신의 문학적 특성에 따라 그 서신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44) 4) 결언(Postscript) 바울의 편지들은 대게 긴 본론 다음에 간단한 권면적 언급, 평강의 기원, 문안인사, 그리고 다음과 같은 간단한 축복으로 끝난다.45) ‧로마서: “우리 주 예수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 찌어다”(16:20b).46) ‧고린도전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와 함께 하고, 나의 사랑이 그리스도 예수의 안에서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찌어다”(16:23-24). ‧고린도후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찌어다”(13:13). ‧갈라디아서: “형제들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심령에 있을지어다”(6:18). ‧에베소서: “아버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로부터 평안과 믿음을 겸한 사랑이 형제들에게 있을찌어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변함없이 사랑하는 모든 자에게 은혜가 있을찌어다”(6:23-4). ‧빌립보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심령에 있을찌어다”(4:23). ‧골로새서: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나의 매인 것을 생각하라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4:18). ‧데살로니가전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찌어다”(5:28). ‧데살로니가후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무리에게 있을지어다”(3:18). ‧디모데전서: “은혜가 너희와 함께 있을찌어다”(6:21b). 43)P.H. Kern, Rhetoric and Galatians: Assessing an Approach to Paul’s Epistl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1988), 167-203. 44)Peter T. O'Brien, “Rhetoric and the Pauline Epistles,” in The Letter to the Ephesians (Grand RapidsL Eerdmans, 1999), 73-80. 45)Jerome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Writer, 99. 46) 이미 잘 알려진 대로, 로마서는 이례적으로 긴 문안 인사(16:1-27)를 갖고 있다. 아마도 바울은, 자신이 세우지도 않았고 한 번도 방문하지도 않은 로마 교회에 긴 편지를 보내면서, 로마 교회와 자신과의 유대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긴 서문 인사와 결언 인사를 편지 끝에 추가한 것 같다. - 11 - ‧디모데후서: “나는 주께서 네 심령에 함께 계시기를 바라노니 은혜가 너희와 함께 있을찌어다”(4:22) ‧디도서: “은혜가 너희 무리에게 있을찌어다”(3:15). ‧빌레몬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심령과 함께 할찌어다”(25). 편지의 서문 인사에는 “은혜”와 “평강”이 항상 함께 따라 나오지만 결언의 축복에는 은혜만이 나타난다. 특별히 이 은혜는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오는 은혜로 소개된다. 물론 편지의 서두 인사에서처럼 은혜의 궁극적인 원천은 아버지 하나님이시지만 결언 부분에서는 아버지 하나님의 이름은 생략되고 대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은혜를 연결시킴으로써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은혜를 전달하는 중보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3. 수집 우리는 바울의 이름으로 나타난 13서신이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수집되고, 오늘 우리가 갖고 있는 신약성경의 순서대로 배치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베드로후서 저자가 바울의 서신들을 언급하고 있는 점(벧후 3:16)과 1세기 말엽의 로마 감독인 클레멘트가 AD 95년경에 보낸 편지에서 고린도전∙후서와 로마서 등을 언급하고 있는 점을 볼 때, 1세기에 이미 상당한 바울의 서신들이 널리 알려졌던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누가 바울의 편지들의 보존과 수집에 책임을 지고 있었는가? Harnack은 바울의 편지들은 편지를 받은 교회들에 의해 보관되었다가 1세기 말엽 그 편지들의 중요성 때문에 고린도 교회가 중심이 되어 수집, 편집했다고 보고 있다.47) H. M. Schenke는 바울 서신들이 그의 신학을 보존하고 전수하는 데 관심을 가진 바울의 제자들로 구성된 학파에 의해 수집, 편집되었다고 보고 있다.48) Richards는 바울 서신들을 수집하고 편집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사도행전의 저자 누가라고 믿는다.49) Guthrie는 디모데후서 4:13의 “네가 올 때에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겉옷을 가지고 오고 또 책은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가져오라”는 본문에 근거하여 디모데가 바울의 편지 수집의 책임을 맡고 있었다고 본다.50) 반면에 최근에 J. Murphy-O’Connor는 바울 서신들은 그것들이 쓰여질 때부터 바울의 비서에 의해 원본과 함께 별도의 보존을 위해 사본이 만들어졌으며, 따라서 바울 자신이 자기 서신들의 보존과 전수에 책임을 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51) 우리는 비록 절대적인 확신을 가지고 단언을 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Murphy-O'Connor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보아진다. 컴퓨터 시대인 오늘 날에 있어서도 중요한 파일은 복사를 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면 도난과 분실, 혹은 천재지변에 의해 편지의 유실이 많을 수 있었던 고대 사회에서 일정한 문서를 복사본으로 남겨둘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바울이 실제로 그의 선교와 목회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편지를 썼는지 정확하게 모른다. 신약성경 안에 들어있는 13개의 바울 서신들이 바울이 그의 선교와 목회 기간 동안 쓴 전체 편지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나중에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겠지만,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적어도 네 번 이상 편지를 썼다. 그런데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은 두 개뿐이다. 그밖에도 라오디게아 편지를 47)A. von Harnack, Die Briefsammlung des Apostels Paulus und die anderen vorkonstantinischen christlichen Briefsammlungen (Leipzig: Hinrich, 1926), 6-27. 48)H.M. Schenke, “Die Weiterwirken des Paulus und die Pflege seines Erbs durch die Paulusschule,” NTS 21 (1975): 505-18. 49)E.R. Richards, The Secretary in the Letters of Paul, 165. 50)D. Guthrie, New Testament Introduction (Downers Grove: InterVarsity, 1990), 832. 51)J. Murphy-O'Connor, Paul the Letter-Writer, 118-130. 역시 D. Trobisch, Paul's Letter Collection: Tracing the Origins(Minneapolis: Fortress, 1994)를 보라. - 12 - 포함하여 여러 편지들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바울이 쓴 편지 가운데 어떤 편지들이 보존되어 신약성경 안에 들어갔고, 어떤 편지들이 유실되었는가? 이 문제에 대한 역사적이고 과학적인 해답을 찾기는 힘들다. 다만 우리가 대답할 수 있는 것은 성령께서 신약교회로 하여금 바울이 쓴 편지 가운데서 항구적으로 교회에 전승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편지들을 보존, 수집하여 정경 속에 넣도록 하셨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현존하는 바울의 서신들이 성령께서 신약교회의 필요를 위해 남겨주신 편지임을 알고 유실된 편지들에 관심을 갖기보다 주어진 이 편지들에 귀를 기울일 필요

 

 

출처 : https://cafe.daum.net/bkt6707.net/bchb/466

 
 

 

'〓바울 연구 총정리〓 > 바울 서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바울 서신 강의안1  (0) 2023.02.26
2012년 바울서신 강의안3  (0) 2023.02.26
2012년 바울서신 강의안4 안디옥사건  (0) 2023.02.23
바울은 누구인가?  (0) 2023.01.22
바울01장-03장  (0) 2023.01.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