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리그마 편[327편]〓/김재진 박사 강해59

마태복음 강해 김재진 교수 (KTA 원장) 구원의 안식일 (마 12:1-21) 출처 : http://kerygma.kr/index.php?mid=mti&page=2&document_srl=1276371 46강 거룩한 산에서의 예수의 변모 (마 17:1-13) 47강 믿음은 하나님의 능력이다 (마 17:14-20) 48강 왜 헌금을 봉헌하나? (마 17:22-27) 특강: 설교를 위한 성경 해석 49강 세상에서 큰 자가 되고 싶은가? 그럼~ (마 18:1-14) 50강 무조건 들어주시는 기도 (마 18:15-35) 51강 결혼: 창조의 섭리와 상호 계약 (마 19:1-15) 52강 꿩 먹고, 알도 먹고 (마 19:16-30) 53강 계약과 하나님의 나라 (마 20:1-16) 2022. 5. 25.
케리그마 신학 컨퍼런스 강연 5. 코로나 이후의 신학적 인지구조의 변형 (김재진 박사) 2021. 12. 11.
선천(先天) 안윤태 장로 기념 강의/안식일과 십계명 (김재진 교수 2021. 12. 10.
[김재진 목사] 살아계신 하나님 설교 듣기 http://file.ssenhosting.com/data1/pb_21422/livingGod.mp3 살아계신 하나님 김재진 목사 2021. 12. 10.
8강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몸에 참여함 (마지막 강의) 2021. 12. 9.
7강 예수 부활 이전과 이후 (김재진 교수) 2021. 12. 9.
6강 하나님 나라의 실재성 (김재진 교수) 2021. 12. 8.
05강 제4장 교회 공동체의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 2021. 12. 8.
04강 제2장 부활. 부활체 (죽음 이후의 몸) 2021. 12. 6.
03강 제2장 부활. 예수 부활의 역사적 현실성 2021. 12. 6.
02강 제3장 십자가. 십자가에 달리신 분이며, 심판주이신 예수 그리스도 강의안 다운로드: https://goo.gl/kAQ5vD 2021. 12. 5.
제3장 십자가 신학 (하나님의 계시, 199-254) 2021. 12. 5.
디트리히 본회퍼 윤리학 세미나 / 제3강 자연적 생명 (윤리학, 197-260) 2021. 12. 5.
복음 삶으로 증거하는 것이 교회의 근본" 『개혁된 유럽』은 중세 종교개혁 당시 유럽지역 48개 도시에서 일어난 종교개혁과 그 도시와 관련된 개혁자들의 신학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미하엘 벨커(M. Welker) 교수와 뮨스터 대학교 미하엘 바인트커(M. Beintker)교수와 알베르트 드 랑(Albert de Lange) 교수가 편집한 책이다. 김재진 박사에 의하면, 『개혁된 유럽』은 종교개혁(1517) 이후 삼분오열된 개신교회가 종교개혁 정신으로 되돌아가 일치와 협력을 합의한 '로이엔베르크 협약'의 정신에 따라서 나온 책이다. 이 책을 번역 출판하고자 하는 취지를 듣고자, 지난 3일 김재진 박사를 자택에서 만났다. 질문하기도 전에 김 박사는 '종교개혁 신학과 정신'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유럽교회의 움직임에 상응하게.. 2021. 12. 4.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이 '산 제사'" - 한국교회도 기본으로 돌아가면 사회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겠지요? 예, 맞습니다. 이 책의 서론에 보면, 유럽의 변화는 종교개혁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Europa Reformata: 유럽이 개혁되었다'는 뜻입니다. 유럽 전체 사회의 모든 것들이 종교개혁으로부터 변혁되었습니다. 즉 유럽개혁의 시발점이 루터의 교회(종교)개혁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종교개혁이 그냥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종교개혁 당시에도 초대교회의 박해처럼 수많은 개신교인들과 농민들이 사형당하고 목 매달리는 일을 겪었습니다. 예컨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는 크리스천 3세가 수많은 개신교 추종자들을 화형 시키거나 목매달아 죽였습니다. 이렇듯 '종교개혁'은 다른 개혁보다도 가장 힘든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 정치, 경제, .. 2021. 12. 4.
타종교와 기독교 차이 잘 알아야" 김 박사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1년 앞둔 올해, 1973년 스위스 '로이엔베르크 협정(Leuenberger Konkordie)'에 따라 집필된 『개혁된 유럽(Europa Reformata)』을 번역 출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책을 번역 출판하고자 하는 취지를 듣고자, 지난 3일 김재진 박사를 자택에서 만났다. 아래는 인터뷰 전문. - 교수님 말씀처럼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 자신의 뜻을 성취하는 것으로 치우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예, 맞습니다. '종교'와 '기독교'의 차이가 그것입니다. '종교'는 '나의 부귀영화와 안녕을 위해서 신(神)을 믿는 것'이고, '기독교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는 것입니다. 오늘날 교회 안에서, 내가 이 세상에서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 2021. 12. 3.
[인터뷰] 교회史서 '기독교 세속화'는 언제나 반복" [기독일보=신학] 지난해 10월 한국조직신학회 신임회장으로 김재진 박사(케리그마신학연구원 원장)가 선임됐다. 김 박사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1년 앞둔 올해, 1973년 스위스 '로이엔베르크 협정(Leuenberger Konkordie)'에 따라 집필된 『개혁된 유럽(Europa Reformata)』을 번역 출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책을 번역 출판하고자 하는 취지를 듣고자, 지난 3일 김재진 박사를 자택에서 만났다. 아래는 인터뷰 전문. - 기독교의 세속화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기독교의 세속화는, 항상 기독교의 토착화, 문화화(文化化)라는 '탈'을 쓰게 됩니다. 따라서 기독교의 세속화는 수 세기를 걸쳐서 언제나 반복되어 왔고, 세속화가 극치에 이르렀을 때, 항상 종교개혁이 있어났습.. 2021. 12. 3.
[본회퍼-나를 따르라] 1강 서문 & 값 비싼 은혜(김재진 교수) 2021. 12. 3.
선천강의] 5강 창조에서 종말을 읽어라! (김재진 교수) 2021. 12. 3.
Karl Barth's KD] 하나님의 현실성에 근거한 하나님 인식(명제 25-31정리) (김재진 교수) 2021. 12. 3.
한신대 신학대학원 목요강좌-김재진 교수 2021. 12. 2.
김재진 목사, 하나님의 현존, 연세대학교 삼애교회 2021. 12. 2.
목회를 위한 교의학 주제 해설제12강 과학의 발전과 미래의 종말 (김재진 박사) 2021. 12. 2.
11강 나에게 인지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나의 부활 2021. 11. 21.
10강 영혼불멸인가, 죽은 자의 부활인가 2 2021. 11. 21.
9강 영혼불멸인가, 죽은 자의 부활인가 1 2021. 11. 21.
8강 부활의 세계 2021. 11. 21.
8강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몸에 참여함 (마지막 강의) 2021. 10. 25.
7강 예수 부활 이전과 이후 (김재진 교수) 2021. 10. 25.
6강 하나님 나라의 실재성 (김재진 교수) 2021. 10. 25.