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설교자료 18,185편 ◑/설교및자료 16,731편

한국의 샤마니즘

by 【고동엽】 2022. 2. 28.
I. 도입
샤머니즘은 원시적인 종교 현상이다. 그것은 지금도 모든 나라에서 발견되어 진다. 샤머니즘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로, "샤먼" 이라는 용어는 사용되었다. 한국의 샤머니즘의 역사는 나라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샤머니즘은 한국에서 단지 원시 사회 뿐 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지배적이었다. 바꾸어 말하면, 샤머니즘은 사람들의 근본적인 감정에 깊이 배어있다. Tong S. Ryu, 한국의 종교 학자는 다음과 같이 한국의 샤머니즘을 요약한다:

"무교'(한국의 샤머니즘을 의미한다)는 야만인의 원시적인 종교도 아니고 사라지는 고대종교도 아니다. 그것은 한국의 역사와 함께 살아남고 또한 한국의 현대 사회에서 여전히 살아 숨쉬는 현대 종교이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무교' 은 한국의 전통적인 토착 종교와 '무속'(무녀의 전통)으로 알려져 있는 민중 종교의 역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한국의 샤머니즘은 모든 한국의 문화적인 면 예컨대 종교, 정치, 예술과 의상을 지배했다. 특히, 샤머니즘은 형식적인 종교 예컨대 불교와 유교와 심지어 기독교에도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Jun Ki Chung은 한 두 가지 면에서 한국의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성장이 단지 하나님의 강력한 역사의 결과만은 아니라라고 주장한다. 복음의 메시지는 한국의 사회,정치, 종교 요소를 사용하면서 문맥을 통하여 역사한다. 특히 한국의 자생적인 종교(샤머니즘)는 한국의 사람들에게 풍부한 종교적 지성과 가치관을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Chung은 한국의 샤머니즘이 한국 사람들이 신의 존재를 느끼는 것을 돕는다라고 말한다. 또한 한국의 샤머니즘은 샤머니즘적인 의식과 그들을 하나로 묶는 의식에 의해 민족성 또는 공동체 의식을 만든다. 우리는 한국의 샤머니즘을 이해하지 않고, 한국인의 생각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말할 수 있다. 게다가, 한국의 샤머니즘을 이해하지 않고, 한국인에게 전도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한국인에게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해 한국의 샤머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이 논문은 한국의 샤머니즘을 약술하고, 그것이 형식적인 종교 특히 기독교에 영향을 주었던 방법을 논의하려고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복음 전도와 사명에 관련되는 방법을 발견하고자 한다.

II. 한국의 민속 종교: 샤머니즘
1. 샤머니즘의 정의:
그것이 언어학, 인류학, 심리학과 신학의 복잡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샤머니즘을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샤머니즘은 만주의 단어 "무"(무(巫))에서 비롯된다. 샤먼의 무라는 단어(중국어의 wu)는 오래된 중국 사전(Shuo-wen)에서 기록되었다. 무(巫)라는 문자는 깊은 신학의 의미와 가지고 있는 상형 문자다. 위의 수평선 "__"는 뛰어난 것, 하늘 또는 신성한 것을 의미한다. 아래 수평선은 지구, 자연 또는 자연의 세계를 상징한다. 이 라인 사이의 2개의 ㅅ 문자는 춤추는 인간을 표현한다. 마침내, 2개의 지평선을 연결하는 수직의 라인 “( “은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매개체 즉 무녀를 의미한다. Shuo-wen에서 정의되는 것에 따르면 매개체 즉 무녀는 "형태 없는 것"을 섬기고 신이 내리도록 하는 여성이다. 모든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는 정령설에 의거하는 샤머니즘은 자연 숭배 또는 정령설이라고 한다. Tylor는 원시 종교에서 그것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영혼과 다른 정신적인 존재의 일반적인 교리" " 정신적인 존재는 물질적인 세상의 사건에 영향을 미치거나, 제어한다고 간주한다." Tylor 나중에 책에서 강조한다. 사실 Tylor는 다른 현상에서 나타나는 영혼보다 인간 영혼의 지속성의 신앙에 흥미를 가졌다. 그러나 한국의 애니미즘에 관해서는, 영혼에 강조를 둘 것이다.
종교와 윤리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샤머니즘을 정의한다: "그것은 자연 숭배에 강한 뿌리를 둔 일반적으로 최고의 신이 있는 다신교 또는 다신주의의 원시적인 종교다."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는 샤머니즘을 "가시적 세계와 정신의 세계 사이의 중재가 무녀에 의해 초래되는 북 아시아의 국민의 정령적인 종교로서 정의한다." Elisde는 샤머니즘을 종교보다 신비주의로 정의한다 왜냐하면 수없이 많은 종교가운데 샤머니즘은 여전히 특별한 종교의 틀 내에서 희열에 넘치는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샤머니즘은 모든 물건(생명이 있고 생명이 없는)에는 인간이 선과 악을 위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영혼을 가지고 있다는 정령적인 믿음을 의미한다. 샤머니즘의 한국 명칭은 신교 또는 무교인데 이는 영혼숭배의 종교이다. 이 샤머니즘은 한국민의 정신세계를 형성하였다.

2. 기원 그리고 역사
샤머니즘은 한국에서만 발견되는 종교가 아니다. 그것은 시베리아, 몽고, 만주, 일본, 한국과 Ural Al-taic, 같은 북쪽의 문화 지역에서 발견되는 원시적인 종교다. Elisde는 한국의 샤머니즘의 "기원"을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라고 말한다. 그것은 남쪽의 요소를 포함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Han 기간의 무녀의 머리 장식물로 있는 숫사슴 뿔의 존재는 옛날 터키 사람의 독특한 숫사슴 숭배와의 관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Clark은 “한국인의 최초의 부족이 시베리아의 Amur Valley까지 올라갔었다”라고 말한다. 그곳은 한국의 원시의 종족이 갈라져 나왔다고 가정되는 장소이다. 그들이 한반도로 옮겼을 때 그것을 가지고 왔다. 여하튼, 샤머니즘은 한국 최초의 토착 민속 종교였다. 우리는 정확히 언제 샤머니즘이 한국에 전하게 되었던지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국가와 국가의 최초 역사의 기초 신화가 샤머니즘과 밀접하게 접속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단군은 국가의 종교와 정치적인 수장이었다. 종교와 국가의 어떤 분리도 없었다. 단어 “단군”은 “Tang'-gul” 원래 "부족의 머리" 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것은 예언자 또는 주도적인 무녀로써 종교 의식을 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단군은 대단한 한국의 샤먼이었다. 그리고 단군 사가는 샤머니즘의 소산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불교의 스님(일 연)에 의해 지어졌다) (1206-1289) 왕인 시대에 그의 첩에게 태어난 그의 아들(Woong)은 인간 세계에 내려가서, 인간을 구하고 싶어했다. 아버지는 그의 아들 세 개의 부적을 주고, 그를 3000명의 추종자와 함께 자유롭게 보내주었다. Woong은 신시 (神市Sinsi)라고 불리우는 태백산의 정상의 신성한 제단의 나무의 아래에 내려갔다. 그곳에서 그는 모든 변형을 통제했다. 이때 함께 살던 곰과 호랑이가 동굴에 있었다. 그들은 인간이 되고 싶었기 때문에 그들은 신 웅에게 자주 기도했다. 웅은 그들에게 신비스러운 쓴 쑥과 20 개의 마늘을 주었다. 그는 그들이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도록 명령했다, 그때 그들이 인간으로 바뀔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곰과 호랑이는 이것들을 먹었다. 곰은 3주 동안 격리되어 남았다. 그리고 곰은 여성의 몸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호랑이는 참을 수 없었다. 곰-여성은 결혼할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그녀는 빌었던 제단의 나무의 아래에서 아기를 가질 수 있게 해 달라고 빌었다. Woong은 그의 형태를 바꾸어, 그녀와 결혼했다. 그녀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리고 그의 이름은 단군 왕검이라 하였다. 그리고 그가 B.C 2333년에 고조선을 만들었다고 한다. 나중에 전하는 바에 따르면 수도를 황해도의 구울산으로 옮겼다. 그곳은 Samson(삼손)이라고 불리는 신사가 있는 곳이다.(3명의 신성한 왕 : 왕 인, 하늘의 왕, 왕웅, 하늘왕자 그리고 단군 첫번째 인간). 단군이 나중에 신사를 포기하고, San-sin(산신)이 되었다라고 한다.
B.C. 2333 이후 샤머니즘(무교)는 전통 종교가 되었다. 비록 불교가 소개되었(양력 372년)고, 그들의 국가 종교로서 신라왕조와 고려왕조에 의해 채택되었지만 샤머니즘(무교)은  살아 남았을 뿐만 아니라, 꽃을 활짝 피웠다. 그러나 샤머니즘(무교)과 불교는 Yi-Dynasty(조선)때 채택된 유교에 의해 억제되었다. Yi-Dynasity(조선)은 전통적이고 깊게 뿌리 박힌 샤머니즘을 근절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그것은 실패했다. 샤머니즘은 더 많은 사람들의 생활에 심기게 되었다. 그때 샤머니즘은 경멸 당하고, 가장 무지한 사람들을 위한 그리고 여성을 위해 단지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여성이 압박 당했던 사회에서 그들의 욕망과 큰 슬픔을 공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좋은 출구가 되었기 때문에 그것은 민중 사이에서 항상 부분적으로 힘을 가졌다. 과거에, 감상적인 여성의 은밀한 세계는 집에서 샤머니즘의 실제 행동에서 제사 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샤머니즘은 가족 단결을 유지하는 친밀한 부분이었고 한국 전통에 있어 여자들의 좋은 경험이 되었다. 샤머니즘이 집에서 여성의 감상적인 면을 다루는 동안, 유교는 바깥에서 남성 활동의 필요성을 채울 수 있었다. 유교 의식에서는, 여성이 수동적인 반면에 남자는 의식을 활발하게 행했다. 주부는 단지 보통 남편을 위해 음식을 조리하고, 테이블을 정리하는 것으로 도왔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은 그 종교 활동의 "이중의 조직"을 가지고 있다. 샤머니즘과 유교는 전통적인 한국의 삶에서 공존했다.
마지막 한국의 여왕(민 비(1895년에 죽었다))은 샤머니즘을 영광의 가장 높은 장소까지 올렸다, 그리고 궁내에 그녀가 아주 좋아하는 무당을 불러와서, 그녀에게 공주의 계급을 주었다. 일본의 지배의 아래에서 샤머니즘은 민중에게 더 인기가 있게 되었다. 1884년 이후, 기독교는 가장 활발한 종교가 되었다. 그러나 샤머니즘은 엄청나게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샤머니즘(무교)은 한국의 모든 형식적인 종교의 저변에 깔려있다. 한국의 역사에 따르면 모든 형식적인 종교와 다른 샤머니즘적인 종교는 샤머니즘(무교)과 동화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샤머니즘(무교)은 상위계층의 사람들에는 환영 받지 못했다 하지만 샤머니즘은 민중에 대한 친구가 되었고 그들의 삶에 녹아있다. 샤머니즘은 여전히 종교 의식의 형성에 있어 가장 강력한 종교다.
고조
3. 한국의 샤머니즘(무교)과 그 특징
한국의 샤머니즘은 결코 고정이거나 권력에 맹종하는 특징으로 그 종교 시스템을 발달시키지 않는다. 그 시스템은 혼합주의다. 그것은 그 뛰어난 기준을 분명하게 하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신성한 것을 상징하고 있는 신을 보여주고, 다른 종교와 함께 혼합될 수 모든 기회를 가지고 있다. 이런 복합적인 성격 때문에 불교와 유교 그리고 다른 종교는 샤머니즘과 공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샤머니즘(무교)는 다섯 가지의 매우 명백한 특성이 있다.
(1) 한국의 샤머니즘(무교)는 매우 실제적인 것을 지향하고 있다. 그것은 삶의 축복에 관심이 있고 병과 개인의 재해를 초래하는 나쁜 귀신을 쫓아내는데 관심이 있다. 종교적인 의식은 그들이 받고 싶어하는 복에 관한 세부사항을 말하고 있다.
(2) 한국의 샤머니즘(무교)은 신성한 것과 세상적인 것을 분리한다. 그리고 구별은 매우 명백하다. 신성한 것은 영혼의 존재를 의미한다. 신성한 장소는 단지 종교적 의식의 시간 동안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굿을 하는 동안 영혼과 교제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고 그 장소는 신성한 장소가 된다. 그러나, 의식이 끝났을 때, 장소는 보통상태로 돌아온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떤 변함없이 그들의 인생을 살아간다. 그들의 믿음은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과의 어떤 관계도 가지고 있지 않다.
(3) 또 다른 특징은 종교적 의식의 형태다. 중재자(무당)는 귀신을 부르고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통하여 귀신을 즐겁게 한다. 그리고 무당은 황홀경에 도달하고, 귀신과 더불어 한 몸이 된다. 신비적이고 일시적인 사건을 통하여, 무당은 사람들을 고치고, 사람들에게 복을 가지고 온다. 이러한 경험은 무당의 개인의 특징이나 역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한국의 국민은 보이지 않는 세계의 귀신이 보이는 세계에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조정한다고 믿는다. 이런 점에서 무교의 신들에 믿음은 다신론 적이다. 무교의 신은 모든 것을 제어한다. 신들이 모든 것을 지배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모든 일에 대해 궁극적으로 책임이 없다. 사람들은 단지 인생에서의 모든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신들을 즐겁게 해 주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신자는 그들의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또 그들이 화가 나는 것을 막기 위해 제물을 바친다. 희생을 통한 종교적 의식은 무당을 통하여서만 해야 한다.
(5) 무교의 종교 구조는 분명하게 물질적으로 더 많을 것을 얻는 데 기초를 둔다. 만일 당신이 더 많이 바치면, 당신은 더 많이 얻는다. 그러므로, 그들은 종교적 의식을 하기 위해 돈을 빌린다. 이런 다섯 가의 샤머니즘(무교)의 특징은 한국의 모든 종교에 배어있다.

4. 무녀의 타입
2가지 종류의 무녀(무당)가 있다: 첫번째는 전문적인 샤먼이고 두 번째는 가족 샤먼이다. 전문적인 샤먼은 직업의 일부로서 종교적 의식을 잘 할 수 있도록 잘 훈련되어 있다. 프로가 아닌 무당은 굿(사람에게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통하여 임명 받는 것)과 같은 대규모의 예배를 수행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무당은 전문 샤먼을 말한다. Elisde에 의해 구분되는 것에 따르면, 세 가지 종류의 무녀가 있다. 첫번째 샤먼은 세습 무라고 불려진다. 그것은 세습된 샤먼을 의미한다. 이 샤먼은 세습에 의해 그의/그녀의 위치를 얻는다.
두 번째 타입의 샤먼은 강신 무다. 그것은 신내림을 받은 샤먼("부르심" 또는 "택함 받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 타입의 샤먼은 학습 무다. 이것은 학습을 통한 샤먼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자력으로 된 무녀는 세습 무나 신의 부르심에 순종한 무녀보다 덜 강력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세가지 샤먼 중에, 단지 세습무만 이 가장 많은 것을 전통인 형태로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는 그의 부모님에게서 도구와 종교적 의식에 관한 지식을 계승했기 때문이다. 강신 무는 병을 고치는 것을 포함하여 강한 종교적 의식의 힘을 가지고 있다.세습무가 제사장적인 샤먼이라고 불리워지는 동안, 강신 무는 카리스마적인 샤먼이라고 불리워졌다.
한국에는 3가지 계층의 샤먼이 있다: 무당, 박수 그리고 판수 즉 눈먼 예언자. 무당이라는 단어는 샤먼의 토착 명칭이다. 무당이라고 불려지는 대부분의 샤먼은 여성이다. 그것은 한국의 샤머니즘적인 생각이 여성과 그들의 인생에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수는 남자 샤먼이다. 그러나 무당과 동등하게 같은 일을 하지 않는다. 박수가 종교적 의식을 하는 동안만 여성의 겉옷을 입는 반면에 무당은 항상 남자의 겉옷을 입는다. 이런 종류의 일은 시베리아에서 일부 작가에 의해 단지 "옷의 변화"에 따른 "성의 변화 " 불린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옷의 변화가 아니라 신비한 중요성 있다. 모든 판수는 눈이 멀거나 눈먼 척한다. 그 이름은 두 개의 한자에서 따왔다 : "Pan(판)."(결정하다)와 "Soo(수)."(운명).
판수들은 무당들보다 매우 높은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신체의 눈을 빼앗겼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이 내면을 보는 눈을 가졌다고 믿는다.
또한 반 무녀가 있다. 치관(흙 점쟁이)과 점쟁이라고 불려진다. 후자는 샤먼(첫번째 그룹의 그것들과 같은 종교적 의식)을 하지 않는다. Clark은 무당들과 박수들은 시베리아의 전통에 직접 영향받은 것이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다른 계층들은 중국의 유전과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결과인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샤먼의 확장에 관해서, 즉 제사장적인 샤먼은 호남과 영남 그리고 제주도에서 주로 남쪽의 한국에서 행해진다. 반면에, 북 한국은 카리스마적인 샤먼들에 의해 지배된다. 그러나 총체적으로, 국가적인 넓은 스케일 위에서 볼 때 카리스마적인 샤먼들이 주를 이루는 것은 명백하다.

5. 무당의 기능
한국의 샤먼은 중요한 종교 전문가다. 그는 보통 지도자이고 종교 의식의 안에서 지휘자고  신이고 의사이고 다른 세계에 죽은 사람의 영혼을 인도한다. 무당의 기능에 관한 어떤 정확하거나 완전하게 쓰여진 기록은 한국에 없다. 그러나, 우리는 다음과 같은 무당의 기능을  기술할 수 있다.
(1) 굿을 행함
"굿"은 한국의 자생적인 단어다. "굿"은 귀신 쫓아내기 또는 귀신 쫓아내는 사람의 행위를 의미한다. 굿은 무당의 기초적이고 원시의 행위이다. 무당은 많은 다른 경우에 굿을 실시한다: 악한 귀신을 쫓아낼 때, 갑작스러운 사고로 죽은 사람을 위로할 때 결혼하기 전에 죽은 사람들을 위한 결혼의 때나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낼 때, 아이들의 매매와 병을 고치는 귀신에게 기도할 때 등등. 샤머니즘에서 종교적 의식의 실행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원시적인 종교 중의 대부분은 단지 신의 행동의 모방이 아니라 그 날의 재현으로서 의식을 되풀이했기 때문이다.
굿으로서 알려져 있는 종교적 의식은 단지 종교의 일부가 아니라 종교 그 자체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한국인은 상응하는 무당 의식을 받고, 인도되었다. 전 라이프 사이클은 이 종교의 상응하는 의식과 조화시키게 되었다. 그것은 삶이 생존을 위해 투쟁하는 존재적인 공간이다.
1. 목표와 내용의 분류에 따른 굿의 타입
목표와 내용에 따른 분류에 기초를 둔 여러 가지 종류의 굿이 있다. 그것들은 굿, 집단 마을 의식(굿)과 개시 의식(굿)으로 알려져 있는 개개의 가족 의식이다.
( 개인 가족 의식
1. 기복 굿(기복 굿)
1. 주기적
kiwonje(기원제)
pungoje(분고제)
b. 비주기적
jaesu-굿(재수굿)
samshin peuli(삼신풀이)
2. 구병굿(구병굿)
a. 비주기적
pudakkori(푸닥거리)
salpeuli(살풀이)
3. 사령-굿(사령굿)
a.비-주기적
jinogi(진옥이)
jibgashim(집가심)
Ogu-Kut(오구굿)
Honkunzigi(혼건지기)
( 집합적인 마을 의식
1. 주기적
a. Kut-style 의식
pyu1shin-Kut(별신굿)
dang-Kut(당굿)
dangsan-Kut(당산굿)
b. 유교 의식
sanshin-je(산신제)
sunghwang-je(성황제)
2. 비 주기적
a. kiwoo-je(기우제) 비 의식
( 무당의 개인 의식
1. 주기적
a. Jinjokwi(진족위)
b. Kkotmaji(꽃맞이)
2. 비 주기적
a. Nelim-굿(내림굿)(innitiation 의식)
개개의 가족 의식은 개개의 가족의 요청에 의해 행하게 된다. 종교적 의식의 목적은 재해, 불행, 병에서 보호하고, 가족의 번영을 구하는 것이다. 1.기복 굿은 불행에서 보호하고, 축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2.구병 굿은 악마를 내쫓고, 병을 치료한다. 3.사령 굿은 죽은 사람을 산자와 분리하고, 영적 세계로 죽은 사람을 옮긴다.
집합적인 마을 의식은 마을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기 위해 행해진다. 거의 모든 자연 마을에는 산당, 마을 신들의 신사가 있다. 마을 사람은 재물을 일년에 1회 또는 2회 바친다. 의식은 주기적이고, 수확의 풍성함을 위해 그리고 많은 물고기를 잡게 해달라고 행하게 된다. 종교적 의식은 마을 사람의 가운데서 뽑힌 의식에 통달한 jikwans(직관)에 의해 준비된다. 그는 전 마을의 전폭적인 지지를 가지고 있다. 두 가지 주된 카테고리는 굿 스타일과 유교적 의식 스타일이다. 비 주기적인 crisis-rite(위기의식)도 마을 의식의 안에 존재한다. 마을을 축제의 분위기로 이끄는 무당의 춤과 노래와 함께 굿 스타일의 마을 의식은 실시된다. 유교 의식 지향의 의식에서는, 어떤 춤도, 노래 또는 축하연이 없다. 무당은 의식을 위해 초청 받지 않는다. 그리고 그것은 마을 사람 중에 뽑힌 종교의식의 스승에 의해 수행된다. 이 의식은 유교와 무교의 조합이다. 기우제, 비 의식은 가뭄동안 마을 사람에 의해 집합적으로 수행되는 비 주기적인 위기-의식이다. 그것은 신에게 비를 구하는 종교 의식이다. 개시 의식은 스승의 영혼을 위해 수행되는 무당의 개인의 의식이다. 개시 의식에서는 장래의 무당 될 사람을 개시 병에서 치료하고, 스승의 영혼으로부터 힘을 얻는다. 굿에 많은 경험이 있는 다른 무당에 의해 그것은 수행된다. 결국 새로운 무당은 경험 풍부한 무당에게서 노래, 춤과 다른 기술을 배운다.
개시 의식 외에, Jinjokwi(진족위) 또는 kkotmaii(꽃맞이) 같은 개인의 의식 범주에 속하는 굿들이 있다. 이것은 매년 또는 이년에 한번 무당의 영적인 파워를 키우기 위해 행해진다.

1. 스케일에 따른 두 가지 종류의 굿
스케일에 따라 두 가지 종류의 굿이 있다. 하나는 큰 굿으로 크고 정교한 굿을 의미한다. 다른 굿은 작은 굿으로 작고 단순한 굿을 의미한다. 두 가지 굿의 차이는 의식이 행해지는 시간, 무당에 대한 사용료와 의식을 위해 사용되는 악기의 종류 등이다.
일반적으로, 무당은 어떤 종류의 굿이라도 실시할 때, 그녀는 작은 제단을 방이나 집의 앞뜰에 설치한다. 그녀는 양초 불빛 또는 손으로 만든 램프를 둔다. 그리고 제사 음식(예컨대 쌀, 돈, 때때로 인공 꽃, 천, 종이와 향)을 둔다. 굿의 처음에는, 그녀는 귀신 또는 신의 존재를 부르고, 북을 치기 시작한다. 굿을 하는 동안, 그녀는 북을 치면서 말하고 귀신의 상태를 설명하고, 귀신과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때때로 그녀는 심벌즈의 쨍 소리를 내는 것을 사용한다.
큰 굿에서는 무당은 다른 동료에 의해 다른 부속물과 함께 플루트 또는 끈 도구를 사용한다. 무당은 노래하고, 춤추다가 더 많은 돈 또는 더 많은 음식의 요구하기위해 멈춘다.
보통, 그녀는 귀신이 오고 싶어하지 않는다라고 요구하고 귀신이 여전히 만족하지 않거나 기뻐하지 않는다며 요구를 하게 된다. 그러면 여 주인은 더 많은 돈을 지불하거나, 제단 위에서 더 많은 음식을 제공해야만 한다.
굿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그것은 밤새 계속한다. 큰 굿의 경우, 그것은 하루와 밤 동안 계속된다. 때때로, 몇 칠 동안 행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굿은 밤에 시작하고, 아침에 끝난다. 굿이 끝나고 난 후에, 그녀는 옥외의 선반, 집 밖, 거리 위, 덤불 속의 모든 것들을 태운다. "굿을 하는 동안, 무당은 귀신과 통하는 황홀경에 들어가고 그녀와 접촉하는 귀신을 지배한다."(Ibid). Elisde는 무녀를 그의 가문의 것과 구별되는 것은 그가 소유하고 있는 힘 또는 보호의 영이 아니라 무녀의 희열에 넘치는 경험이라고 지적한다.
굿의 클라이맥스는 귀신이 와서 만족했다라는 것이다. 귀신이 굿에 오는 방법은 무당이 그녀의 추종자들 중 한명을 부르거나, 지적하는 것이다. 때때로 가족 중에 한명이거나 친척 중 한명이 될 수 있다. 선택된 사람은 "Nelim-Dae”(내림대)라고 이름이 붙혀진 대나무를 잡는다." 그녀는 제단 앞에서 서있고, 귀신이 오기를 기다린다. 갑자기 또는 점차적으로 그녀는 대나무를 흔든다. 그것은 귀신이 내려오는 징조이고 귀신의 존재이다. 그들은 만일 기독교도가 참가자 중에 있으면, Nelim-Dae(내림대)는 전혀 흔들리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아마도, 악한 귀신은 성령의 존재 앞에서는 몸을 떤다!
마침내 그녀는 귀신과 함께 말한다, 또는 귀신은 그녀를 통하여 그들의 상태에 관해 사람들에게 한 사람씩 말을 건다. 귀신이 와서 불만족하고 불쾌할 때는, 그녀는 울면서 비난하고 저주하면서 화를 낸다. 그러나 귀신이 굿을 통하여 만족할 때는, 그녀는 노래하고 춤추거나, 축복을 말하거나, 병을 고친다. 굿은 축복의 신의 말씀으로 끝마치게 된다. 굿이 세 가지의 주요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귀신들의 초대, 노래하고 춤추고 재물을 바침으로 귀신들을 즐겁게 하는 것 귀신의 의지를 통역하는 것(점침)이다.
(2) 병을 치료하는 것
무당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정신적인 또 육체적인 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일반 대중은병은 병을 일으키는 나쁜 귀신이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무당의 일은 환자에게서 귀신을 쫓아 버리는 것이다. 한국의 샤머니즘의 병의 개념은 Kim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a) 귀신의 침입(사로잡힘-현상): 사로잡힘은 역시 신체의 병 특히 만성적인 병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급성이고 중대한 병의 경우에, 환자는 귀신이 침입한 것으로 간주한다.
(b) 금기의 위반: 그들은 병이 불완전한 외부 상황 때문에 초자연의 존재의 화와 벌에 기인한다라고 생각한다.
(c) 영혼의 상실, 물질의 침입은 그들의 병 개념에서 상대적으로 드물 현상이다.
굿 이회에 세 가지의 병 고치는 의식이 한국 샤머니즘에 있다.
(a) Sonbibim(손비빔: 단순히 기도하는 것): 그릇에 차가운 물과 익힌 쌀과 같은 간단한 공물과 함께, 무당은 지금 와 있다는 12명의 신들에게 차례대로 기도한다. 그들은 악귀를 환자에서 내쫓기 위해 행복을 위해 빈다.
(b) Pudakkori(푸닥거리): 이것은 병을 고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다. Sonbibim(손비빔)의 과정에서와 같이 간단한 공물과 기도를 한 후에 , 무당은 불가사의한  방법으로 요리 또는 암탉을 희생시키는데, 때때로 무언극에서 희생시키는 행동을 모방한 것 같다.
(c) 살풀이: 이 의식은 급성 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추천된다. 살풀이 뜻은 12명의 신들에게, 더 많은 공물과 함께 악귀 또는 악한 힘을 내쫓고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당은 12명의 신에게 기원한다. 또 그녀는 악귀 또는 악한 힘을 검과 창과 함께 활발하게 춤을 추면서 환자로부터 악령을 추방하는 법을 무언극에서 보여준다.

(3) 죽은 사람의 영혼 위로하기
사람이 죽으면 그들이 시체를 관에 넣을 때 그들(가족)은 관에나 무덤에 옷을 넣어둔다.
그들은 그의 소유의 나머지 것들을 불에 넣어 태운다. 이것이 죽은 사람들이 가져갈지도 모르는 물건을 바치는 방법이다. 무당은 이 관습을 기초로 한 방법을 사용한다. 많은 다른 방법 중에 굿의 마지막엔 공물을 태워버림으로 귀신에게 바친다. 무당은 한국에서 전통 장례식에서 공식적인 행사에는 결코 참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례식 후, 만일 가족 또는 친척이 죽었던 사람의 상태에 대해 알기 원하거나, 어떤 것을 말하기 원하거나, 죽었던 사람과 의사 소통하고 싶어하면, 그들은 무당을 통해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부르고, 무당을 통하여 그 영혼과 의사 소통을 한다. 위로의 굿의 목적은 죽은 사람을 위해 기도하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축복하고 또 나머지 가족과 친척을 위해 지옥 심판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4) 공적인 의식을 수행하기
비록 이것이 그녀의 주된 기능이 아니지만 공공의 의식이 무당에 의해 실시된다. 중요한 일부 제사는 무당보다 오히려 마을 지도자에 의해 실시된다. 의식은 수확 후의 가을에 또는 다른 때에 연장자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그것은 공적 의식을 실시하는 사람은 무당이다. 무당에 의해 행해지는 다른 타입의 희생과 예배는 공공의 성격을 가지거나, 최소한 공적일 것이다. 자주 그녀는 sunandang(성안당) 옆에 예배를 가진다. 그녀는 또한 산신의 신사 옆에서 대지(Chunshin)의 신의 신사의 옆에서 예배를 가질지도 모른다.

(5) 물귀신에 드리는 희생
무당은 어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곳에서 굿은 뱃사공에게 안전한 여행과 많은 수확을 확신 시키기 위해 벌어진다. 익사한 영혼은 매우 위험하고 적의가 있다. 이런 영혼은 다른 뱃사공을 물에 빠뜨리기 위해 숨어서 기다린다. 무당은 또한 강우와 바다를 제어하는 큰 용에게 제물을 드림으로 굿을 드린다.

(6) 복을 얻기 위해 의식
무당이 농부에게 좋은 농작물과 사냥꾼에게 많은 수확을 확신 시키게 위해 제물을 바치는 굿을 드린다. 또한 사업의 새로운 장소 또는 가게가 열리는 곳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굿을 한다. 굿은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성을 위해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빌고 또는 바라는 어떤 복을 위해 행해진다. 무당은 집을 지을 때  집의 주된 귀신인 성주(holy Lord) 회유하기 위해 식을 집행한다. 기독교도는 오늘날 목사가 이 기능을 대신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Hulbert는 북경에 한국의 사절을 위해 행해지는 굿을 기술한다. 그 목적은 아마 그의 여행에 복을 비는 것이었을 것이다.

(7) 점침
무당이 영혼의 세계와 접촉한 이후로, 점침은 그녀의 일의 일부다. 다른 몇 명의 점침을 하는 사람들이 한국에 있다: Pansu(판수), likwan(리관)과 chikwan(치관). 사람들은 무당에게 특별한 예배의 날과 장소를 고르기 위해 상담한다. 또한 그녀에게 개인의 문제 때문에 상담한다. 무당은 신으로 불려지고, 돈을 훔쳐간 도둑의 위치를 결정한다.

(8) 아이들의 판매
주로 소년들인 아이들을 파는 관습이 있었다. 번영하고 싶은 부모들이 귀신들에게 아이를 파는 관습이 있었다. 자주 이 매매가 무당에게 행해졌다. 어린이를 산 귀신의 이름은 소년의 이름의 일부가 되곤 했다. 무당은 아이들에게 신으로서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주기적인 축제에 무당은 아이들을  공물로 만들곤 했다.

(9) 공공의 즐거움
공공 유희는 지금도 무당 일의 일부다. 그러나 어떤 언급도 고대의 무당에 대한 조금의 기술에도 없다. 매년 단오절에, 우리는 구경꾼을 즐겁게 하기 위해 지역 무당이 춤추기와 노래를 하는 것을 보았다.

6. 사상의 표현 (도그마)
한국의 샤머니즘의 배경은 신화, 전설과 무녀의 책 속에서 발견되어진다. 그 사상의 표현은 미숙하다. 어떤 시스템화 된 교리가 없다. 그러나, 비록 그들이 원시적인 종교의 수준에 아직도 있다고 해도 그것은 자기 고유의 사상의 표현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영혼과 우주와 인간의 관계와 존재에 관심을 집중한다.
(1) 우주관: 샤머니즘과 그 사상의 표현은 애니미즘(정령설)으로서 원시적인 개념으로 되어있다. E.B.Tyler는 인간을 포함하여 우주만물은 애니마(영혼)라고 불리는 영혼을 가진 존재라고 애니미즘의 의미를 설명한다. 그들도 우주만물이 서로 인과관계라는 신비한 법으로 연관이 되어있다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영적 세계에서 어떤 것도 우연히 일어나는 것은 없다. 신의 뜻에 의한 필연성의 세계이다. 샤머니즘의 기초적인 배경은 그런 세계관과 영적관에 의해 지어졌다. 샤머니즘은 우주에 세 개의 층이 있다라고 믿는다 : 하늘, 땅과 지하의 세계. 그래서 우주가 굉장히 큰 축 위에 세워진 3층짜리 집과 같다고 믿는다. 그들의 생각에 따르면 하나님이나 해와 달의 신과 같은 위대하고 선한 신들이 그곳에 살고 동식물과 인간은 땅에 산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지하세계에 악마와 악마의 존재를 믿는다. 이것은 지하세계가 어둠의 세계인 반면에 천국은 밝음의 세계인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그들은 무녀가 귀신들과 의사 소통할 수 있다라고 생각한다.
(2) 하나님의 대한 견해: 샤머니즘에서 믿는 것의 대상은 셀 수 없다. 무당 중에 'Manshin'(만신)이 있다.그는 1만 명의 신을 섬긴다. 또 다른 무당은 제주도에 'Simbang'(심방)이라고 있는데 그는 존재하고 있는 18,000의 신이 있다라고 생각한다. 그들에 따라면, 셀 수 없이 많은 좋은 신들과 악한 신들이 우주에 차있다. Kim Taegon(김 대건)은 한국의 샤머니즘적인 신들을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한다 : 자연의 신과 인간의 신.
1. 자연의 신
(1) 하늘의 신
1. 하늘 신 b. 태양 신 c. 달 신 d.별 신
(2) 지구 신 (3)산 신 (4)길 신 (5)물 신 (6)불 신 (7)바람 신 (8) 나무 신 (9)돌의 신
(10)문 신 (11)방향 신 (12)악귀 신 (13)지하 신 (14)병의 신 (15)동물의 신 (16)농업의 신 (17)출생 신
2. 인간의 신
(1) 왕족의 신
a.왕의 신 b 여왕의 신 c.공주 여신
(2) 지휘관 신
a. General gods (Five-Point Generals (오방장군): the Green General of the Eastern Sky (청제 장군), the Red General of the Southern Sky (적제 장군), the White General of the Western Sky (백제 장군), the Black General of the Northern Sky (흑제 장군), the Yellow General of the Zenith (황제 장군)
b. General’s wife goddess (Mrs. General of Hell (지하 여장군)
c. Other goddesses (Officers (신장) under the great Generals in the five wards)
(3)여호와 신
(4)아줌마 여신 신부 여신
(5)샤먼 조상 신
(6)불교의 신
(7)도교 신
(8)잡신
(9)기타
Kim은 자연의 신과 인간의 신이 의인화된다고 주장한다. 신의 샤머니즘적인 관점에서는, 가장 높은 신과 다른 신들 사이에 계층이 존재한다. 하늘은 태양 신, 달 신과 별의 신에 의해 또한 하늘 신에 의해 다스려진다. 그리고 땅의 세계는 땅 신, 산 신과 인간의 신에 의해 다스려진다. 반면 세상은 열명의 왕족 신들과 그들의 사신들에 의해 지배된다. 대부분의 샤머니즘적인 신은 집에 그들의 기원과 같은 것을 가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신은 한국의 샤머니즘의 삼위일체를 구성하는 Taegam(대감),Chesok(체석)과 Songjo(송조)이다. Taegam(대감)은 특히  건물과 집의 보호자요 감독이다. 그의 특별한 속성은 집에 부와 번영을 가지고 온다. 이와 같이, 그는 부와 기도의 신으로서 자주 알려져 있다. Songju(송주)는 건강과 평화의 가족 신이다. 그는 주로 집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집 스승의 신과 동일시된다. 그러므로, 그는 집의 하늘 신으로서 자주 알려져 있다. Chesok(체석)은 단군(한국의 전설적인 창설자)의 고대 신화에 그 기원이 있는 것 같다. 이 신화에서 한인이라고 불리는 Chesok(체석)은 하늘의 가장 높은 신이다. 무당은 그를 집의 가장 높은 신으로 보여준다. 특히, 그는 비옥함과 장수의 신과 자손의 보호자로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샤머니즘은 "하나님(Sky Master) 불려지는 하나의 최고의 신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하나님은 유일하다. 샤머니즘의 초기 역사에, 사람들은 단군이 섬겼던 하나님께 예배했다. 그들은 하나님이 풍성함을 주시고 비를 주셔서 그 은혜로 인해 우리가 살고 숨쉰다고 믿는다. 하나님은 여러 가지 귀신과 모든 자연을 망치는 악마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그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는 원시적인 일신교다.

(3) 인간에 대한 관점: 인간은 신체와 영혼을 가지고 태어난다. 사람이 태어날 때, '산신'(태어나는 어린이의 신)은 아기가 문제없이 자라도록 길을 인도해 준다. 그래서 아기가 태어날 때, 부모님은 그들의 아이들의 최고의 소망을 위해 '산신'에게 밥과 'Miyuk-kuk'(미역국:전통 한국의 수프)을 공급해야만 한다. 사람들은 출생, 사망, 복, 불행, 번영과 쇠함이 인간보다 우월한 신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북두칠성이 인간의 기대 수명을 제어한다고 생각한다. 'Chesok'(체석)는 아이들을 보호한다, 'Taegam'(대감)는 행운을 준다. 그리고 'Tujoo'(site god(터주))는 여성을 보호한다. 그들은 작은 박스가 'Hogwi(호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눈 문제는 'Mangin(만긴)'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Junggwi(정기)'는 정신 장해를 억제한다. 그들은 그 사람의 인생을 통하여 일어나는 모든 행운과 불행이 이 신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믿는다.
Kim은 신에 대한 관점과 관련하여 인간의 샤머니즘적인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적는다.

샤머니즘은 그 사람의 출생과 사망(상승과 하락) 행복 그리고 재앙. 그리고 그를 감염시킨 병은 모두 신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본다. 원래 천국에 살고 있는 당검 애기씨라고 불리는 처녀의 여신이 신의 제사장과 결혼하고, 샤머니즘적인 신화에 따르면 출생 신이 되고, 지구에서 사람을 생산했던 3명의 형제를 낳을 때까지 어떤 인간도 없었다. 이 신은 어린이 출생의 운명을 정하고, 그를 양육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믿어진다. 그들은 생활공간에서 최고의 지위에서 제사를 지내게 된다. 그리고 그들이 헌신하는 귀신 쫓아내기는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아이들을 낳고 키우는 유사한 기능은 출생 신에게는 달려있다. 다른 세계를 다스리는 신이 사망을 준다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사람이 죽을 때, 그들의 사자는 목에 로프와 함께 그를 데려간다. 저승을 다스리는 10마리의 왕족의 신이 있다. 그리고 사람이 죽을 때, 그의 영혼은 다른 세계로 가게 된다. 거기서 그는 10개의 궁전(차례로, 이 세상에서 덕을 행하였는지 악행을 행했는지 알아 보기 위해)을 방문해야만 한다. 선행을 한 사람들은 극락에 가고, 영생을 받을 자격이 있다. 그리고 죄를 범했던 사람들은 지옥에 가고, 여러 가지의 곤란을 받는다. 다른 세상의 이 인생관은 아마 불교에 의해 대단히 영향을 받게 되었다. 사람의 부와 행복을 억제하는 신이 있다. 사람의 부, 명예, 상승과 하락이 그 신의 지혜에 의존한다라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샤머니즘은 생각의 원시적인 표현을 우리에게 가리켜 준다. 그리고 그것은 고등 종교를 그것에 흡수하고, 서로를 뒤섞었다. 그래서 다른 나라에서 수입된 고등 종교의 영향력 때문에 한국에서 샤머니즘의 독창적인 생각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아주 어렵게 보인다.

7. 샤머니즘 가치 시스템
Ryu는 한국의 개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샤머니즘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1) 다른 것들에 대한 의존: 어떤 결정도 혼자서 하지 않으면서, 사람은 단지 마녀가 재앙을 없애고, 복 또는 행운을 가져오도록 요구한다. 자신의 삶이고 운명이다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고 신 또는 마녀 같은 다른 존재에 의존한다. 이것은 단순한 운명주의에 자신을 맡김으로써 주관성과 가치 체계를 완전한 잃은 것을 의미한다. 건설 이나 현실의 재건 같은 조금의 생산적인 움직임도 이 상황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 운명주의는 일종의 패배주의다. 운명주의가 신의 섭리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2) 보수주의 또는 정체 / 행운 : 다른 사람에 의존하는 운명주의자는 진보성의 어떤 형태도 결코 가질 수 없다. 책임을 질 수 없고, 윤리적인 결정을 할 수 없는 존재는 결코 그 자신과 그의 사회적 환경의 조금의 개혁을 이루는 것도 기대할 수 없다. 샤머니즘이 생산적이지도 않고, 문화적인 발달을 촉진 할 수 없는 이유는 그 보수적이고 정체적인 특성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보수주의는 사람들이 행운을 바라게 만든다. 샤머니즘은 행운을 조장하는 비닐 하우스이다. 미개한 국민들은 미래의 비전 보다 오히려 단지 그들 앞의 욕망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고 한다. 불행하게도, 한국인들은 대부분의 미개한 국민들이 그러한 듯 현재의 욕망에 집중하는 현실주의적인 경향을 보인다. 그들이 모든 문제의 해결을 무당(샤먼)의 도움으로 신에게 의탁하고 또 그런 자세로부터 행운을 바라는 마음을 발견할 수 있다. Jaesu-gut(재수굿) 또는 Don-gosa(돈고사)와 같은 의식은 노력 없이 부를 얻으려는 생각 또는 부의 꿈꾸는 정신 세계를 보여준다. Gut-geori(굿거리)가 인간의 모든 꿈을 실현 할 수 있다고 샤먼은 약속한다. 실용주의의 정신 기초를 이루는 것은 쉽다. 행운을 잡으려는 이런 태도는 심지어 기독교도에게 행운을 기대하게 하고, 운 좋은 것을 위해 기도하도록 만든다.
(3) 근시안의 현실주의/도덕성의 부족: 모든 관심과 욕망을 현재에 집중시키게 된다. 그들의 큰 관심은 재앙과 고민에서 떠나는 방법과 평화롭고 즐거운 삶을 보내는 방법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런 사람들은 조금의 기본적인 재건이나 개혁성을 가질 수 없다. 그들이 점쟁이에게 가는 것은 장래를 위해서가 아니라 현재를 위해서 이다. 샤머니즘은 인간의 존재의 깊은 뿌리에 대한 조금의 관심도 없고, 미래를 계획 하지 않는다. 그것은 일종의 근시안의 현실주의다.
불행하게도 현실주의의 이런 개념은 도덕성의 부족과 맞닿아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조금의 윤리적인 표준도 또는 조금의 도덕적 기준도 샤머니즘에 없다. 모든 문제가 조상에게 그리고 신들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어떤 책임감도 없는 곳에, 개인의 건전한 성장을 기대 할 수 없다. 도덕성의 부족 또는 책임감의 부족이 샤머니즘적인 성격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다.
(4) 쾌락-즐거움: 얕은 현실주의 그리고 운명주의는 결국 현재의 쾌락과 즐거움을 가지고 온다. 그들은 단지 재미있게 놀고, 식사를 하는 것, 모든 현재의 순간을 즐기는 것에 흥미가 있다. 한국의 샤머니즘은 특히 이 즐거움과 관련되고, 이런 한국의 특성을 촉진하였다.
상기의 특성은 한국인의 결점을 이룬다라고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결점은 바로 장점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특성을 사용하고,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다른 사람에 관한 의존은 절대적인 신뢰와 관계 있는 종교의 발달에 있어서의 요인일 수 있다. 그리고 보수주의는 이른바 평화를 사랑하는 것과 현실주의의 기초일 수 있다. 그리고 즐거움은 문화와 예술의 발달의 기초일 수 있다.

III. 형식적인 종교에 대한 샤머니즘적인 효과
한국의 샤머니즘은 여러 세기 동안 채택되기를 계속했다. 이것은 몇 개의 요인의 결과다. 첫번째로, 습관과 관습은 주어진 사회에서 쉽게 지워질 수 없고, 모(母) 문화로서 남는다. 두 번째로, 한국의 정치적인 지배자는 그들의 자생적인 종교를 근절하지 않을 만큼 현명했다. 어떤 지배자도 그런 반항에 직면하기를 원치 않았다. 셋째, 현재의 한국의 정부는 전통 종교 문화와 직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민속 예술의 발달을 권장했다. 그리고 마침내 그리고 가장 중대하게, 한국의 민중의 역사의 경험은 프로테스탄트의 교회 성장에 차례로 공헌했던 특징적인 "종교 지성"을 만들었다. 한국의 샤머니즘은 한국의 세계관을 이루는 거울이었다. 비록 그것이 협회, 도덕과 성경에 관해서 별로 조직되지 않았다고 해도, 그것은 유교, 불교와 심지어 기독교 같은 종교에 깊이 영향을 주었다. 그것은 또한 접촉하는 종교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Clark은 한국의 샤머니즘이 도교의 정신의 예배와 불교에서 나온 많은 것들에 의해 풍부하게 하게 되고 수정되었다라고 말한다.
한국의 샤머니즘은 결코 고정이거나 권력에 맹종하는 방향으로 종교 시스템을 발달시키지 않는다. 그 시스템은 통합적이다. 그것은 그 뛰어난 참조를 분명하게 하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신성한 것을 상징하고 있는 신을 보여주고, 또 다른 종교와 함께 통합될 모든 기회가 있다. 정확히 이 복합적인 특징 때문에, 불교와 유교 그리고 다른 종교는 샤머니즘과 공존할 수 있었다.

1. 불교와 샤머니즘
불교는 가장 긴 기간에 걸쳐서 한국인의 마음을 지배했던 종교다. Sosurim(소수림)왕이 Kokuryo Kingdom(고구려 시대)을 지배하던 양력 372년에 불교는 한국에게 소개되었다. 그 초기에, 불교는 전통 종교 샤머니즘(무교)에 대한 끈질긴 저항을 받았다. 신라의 이차돈 이라는 승려가 샤머니즘의 저항 때문에 첫번째 불교의 순교자가 되었다. 그러나 불교는 샤머니즘과 타협했다. 그리고 차차 토착화되었다. Koryo Dynasty(고려왕조) 때에 국가의 종교에 지정될 만큼 충분히 인기가 있었다.
관용의 성질을 지닌 불교는 종교 혼합주의의 특징을 쉽게 얻었다. 불교는 민중들에게 전파하기 위해 샤머니즘을 뒤섞었다. 즉 불교 학자가 슬퍼하듯, 불교는 전파를 위해 비싼 대가를 치뤄야 만 했다. 그것은 전파되면서 불교는 샤먼 불교가 되었다. 지금 절에는 Sansin-Kac(산신각)(산의 신을 참배하는 곳)과 Jungih(정이)(순수한 샘물의 신의 예배)와 용에 대한 예배와 같은 비 불교적인 형태가 있다. 이런 예배의 형태는 불교예배 형태와 전혀 관계가 없다. 그 보다, 그것들은 불교에 의해 동화된 샤머니즘적인 예배의 형태다. 불교(샤머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는)는 초자연적인 하나님의 개념 또 구세주의 개념, 미래 세계의 개념, 믿음과 같은 개념들을 한국인에게 주었다. 그러나 그 윤리적인 시스템은 약했다. 이것은 한국의 불교가 인도 또는 중국의 불교와 아주 다른 것을 의미한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한국의 불교는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 불교이다.

2. 유교와 샤머니즘
비록 유교가 수백의 년 전에 한국에게 소개되었지만 유교는 Yi-Dytiasty(조선)의 통치아래서 번영했다. 다소 학구적이고 학자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유교는 몇 명의 유학자를 배출함으로써 소위 유교 문화를 꽃피웠다. 그러나 어렵기 때문에 그것이 민중까지 퍼지지 않을 것은 당연했다. 바꾸어 말하면, 그것은 민중들의 종교적인 요구에 부응할 수 없었다. 이 요구는 샤머니즘에 의해 만족되었다. 샤머니즘은 이미 사람들에게  깊이 뿌리가 박혔다. 불교가 억제되고, 마침내 깊은 산에 들어 가게 된 사실은 사람들을 샤머니즘으로 빠르게 돌아가게 하였다. 반어적으로, Yi-Dynasty(조선) 시대는 역사상 다른 어떤 시간보다도 샤머니즘(무교)이 더 번영하는 황금 시대였다.
유교 그 자체는 하나님, 영혼과 불멸의 문제에 대해 약간의 빛을 주었다. Chu Hsi (유학자 교리의 인정된 해석자)는 하나님을 이성과 법과 동일시했다. 그의 철학은 비록 심오하였지만 그는 개인의 하나님을 배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국의 유교학자는 개인의 하나님을 발견했다. Yi Whang(이 황)은 (Toi Kei(퇴계) 선생으로서 더 잘 알려져 있는)  사랑의 하나님에 대해 진지하게 말했다. Chu Hsi의 다른 현저한 추종자 Yi Choon Kyeng(이 춘경)은 삶의 근원으로서의 개인의 하나님을 믿고, 세상을 지배하는 섭리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율곡선생인 성자 이이(큰 스승 Toi Kei(퇴계)를 따르는)는 자연을 통하여 개인의 하나님을 발견했다.

3. 기독교와 샤머니즘
짧은 역사(116년)를 거치면서, 기독교는 주요한 종교가 되었다. 지금 기독교는 남한의 강력한 힘이다. 그 힘은 현재의 남한의 인구의 약 25퍼센트가 기독교도다는 사실에 의해 증명된다. 우리는 샤머니즘이 한국에서 기독교의 급속한 성장에 공헌했던 것을 부정할 수 없다. Chung은 한국의 샤머니즘이 한국의 사람들이 신의 존재를 느끼는 것을 돕는다고 주장한다. 샤머니즘적인 의식과 의식이 그들을 결부하는 것에 따라 국가의 정체성 또는 공동체의 정체성을 만든다. 샤머니즘적인 종교 의식의 과정 동안의 경험은 내적이고 따라서 주관적이다. 그것은 동적이다, 정신적인 상징 시스템을 통하여 사람들을 통합한다. 그것은 사람들이 최소한 축제 분위기의 기간 동안에는 사회적 구별(예컨대 계층과 지위)을 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탁월하다. 게다가, 그 불가사의한 힘은 육체적 또는 심리학적인 치료에 공헌할 수 있었다. 실제로, 샤머니즘은 기독교의 진리의 이해하는 길을 열어준다. Ryu, Tong shik(유 동식)은 우리에게 기독교를 쉽게 수용하도록 해 준 두 가지의 샤머니즘의 특징을 말한다. 첫번째로, 샤머니즘에는 기독교의 생각과 유사한 하나님관과 세계관이 보인다. 두 번째, 병의 제거를 위해 또 복을 바라기 위해 샤머니즘에 의지했던 것이 또 같은 것을 위해 기독교에 의지함으로 쉽게 전이되었다. 그리고 박사 Myung H.Kim도 말한다: 샤머니즘은 예비하는 역할을 했다. 샤머니즘이 복음서에 의한 교육에 기본적으로 반대했지만, 그것은 복음의 씨를 뿌리고 복음서의 급속한 성장에 수용적이었다.
하나님이라는 더 높은 신(많은 신 중에)의 개념이 이름 있었다. Chung은 하나님이라는 단어가 민중에 의해 유일한 신 또는 최고의 통치자로서 사용되었다라고 설명한다. 그것은 외국어가 아닌 확실한 한국어이다. 보통 사람이 끔찍한 절망의 위치에 직면할 때 하나님을 찾는다. 오늘날의 삶에서, 사람들은 그 이름을 명료하게 말하지 않는다. 신은 지상의 인간의 일에서 멀리하고 있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이 어쩔 수 없는 상황과 처할 때, 사람은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도움을 구한다. 이것은 성경 지식이 전혀 없는 한국인들이 많은 틀린 신들과의 관계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신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이 이 하나님이 성경에서 바르게 기술되어있다라고 들었을 때, 그들 중의 대부분은 성서를 배우고 싶어하고, 그리스도를 받아들였다. 선교사들이 하나님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선교적으로 현명하였다. Yun,Sung-bum(윤성범)은 이런 종류의 토착화가 한국의 기독교의 급속한 성장에 관련 있다고 지지했다. 한국의 기독교의 급속한 성장은 샤머니즘적인 한국인이 기독교의 종교에서 그들 자신의 진실된 신의 거울을 발견했다는 사실을 기초로 하여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혼합주의적인 요소가 한국의 기독교에 있다. 종교 활동의 목적은 물질적 축복을 받기 위한 것이다. 이른바 "축복을 지향하는 믿음"은 복음서의 진실된 본질을 흐리게 하고, 기독교의 믿음의 힘과 순수성을 묽게 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그것은 기독교로 치장하는 샤머니즘의 또 다른 버전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한국의 어떤 기독교의 학자들은 순복음교회의 조용기 목사님이 샤머니즘적인 오순절 교회파 운동을 이끌었다고 주장한다. 기독교의 복은 세상의 물질 얻는 것에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그 보다 그것은 하나님과 사람의 바른 관계다. 기독교의 궁극의 삶의 목표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
한국의 샤머니즘에서 신성한 것과 세상적인 것을 구분함으로써 선한 행위가 없는 믿음에 이르게 했다. 샤머니즘이 신성한 것과 세상적인 것을 구분함으로써 사람이 변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크리스챤이 된 후에도 그들의 생활태도는 변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교회(장소)에 갈 때, 교회는 하나님과 교제하는 신성한 장소라고 믿는다. 그 이유 때문에, 기독교도는 교회라고 라는 신성한 장소에서 하나님을 예배한다, 그러나, 그들은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살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두개의 화합되진 기준을 가지고 살고 있다. 그들은 교회의 멤버다. 그리고 그것이 믿음의 증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주와 영적 세계에 대해 기독교의 해석과는 전혀 다른 해석을 포함하는 전통과 관습이 의식적인 믿음의 시스템 아래에 내재되어 있다. 삶의 위기와 단락의 의식에서 교회는 외계의 것이다. 이것은 "분리된 수준" 기독교로서 불린다.
한국의 샤머니즘은 무당과 귀신의 신비적인 결합에 완전히 의존한다. 무당이 굿을 수행할 때, 무당은 엑시터시에 도달한다. 마찬가지로, 황홀경의 신비적인 경험을 찾는 많은 기독교 그룹이 있다. 결정론은 또한 샤머니즘적인 세계관의 소산이다.

IV. 선교적인 의미
1. 우리(교회 지도자와 선교사)는 민속 종교를 이해해야만 하고, 복음을 효과적으로 설교하기 위해 그들의 새로운 성경적 이해에 비추어서 그들의 기존의 신념들과 관습들을 진지하게 평가해야만 한다. 전체적인 복음이 되게 하려면, 우리는 사람들이 묻는 모든 세가지 수준의 질문에 하나님이 답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우리는 사회와 개인, 세상에 대한 기원의 의미와 운명에 답하는 우주 역사의 신학을 필요로 한다. (2)우리는 신의 인도, 병고침, 공급과 보호에 대한 질문들을 다루는 인간 역사의 신학을 필요로 한다. (3)우리는 하나님의 활동의 일부로서 자연 질서를 바라보는 자연역사 신학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전체론적인 신학에서 기독교의 대답을 이 질문의 각각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오래된 관습에 대한 해답은 그들을 억제하지 않고, 더 나은 길을 제공하는 것이다.  
2.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이 하나님 중심의 삶과 성경 중심의 삶을 살 때까지 성경 공부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 교회 지도자와 선교사는 성경을 가지고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설명해야만 한다. 성경 연구는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이끄는 가장 최선의 길이다.
3. 가족 사역이 한국 교회에서 강조 되어야만 한다. 가정은 기독교의 교육의 중심이다. 우리는 제도화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가정과 교회의 제도를 새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정은 가정 교회가 되어야만 한다.
4. 한국의 교회 지도자들은 전 세계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동원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님께서 그렇게 하라고 명령하셨기 때문이다. 마태복음 28: 18-20은 말한다. “예수께서 나아와 일러 가라사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V.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한국의 샤머니즘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의 교회는 짧은 역사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병 고침을 받기 위해 무녀를 방문한다. 샤머니즘은 사람이 아니라 의해 귀신에 의해 조정되어진다. 바울은 에베소서 6: 10-18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을 전쟁에 비유하고 있다. 에베소서는 6:12는 말한다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에 대한 것이 아니요 정사와 권세와 이 어두움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에게 대함이라.” 우리는 항상 사단의 권세에 대항하여 싸우고 있다.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먼저 성령의 힘으로 무장되어져야 한다.






BIBLIOGRAPHY


Eliade Mircea, Shamanism: Archaic Techniques of Ecstasy, trans. Willard R. Tras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4)
Ryu, Tong Shik, A History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hamanism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1975)

Jun Ki Chung, Christian Contextualization in Korea, Ho-Youn Kwon, ed., Korean Cultural Roots (Chicago: North Park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1995)
Chung B. Suh, Shamanism from the view point of linguistics (Seoul: The institution of Korean Religious History, 1972)
Shuo-wen Jie-zi (Peking: Zhong-hua sua-zu reprinting, 1963), Chapter 5-1.
Tylor, Edward B. Primitive Culture Vol. I (New York: Brentano’s, 1871)
Sarah M. Nelson, Roots of Animism in Korea, Ho-Youn Kwon, ed.  
Ames, E. S. “Shaman”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Edinburgh, 1934)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3rd. ed., (Boston.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1996)
Clark, C. A.,  Religions of Old Korea, (Seoul: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61)
Moon, Sang-Hee, Shamanism in Korea: What is Religion?, (Wegwan Korea: Benedict Press, 1975)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The Bible and Theology Vol. 11, (Korea: Christian Wisdom Publishers, 1992)
Jechelson, The Koryak, I,  
Kim, Taegon, Korea Journal Vol.12 (Dec.),  1972, Seoul, Korea
Asian center for Theological Studies and Mission/Asia United Theological College, Acts Theological Journal, Vol. 2, 1986, Seoul, Korea: Sung Rim Sa
Shearer, Roy E., Animism and The Church in Korea, Unpublished Thesis, Pasadena:FTS, 1968
Kim, Kwangiel, Traditional Concept of Disease in Korea, Korea Journal: V. 13 (Jan.), 1973
Hulbert, Homer B., The Passing of Korea (Seoul: Yonsei Univ. Press, 1969(1906))
Bishop Isabella,  Korea and Her Neighbors (London: John Murry, 1898)
Tylor, E. B., 1958 Religion in Primitive Culture, N. Y., Harper
Tae, S.R., 1965 Myth of the South Countries, Seoul
Lee, Jung Young, 1977 “Shamanistic Thought and Traditional Korean Homes”, Korean and Asian Religious Tradition
Ryu, Tong-Shik, “The Religions of Korea and the Personality of Koreans,” Korea Struggles for Christ, Edited by H. S. Hong, W. Y. Ji and C. C. Kim, (Seoul Korea: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73) Lee, K. Y., 1964 “Natural Feature of Shamanism, Sasangke” Vol. 11.
Bup-Jung, “Shamanism in the Buddhism” Dialogue, XV, June (Seoul: Monthly Dialogue Press, 1970)
Park, Hee Seong, 1979, “Anthropological Research of the Korean Shamanism” Unpublished papers, FTS. Kim, Myung Hyuk, “Six New Churches Everyday”, Asia Theological New, 1979 June
Yun, Sung-Bum, 1964 “Christianity and Korean Thought”, Seoul, C.L.S.K.
Williamson, Sidney G. Akamba Religion and the Christian Faith, (Accra: Ghana Universities Press, 1965)
Hiebert, Paul G., Shaw R. Daniel, and Tienou, Tite, Understanding Folk Religion,(Grand Rapids: Baker Books, 199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