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기본 구조
1. 문장
문장은 여러 개의 단어가 모여 되어진 글로서 주어를 중심으로 하는 주부와 술어를 중심으로 하는 술부로 구성되는데, 문장 구조의 단순성의 정도에 따라 단문, 중문 그리고 복문으로 나눈다.
1) 단문 (Simple Sentence)
단문은 한 문장 안에 단순히 1개의 주부와 1개의 술부가 있는 형태를 말하는 데, 이는 다시 동사 문장과 명사 문장으로 나누어진다.
① 동사문장 (Verbal Sentence)
동사 문장은 문장의 술부 안에 동사가 나타나는 형태의 문장인데, 히브리어의 특징은 문장 초두가 동사로 시작되는 문장이 가장 흔하다고 하는 것이다. 히브리어 문장 배열의 기본 순서는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목적어+주어+동사⃖]의 순이 일반적이며, 어떤 문장 요소의 강조 필요가 있을 때는 강조하고자 하는 문장 요소가 문두에 나타나게 된다.
<주어> <동사>
אָמַר מֹשֶׁה׃ “모세가 말했다”
(모쉐) (아마르)
<목적어> <주어> <동사>
פָּקַד מֹשֶׁה בֵּן ׃ “모세가 아들을 방문했다”
(베-ㄴ) (모-쉐) (파-칻)
② 명사 문장 (Nominal Sentence)
명사 문장은 술부에 동사가 나타나지 않고 어떤 명사 또는 형용사 및 분사 등의 명사 상당어귀가 술어 자체로 사용되는 경우로서, 영어의 be동사와 같은 불완전 자동사 없이도 문장을 이룰 수 있는 것이 히브리어의 특징이다. 물론 헬라어에서도 형용사가 서술적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 동사의 도움 없이 형용사 자체만으로 문장을 이루는 것은 서로 닮았다고 할 수 있다.
명사 문장의 어순은 술어가 명사일 때는 [술어+주어⃖]의 순이며, 형용사일 때는 동사 문장처럼 [주어+술어⃖]의 순으로 술어가 먼저 나타나게 되는데, 이 순서가 달라지는 경우는 강조의 용법으로 보면 된다.
<술어 : 명사> <주어>
׃ מֹשֶׁה נָבִא“모세는 선지자 이다”
(나-비-) (모-쉐)
<주어><술어 : 형용사>
׃ טוֹב אַתָה“당신은 선하다”
(앝타-)(토-브)
2) 중문 (Compound Sentence)
중문은 한 문장이 두개 이상의 단문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문이 접속사로 이어져 있는 형태로서 각각의 단문은 대등절이라고 부른다.
<주어+접속사> <술어+접속사> <술 어> <주어>
הָאָרֶץ הָיְתָה תֹהוּ וָבֹהוּ וְחשֶׁךְ
(웨호-쉑) (와-보-후-) (토-후-) (하-예타-) (하-아-레츠)
“땅이 혼돈하였고, 공허하였다 그리고 어둠이... (창 1:2 )”
3) 복문 (Complex Sentence)
복문은 어떤 문장이 주절과 하나 이상의 종속절로 이루어진 형태의 문장을 말한다.
←――― 종 속 절 ―――→ 㰠←― 주 절 ―→
אַשְׁרֵי הָאִישׁ אֲשֶׁר לֹא הָלַךְ בַּעֲצַת רְשָׁעִים ׃
(레솨-이-ㅁ) (바아챁) (하-ㄹ랔) (로-) (아쉐르) (하-이-쉬) (아쉐레-)
“악인들의 꾀 안에서 걷지 않는 사람이 복되다. (시 1:1 )”
2. 문장의 형식
히브리어는 영어나 헬라어처럼 문장의 형식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히브리어에는 헬라어에서와 같은 격어미가 없고, 목적격 보어 같은 개념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어떤 문장의 형식을 파악함에 있어서 그 문장 자체만으로 명확히 결정하기는 어렵고 전후 문맥과 사용되어지는 전치사 등을 잘 살펴서 문장의 형식을 정해할 경우가 많다.
문장의 일치 (Sequence of Sentence)
히브리어는 영어나 헬라어에서처럼 문장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데, 그것은 형식적인 문법상의 일치를 바라지 않고 내재된 개념상의 일치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1. 주어와 술어의 일치 관계
주어와 술어 사이에는 성과 수가 일치하는 것이 원칙이나 주어보다 술어가 앞서는 문장에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1) 집합적 단수 명사는 복수 술어를 취한다.
תָּבֹאןָ הַצֹּאן
, 여단 미, 3여복
“양(떼)이 올 것이다”(창 30:39)
2) 복수 명사 중에는 단수의 의미를 가진 것들이 있는데, 이들은 단수 술어를 취한다.
이에는 אֱלֹהִים(하나님), בְּעָלִים (소유자), אֲדֹנים(주인,주님), פָּנִים (얼굴) 등이 있다.
בָּרָא אֱלֹהִים
남복 완, 3남단
“하나님이 창조하셨다”(창 1:1)
3) 동물이나 추상명사의 복수형은 특이하게 남성이든지 여성이든지 모두 여성 단수 술어를 취한다.
בַּהֲתוֹם הַשָׂדֶה תַאֲבֹד
미, 3여단 , 여단 연, 여복
“들의 짐승들이 길을 잃을 것이다”
4) 사람의 복수 중에서 개인과의 관계를 나타낼 때는 단수 술어를 취한다.
מְבָרֲכֶיךָ בָרוּךְ
분수 분, 남복, 2남단
“너를 축복하는 자들이 축복을 받을 것이다”(민 24:9)
5) 술어가 주어보다 앞서는 많은 문장에서 주어의 성, 수와 관계없이 기본형 술어인 3인칭 남성 단수가 빈번히 사용된다.
יְהִי מְאֹרֹת㰖¾ “광명들이 있으라”(창 1:14)
남복 미, 3남단
וְעָנָה אִיִּים “시랑들이 부르짖었다”(사 13:22)
남복 완, 3남단
צֶדֶק מִשְׁפָּטֶיךָ “당신의 판단은 의롭습니다”(시 119:75)
남복, 2남단 연, 남단
2. 접미어의 인칭과 성의 혼용
1) 어떤 동사의 남성 접미어가 여성으로 사용될 때가 있다.
וִידַעְתֶּם± “또 너희 (여자)들이 알리라”
, 미, 2남복
2) 3인칭 남성 단수 동사와 3인칭 공성 복수는 부정인칭(어떤 것)을 나타낼 때가 있다.
וַיֹמֶר“또 어떤 이가 말했다”
, 미, 3남단
3. 독립형과 연계형의 술어
주어가 독립형과 연계형의 복합된 형태일 때의 술어는 연계형에 일치하지 않고 독립형과 일치한다.
קֶשֶׁת גִּבֹּרִים חַתִּים
남복 독, 남복 연, 여단
“용사들의 활이 꺽인다”(삼상 2:4)
4. 접속사로 연결된 주어의 술어
여러 개의 명사가 접속사로 연결된 주어는 복수 술어를 취해야 하나, 그렇지 않고 자신과 가까운 첫 번째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다.
1) 복수 술어를 취하는 경우
וְאַבְרָהָם וְשָׂרָה זְקֵנִים
남복 , 사라 아브라함
“아브라함과 사라는 늙었다”(창 18:11)
2) 단수 술어를 취하는 경우
וַיָּבֹא נֹחַ וּבָנָיו
, 남복 3여단 노아 , 미, 3여단
“노아와 그의 아들들이 들어갔다”(창 7:7)
וַתִּגַּשׁ גַּם־לֵאָה וִילָדֶיהָ
, 남복 3여단 레아 , 미, 3여단
“레아와 그녀의 자식들 역시 나아갔다”(창 33:7)
5. 불완전 문장 (Incomplete Sentence)
히브리어는 술어 없이 주어만 나타나는 문장이 있는데 이를 불완전 문장이라고 하며 이때는 술어를 추측해서 번역해야 한다.
וְהִנֵּה אָנֹכִי עִמָּךְ
, 2남단 (인대) 1공단 , 보라
“보라 내가 너와 함께 있노라”(창 28:15)
הִנֶּנִּי
1공단
“보라 내가 여기 있노라”(창 22:7)
6. 주어 상호간의 동작 표시의 술어
문장 가운데서 주어 상호간의 동작을 표시할 때는 복수 술어를 취한다.
וַיִּשָּׁבְעוּ אִישׁ לְאָחִיו
, 남단, 3남단 남단 , 미, 3남복
“그리고 서로 서로에게 맹세하였다”(창 26:31)
חֹבְרֹת אִשָּׁה אֶל־אֲחֹתָהּ
여단, 3여단 여단 분능, 여복
“서로가 서로에게 인접하여 있는”(출 26:3)
'◑δεδομένα 18,185편 ◑ > उपदेश सामग्री 16,73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불분리 전치사 כּ , בּ , ל ' (0) | 2011.03.24 |
---|---|
【평화】예화 모음 25편 (0) | 2011.03.23 |
【평안】예화 모음 16편 (0) | 2011.03.22 |
【화평】예화 모음 18편 (0) | 2011.03.21 |
【환경】예화 모음 29편 (0) | 2011.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